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태산대종사의 성인관 연구

        양재호(梁載湖)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본고는 한국 근대기에 형성된 원불교의 교조, 소태산대종사(少太山大宗師)의 성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양태로 변모하면서 정착되어 갔는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불교는 유 · 불 · 도 삼교를 회통적으로 수용하였다고 하는데, 소태산 당시 이러한 가르침이 어떻게 수용되면서 원불교의 종교정체성 형성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수양연구요론』부터『불교정전』에 이르기까지 소태산의 성인관의 형성과 변화를 고찰하며, 나아가 불법연구회의 기관지인 『월말통신』이나 『회보』 등에 소개된 법설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면서 소태산의 성인에 대한 인식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렇게 볼 때 소태산의 성인관은 초기 도교적인 수양을 통해 개인의 내적 완성을 지향하였다고 한다면, 후기로 갈수록 그 의미가 요 · 순의 치세나 석가모니의 중생구제와 같은 ‘외적 구제’의 측면이 더 강조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곧 소태산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인격은 ‘내적 완성’을 실현한 후, ‘외적 구제’를 향해 나아가면서 이를 완수하는 것이야말로 최상의 인격으로 설정하고 있다. 소태산에 있어 후천시대의 성인은 개인의 수양이 아니라, 중생의 구제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소태산은 성인을 ‘성자철인’과 ‘주세대성’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성향이 과거의 종교와 확연히 다르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 두 구분은 이후『보경육대요령』과『불교정전』에서 법위의 단계인 출가위와 대각여래위로 재구성되며, 이후 주세대성은 ‘주세불’의 개념으로 재해석되면서 원불교 성인관을 형성하게 된다. The present paper is aimed at examining in what way Sotaesan"s view of sage changed and took root since he had found Won -Buddhism during the near-modern age in Korea. As it has been taught that Won -Buddhism accepted Confucianism · Buddhism · Daosim in a synthetic manner, it is also the aim of this paper to explore how such teachings were admitted by Sotaesan initially and developed eventually into forming the religious identity of Won -Buddhism. In this study, focus is therefore placed on investigating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Sot`aesan"s view of sage comprehensively by referring mainly to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Cultivation and Inquiry as well as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edited by Sotaesan personally in addition to his sermons published in Monthly Press and Bulletin , journals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Buddha Dharma. In this context, it may be said that Sotaesan"s view of sage was oriented in the primary stage toward the individual internal self-completion through cultivation ofDaoism but came to give emphasis to "external salvation" like peaceful ruling of the Kings Yaoshun (堯舜) or relief of all creatures by Buddha as Sot`aesan approached to the later stage of his preaching, arriving eventually at the conclusion that the most ideal personality could be achieved in the process ranging from "internal self-completion" to accomplishment of "external salvation". In other word, Sotaesan viewed that a "sage", particularly of the post-heaven, could not be perfected by personal cultivation but only be accomplished by relief of all creatures. It is deemed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religions in the way that he recognizes and distinguish between sage-philosopher and great presiding sage, a view deemed total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religions. The view of sage in Won-Buddhism has been formed as the concept of the presiding sage.

      • 문산 김삼룡박사의 생애와 사상

        양은용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5 馬韓, 百濟文化 Vol.25 No.-

        본고는 문산 김삼룡(文山 金三龍, 1925-2014)의 생애와 사상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그는 원불교 창립기에 교조 소태산대종사(少太山大宗師, 朴重彬, 1891-1943)와 2대 종법사인 정산종사(鼎山宗師, 宋奎, 1900-1962)가 집안에서 제우(際遇)한 인연으로 어린 시절, 원불교 교역자의 길에 들어선다. 그의 생애는 크게 6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성장교육기(成長敎育期)로, 1925년(1세) 출생에서부터 1938년(14세)까지의 재가 유․소년기이다. 제2기는 출가수학기(出家修行期)로, 소태산대종사 문하에 출가하여 주경야독으로 수행과 연구를 시작하고부터 1956년(33세)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원광대학 강사로 임용되도록까지의 청년기이다. 제3기는 창학교수기(創學敎授期)로, 원광대학 강사로 대학의 기틀을 쌓는데 참여하고부터 1972년(48세) 원광대학교가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교무처장에 취임하도록까지의 장년 1기이다. 제4기는 연구활동기(硏究活動期)로, 원광대학이 종합대학으로 개편되고부터 대학과 교단, 그리고 지역사회를 잇는 활발한 활동과 함께 마한․백제문화연구소를 중심한 익산문화와 미륵신앙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1986년(62세)에 총장에 취임하도록까지의 장년 2기이다. 제5기는 경영지도기(經營指導期)로, 원광대학교 총장에 취임하여 교단과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대내외의 활동을 전개하고부터 2000년(76세) 정산종사탄생100주년기념사업회 회장으로 성업을 성공리에 마치도록까지의 장년 3기이다. 제6기는 수양보은기(修養報恩期)로, 정산종사관련 성업의 회향으로부터 원로수도원에 안주하여 교단원로로 수양하며 법문집 등을 펴내는 보은행을 하다가 2014년(90세) 열반에 들도록까지의 만년기이다. 그의 업적은 원불교의 문화사업과 원광대학교의 교육․연구사업,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활동을 통해 드러난다. 원불교신문사의 설립과 <원불교신문>의 창간,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초대소장으로서 익산지역의 백제왕도 구명, 전북애향운동본부 총재로서 인재육성사업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문산의 사상은 원불교사상의 전개를 바탕으로 하여 미륵신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이를 정리하면 우선 다음과 같은 네 가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새 회상관(會上觀)으로, 대종사의 대각으로부터 전개된 구세제인(救世濟人)을 위한 모임의 실체관이다. 둘째, 새 회상관에 새 주세불관(主世佛觀)으로, 소태산대종사를 새로운 주세불로 본다. 셋째, 사생관(死生觀)으로, 모태에서 와서 모태로 돌아간다는 모태회귀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넷째, 국가‧민족관(國家民族觀)으로, 한민족인 세계정신의 지도국, 인류도덕의 부모국으로 거듭잘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문산의 생애와 업적 등은 앞으로 세밀한 보충이 요망된다. 그의 저술을 비롯하여 대담이나 회고 등을 포함하면 그의 사상은 좀더 다양하고 풍성한 관점이 드러날 것이다. The Life and Thoughts of Dr. Munsan Samryong Kim Eunyong Yang Honorary Professor Wonkwang University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aims to observe the life and thoughts of Munsan Samryong Kim (1925-2014). Thanks to the connection of his family with the Great Master Sotaesan (Jungbin Park, 1891-1943), the founder of Won-Buddhism, and the 2nd Master Jeongsan (Gyu Song, 1900-1962), he began his career as a priest of Won-Buddhism from early in his youth. His lifetime might be divided into 6 phases. The 1st phase is the period of his growth and education, ranging from his birth in 1925 (age 1) to his teen ages in 1938 (age 14) when he spent his childhood and adolescence at home. The 2nd phase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his youth during which he left home, entered Buddhist priesthood as a disciple of the Great Master Sotaesan, working and practicing during the day and studying at night, and was appointed as lecturer of Wonkwang College upon graduation from the department of Buddhism, Dongguk University in 1956 (age 33). The 3rd phase is the first part of his middle age during which he contributed to laying the groundwork for Wonkwang College as its lecturer and took office as dean of the academic affairs when the school was upgraded to university in 1972 (age 48). The 4th phase of his life covers the second part of his middle age during which, since reorganization of college to university, he had been actively engaged in researches of Iksan culture and studies on Maitreya belief with Mahan-Baekj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as his base together with other joint activities with the academic circles and local community until he was appointed th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in 1986 (age 62). The 5th phase corresponds to the third part of his middle age, called the period of management consultation during which he performed domestic as well as foreign duties as president of Wonkwang University representing the religious order and the local communities until he successfully retired from chairman of the foundation for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Master Jeongsan in 2000 (age 76). In the 6th or last phase of his life, to be duly called the period of mind cultivation and repayment of kindness, he retreated to the abbey for seniors spending days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his talks, recollecting the projects related to the Master Jeongsan and cultivating his mind as senior member of the religious order, and at last passed away in 2014 at his age of 90. His achievements could be summed up in the cultural projects of Won-Buddhism,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s of Wonkwang University and activities for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ies. Typical examples of his achievements include establishment of Won-Buddhism Newspaper Company, the first publication of Won-Buddhism Newspaper, research of Iksan area as capital city of Baekje Kingdom in the capacity of the first director of Mahan-Baekj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and initiative in manpower training as president of the Love Jeonbuk Movement. Munsan's thoughts showed a broad range of spectrum, starting from development of Won-Buddhistic ideas as basis to Maitreya belief. His areas of concern and activities may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First, a new 'view of hoesang' (會上觀) that represents substance of meetings for 'save the world and govern the people' (救世濟人) developed from enlightening of the Great Master. Second, a new view of main Buddha in addition to the new view of hoesang in which the Great Master Sotaesan shall be regarded as a new main Buddha. Third, a view of living and death from the viewpoint of recurrence of uterus which everything comes from and returns ultimately to. Fourth, a view of nation and state believing that the Korean people shall be reborn as those of the leading country of the world or parent country for human moralism. More refined studies are requested to fill up the vacancy in the ...

      • KCI등재

        상담자로서의 소태산 대종사

        임전옥(林全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소태산을 상담자라는 관점으로 바라보고, 상담자로서의 소태산에 대해 탐색하였다. 소태산의 상담목표는 내담자들의 당면 문제 해결과 인격 양성이었으며, 이를 위해 교사이자 촉진자, 안내자, 치료자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또한 내담자들과 신뢰가 돈독한 상담관계를 형성하였다. 소태산은 중생교화의 방편으로 상담을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소태산이 중생들의 업의 문제를 다루어주는 과정에서 활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바로 상담의 원리와 기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점차 삼대력을 기르고 인격이 향상되도록 안내하는 과정에서도 상담이 활용되었다. 상담의 특징으로는, 소태산은 모습과 인품으로 감화를 주었고, 내담자의 근기와 상황에 따라 이에 적합한 상담을 하였으며, 상담의 바탕에 큰 자비심이 있었고, 생활 속에서 직접 실행하고 모범을 보였으며, 내담자들을 차별과 장벽이 없는 마음으로 대하였고, 현실문제의 해결을 넘어 진리적인 성장과 완성을 지향하였다. 또한 지시적 상담 방법과 다수 또는 대중 가운데서의 상담을 활용하였다. 주요 상담방법으로는 공감, 질문(문답)으로 이해와 변화를 촉진, 직면과 지시적 상담 방법의 활용, 해석을 통한 새로운 안목의 제시, 정보제공, 칭찬과 격려를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Sotaesan as a counselor because holy men have been well known as great counselors. Sotaesan utilized counseling as an expedient to enlighten mankind. That is, various methods that Sotaesan utilized to help mankind be relieved from suffering and improve their character included counsel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modern counseling psychology. In this study, situations that Sotaesan interacted with disciples were considered as counseling sessions. His counseling goals were to solve problems facing clients and to improve clients’ character. To reach these goals, he acted as a teacher, a facilitator, a guide, and a therapist. Also, he had good counseling relationships by trust with clients. As a counselor, he showed several distinctions of counseling and used several main methods during sessions.

      • KCI등재후보

        소태상대종사(少太山大宗師)의 정기훈련 중 법문(法門) 연구 -1936년 하선에서 1940년 동선까지의 『선원일지』를 중심으로-

        양은용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0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1 No.-

        Fixed term training system of Won-Buddhism begins at summer retreat of 1926. After general assembly of foundation and construction of Headquarters in Iksan at 1924, on 1925 rules of fixed term training and daily training had been established, and began with it. It undertook the functions of establishment of disciplinary system and production of meditator, officer and practitioner, so that seems to be the most urgent task. Summer retreat was from 6th May to 6th August by the lunar calendar, and winter retreat was from 6th December to 6th March of next year by the lunar calendar. Both are three months each and participated by both lay devotees and renounced ministers. From 1938 local minister training had been established with summer and winter retreats, and it is connected to minister training of today. Summer and winter retreats system was no longer carried out from 1950, and that conducted by every local temple fixed as tenet studying. Also, academic center which established together with meditation center at 1937 developed as regular educational organization, open of an institute, Yuil Hakrim at 1946 and approval of Wonkwang University at 1951. During summer and winter retreat, the fixed term training, high officials of the order had been dispatched as head minister, minister, clerk and so on, and they recorded Meditation Center Diary. It was purposed to record the dharma words of Founding Master Sot’aesan(Park Chung-Bin, 1891-1943) and to collect opinions. While the life time of Founding Master, records were remained in 13 volumes from summer retreat of 1936 to winter retreat of 1940. Among them, his dharma words are 161 pieces, and those recorded in detail or only fact of delivery. Among dharma words in the Scripture of Founding Master(大宗經), 31 pieces had delivered at meditation center, and 72 pieces ar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Dharma Words(法說集) hand written by Park Chang-Ki. Comparing with Meditation Center Diary, it is noticed that most of dharma words in the Collection of Dharma Words had been delivered at meditation center. The dharma words in Meditation Center Diary recorded date of delivery clearly. Therefore, specific circumstances were clarified, such as flow of system of the order, course of establishment of tenet, faith and practice, concerned person and so on. Further comparing Meditation Center Diary and the Collection of Dharma Words will illuminate the circumstantial condition of dharma words of Founding Master, and will be valuable resources to analyze dharma words in the Scripture of Founding Master. 원불교에 있어서 정기훈련제도는 1926년 하선(夏禪)에서부터 시작된다. 1924년 창립총회후 익산총부를 건설하고, 1925년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을 제정하고 이에 의해 시작한 것이다. 이는 수행체계를 확립함과 동시에 선원(禪員)․임원․학원을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교단의 급선무였던 것으로 보인다. 하선은 음력 5월 6일에서 8월 6일까지, 동선은 음력 12월 6일에서 이듬해 3월 6일까지 하․동 각각 3개월 기간이며, 재가․출가가 함께 참여하고 있다. 하선․동선에는 1938년부터 지방교무강습이 병설되었으며 그것이 오늘날 교무훈련으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하선․동선제도는 1950년을 기점으로 시행되지 않으며, 각 지방교당에서 행하던 그것은 교리강습회로 성격이 굳어지고 있다. 또한 선원과 함께 1937년에 이루어진 학원(學院)은 1946년 유일학림의 개원, 1951년 원광대학의 인가 등 정규교육기관으로 발전하고 있다. 정기훈련기간인 하 동선에는 교단 간부가 선원(禪院)에 교감 교무 서기 등으로 파견되었고, 『선원일지』를 작성하고 있다. 그것은 소태산대종사(박중빈, 1891-1943)의 법문 채록과 의견안 수렴 등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대종사 재세시 기록으로 1936년 하선에서 1940년 동선까지 13권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대종사 법문은 전후 161편에 이르는데, 법문을 베푼 사항만 나타나기도 하고, 구체적인 내용이 기록되기도 한다. 대종사 언행록인 『대종경』의 수록법문 가운데 선원에서 행한 법문은 31편이며, 박창기 수필의 『법설집』에는 72편에 이른다. 그런데 『선원일지』와 대조해 보니 『법설집』의 법문 가운데 대부분이 선원에서 행한 것으로 드러난다. 『선원일지』의 법문은 설해진 시기가 분명하므로 교단제도의 흐름, 교리형성의 과정, 신앙과 수행, 그리고 관련 인물 등의 구체적인 상황이 밝혀진다. 앞으로 『선원일지』『법설집』 등을 대비해 보면 대종사 법문의 상황성이 드러나며, 이는 『대종경』 수록법문을 해석하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 숭산 박광전종사의 종교관 -일원상을 중심으로-

        송천은 한국원불교학회 2018 圓佛敎學 Vol.10 No.-

        숭산 박광전종사는 원불교 초창교단의 대표적인 교육자이다. 그는 교조 소태산대종사의 장남으로 직접 제자이다. 소태산대종사의 법문을 받들고, 『대종경』을 해설하였으며, 1967년 발표한 「일원상 연구」는 원불교학 관련 최초의 연구로 불린다. 본고는 이 「일원상 연구」를 중심으로 한 숭산종사의 종교관에 대해 밝혀 본 것이다. 일원상은 소태산대종사의 궁극적 깨달음인 대각(大覺)의 상징으로 원불교의 최고종지이다. 이를 숭산종사는 원리의 해석과 함께 유·불·도 삼교를 비롯한 기독교·서구사상까지를 포함하여 궁극적 실재로 다루고 있다. 이 궁극적 실재는 이름은 각기 다르지만 근원은 하나이며, 따라서 모든 종교는 동원도리(同源道理)라는 것이다.

      • KCI등재

        불법연구회 선수행 체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소태산의 구도부터 『조선불교혁신론』 편찬까지 -

        권동우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6 No.-

        본고에서는 불법연구회에서 인식하고 실천해 갔던 선수행에 대해 소태산의 구도·대각(1916)으로 부터 『수양연구요론』과 『육대요령』의 시기를 거쳐 『조선불교혁신론』(1935)이 편찬되는 시 기까지 살펴보고자 한다. 소태산의 구도과정에서 보이는 수행체계는 간화선적 요소와 묵조선적 요소가 혼재되어 있다는 주 장과 간화선으로 일관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양자 모두 소태산의 구도를 선수행의 과정으로 이해 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소태산은 대각 후 『금강경』을 통해 ‘불법’에 연원한다고 하면서도 초기의 교단운영에 있 어서는 「정정요론」과 같은 정통 내단학(內丹學)을 계승한 수행법을 좌선에 도입하였다. 다만 도 교적 수행법을 수용하면서도 궁극적인 지향점은 ‘성불(成佛)’이라고 하거나, 「정정요론」을 ‘불설 (佛說)’로 이해하는 점에서 소태산의 지향점이 불교적 세계관에 머무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31년 『불법연구회통치조단규약』을 발표하면서 소태산은 염불과 좌선을 순서적으로 연결하는 수행을 제시하여 불교에 조금 더 접근한 모습을 보이며, 1932년 불법연구회 첫 공식 교서인 『육대 요령』에서는 ‘단전주(丹田住)’ 선법을 제시하면서도 ‘한 생각이라는 주착도 없이 오직 원적무별한 진경에 그치라’는 내용으로 체계화하면서 불교의 선수행체계에 유사한 형태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35년 『조선불교혁신론』의 편찬을 기점으로 불법연구회는 불교 경전에 대한 해설과 교리 전반 에 걸쳐 불교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다만, 불법연구회가 불교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게 되는 것은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선수행체계의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초기부터 점차로 불교적 성향을 강화해 온 것이라 볼 수 있다. 『조선불교혁신론』의 편찬 이후 불법연구회의 선수행은 간화선과 묵조선의 수행이 혼재되어 있 는 양상을 보인다. 『조선불교혁신론』 이후 소태산은 불법연구회의 선수행이 묵조선적 성향을 가 지는데 대해 ‘묵조사선’이 아니라고 주장하면서 ‘화두’를 수양(定)이 아닌 연구(慧)를 단련하는 과 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원불교의 선수행은 묵조선적 성향이 드러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수증관(修證觀)을 놓고 보면 ‘돈오점수’의 양태를 보이면서 간화선적 성향을 강하게 내보이고 있다. 이 양 수행체계가 혼재되어 있는 속에서 소태산은 오히려 화두와 묵조의 양 극단을 떠나야 할 것을 주장하게 된다. 논자는 그 원인으로 『조선불교혁신론』에서 당시의 선수행이 출 가 승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일반 대중이 쉽게 수행의 길에 들어설 수 없다 는 점을 들어 불교를 ‘대중화’하고 실생활에서 쉽게 수행할 수 있는 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 난 일련의 현상이라고 분석하였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on Seon practice which had been comprehendedand practiced by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during fromthe practice and enlightenment (1916) of Sotaesan, until the period of the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朝鮮佛敎革新論』),passing through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Cultivation and Inquiry(『修養硏究要論』) and the Six Great Essential Principles(『六大要領』). The practice structure of Sotaesan while searching for truth has two ways ofinterpretations of which one is the opinion of mixture of both elements ofGanhwa-Seon and Mukjo-Seon, and the other is the opinion of constantGanhwa-Seon. It has to be focused on the common factor that both opinionscomprehended the practice of searching truth of Sotaesan as a sort of processof Seon practice. After his enlightenment, Sotaesan claimed the origin as Buddha dharma with the Diamond Sutra. On the early order administration, he introduced apractice methodology in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Quietude(『定靜要論』) which was descended from orthodox nei-dan(內丹) theory, into sittingmeditation. However, we could find out that his goal had established with theworld view of Buddhism, through his teaching that though taking Taoistpractice method, but ultimate aim is becoming Buddha, and his understandingon the Essential Doctrine of Spiritual Quietude as Buddha’s teaching. With the publication of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s Covenant ofGovernance and Group Formation(『佛法硏究會統治造團規』) on 1931, Sotaesanshowed a thought little closer to Buddhism by suggesting a practice connectingchanting Buddha’s name and sitting meditation in turn. The first officialscripture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the Six GreatEssential Principles, published on 1932, had approached similar figure toBuddhist Seon practice system, by the systematization of content whichasserts “letting go even of the attachment to abiding in a single thought, to restonly in that genuine realm of consummate quiescence and nondiscrimination”,although suggesting the resting in the elixir field meditation( 丹田住禪). On 1935, 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as acardinal point,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manifestedstrong Buddhist character in general doctrine and on interpretation of Buddhistscriptures. Its strong involvement of Buddhist character was not sudden, butgradual enhancement from early time, which can be noticed from change ofSeon practice system. After compilation of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Seonpractice of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showed an aspectthat was mixture of practices of Ganhwa- Seon and Mukjo-Seon. After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on the Seon practice of the Societypossessing character of Mukjo-Seon, Sotaesan advocated that the Society’ spractice is not ‘dead Mukjo meditation’, and classified ‘Hwadu’ into thecategory of training inquiry, not cultivation. In this part, it can be said that theSoen meditation of Won-Buddhism shows character of Mukjo-Seon. However,on actual view of practice and enlightenment, it shows an aspect of ‘suddenenlightenment and gradual practice’ which is typical character of Ganhwa-Seon. In the mingled both practice systems, Sotaesan had claimed to abortfrom both extremes of Ganhwa and Mukjo. Its reason can be interpreted as aseries of phase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finding easy way of practice inactual life an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since which had beenapparently mentioned in the Doctrine of Buddhist Reform in Korea as theSeon practice at the time was difficult to enter for ordinary lay people, becauseits renounce monk centered character.

      • KCI등재

        論文(논문) : 中國太虛大師和韓國少太山大宗師的佛敎思想硏究

        김인철,리중후이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3 中國學論叢 Vol.40 No.-

        태허대사와 소태산대종사는 각각 한·중 두 나라 근대의 불교 개혁자로서 같은 시 대에 서로 다른 국가에서 살고 있었지만 민족국가의 위기 앞에서 개인의 구도(求道)생 활 과정 중 불교의 발전과 민족국가의 생존을 연계시켜 불교응세(佛敎應世), 불교개혁 (佛敎改革), 불교구세(佛敎救世) 등 주장을 내세우며 불교개혁운동을 적극적으로 추진 하였다. 그들의 불교 사상을 보면 그들의 개혁 시점은 위기에 빠진 국가와 중생을 구원 하는데 있지만 개혁내용이 서로 다르다. 태허대사는 불교 내에서 개혁을 통해 불교의 폐단을 제거하고 새로운 발전을 도모한 반면, 소태산의 개혁은 개종에 뜻을 두고 있는 것 같다. 물론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불교이상국을 건설한다는 것으로 서로 다르지 않았고 불교이상국을 실현하는 방법 또한 설법으로 설정했지만, ‘어떻게 불도를 설법을 하는지?’, ‘어떤 실천행동을 해야 하는지?’ 등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분명하다. 태허대사 와 소태산대종사의 불교사상의 연구는 한·중 근대 불교의 세속화과정을 이해하고 서로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 등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한·중 두 나라 불교 연구 분야의 교류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소태산의 ‘淨土’관 연구

        지현관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2 No.-

        In the Won-Buddhism, the Sotaesan Daejongsa’s Pure Land thought has been researched from the perspective of Yushim Pure Land thoughts. Some modern scholars have actively accepted the ideology of Pure Land by Dharmakaya Buddha to strengthen the faith of Won-Buddhism as the religion focusing on the Dharmakaya Buddha has weak faith. So, in this paper, it has been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newly recognize the Sotaesan’s Pure Land thoughts based on the recent argument that the Sotaesan’s Dharma Assembly was formed centering on the Buddhism’s thought on the time which is led to Jeongbeop, Sangbeop and Malbeop. Through this method, this paper showed that though Sotaesan pursued Western Pure Land focusing on the Sambhogakaya Buddha as the Pure Land of conventional Buddhism while the Pure Land of new Dharma Assembly puruses the ‘real Pure Land’ in which the Pure Land is directly realized in the real world. Accordingly, the Sotaesan’s Pure Land is different from the ideological Pure Land which argues that ‘Pure Land really is located at the mind only’ and which is the core ideology for the Yushim Pure Land of conventional Buddhism. It is also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 of ‘real Pure Land’ which is far away from Western Pure Land’s ideology focusing on the Sambhogakaya Buddha.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Won-Buddhism needs to go in new direction focusing on these Pure Land thoughts. 원불교에서는 소태산대종사의 ‘정토’관을 대체로 유심정토사상이라는 관점 에서 연구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근래 일부 학자들은 법신불 중심의 신 앙은 신앙성이 약하다는 점에서 보신불에 의한 ‘정토’ 관념을 적극 수용함으로 써 원불교의 신앙성 강화를 주장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본고에서는 소태산의 ‘정법회상’이 정법·상법·말법으로 이어지 는 불교의 시간관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는 최근의 주장을 바탕으로, 소태산 의 ‘정토’관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성에 대해 주장했다. 이를 통해 본고에서는 소태산이 기존 불교의 정토를 보신불을 중심으로 한 서방정토의 희구였던 것 에 대해, 새 정법회상의 정토는 현실에서 정토를 직접 구현하는 ‘현실정토’를 추구했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소태산의 ‘정토’는 기존 불교의 유심정토사상이 가지고 있던 ‘정토는 오직 마음’에 있다는 관념적 ‘정토’와 차별화 되며, 보신불을 중심으로 한 서방 정토의 관념에서는 완전히 벗어나는 ‘현실정토’의 구현에 있다는 점이 그 특징 을 찾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러한 정토관을 중심으로 원불교학의 새 로운 방향성을 논해 갈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

      • KCI등재

        원불교 교리형성과 도교사상

        고시용(Ko Shi-Yo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06 道敎文化硏究 Vol.24 No.-

        원불교의 교리는 自修自覺한 少太山大宗師(朴重彬, 1891~1943)에 의해서 천명된 독창적인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리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배경과 함께 조선이라는 지역적 배경은 물론이요 누천년을 통해서 형성되어온 문화사상적 토양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원불교 교리성립사에 착안하여 도교사상의 연관성을 究明하였다. 원불교 교리형성과정에 있어서 도교사상의 수용은 소태산으로부터 일관되게 이루어졌다. 다시 말해서 민중신앙의 도교적 요소와 매개되어 구도기를 거친 소태산은 대각이후 老莊思想에 근거한 수련도교의 유형과 깊은 연관을 갖는다. 소태산은 교리, 특히 修行作法의 형성단계에 있어서 전래 한국의 練丹逸士들이 귀감으로 했던 양생서를 충분히 섭렵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초기에는 민간도교의 신앙적 측면을 수용하는 듯하다가 후기에는 人道上要法과 佛法을 주체로 교리를 체계화하면서 자연스레 정리되었다. 소태산은 도가의 哲理를 이해하고 練丹作法을 수용하면서도 도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함께 기울였다. 도교사상을 수용함에어서 일원상 진리에 근거하여 교리강령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주체성을 견지했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법신불 일원상을 주체로 원불교 교리를 체계화하면서 도교사상은 일원상 신앙과 수행의 이면에 내재화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아울러 도교사상은 원불교의 수행풍토에도 영향을 끼치게 되는 바, 오늘날 ‘마음공부’로 집중ㆍ귀결되는 수행풍토를 정립하기 위해서도 원불교 초기의 수련법이 도교사상 및 그 수련법과 깊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 KCI등재

        『대산종사법어』「신심편」의 성찰적 접근

        류성태(柳聖泰)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2 No.-

        대산종사탄생백주년(2014)을 기념하여『대산종사법어』가 발간되고, 뒤이어 본 법어집이 원불교의 공식 교서로 확정되면서『대종경』,『정산종사법어』와 더불어『대산종사법어』의 교서적 위상이 확고해졌다. 위의 경전들이 원불교의 정식 교서인 바, 오늘날 교조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경전 사경이나 법어봉독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교서들은 소태산 대종사와 역대 종법사의 언행록적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원불교 교리 이해와 신행(信行), 스승관 정립 등에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대산종사법어』는 원불교 신앙인의 종교적 감성을 북돋워주고 수행의 지침서로 그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으리라 본다. 본 법어는 대산종사 생전 법어로서 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구절마다 그의 신앙·수행과 관련한 의미 심대함이 드러나 있다. 하지만 모두 15편에 해당되는 각 법어 문구가 신앙적 감성에 기대어 권위적으로 접근되다 보면 대산종사의 본의가 자칫 맹목적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신심편」25장의 ‘대종사가 곧 법신불’이라는 문구 이해에 냉철한 성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대산종사의 법문 이해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며, 관련 법어는 법신불관 및 대종사관 중심으로 해석학적 차원에서 접근한 이유이다. 본 연구에서 주목할 것으로, 소태산이 전통불교의 등상불 숭배가 갖는 한계를 인지, 불법연구회의 법신불(일원상) 숭배로 혁신했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교조 숭배와 원불교 신앙관의 차별화를 부각시키려는 것이다. 그것은『조선불교혁신론』의 7가지 혁신항목 가운데 ‘등상불 숭배를 불성 일원상 숭배로’라는 항목에 근거한다. 신앙대상의 이해에 대한 교학적 검토와 더불어, 그것이 인격신앙으로 흐를 수 있다는 점을 밝힘과 동시에 진리신앙으로 유도하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 본다. Since the Scripture of Prime Master Daesan published on the commemoration of the Centennial Ceremony of him, it was decided as a formal Sacred Book of Won Buddhism such as a status of Sotaesan’s Scripture and Jungsan’s one. The Scriptures above said is the formal Sacred Book of Won Buddhism, which make the use of writing & reading in succession of Great Master’s teaching. These Books stand for the hagi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taesan and prime masters to help understand the doctrine of Won Buddhism, practice, and view of teachers. Accordingly, Prime Master Daesan’s scripture seems to boost a religious sensitivity for Won Buddhists and plays a faithful role of guidelines of practice. This Book reveals a significant meaning in every passages of belief and practice as a his living years, however, 15 parts of his Book lead to an authoritarian personality to the readers, stick to blindly every dharma words against his will. The 25 chapter of devoutness in his Book, “The Great Master is Dharmakaya Buddha”, should be approached as an introspective accession. It should be careful to understand each Dharmas of Daesan Prime Master in which the related Words such as Dharmakaya Buddha and Great Master approached from hermeneutic model of inquiry. This paper is worthy of notice to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ship of the Founding Master and Won Buddhist view of belief by which Sotaesan recognized the limit of worship of the Buddha Statue in revolution to worship of the Dharmakaya Buddha or Irwonsang. It is based on the item such as “to worship of Irwonsang from worship of the Buddha Statue”among 7 items of the Revolution Theory of Chosun Buddhism . It is significant to lead to the belief of the truth from the personal belief by way of doctrinal examination of the object of b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