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년원생의 사회적 탄력성과 심리사회적 특성과의 관계

        김은영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소년원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사회적 탄력성은 어떠하며, 소년원생의 사회적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소년원 처분시 적절한 교육 및 개입을 통해 이들의 긍정적 적응을 돕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년원에 수용되어 있는 남녀 소년원생 4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차이검증과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한 결과로는 소년원생들은 구조적, 기능적 결손 가정이 많았고, 심리사회적 특성 변인 변인들(자기통제력, 자존감, 공격성, 주관적 안녕감, 가족불화)은 소년원생의 보호자 유형이나 소년보호처분 횟수, 가정생활수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사회적 탄력성 변인에서는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 소년원생들의 자기통제력, 자존감, 주관적 안녕감 변인은 사회적 탄력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고, 공격성과 가족불화 변인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상대적 영향력은 자기통제력 변인이 사회적 탄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가족불화, 주관적 안녕감 변인이 영향력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소년원 감호 처분의 과정 속에서 자기통제력이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고 가족 간 관계 개선을 위한 실질적 교육과 개입의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helping positive adaptation of them through proper education and intervention during juvenile reformatory disposition by reviewing how is the relationships between psycho-social characteristic and social resilience of juvenile reformatory and what are variables affecting social reselience of juvenile reformatory. For this end, verification of differenc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421 peoples of male and female juvenile reformatory imprisoned at reformatories were used. As an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many juvenile reformatory were from familie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defects and variables (Self-control power, feeling of self-respect, nature of aggressiveness, subjective feeling of self-stability, and family discord)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have shown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guardians of juvenile reformatory children or frequency of boys protection dispositions, and levels of family living standards but in variables of social resilienc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ddition, variables of juvenile reformatory such as self-control power, feeling of self-respect, and subjective sense of stability have shown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resilience and variables of nature of aggressiveness and family discord have shown negative correlation. Also, in relative influence force, variables of self-control power has shown the largest impacts on social resilience and as the next, variables of family discord and subjective feeling of stability were found out as influential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plans of practical education and intervention were suggested to improve self-control power or subjective feeling of stability or to improv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course of surveillance and protection disposition of juvenile reformatories.

      • KCI등재

        소년원생의 수용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김대권 한국교정학회 2010 矯正硏究 Vol.- No.4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juvenile reformatory inmates'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with a view to identifying problems and suggesting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them. Investigations found that the inmates' recognition of the agencies initially started with a bad impression but would turn positive as time goes by. It is also found that what the inmates felt the most difficult was their 'restrained life' in a juvenile reformatory which is a kind of correctional institution. Anyhow, as a whole, the inmates thought that they had improved their character and/or emotion since they entered a juvenile reformatory and, in particular, bitterly regretted of their past days when they contradicted their parents and felt very sorry for that. In connection with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educational courses, the inmates made more of job-related courses than other general subject courses and thought that the courses offered by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were practically helpful, more or less, to themselves. In relation to juvenile protection agencies' organizational reshuffle and functional coordination, they especially preferred such programs as ‘education on human nature,’ ‘development of and training in occupational capabilities,’ and ‘support for discharged inmates' successful return to their society.’ 이 연구는 소년원생의 인식 조사연구를 통해 소년보호기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 하고자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소년원생들은 소년원에 대한 인식이 입소당시에는 좋지 않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하지만 소년원도 교정시설이기 때문에 느끼는 ‘구속된 생활’이 가장 어려운 점으로 밝혀졌다. 소년원생들은 전체적으로 소년원 입소 후 이전보다 인격적으로나 정서적으로 나아졌다고 스스로를 평가하고 있었고, 특히 부모님에 대한 죄송스러움이 크게 나타나 과거에 대한 후회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소년보호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에서는 직업관련 교육을 학과교육보다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소년보호기관의 교육과정이 실제적으로 크고 작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 중 ‘인성교육’, ‘직업능력 개발훈련’, ‘성공적인 사회복귀 지원’등의 프로그램을 매우 좋게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소년원생의 입소별 구체적인 분류와 이를 통한 체계적인 교육, 선호교육에 대한 개발과 효과적인 적용 등을 정책적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소년원생의 심리적 개입 인성교육으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김인숙(In-Sook Kim) 한국차학회 2020 한국차학회지 Vol.26 No.4

        급변 다양한 사회변화 속에서 청소년의 비행의 양과 심도가 강해지고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소년원생들의 재비행 방지와 사회적응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심리적 개입을 통한 인성교육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심리적 개입을 통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 소년원생들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수준, 공격성, 분노조절 등의 심리적 특성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지 분석하였다. P시 소재 소년원에서 수용생활을 하는 17세에서 19세 사이 소년원생들 10명을 연구 대상으로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소년원생 심리적 개입 인성교육으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10회기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은 사전 평균은 2.15(SD 0.37) 사후 평균은 2.32(SD 0.30)로 나타나 유의미하며(Z=-5.636***, P=.000), 스트레스 점수 사전 평균은 3.09(SD 0.14) 사후 평균 2.87(SD 0.09)로 나타나 유의미하며(Z=6.926***, P=.000), 공격성은 사전 평균 3.16(SD 0.22) 사후 평균 2.98(SD 0.14)로 나타나 유의미하며(Z=5.081**, P=.001), 분노조절의 경우 사전 평균 2.21(SD 0.16) 사후 평균은 2.46(SD 0.10)으로 나타나 유의한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5.839***, P=.000). 이상의 결과들은 본 프로그램은 소년원생들에게 자아존중감과 분노조절 향상, 스트레스와 공격성 완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개발된 소년원생 심리적 개입 인성교육으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효과적으로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Since the amount and extent of juvenile delinquency are increasing amid rapid and various social changes, this study develops a character education tea culture therapy program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recidivism prevention and social adaptation in juvenile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as a form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alysis determined if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juveniles in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cores for self-esteem, stress level, aggression, and anger control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en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17 and 19 who lived in detention centers in the city of P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10 times as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personality education in juveniles. As a result, the pre-mean of self-esteem was 2.15 (SD 0.37) and the post-mean was 2.32 (SD 0.30), which was significant (Z=-5.636***, P=.000). The pre-mean stress score was 3.09 (SD 0.14), and post-mean, it was 2.87 (SD 0.09), which is also significant (Z=6.926***, P=.000). Aggression pre-mean was 3.16 (SD 0.22), and post-mean, it was 2.98 (SD 0.14) and significant (Z=5.081 **, P=.001). In the case of anger control, the pre-program average was 2.21 (SD 0.16), and the post-program average was 2.46 (SD 0.10),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Z=-5.839***, P=. 000).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is progra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elf-esteem and anger control in juveniles, and for relieving their stress and aggression. Therefore, the tea culture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ly validated as psychological intervention personality education for juveniles.

      • KCI등재

        소년원 인성교육 실태분석에 따른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김인숙(In-sook Kim)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원에서 실시하는 교정교육 중에서 소년원생의 인성함양을 목적으로 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소년원 인성교육 정규 프로그램으로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소년원생들의 참여경험 분석결과, 흡연, 음주, 약물중독, MBTI(성격), 심성개발, 감수성 훈련, 각종 치료프로그램 등 30여 개 이상의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었다. 그러나 성비행 예방교육, 폭력예방교육 등의 프로그램들에 주로 참여경험이 높았다. 희망 프로그램으로는 소년원 구별 없이 심리치료적 접근방식을 1순위로 원하고 있었고, 2순위는 인문학적 및 기타 접근방식에 대한 욕구가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적 차문화요소를 기반으로 신체적 기능, 사회적 기능, 정서적 기능, 교육적 기능 활성화 요소를 갖춘 통합형 인성교육의 특성을 지닌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소년원의 인성교육 정규 프로그램으로 편입시켜 소년원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개입연구방법으로 소년원생들이 희망하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정착하는 것이 시급하고 필수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verall statu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mong the correctional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y juvenile reformatories, and then discuss the direction of tea-culture therapy program development as a regular program of the character education for juvenile reformatory inmat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showed that the inmates had high participation experience in programs such as sex offense prevention education and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while more than 30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were under way, including smoking, drinking, drug addiction, MBTI, mental development, sensitivity training and various treatment programs. Although they were positive in their assess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ey participated in, they hoped that they would b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they wanted rather than the uniform ones. They preferred a psychotherapy approach as a top priority throughout all juvenile reformatories, while the second was a humanities and other approach. Therefore, it is urgent and necessary for juvenile reformatory to develop and establish a tea-culture therapy program which integrates personality education characteristics together with physical, social, emotional and educational function activation elements based on the Korean tea culture element and motivates juvenile inmate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using a scientific and systematic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for the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f the juvenile reformatories.

      • KCI등재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이 비행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증진과 사회적 지지의 인지도 증진에 미치는 효과 -의료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최은진 ( Eun Jin Choi ),육혜련 ( Hea Ryeon Yuk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소년법원의 보호처분을 받아 대전시에 소재한 소년보호기관(D소년원)의 의료보호를 받고 있는 의료 소년원생 1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이 그들의 개인 내적 임파워먼트 증진과 사회적 지지의 인지도 증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참여를 원하는 의료 소년원생 중 8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매주 1회기 120분간 총 10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의료 소년원생 8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 후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와 사회적지지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 과정 시 나타난 집단원의 행동 및 내면 변화 모습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 수기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피험자들은 사회적 지지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의료 소년원생의 사회적 지지의 인지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피험자들은 처음 프로그램 참여 시 모든 것에 대한 자신감 부족과, 자신을 도와줄 사회적 자원이 전혀 없다는 것의 두려움으로 사회 재복귀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프로그램 진행과 함께 자신에게 정서적, 경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사회의 많은 기관과 인적 자원, 그리고 자신의 강점 인지를 통해 사회 재복귀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면 현재 소년원에 입소되어 있는 비행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해야 하며 실질적인 지역사회기관 방문을 통해 구체적인 사회적 자본을 찾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사회적 자본 찾기 프로그램 교육시간의 확대로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 기관방문이 포함되어야 함은 물론, 현재 가족과 단절되었다고 인지하고 있는 비행 청소년들에게 가족관계의 회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청소년 시기에 가장 필요로 하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의 인식은 의료 소년원생의 사회 재복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청소년의 재 비행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research, for 16 persons of clinic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the protection penalty from a juvenile court and stay in Daejeon juvenile reformatory,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program on internal empowerment and improvement of social support for above juvenile delinque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investigation, 16 persons of clinic juvenile delinquent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 One group(8 persons) was classifi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 in social capital program, i.e. 10 times of 120 min program in a week. The other group(8 persons) was classified as a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social capital program. After participating above program, the progress of empowerment and improvement of social support was examined through monitoring the behavior and the change of the internal character of each group.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social support of clinic juvenile delinquents was improved by participating the program of discovery of social capital. At the beginning, the clinic juvenile delinquents had a fever for rehabilitation since they lacked in the self-confidence and did not have the social support. Through the progress of the program, they recovered the confidence for the rehabilitation since they recognized their merits and had an emotional and economical supports from the local societi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discovery program of social capital, variou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oncrete social capitals should be discovered by visiting local social organizations. Furthermore, by expanding the education times in the program, the visit of local social organization can be included and the programs of the recovery of family relations should be developed, which provide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 family. In this way, clinic juvenile delinquency could be rehabilitated.

      • KCI등재

        정신질환 소년원생의 현황 및 처우방안

        권수진 한국소년정책학회 2018 少年保護硏究 Vol.31 No.3

        In recent years, the percentage of juveniles with mental disorders in juvenile reformatories have been increasing to the extent that one forth of protected juveniles are found to have mental disorders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otected juveniles with mental problems has raised concern that mental disorders can be a cause of accidents in reformatories, including violence among juveniles and self-injury. Also, considering that a major purpose of the juvenile reformatory is to protect and rehabilitate juvenile offenders, it is crucial to provide effective treatment to protected juveniles with mental disorder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make suggestions to improve the treatment of protected juveniles with mental disorder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the juvenile reformatory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medical care and rehabilitatio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staffs who work at the Juvenile Classification Review Board and juvenile reformatories. Also, this study conducted interviews of teaching staff and medical staff of juvenile reformatories concerning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mentally disordered juveniles under detention. The survey and interviews were designed to identify major problems and to obtain opinions of reformatory staff regarding the treatment of juveniles with mental disorders. Especially, the questions delved into the issues of how to make dispositions for medical care and by what standards; of how to improve the medical care of mentally disordered juveniles in general reformatories; and of how to operate a facility for medical protection of juveniles. The results of the staff survey show wide consensus among teaching and medical staff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of increasing medical and rehabilitative care for protected juveniles with mental disorders 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care, it was pointed out that reliable standards for classifying juveniles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 individualized medical care.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and interviewees pointed out that one of the most pressing issues was the shortage of medical staff, especially full-time psychiatrists and clinical counselors at reformatories. The establishment of a new juvenile medical care and protection institution is suggested as a possible solution to the issues mentioned above. In addit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et of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of mentally disordered juveniles. First,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interviews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t the reformatories can contribute to mitigating the issues of mental disorders. Second, it was repeatedly pointed out that there was an urgent need to increase the personnel in charge of rehabilitation and medical care, especially psychiatrists and clinical counselors. Third, in add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facility for medical protection of juveniles, it needs to facilitate the provision of clinical service for juveniles who stay at the general reformatories. Forth, one of the ways of providing clinical service to protected juveniles is to make use of resources in the community by strengthening cooperation with diverse clinical experts. Lastly, it should be noted that treatment within the reformatory needs to be connected to treatment in the community so that juveniles with mental disorders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society. .

      • KCI등재

        주제자극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소년원생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홍선미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는 주제자극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소년원생의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A소년원생 12명 중, 실험집단 6명, 무처치 통제집단 6명으로 선정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진행하고, 실험집단은 주 1회 80분씩 14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를 실행하였다. 사전・사후검사로 자기표현척도와 공감능력척도를 사용하고 자료분석은 비모수 통계방법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을 통해 사전・사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주제자극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긍정적 변화의 강화와 음성적 자기표현영역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주제자극화의 규격화, 매체의 다양화를 제언하였다.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matic stimulation pattern on the self-expression and empathy ability in juvenile reformatory. For the research method, out of 12 subjects at A reformatory, 6 experimental groups and 6 non-treatment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to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80 minutes per week for 14 sessions. The self-expression scale and the empathy ability scale were used as pre- and post-test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means through the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ilcoxon’s sign ranking test.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mprovement of self-expression and empathy.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reinforcement of positive change and improvement of the field of vocal self-expression, standardization of thematic stimulation pattern, and on diversification of material.

      • KCI등재

        아동학대 경험에 따른 자존감 저하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승주,남재성 한국범죄심리학회 2016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2 No.3

        이 연구에서는 아동학대 경험에 따른 자존감 저하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동학대 경험은 언어ㆍ정서적 학대, 신체ㆍ물리적 학대, 신체ㆍ정서적 방임의 3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아동학대경험의 모든 유형은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존감에 대한 아동학대경험의 직접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언어ㆍ정서적 학대와 신체ㆍ물리적 학대가 자존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존감은 모든 유형의 아동학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학대경험이 피해아동의 자존감을 저하시키고 공격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공격성이 폭력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기 전에 아동학대 상황 발생시 조기에 피해아동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소년원생의 아동학대 피해경험 및 공격성과 자존감 등의 정서적 심리 상태를 동시에 살펴본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년원생의 공격성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후속연구에서는 일반 청소년도 조사 자료에 포함시켜 결과를 비교 입증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학대경험과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에 대하여 보다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 제7회『사회연구 학술상』최우수상(삼복학술상) 수상논문

        이명진(Lee Myoung-Jin),조주연(Cho Joo-yeon),최문경(Choi Moonkyoung)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아동학대의 지속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검토해보고자, 학대에 관한 보다 세분화된 정의를 사용해, 다양한 유형의 아동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의 비행 행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해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서울·경기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청소년(n=1,043)과 소년원에 송치되어 있는 소년원생(n=463)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적인 특성으로 소년원생과 일반청소년을 비교해보면 검토된 변수들 중 아버지로부터의 신체적 학대가 두 집단을 구분하는 데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둘째,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지위비행 정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정서적 학대는 법적 비행 여부를 설명하는 데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소년원생들의 경우에는 방임, 특히 어머니로부터의 방임이 지위비행과 법적비행 정도를 설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차적으로는 아버지로부터의 신체적인 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동시에 정서적 학대와 방임 역시 청소년 비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소년원생들의 경우에는 아버지로부터 받은 신체적 학대의 영향이 어머니가 보여준 방임정도에 의해 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아동학대에 관한 보다 적극적인 개념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Child abuse has many effects on the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one aspect of such effects. Using detailed specification on the concept of child abu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various types of child abuse have effect in explaining deviant behaviors among teenage children. Data sets analyzed for the study are collected from survey interviews on high school students (n=1,043) and teenagers in juvenile detention homes (n=463). Major findings from our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compare the two types of children as a group, we find the physical abuse from a father stands as a point which differentiates the two groups. Second, among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abuse and neglect have a strong effect in explaining the degree of deviant behaviors. Third, among children in detention homes, neglect, from a mother in particular, has a strong effect in explaining the degree of deviant behaviors. These results imply that physical abuse from a father has a strong effect on behaviors of children, but that its effect seems to be mediated by the degree of neglect that mother showed.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argue for a more aggressive conceptualization on the child abuse if we cared to live with healthy children.

      • KCI등재후보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이명진,조주연,최문경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8 No.2

        Child abuse has many effects on the children. This study examines one aspect of such effects. Using detailed specification on the concept of child abu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various types of child abuse have effect in explaining deviant behaviors among teenage children. Data sets analyzed for the study are collected from survey interviews on high school students (n=1,043) and teenagers in juvenile detention homes (n=463). Major findings from our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compare the two types of children as a group, we find the physical abuse from a father stands as a point which differentiates the two groups. Second, among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abuse and neglect have a strong effect in explaining the degree of deviant behaviors. Third, among children in detention homes, neglect, from a mother in particular, has a strong effect in explaining the degree of deviant behaviors. These results imply that physical abuse from a father has a strong effect on behaviors of children, but that its effect seems to be mediated by the degree of neglect that mother showed.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argue for a more aggressive conceptualization on the child abuse if we cared to live with healthy children. 이 연구는 아동학대의 지속적이고 간접적인 영향을 검토해보고자, 학대에 관한 보다 세분화된 정의를 사용해, 다양한 유형의 아동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의 비행 행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관해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서울·경기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와 실업계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청소년(n=1,043)과 소년원에 송치되어 있는 소년원생(n=463)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적인 특성으로 소년원생과 일반청소년을 비교해보면 검토된 변수들 중 아버지로부터의 신체적 학대가 두 집단을 구분하는 데 가장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둘째,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지위비행 정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또한 정서적 학대는 법적 비행 여부를 설명하는 데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소년원생들의 경우에는 방임, 특히 어머니로부터의 방임이 지위비행과 법적비행 정도를 설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일차적으로는 아버지로부터의 신체적인 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동시에 정서적 학대와 방임 역시 청소년 비행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소년원생들의 경우에는 아버지로부터 받은 신체적 학대의 영향이 어머니가 보여준 방임정도에 의해 매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아동학대에 관한 보다 적극적인 개념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