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체, 언어, 매체언어 개념의 국어교육학적 분석 = A Korean Language Educational Analysis of Media, Language, and Media Language Concep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52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때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설정되었다 사라졌던 ‘매체 언어’ 과목이 2015년 차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시 고등학교 선택과목 ‘언어와 매체’로 부...

      본고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때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설정되었다 사라졌던 ‘매체 언어’ 과목이 2015년 차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다시 고등학교 선택과목 ‘언어와 매체’로 부활하는 기회를 맞이하여 ‘매체언어’에 대하여 그 기본 개념에 대한 국어교육학적 분석을 시도한 연구이다.
      ‘매체언어’란 용어는 단순히 ‘매체’와 ‘언어’의 결합형으로 인식되기 쉽지만, 그렇게 단순한 의미의 결합체가 아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매체’, ‘언어’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였고, 그 범주의 외연에 대한 논의에 치중하였다.
      결과적으로 ‘언어’의 범주를 확장하였음에 비해 ‘매체’의 외연적 범주는 축소하였다. 그 이유는 국어교육이라는 분야에서 한국어라는 언어가 주요 대상이기 때문이다. 자칫 매체의 범주를 확장하여 매체가 언어를 포괄하는 대범주로 설정한다면 ‘매체언어’는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대상 자격을 의심받을 수 있는 논란의 여지를 남길 수 있다.
      따라서 ‘매체’는 의사소통 수단이나 도구라는 의미의 협의의 범주로 설정하였다. 곧 매체를 신문, 광고, 음악, 영화와 같은 전달의 도구나 수단으로 보았다. 그리고 ‘언어’는 전통적인 언어 체계의 분류 방식에 변화를 모색해 보았다. 이는 시대적 요구에 순응하는 것으로 언어는 역사적으로 소통 매체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변화해 왔음에 주목한 것이다. 그래서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체계뿐 아니라 시청각적 기호를 통한 의사소통 체계도 편입하여 매체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체계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매체언어는 단순히 ‘매체’와 ‘언어’의 의미가 결합된 복합어적인 성격의 것이 아니다. 매체를 통하여 소통되는 언어와 다양한 시청각적 기호들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특정한 의미를 구성하는 데에 일정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들을 ‘매체언어’라 부르고, 이 매체언어를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내용으로서의 대상으로 삼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ncepts of media, language, and media language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ontemporary culture. The term media was defined to include any means or tools that aimed to facilitate communicat...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ncepts of media, language, and media language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ontemporary culture.
      The term media was defined to include any means or tools that aim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In this context, as we aim to investigate how language facilitates Korean language education, media includes newspapers, advertising, music, and film.
      In this information communication era, changes in language systems must also be discussed outside of traditional linguistic classifications. Communication systems not only convey meaning through language, but also include visual symbols. As a result, when the definition of language is expanded, the number of available mediums is reduc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aims to target the language of Koreans.
      Media language does not simply refer to a combination of media and language. Visual symbols are provided to perform a function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specific meaning. For this reason, we incorporated visual symbols into media language. Therefore, media language can be targeted as a learning too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매체와 언어 개념의 외연
      • 3. 국어교육 내용으로서 매체언어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매체와 언어 개념의 외연
      • 3. 국어교육 내용으로서 매체언어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선, "하이퍼미디어 시대의 언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87-94, 1998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우한용, "지식정보화시대의 독서-독서의 정치학을 위한 각서" 한국독서학회 5 : 1-24, 2000

      4 이화진, "정보화 시대의 독서전략" 한국독서학회 5 : 45-64, 2000

      5 김미량, "정보화 사회의 독서매체 확장을 위한 일고" 한국독서학회 5 : 65-81, 2000

      6 최병우, "전자매체 시대의 독자" 한국독서학회 (16) : 49-69, 2006

      7 이채연, "인터넷의 매체 언어성과 국어 교재화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04 : 83-108, 2001

      8 신호철, "인터넷 통신언어 속의 외계어에 대한 고찰" 국제어문학회 (34) : 5-31, 2005

      9 김정우, "이미지를 중심으로 본 매체교육의 방향 - 사진과 시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8 : 501-518, 2000

      10 박수자, "의사소통 매체와 언어 표현의 특징" 국어교육학회 10 : 319-345, 2000

      1 김병선, "하이퍼미디어 시대의 언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87-94, 1998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3 우한용, "지식정보화시대의 독서-독서의 정치학을 위한 각서" 한국독서학회 5 : 1-24, 2000

      4 이화진, "정보화 시대의 독서전략" 한국독서학회 5 : 45-64, 2000

      5 김미량, "정보화 사회의 독서매체 확장을 위한 일고" 한국독서학회 5 : 65-81, 2000

      6 최병우, "전자매체 시대의 독자" 한국독서학회 (16) : 49-69, 2006

      7 이채연, "인터넷의 매체 언어성과 국어 교재화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04 : 83-108, 2001

      8 신호철, "인터넷 통신언어 속의 외계어에 대한 고찰" 국제어문학회 (34) : 5-31, 2005

      9 김정우, "이미지를 중심으로 본 매체교육의 방향 - 사진과 시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8 : 501-518, 2000

      10 박수자, "의사소통 매체와 언어 표현의 특징" 국어교육학회 10 : 319-345, 2000

      11 서유경, "융복합 시대의 매체언어교육 방향 탐색"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71-91, 2013

      12 주세형, "역대 초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서 매체 식별 교육 내용의 변천 양상과 국어교육사적 함의" 국어국문학회 (143) : 457-484, 2006

      13 정현선, "언어·텍스트·매체 ·문화'범주와 '복합 문식성'개념을 통한미디어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8) : 307-338, 2005

      14 서유경, "스마트교육 시대의 국어교육연구 방향" 국어교육학회 49 (49): 61-82, 2014

      15 최인자, "비판적 대중매체 교육과정 연구" 국어교육학회 13 : 491-512, 2001

      16 McLuhan, M.,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17 Buckingham, D., "미디어 교육" INBook 2004

      18 김창원, "문학 능력과 교육과정, 그리고 매체 -교육과정 목표를 통해 본 문학 능력관과 매체의 수용-" 한국문학교육학회 (26) : 63-85, 2008

      19 서유경, "매체와 국어교육" 우리말학회 (30) : 41-61, 2012

      20 윤여탁,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8

      21 서유경, "매체언어교육의 실행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28) : 73-102, 2009

      22 이채연, "매체언어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국어교육학회 (28) : 103-142, 2007

      23 최지현, "매체언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탐구" 국어교육학회 (28) : 143-182, 2007

      24 최지현, "매체언어 이해론을 위한 근본 논의" 한국독서학회 6 : 71-97, 2001

      25 윤여탁, "매체언어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19) : 45-70, 2007

      26 정구향,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범주와 수용 양상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3 : 29-51, 2002

      27 김대행,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한국어교육학회 97 : 7-44, 1998

      28 정현선, "매체언어 교육 단원 개발과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의 뉴스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48) : 311-654, 2012

      29 김동환, "매체교육과 언어인식" 국어교육학회 (46) : 215-241, 2013

      30 최미숙, "매체 환경에 따른 국어교육의 변화 -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20) : 243-265, 2007

      31 최미숙, "매체 언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방향" 국어교육학회 (28) : 73-102, 2007

      32 최영환, "매체 변화에 대응하는 국어 교육" 한국어교육학회 98 : 129-150, 1998

      33 최홍원, "매체 개념과 국어교육의 가능성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과 33 : 591-616, 2005

      34 우한용, "디지털시대의 독서와 독서교육의 정체성디지털시대 독서에 대한 에세이" 한국독서학회 (30) : 9-40, 2013

      35 정현선,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국어교육학회 (21) : 5-42, 2004

      36 박인기, "독서와 매체환경" 한국독서학회 1 : 123-147, 1996

      37 이종철, "대중 매체의 언어 메시지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회 8 : 105-129, 1998

      38 최인자, "다문화간 소통으로서의 매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04 : 109-141, 2001

      39 최병우, "다매체 시대의 독서" 한국독서학회 5 : 25-44, 2000

      40 정현선,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소 (19) : 99-140, 2007

      41 임천택, "국어교육을 위한 매체와 매체언어 탐구" 한국국어교육학회 61 : 79-104, 2001

      42 박인기,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국어교육학회 (37) : 137-158, 2010

      43 최숙기,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청람어문교육학회 (42) : 69-106, 2010

      44 신호철,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비상교육 2014

      4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해설 연구 개발" 2008

      46 최미숙, "고등학교 국어 선택과목과 매체언어 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31) : 255-279, 2010

      47 김정자, "‘국어’ 교육과정의 매체 언어 교육 내용" 국어교육학회 (28) : 37-72, 2007

      48 Hart, Andrew, "Understanding the Media" Routledge 1991

      49 Halliday, M. A. K.,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Amold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6 1.17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