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독일에서의 셰익스피어 수용

        임우영(Lim, Woo-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0 외국문학연구 Vol.- No.37

        이 논문은 영국 극작가 셰익스피어의 드라마가 16세기말부터 독일에 소개되기 시작하여 1730년대 고트세트의 독일연극 정화운동으로 독일 연극무대에서 사라졌다가, 1740년대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독일어로 처음 번역되면서 촉발된 셰익스피어 논쟁을 다루고 있다. 18세기 독일에서의 셰익스피어 논쟁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것은 셰익스피어 드라마가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의 ‘3통일원칙’을 따르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실 이 논쟁이 시작된 것도 1730년대 고트세트가 독일연극을 정화한다는 명분으로 3통일 원칙을 고수하는 프랑스 고전주의 드라마를 모범으로 할 것을 주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셰익스피어 논쟁은 이 원칙을 고수하지 않는 셰익스피어 드라마에 대한 비판과 그것을 어떻게 변호할 것인지에 맞춰져 있다. 1740년대에 처음으로 셰익스피어를 옹호한 슐레겔은 프랑스 드라마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성격이 독일인들의 풍습에 맞지 않는다는 점을 부각시킨다. 그리고 1750년대까지 셰익스피어를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셰익스피어 드라마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위대함”과 “다양성”을 내세우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3통일 원칙을 지키지 않은 것을 대체시킨다. 이것은 독일 연극이 무조건적으로 프랑스 고전극을 모방하는 것에 대한 거부 반응으로 일종의 “대안적 의미”를 띠게 된다. 1750년대까지 셰익스피어의 작품이 독일어로 거의 번역되지 않았으나, 1760년대 들어 비일란트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번역하기 시작해서 1766년까지 전체 작품의 3분의 2를 번역하게 되면서 많은 독자를 형성하게 된다. 게르스텐베르크는 비일란트의 번역을 비판하고 그리스 비극과 셰익스피어 드라마를 대비시켜서 영국 드라마의 특징을 부각시킨다. 게르스텐베르크는 셰익스피어가 고대 그리스 비극작가들과는 상관없이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작가”이며, 개개인의 성격을 통해 인간 본성의 모습들을 그려내고 있다고 보았다. 게르스텐베르크는 셰익스피어를 “독창적인 천재”라고 부르면서 전통적인 3통일 원칙을 깰 수 있는 권한이 그에게 주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헤르더는 1770년대 초에 발표한 글에서 셰익스피어를 ‘역사성’과 ‘천재성’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한다. 헤르더는 고대 그리스 비극이 그리스의 역사적 환경에서 생겨났듯이, 셰익스피어 드라마도 영국의 풍습, 행동, 취향, 역사적 전통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했다고 주장한다. 헤르더는 그리스 비극에 3통일원칙이 생겨난 역사적 배경을 설명하고, 이 원칙을 아무런 역사적 배경 없이 그대로 모방하고 있는 프랑스 고전주의 드라마를 외적인 통일만을 정확하게 지키는 “그리스 연극의 꼭두각시”라고 통렬하게 비판한다. 헤르더는 여기서 그리스 드라마와 역사적 차이에서 발생한 셰익스피어 드라마를 “생성의 원칙”으로서의 “천재개념”과 연결시킨다. 셰익스피어는 드라마에 각계각층의 생활양식과 사고방식, 다양한 민족과 언어관습을 전체적으로 훌륭하게 형성시킨 “가장 위대한 대가”이자 “창조자”라고까지 끌어 올린다. 왜냐하면 헤르더는 셰익스피어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성격” 또는 “자연”으로 부르는데, 그들의 행동에 따르는 ‘내적 감정’과 그들의 ‘격정’, 사건이 벌어졌을 때 그들의 ‘영혼’이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1740년대부터 1770년대 초 헤르더에 이르기까지 진행된 셰익스피어 논쟁은 젊은 세대인 ‘슈투름 운트 드랑’ 작가들에게 프랑스 고전주의 영향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작가적 창조력을 발휘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주게 된다. The english wandering theater troupe had played the juvenilia of Shakespeare Titus Andronicus and Romeo und Julia shortly after their emergence (end 17. Century) in Germany, and in the early 1740’s his Drama Julius Caesar was translated for the first time into German. This translation unleashed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Shakespeare. It was most controversial in the arguments that Shakespeare drama did not follow the three unities of Aristotle. Indeed, this argument began, because Gottsched had stated in the 1730’s that the German theatre should take the classical unities compliant French dramas to the model. Thus, the Shakespeare debates in the 18. Century in Germany concern the criticism to the irregularity of the Shakespeare drama and the justification of his ‘faults’. Johann Elias Schlegel who was the first to speak up for Shakespeare in the 1740's. Schlegel had enthusiasm for the characterization art of Shakespeare and his “deep knowledge of human nature”. Schlegel expected a German drama, which does not imitate a French theatre, but shows the “German customs”. The defender of Shakespeare asserted until end 1750’s the diversity of the great characters in his dramas. Up to the end of the 1750’s Shakespeare was rarely translated into German, but had become outside of the Gottsched front an paradigm shift of the German theatre from the French. From 1761 to 1766 by Wieland two thirds of all Shakespeare dramas were translated. Despite many mistakes his translation was a full success, so that it found a broad readership. Gerstenberg regards Shakespeare independently of the old Greek tragedies as a autonomous poet, whose tragedy aims at the representation of human nature by individual characters. Gerstenberg calls Shakespeare a “Original genius”, who must be entitled to break the traditional three unities rule. Herder analyzed in 1773 Shakespeare regarding his historicity and genius. He claimed that the Shakespeare drama develops from a genius, which draws an original dramatic creation from the material so naturally and great as the Greeks from their historical circumstances. Here Herder relates Shakespeare drama to the genius term which he understands now as “generative principle”. He is surprised at the various characters of the Shakespeare figures, in which one can experience a world of dramatic history to a wonderful whole one. Therefore Shakespeare is “interpreter of nature” and “the greatest master”. Herder calls the Shakespeare figures “nature”, because nature is the salient characteristic for the Shakespeare figures, which express their internal feeling, the true picture of their passion and the whole conception of their soul in the occurrence of the world without the outside circumstances. Thus, the Shakespeare debates from Gottsched to Herder (1740's-1770's) prepared the basis of the next generation (“Sturm und Drang”), to free themselves from the influence of the French theatre and to realize independently his creator-power.

      • KCI등재

        ‘All the World’s Still Shakespeare’s Stage’ : Youn-Taek Lee’s Rewriting of Shakespeare

        Younglim Han(한영림)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9 셰익스피어 비평 Vol.45 No.4

        본 논문은 ‘문화게릴라’로 칭해지는 이윤택 감독의 셰익스피어 다시 쓰기 작업의 특성을 그의 ‘대중극장’과 ‘음악극’ 이론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형 셰익스피어가 국제무대에 진출하여 세계화 과정에 참여하는데 선봉적 역할을 한 이 감독의 각색 작업은 셰익스피어 작품의 보편성과 영원불멸성의 원리를 찾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셰익스피어는 셰익스피어이다’라는 원칙하에 셰익스피어다운 원형적 연극성을 표현하는 방식에 주력하고 있다. 그는 셰익스피어가 대중극장에서 대중관객을 위한 대중극을 썼고, 실제 연기를 하는 배우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본을 수정하고 재구성하는 방식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작품의 대중성이 극대화될 수 있었다고 본다. 현재 배우들의 공동체인 밀양연극촌을 설립하여 배우들과 공동 작업을 추진하는 이 감독은 배우 중심의 연극활동을 중시하였던 셰익스피어적인 면모를 시사해 보인다. 또한 셰익스피어의 대중극 특성은 연극이 관객에게 교훈적 가르침이 아닌 공동체적 몰입과 일체감을 유발하는 대중성을 지녀야한다는 이 감독의 대중극 원리와 연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 한국에서 가장 대중적인 예술 형태는 음악극이라는 점에 주목한 그는 셰익스피어 공연에서 음악의 연극적 효과를 중시한다. 이윤택 감독의 ‘대중극장’과 ‘음악극’ 개념이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된 사례가 〈태풍〉 공연이다. 셰익스피어 극작품 중에서 가장 많은 음악과 노래가 삽입된 원작에 체코 음악과 한국의 전통음악을 접목한 노래를 첨부함으로써 상호문화교류적인 특성을 강화해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감독의 『태풍』 다시쓰기 작업이 프로스페로를 무대연출가로 제시하여 셰익스피어와 자신을 대변하는 인물로 시사해보이면서 작품에 내재된 연극성을 부각시킨다는 점에 논의의 초점을 둔다. 셰익스피어-프로스페로-이윤택 연관성은 극의 마지막에서 “제이름은 윌리엄 셰익스피어”라며 밝히는데서 강조된다. “저를 기억해 주십시오”라며 관객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는 프로스페로는 끊임없이 다양한 문화에 수용되고 있는 글로벌 극작가 셰익스피어를 상징한다고 보겠다. 이로써 이 감독의 셰익스피어 다시 쓰기 작업은 세상을 공연무대로 비유하는 단계를 넘어 ‘세상은 아직 셰익스피어의 무대’라는 셰익스피어식 일체감을 시사해 보인다는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2) -1962년~1979년까지

        신정옥 ( Jung Ok Shin ) 한국드라마학회 2006 드라마연구 Vol.- No.24

        The decades of the 1960s and 70s form the second phase of Korean acceptance of Shakespeare and this paper attempts to survey the Shakespeare studies of this phase in the areas of literature and drama, and within universities. Shakespeare was first introduced as a heroic figure, philosopher, and statesman, but by this time, he recovered his true persona was approached as a literary figure, playwright, and dramatist. Korea during this period was emerging out of an upheaval resulting from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and Korean War. However, the seed of Shakespeare studies was germinated and energetically nurtured at this time. Shin-hyup produced Shakespeare`s tragedies and their effort no doubt facilitated the Shakespeare acceptance and the rebirth of theater movement. As the public gained better understanding of Shakespeare, Shakespeare scholars and publishers embarked on translating Shakespeare for further understanding. Jung-eum-sa in 1964 published the first complete translation of Shakespeare`s works in 4 volumes, a monumental feat in the Shakespeare studies in Korea. The Jung-eum-sa`s translation was participated by 19 scholars, including Choi Jung-woo, Han No-dan, Kim Kap-soon, Kim Joo-hyun, Oh Wha-sup, Lee Jong-soo, Yoh Suk-kee, and Lee Chang-bae. Whye-moon Publishing House, on the other hand, published Kim Jae-nam`s 5 volume translation of complete Shakespeare. In 1964, all of the Shakespeare`s works were translated. During the 1970s, Eul-yoo Books published the paperback editions of Shakespeare translation and his works were included in collections and anthologies. Then the younger generation got in the act of translation and they added a fresh perspective to the Shakespeare studies. Starting with Choi Jae-suh, Hamlet has been translated by 50 times, different people and remains to be the most frequently translated work It is followed by Romeo and Juliet, 39 times, Othello, 29 times, Macbeth, 27 times, and King Lear, 26 times. Among the comedies, The Merchant of Venice tops the list with 30 translations, different translations, then comes The Tempest, 12 times, A Midsummer Night`s Dream, 10 times and The Taming of the Shrew, 9 times. As shown in this statistics, tragedies predominate comedies. The decade of the 1970s saw the generational shift in research activities: the old generation gave way to the newly emerging generation of scholars and the Shakespeare studies rapidly flourished. What distinguished me modern drama was its emphasis on me vivid depiction of everyday reality and it gave birth to me little theater movement. In the Western world, the movement began at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in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In Korea, it began in 1920 when the Theater Art Association was formed, and during the 1950s me Theatre Libre and the Drama Production Association were organized. Then the college drama movement ensued. Soon, Won-gak-sa joined in the movement and scheduled dramas as part of its regular programs. The year 1962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s: the Drama Center, an all exclusive drama theater and the very first of its kind, opened its door. The opening of the Drama Center was the culmination of the Korean little theater movement and the fulfillment of Yoo Chi-jin`s life-long dreams. The opening production of the center was Hamlet. The play was produced and performed by Yoo Chi-jin, Lee Hae-rang, Kim Dong-won, Whang Jung-soon, and Jang Min-ho all living legends of the Korean theater and this production records as the first long-run performance in Korea. In 1964, the Korean theater had the Shakespeare quarter-centennial celebration, and six best known repertory theaters participated in the commemoration and 50,000 people came to see the performances. Shakespeare never had such attention before, and nor since. In addition to the professional theater groups, the student theaters have also made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Shakespeare among the general public. As the cultural taste of the public got keener, the professional and student theater groups got better. Korea hasn`t had a Shakespeare drama group and there is not one yet. However, between 1970 and 1980 the London Shakespeare Group visited Korea four times and set an example for true professionalism and rendered a model process for the Shakespeare production. Domestic professional theater group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hakespeare production and they included the Drama Center, Sil-hum Theater, Drama Troupe Ka-gyo, and Hyun-dae Theater. The student theater groups have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Shakespeare`s dramas and their contribution should be attributed to the concerted effort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On the wave of the theatrical rebirth in the 1960s, the number of student dramas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hase of Shakespeare`s rooting in Korea, student groups staged 85 productions while the professional groups performed 54 times. The quality of the student dramas may not be up to that of the professional groups, but the sheer number indicates the contribution the student dramas had made to the rebirth and solid establishment of the theater arts. In 1959 Joong-ang University established Drama and Film Department and soon after other universities followed suit, and since then, dramas have been studied within the university settings. Joong-ang University was in the forefront of Shakespeare productions and universities began to produce Shakespeare in English. These developments were professors` ways of teaching Shakespeare better. The History of English Dramas-the 70 Year Retrospective of English Drama Productions at Ewha University English Department(compiled by Kim Kap-soon) is the witness to the activities of the college theaters of the time. Student drama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Korean theater and yet regrettably they cannot be fully covered here. Artistic expression is diverse. Dramas presuppose perform 이 논문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과정을 수용 2기로 하여 문학적, 연극적, 학문적 분야로 나누어서 연구하는 것이다. 셰익스피어의 당초 수용은 위인으로, 경세가로, 철학자로 소개되기 시작하였으나 이미 그 계몽적 과정은 마감이 되었고 문학가로, 희곡작가로, 연극인으로서의 셰익스피어의 면모가 반영되는 발전적 단계에 돌입한 시대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일제시대 후반의 침체에서 벗어나고 해방을 맞이하고 6ㆍ25 한국전쟁의 대혼란을 맞이한 혼돈의 시대에 셰익스피어의 싹은 발아되고 정력적으로 육성되어 왔다. 그 무렵 신협의 셰익스피어 비극공연은 우리나라 셰익스피어 수용이나 연극부흥에 큰 공로로 인식될 것이다. 셰익스피어를 이해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서 셰익스피어 학자나 출판사의 욕구는 작품의 번역출판에 대거 참여하게 되었다. 1964년에 정음사가 셰익스피어 전집 4권을 출간하였는데 셰익스피어의 전작품이 우리나라에 소개되는 기록이 되었고, 최정우, 한노단, 김갑순, 김주현, 오화섭, 이종수, 여석기, 이창배, 등 19명이 번역을 담당하였다. 그리고 휘문 출판사에서는 김재남 단독으로 번역하여 전집 5권이 출판되었다. 1964년은 우리나라에 셰익스피어의 전작품이 소개되는 한 해가 되었다. 1970년대는 문고본 시대로 접어들었으며 을유문고가 시작하였고 또한 선집이나 단행본으로도 출판이 계속되었다. 번역진도 중진 신진 그룹으로 신선미있게 교체되고 있었다. 최재서의〈햄릿〉을 포함해서 수용초부터 가장 많이 출판된 작품은 비극인 경우〈햄릿〉이 50회이고,〈로미오와 줄리엣〉이 39회이며,〈오셀로〉가 29회며,〈맥베스〉 27회,〈리어왕〉 26회였고, 희극인 경우〈베니스의 상인〉이 30회,〈태풍〉이 12회,〈한여름 밤의 꿈〉이 10회,〈말괄량이 길들이기〉 9회로 비극이 압도적이다. 셰익스피어의 번역진도 1970년대에 가서는 계속 세대교체가 되고 셰익스피어의 연구나 번역이 확대되었다. 근대극은 생생한 현실을 제시한다는 연극운동을 펼치며 소극장이 확산되었다. 서구에서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우리나라는 1920년에 전개되었고 극예술협회가 시작이다. 1950년대에 떼아뜨르 리블, 제작극회 등 그리고 학생극으로 이어졌으며 원각사도 공연의 일부가 연극이었다. 1962년에 준공된 드라마센터는 진정한 소극장 운동의 결실이며 유치진의 평생소원인 연극전용극장이 탄생한 것이다. 우리나라 연극의 산 역사라 할 유치진, 이해랑, 김동원, 황정순, 장민호 등이 참여한 개관공연이 바로〈햄릿〉이었다. 이 공연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최장기공연이 되었다. 1964년의 셰익스피어 탄생 400주 기념행사는 셰익스피어가 우리나라 연극사상 가장 각광을 받은 바가 되었다. 저명한 6개 직업극단이 참여하였으며 5만 여의 관객을 동원한 행사였다. 직업극단 외에 대학교의 셰익스피어 연극공연도 셰익스피어 수용의 보편화에 기여하였다. 국민문화의식의 향상에 힘입어 직업극단과 학생극의 공연도 발전적으로 향상하였다. 우리나라에는 셰익스피어의 작품만을 공연하는 전문직업극단이 없었고 지금도 없다. 그러나 1970년대에서 80년까지 런던 셰익스피어 그룹이 4회 내한 공연하여 전문극단의 전문성과 무대화 작업에 하나의 모델을 보여주었다. 국내의 직업극단들도 셰익스피어 극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니 드라마센터, 실험극장, 극단 가교, 현대극장 등을 꼽을 수가 있다. 셰익스피어의 연극발전에는 학생극의 공헌이 있다. 이는 지도교수와 학생간의 학문적, 예능적 교류의 성과다. 1960년대부터 연극중흥의 물결을 타고 대학극의 공연이 증가되었다.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 2기에 학생극 공연수가 85회니까 직업극단의 54회 보다 많으며 연극공연의 질에 차이가 있다고 하여도 연극중흥의 기반이 되는 것은 확실하다. 1959년 중앙대에 연극영화과가 설치된 것도 특기할 일이다. 대학에서 연극이 한 전공과목이 되었고 다른 대학에도 이 풍조가 파급이 되었다. 셰익스피어 공연은 중앙대가 단연 많았으며 셰익스피어의 원어 공연도 늘어났다. 이는 영문학과 교수들의 지도도 큰 몫을 했을 것이다. 『영어연극공연사-이대영문과 연극 70년을 돌아보며』(김갑순 엮음)의 기록은 그 사실을 입증한다. 학생극은 연극사의 주요한 부분이나 모든 대학의 실적을 기록하지 못했음은 서운한 일이다. 예술의 표현방식은 다양하다. 희곡은 공연을 전제로 한다. 공연무대는 종합예술이다. 그리고 관중이 있어야 한다. 희곡은 지금이나 100년 후나 동일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무대화되는 방식은 다양다종이다. 연극으로 가는 희곡의 수용도 다양하겠지만 가장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변용된 수용이다. 흔히 번안이라고 한다. 서구작가의 것은 찰스 마로윗츠의〈마로윗츠 햄릿〉이 있고, 외진이오네스꼬의〈막베뜨〉, 장 사르망의〈햄릿 다시 태어나다〉가 있다. 한국작가들의 것은 주로 민속화로 번안된 것이다.〈실수연발〉,〈오셀로〉,〈리어 왕〉,〈햄릿〉,〈십이야〉를 바탕으로 창작 또는 번안한 것이다. 최재서가 1963년에 발표한 『셰익스피어 예술론』은 우리나라의

      • KCI등재

        Shakespeare in China : Ideology, the People, and Propaganda

        Dongchoon Lee(이동춘),Chaehong Pang(방채홍)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5 셰익스피어 비평 Vol.41 No.2

        1856년 서양의 선교사들에 의해 셰익스피어가 처음 소개된 이래, 중국에서 셰익스피어의 연구와 교육은 일시적으로 한때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지금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편이다. 특히, 오늘날 경제 분야에 있어서 자유화와 개방화의 물결을 타고 서양문학의 예술성과 아름다움에 대한 중국 민들의 관심도 상당히 고조되고 있다. 셰익스피어의 인기 있는 일부 작품의 경우, 중국의 젊은이들 사이에 즐겨 읽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결혼식이나 생일 등의 특별한 행사에 선물로 자주 사용될 정도이다. 아울러 전문적인 학자들에게 있어서 셰익스피어의 연구 또한 단순히 정치적이며 사회적인 관점을 넘어서 이제는 문학을 정치적인 도구가 아닌 문학 그 자체에 초점을 두고 있다. 경제적, 그리고 물질적인 측면에 비해서 문화와 문학의 개방 및 발전은 상대적으로 느린 편이나, 최근에 들어 중국에서 셰익스피어의 연구는 대체로 실용적인 한계를 벗어나 예술적이며 미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조금씩 발전하고 있다. 쇄국정책으로 인하여 외국문물과 문화의 유입을 극도로 꺼려했던 중국이 외국 문학작품을 받아들이게 되는 계기가 바로 아편전쟁(1840) 이다. 어쩔 수 없이 열강의 힘에 의해 문호를 개방한 중국은 서양의 이색적인 문화가 중국 고유의 문화를 파괴시킬지 모른다는 우려와 함께 셰익스피어를 포함한 서양의 문학을 받아들이게 된다. 언어장벽과 문화적 차이, 그리고 높은 문맹률로 인하여 셰익스피어가 중국에 처음 수용되는 과정은 그리 순탄치 않았다. 극히 일부 고급교육을 받은 학자들이나 지식층에 의해서 20세기 초반에 들어 서서히 셰익스피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기 시작하면서 셰익스피어 작품에 대한 중국어 번역서가 나오게 된다. 특히, 5.4 신문화운동(1919)의 여파로 당시 쇠퇴하고 있는 중국의 전제 봉건정치와 문화를 공격하기 위한 도구로 서양문학작품이 사용되면서부터 셰익스피어의 중국어 번역 또한 일부 중국학자들에 의해 이 시기에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진 후, 셰익스피어와 관련된 번역물의 출간이 더욱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데, 1954년 31권의 셰익스피어 작품이 번역되어 출판되기도 한다. 뒤이어 1964년에는 셰익스피어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셰익스피어의 극과 시를 총망라한 번역본을 출간 할 계획이었으나 문화혁명으로 인하여 무산되기도 한다. 최근에 이르러 중국에서 셰익스피어 작품의 번역과 공연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여기에는 중국의 경제발전과 함께 의식의 변화를 대외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정치적인 의도가 어느 정도 내포되어 있다. 초기 셰익스피어 비평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중국에서 대부분의 셰익스피어 비평은 정치적인 영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오늘날 셰익스피어 작품을 바라보는 중국학자들의 관점은 과거에 비하여 어느 정도 다양화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모든 것이 정치와는 분리될 수 없다고 말할 정도로 셰익스피어 연구의 중심에는 과거나 지금이나 정치적 이데올로기, 민중, 당, 그리고 실용적 가치관이 있다. 소련의 영향으로 마르크스주의와 레닌주의 이념으로 무장한 초기 중국의 셰익스피어 비평가를 시작으로 문화혁명이라는 극단적인 정치적 소용돌이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중국에서 문학과 문화란 외형적으로는 예술적이며 미적인 관점과 형식을 강조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문학과 문화란 민중과 당을 위한 실용적인 도구에 불과하다는 기본 전제에는 과거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는 듯하다. 게다가 실용적이며 경제적인 번영에 중국 민의 의식이 대부분 집중되어 있는 오늘날 상황에서 문학, 특히 외국문학에 인식과 발전은 상대적으로 늦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와 변천

        박수연(Park, Su Ye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셰익스피어 작품의 무대의상은 희곡의 시대 · 문화적 배경을 설명해 줌과 동시에 캐릭터의 성격을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셰익스피어 희곡의 광대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연구, 광대나 무대의상을 중심으로 한 연구로, 셰익스피어 희곡의 궁정광대를 중심으로 광대의상의 특징요소와 변화양상을 심도있게 파악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와 변천 분석을 통해 셰익스피어 작품의 궁정광대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관련문헌을 중심으로 셰익스피어 희곡의 광대 캐릭터 연구와 궁정광대 캐릭터의 역할 및 성격, 의상의 요소를 고찰하고 특징요소의 기준 마련을 위해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1850년부터 2017년까지의 『좋으실 대로(As You Like It)』의 터치스톤(Touchstone), 『십이야(Twelfth Night)』의 페스테(Feste), 『리어왕(King Lear)』의 바보(Lear’s Fool) 가 나타난 작품의 연극 초상화, 공연 사진자료를 대상으로 총 27벌의 의상 자료를 수집하여 19, 20, 21세기로 나누어 시기별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와 변천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는 중세시대 궁정광대 의상을 기반으로 수탉의 볏(Cock’s Comb), 나귀의 귀(Asses’ Ears), 파티칼라(Parti- Colored), 홀 (Scepter), 대깅(Dagging), 종(Bell), 풀렌느(Poulaines), 호즈(Hose)로 나타났다. 둘째, 이는 시기별로 변화양상을 보였는데, 종합적으로는 나귀의 귀 · 종, 파티칼라, 호즈, 대깅, 홀, 수탉의 볏 · 풀렌느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19세기에는 중세시대 궁정광대 의상을 기반으로 나타난 반면, 20세기를 기점으로 작품이 제작되는 시기의 복식사적 경향과 현대적 재해석에 따른 변형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21세기에 이르러 더욱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시기가 변화함에 따라 특징요소의 본질은 유지되나 표현방법에 있어 재해석되고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셰익스피어 작품에 나타난 궁정광대 의상의 특징요소는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복식사적 경향과 디자이너의 의도에 따른 재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무대의상 디자이너들에게 창의적인 발상을 자극하고 셰익스피어 작품과 관련된 예술가들에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Theatrical costumes in Shakespeare’s plays explain not only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plays but also describe the personalities of characters. However,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clown characters in Shakespeare’s plays and the clowns or theatrical costumes, and that no study has ever evaluate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and changes of court jesters’ costumes mainly focusing on the court jesters in the Shakespeare’s plays in depth.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a court jesters are expressed in Shakespeare’s play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and changes of court jesters’ costumes. For a method, literatur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mbined, and for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clowns’ character and the roles, the natures, and the costume elements of court jesters in Shakespeare’s plays were examined, and previou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standard for characteristic elements. For empirical research, a total of 27 pieces of costumes were collected with the data of theatrical portraits and performance photos worn by Touchstone in 『As You Like It』, Feste in 『Twelfth Night』, and Lear’s Fool in 『King Lear』 between 1850 and 2017,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ourt jesters’ costumes were investigated dividing into the 19<SUP>th</SUP>, 20<SUP>th</SUP>, and 21<SUP>th</SUP> centu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ourt jesters’ costumes shown in Shakespeare’s works were cock’s comb, asses’ ears, parti-colored, scepter, dagging, bell, poulaines, and hose based on the court jesters’ costumes in the Middle Ages. Second, these elements varied for each time period; synthetically, asses’ ears · bell was most frequent, followed by parti-colored, hose, dagging, scepter, cock’s comb · poulaines. In the 19<SUP>th</SUP> century, they appeared based on the court jesters’ costumes in the Middle Ages, whereas their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dressing history and the current reinterpretation in the period of play production appeared beginning in the 20<SUP>th</SUP> century. This tendency has become more frequent in the 21<SUP>th</SUP> century; nevertheless, and as the times change, it could be seen that the essentials of characteristic elements are maintained, but the expression ways are reinterpreted and changed.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ourt jesters’ costumes in Shakespeare’s works are being reinterpreted depending on tendency of dressing history with the stream of times and designers’ intention. Accordingly, they appear in different expression w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stimulate the creative idea of theatrical costume designers and that the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artists related to Shakespeare’s works.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3) -1980년~1987년

        신정옥 ( Jung Ok Shin ) 한국드라마학회 2007 드라마연구 Vol.- No.26

        The decade of the 1980s was spent under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the theatrical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were pretry much swayed by it as the sociocultural endeavors were overall suppressed. This oppressed social milieu is very well reflected, including the 1981 Hamlet production, in the dramas put on stage during this dictatorial regime. To highlight the human helplessness, Hamlet produced by Hyundai Repertoire Theater masked the utter despair of human emotions in madness while Kook-sub Kee`s satirical interpretation of Hamlet was an expression of disgust and a social-political protest against the absolute power. Nonetheless, as the country had become more and more advanced and open toward the outside world, Shakespeare, one of the greatest literary figures in history, found new willing audience in Korea. The BBC TV production of Shakespeare`s plays was shown on Korean TV and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hakespeare and raised the standard of the Korean audience`s appreciation of the great works of art. The 3rd Seoul World Theater Festival was participated by such great names in Shakespearean stage as Jan Kott. The translation work of Shakespeare was also very active and a wide range of people, including the college professors of English literature, tried and some of them produced truely quality work. One outstanding trend in the Shakespeare translation is the publication of one annotated version after another. The source, origin, mythology, locality, and ranks contained in the works of Shakespeare were probed into and introduced; therefore, the audience were able to learn something new about Shakespeare and his works every time they opened the newly published Shakespeare. However, it is regretable that a large portion of college professors` efforts were skewered toward tragedies; they had already been translated and in wide circulation and had been staged over and over again. The same is true with comedies. List some examples, among tragedies, Romeo and Juliet has 21 different translated versions, Hamlet 20 versions, and among comedies, the Merchant of Venice, 7 versions. The stage scene is about the same. The love-affair with Hamlet knew no bounds. The actors who had successfully portrayed Hamlet filled the roll call of Who`s Who in performing art. They include such names as Dong-won Kim, Bul-ahm Choi, Dong-hoon, Kim, Dong-whan Chung, and In-chon Ryu. Marowitz Hamlet produced by the repertoire theater, Mac-toe, Hyundai troupe`s Hamlet, Kook Suh Kee`s Hamlet 1-5 are some telling examples of lopsided nature of Shakespeare on the Korean stage. One towering figure who has left a true legacy regarding Shakespeare in Korea is Hae-rang Lee. He had directed Shakespeare ten times before the Shakespeare acceptance in Korea(3). His direction of King Lear in 1983 and Hamlet in 1985 and 1989 garnered the highest acclaim and are counted as best production in the annals of Shakespeare theater in Korea. The college theaters in the 1980s, on the other hand, showed the tendency to lean toward comedies and they were performed in English to challenge Shakespeare in its entirety and to set themselves apart from the professional groups. Yonsei University in 1980-87 staged Shakespeare 6 times while Jun-joo University, 5 times. The rivalry over Shakespeare production between Yonsei and Koryo Universities was quite a spectacle. During this third of phase of Shakespeare acceptance, professional theaters produced Shakespeare 59 times whereas college theater groups, 53 times, which means that colleges were conducive to the Shakespeare boom on the Korean stage. Compared to the college theaters, professional groups` contribution to the boom was meagre. What is outstanding during this period in the professional sphere is the active theatrical exchange with England and Japan. Particularly, As You Like It, Taming of the Shrew, and Othello were critically acclaimed. In addition, four adaptations by the Western dramatists were staged and of which Westside Story, a musical shaped in a composite art form, was received with great enthusiasm by the public. Scholastic effort, in its tum, has laid a solid foundation and turned visible results. The understanding of Shakespeare has been elevated and the research activities and papers in the universities and colleges were on the rise. During this period, 153 master`s theses and 13 doctorate dissertations were written, and 372 papers by scholars or college professors were presented at various forums and seminars organized by colleges or academic associations. What all these activities indicate is that the Shakespeare study has been broadened and diversified and at the same time the quality of study has been raised as well. 1980년대의 정치상황은 군사독제체제였으며, 사회적 문화적 억압감으로 연극은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현상은 1981년에 공연된〈햄릿〉 등 몇 작품에 나타나 있다. 극단 현대극장의〈햄릿〉은 인간감정의 처절상이 광기의 가면 속에 나타났고, 기국서의〈햄릿〉은 절대권력 구조에 대한 혐오를 풍자형태로 묘출하는 반정치적, 반사회적 저항이었다. 그러나 선진국화와 서양문명의 개화로, 고전적인 대문호 셰익스피어의 수용이 나날이 증폭되여 왔다. 영국의 BBC TV에서 제작한 셰익스피어 작품의 방영은 수준 높은 작품성과 셰익스피어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동으로 크게 기여하였고, 서울 제3세계연극제에 셰익스피어 연극계의 중진, 얀 코트(Jan Katt) 등, 세계연극인들의 내한과 공연이 있었다. 셰익스피어 작품번역의 물꼬도 크게 넓혀졌다. 영문학의 교수들이 셰익스피어 번역에 동참하였고 우수한 번역서들이 출판되었다. 번역서의 경향의 하나가 주석본의 계속적인 출간이며,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내재하는 기원, 신화, 지명, 직위 등 우리와 생소한 내용들이 허다한데, 셰익스피어의 진정한 이해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많은 교수들의 번역 대상은 이미 우리나라에서 번역되고, 공연되는 작품들, 주로 비극의 선택에 치우쳤다는 것이다. 희극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예시하면〈로미오와 줄리엣〉이 21회,〈햄릿〉이 20회, 희극에서는〈베니스의 상인〉이 7회이다. 공연에 있어서도 같은 처지이다. 우선〈햄릿〉의 러쉬는 한결같다.〈햄릿〉 공연을 성공적으로 한 배우들은 우리나라의 명배우들이다. 김동원, 최불암, 김동훈, 정동환, 유인촌 등이다. 극단 맥토의〈마로윗츠 햄릿〉, 현대극장의〈햄릿〉 기국서의〈햄릿1~5〉는 대표선수감이다. 셰익스피어 공연에 잊지 못할 연극인은 이해랑이다. 그는 셰익스피어의 한국이입 3 기전에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10회 연출하였다. 83년에〈리어 왕〉과 85년과 89년에〈햄릿〉을 연출하여 최고의 극찬을 받은 바 있다. 1980년대의 대학극 공연은 희극의 공연이 활발해졌으며 대학다운 특징으로 원어극이 성행하였다. 연대와 전주대가 6, 5회의 공연을 하였다. 연고대가 두 번째로 맞대결하는 연극공연은 흥밋거리였다. 그리고 셰익스피어의 수용 3기에 직업극단의 셰익스피어 공연이 59회였는데, 대학극이 53회라는 것은 대학 공연이 셰익스피어 붐 조성에 공이 크다고 할 것이다. 이에 비하여 직업극단은 자랑할 만한 실적이 아니다. 다만 영ㆍ일 과의 연극교류는 기록할 만한 일이고,〈뜻대로 하세요〉,〈말괄량이 길들이기〉,〈오셀로〉 등의 공연은 비교적 좋은 평을 받았다. 그리고 서구작가들의 변용극 공연에 네 가지가 있었으며, 그중에도 West Side Story의 종합예술화된 Musical 공연은 크게 인기몰이가 되었다. 학문적 수용은 커다란 발전의 기반을 닦았다. 셰익스피어에 대한 인식이 고양되었고 대학들의 연구와 논문발표는 증가기세이다. 셰익스피어 수용 3기에 석사논문 153편, 박사논문이 13편이고 각 대학이나 학회를 포함하여 교수나 학자들이 발표한 논문이 372편이라는 사실에서 논문의 주제가 다양해졌고 학 술수준이 향상된 것을 나타낸다.

      • KCI등재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 Part II (2012~2018)

        이현우 한국연극학회 2019 한국연극학 Vol.1 No.72

        필자는 지난 2015년에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라는 저서를 통해 1990년부터 2011년까지 한국에서 이루어진 433편(한국 극단의 셰익스피어 공연은 395편)의 셰익스피어 공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소개한 바 있다. 그런데 한국의 셰익스피어 르네상스는 이 후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특히 2014년 셰익스피어 탄생 450주년과 2016년 셰익스피어 탄생 400주년은 국내의 셰익스피어 붐에 새로운 엔진을 장착해 준 셈이었다. 2012년부터 2018년까지 8년간 284편의 한국 셰익스피어 공연물이 제작되었다. 1990년부터 2011년까지 22년 동안 395편의 한국 셰익스피어 공연물이 제작된 것과 비교해 보면 가파른 증가세가 확연히 눈에 들어온다. 본고는 또 한 번의 도약을 이룬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를 진단한다. 2010년대의 한국의 셰익스피어 공연은 그 이전과 약간 다른 특성을 보여준다. 한국 연극계를 대표해 오던 몇몇 대가들의 셰익스피어 공연물은 크게 위축된 반면, 현대성을 반영한 다양한 실험적 셰익스피어 공연물이 압도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연극 공연 형태로서뿐 아니라, 오페라, 발레, 음악 콘서트와 문화이벤트 등 점점 더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부류의 관객들과 셰익스피어가 만나고 있다는 점도 시선을 끈다. 그리고 무엇보다 셰익스피어가 한국의 대중문화 및 일상 속으로 빠르게 스며들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제 한국의 셰익스피어는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대중가요 등과 결합하여 한류문화 확산에 일조하고 있으며, 카페와 피자 가게, 네일 아트 숍, 심지어 의복과 주방용품 등의 다양한 상호로 이용되며 한국사회의 일상과 조우하고 있다. 본고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한국 셰익스피어 공연과 관련한 구체적인 데이터를 기본으로 한국 셰익스피어 르네상스의 제 2 부에 대한 분석과 소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한국수용(1) -1906년~1961년까지

        신정옥 ( Jungok Shin ) 한국드라마학회 2004 드라마연구 Vol.- No.23

        이 땅에 윌리엄 셰익스피어나 그의 작품이 20세기에야 수용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셰익스피어의 이름이 알려진 것은 불과 100년에 불과하다. 그것도 문인이나 극작가나 시인도 아니고 성인열전에 들어있는 위인처럼 소개되었다. 1910년대는 신문화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극작가로서의 셰익스피어는 이 땅에 소개되지 않았고, 그의 희곡 중에서 한 작품이 온전하게 소개된 것은 1917년 〈 맥베스 〉라는 영화에 의해서였다. 그의 작품을 번역한다는 것은 엄두도 낼 수 없는 처지였다. 일반 대중들은 셰익스피어에 대해서 거의 몰랐기 때문에 그에 대한 연구나 작품소개의 필요성이 대두되지 않았고 또 신극 전반 자체가 취약한데다가 겨우 일본이 들여온 신파극이나 하던 시대이니 셰익스피어 극은 생각할 수도 없었다. 또 셰익스피어를 연구하거나 번역할만한 영문학도가 거의 없었다. 1920년대만 하더라도 셰익스피어를 소화해낼 만한 영문학 연구자는 한두 사람 정도밖에 없었다. 이 말은 곧 셰익스피어가 직접적이기보다는 일본이라는 경유지를 거쳐 간접적으로 이 땅에 소개되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러나 셰익스피어와 작품이 그 대강이나마 소개되고 번역되는 것은 3ㆍ1 운동 이후, 즉 1920년대에 와서야 가능했다는 것이다. 3ㆍ1 민족운동은 우리나라 문화 진전에 중요한 획을 긋는 사건이다. 잠자는 민족에게 광범위하게 자각의 불길을 당긴 것이 3ㆍ1운동이었고, 그 이후 젊은이들이 일본과 구미유학길에 올랐으며 근대적 문예가 발전하여 자연히 셰익스피어가 중요한 극작가니까 부상하게 된 것이다. 특히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거나 외국 연극 또는 외국문학을 공부한 신진 문사들이 등장하면서 셰익스피어에 대한 연구라든가 번역의 필요성을 절감한 것이다. 1920년대에도 미국영화가 셰익스피어 소개에 한몫을 하였다. 즉 1922년에 셰익스피어의 〈 로미오와 줄리엣 〉 등 두 편의 미국 영화가 영화상설관인 단성사에서 대중을 감동시킨 바 있다. 비록 변사의 우스꽝스런 해설의 영화였지만 청춘남녀의 비극적인 사랑은 관중을 감동시키고도 남음이 있었다. 영화가 이처럼 셰익스피어를 이 땅의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만들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영화와 함께 셰익스피어가 대중과 친근하게 되는 데에는 찰스 램의 『셰익스피어의 이야기들』이 중요한 몫을 했다. 희곡 읽기에 익숙해 있지 못한 우리나라 대중에게 소설처럼 쉽게 풀어쓴 『셰익스피어의 이야기들』은 충분한 설득력을 지녔었다. 물론 램의 『셰익스피어의 이야기들』은 1920년대에 그치지 않고 1940년대 이후까지 위력을 발휘했는데, 이것도 셰익스피어에 대한 본격연구가 미진하디는 증좌일 수 있다. 셰익스피어가 제대로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1930년대 그러니까 극예술 연구회를 중심으로 본격 근대극 운동이 전개된 시기였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이 부분적이긴 하지만 무대 위에 올려지기도 하고 또 연구 소개에 대한 야심을 품은 젊은이들도 이 시기에 나타났다. 그렇다고 셰익스피어의 희곡이 온전하게 공연된 것은 아니었다. 우리 근대극이 그만한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이 말은 곧 셰익스피어 작품이 본모습을 무대에 드러내는 데는 1945년 8ㆍ15 해방을 기다려야 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것도 대학생들이 아마추어 연구 차원에서 셰익스피어 작품을 가감 없이 무대에 올린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 가지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유치진 등 대표적인 극작가들이 셰익스피어에 매료되어 내적으로 그의 영향을 깊숙이 받고 있었다는 점이라 하겠다. 여기서 내적이라는 용어를 쓴 것은 플롯이라든가 성격창조 등과 같은 구조적 내용의 활용과 같은 것을 의미하다. 그만큼 셰익스피어는 한국 근대 작가들에게 있어서 하나의 모델이 되었다. 우리나라 현대희곡사에 있어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상당수 작품들이 셰익스피어 작품들에서 플롯을 가져오거나 아니면 인물 모방을 한 경우인 것이다. 이상스러운 일은 셰익스피어가 연극공연을 목적으로 한 희곡작가인데 연극인이 아니라 문인으로 친숙해진 것이다. 이런 점이 영국이나 서유럽국과 크게 다른 점이다. 물론 우리나라에서 광대놀이 등 성행했으나 연극은 침체되고 생활화가 안 된 탓이어서 셰익스피어의 수용이 파행성이었다. 그러나 1950년 6ㆍ25 한국전쟁을 겪으며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우선 신협 같은 우수한 극단이 생겨났으며 부산으로 피난 간 신협은 부산의 영문학자 한노단의 번역으로 이해랑의 연출과 그와 김동원의 배역으로 셰익스피어의 희곡이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성대하게 공연되었다. 몇몇 학자나 지식인, 대학교수들이 셰익스피어의 작품번역과 비평이나 논의를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진정한 셰익스피어의 학자는 최 재서를 정점으로 하였으며 그 연구의 절정도 박사학위 논문으로 셰익스피어를 연구한 1961년이다. 이 학위 논문으로 보강되고 개정되어 2년 후 우리나라에서는 『셰익스피어 예술론』 그리고 미국에서는 1965년에 Sbakespeare`s Art as Order of Life라는 책자로 출판되었으며 셰익스피어의 작품세계를 질서의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이 저술로 셰익스피어 연구가 큰 성과를 거두었으니 셰익스피어가 이 땅에 소개된 지 50여년 만에 이루어진 것이다. 또 대학경영이 급속도로 발달하여 그 질적 향상은 서양문화에서 크게 위치를 차지하는 셰익스피어가 자연스럽게 그리고 깊이 있게 연구되고 공연됨으로써 한국인의 피부에 와 닿게 되었다. 대학 영문과에서는 셰익스피어가 필수과목이 되었고 셰익스피어는 당연히 교수나 학생의 주 연구 대상이 되었다. 극단들도 셰익스피어의 공연을 내실을 다지는 계기로 삼고 연극수준의 향상이라는 사명감을 가지며 공연하게 되었다. The process of accepting William Shakespeare and his works in Korea had not begun until the 20th century; it has been only 100 years since William Shakespeare made his presence known in this land. What is fascinating about the introduction of Shakespeare to the Korean public is that he was introduced not as a poet or playwright but as one of the most eminent figures in the history of mankind. Although Korea, by 1910, had already started to open itself bit by bit to the outside world, particularly to the Western world, and positioned itself toward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new trend from the West, playwright Shakespeare was not yet known to the Korean audience and introducing his plays in full was still unimaginable. In 1917, the film version of Macbeth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ublic for the first time and translating Shakespeare into Korean was unthinkable. To the general populace of Korea at that time, Shakespeare was absolutely remote and therefore there was neither need nor demand to study or introduce him and his works. Moreover, the newly introduced dramas from the Western world were utterly foreign to the ordinary Koreans and thus they were quite vulnerable. The new melodramas that had just been introduced to the Korean audience via Japanese were barely making their inroads in Korea, and staging Shakespeare in Korea was out of the question. In addition, Korea possessed no capable students of English who could translate Shakespeare into Korean. In the 1920s, the number of students who studied English and could fully understand Shakespeare was few. What it means is that Shakespeare was indirectly introduced to the Korean audience through Japan. It was in the 1920s, after the First-of-March Independence Movement, that Shakespeare and his works, even in a truncated and summary fashion, made their debut in Korea. The First-of-March Independence Movement is an all important event not only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but also in the progress of the modern Korean culture. The movement awakened the sense of self-awareness and self-determination dormant i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people,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of the time. Quite a few young people had gone on a quest of new kind of scholarship and went to either Japan or America or Europe to study, and in the process they naturally learned the importance Shakespeare holds in the Western literature. Particularly, as the number of students who studied English literature or various other Western dramas in college increased, the need to translate Shakespeare or study him in depth was also sharply felt. The force of American films in the 1920s shouldn`t be overlooked or underestimated in the introduction of Shakespeare in Korea. In 1922, the two American movies, Romeo and Juliet, one of the two, were played in Dan-sung-sa and greatly stirred the emotions of Korean people. The tragic love of two young people was touching enough to move the hearts and minds of Koreans even though the dialogues were unnaturally recited by a movie narrator. Interestingly, a movie, with a single punch, narrowed the distance between Shakespeare and the Korean audience. In addition to the force of movies, Charles Lamb`s Tales from Shakespeare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amiliarizing Shakespeare to the Korean public. To the Korean reading public who were not used to reading plays, the story-telling-like prose version of Charles Lamb`s Tales from Shakespeare was comfortable, and their plots were realistic and persuasive enough. The grip of Charles Lamb`s Tales from Shakespeare on the Korean reading public stayed strong until the 1940s and this in turn explains why the study of Shakespeare in Korea had nothing much to show for at that time. The study of Shakespeare in earnest began in the 1930s when the Theater Art Study Association was organized to study dramas and to lead the modern drama movement. During this period certain portions of the Shakespeare`s plays were staged and some ambitious young people selected Shakespeare as their main field of study. Still, the Shakespeare`s plays were not performed in full and what it means is that the Korean stage was not mature enough to handle Shakespeare yet. It was with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the Japanese occupation in 1945 that full staging of Shakespeare was attempted. The job of putting Shakespeare on stage in full was undertaken by the college students as a means of studying Shakespeare. One thing we had to remember at this point is that the impact Shakespeare had on the Korean playwrights such as Yoo Chi-jin. He was fascinated and deeply influenced by Shakespeare. Korean playwrights internalized Shakespeare in their works. Here "internalize" means that they have borrowed from Shakespeare the overall structure, plot line and the character-creation. To the modern Korean playwrights, Shakespeare was their standard to measure their works against. Many significant modern Korean dramas have borrowed either plots or characters from Shakespeare. Shakespeare is a playwright whose primary concern is on stage and yet he was first introduced as a literary in Korea, and that is what makes Korea unique and what distinguishes Korea from England or Western Europe as far as Shakespeare is concerned. When Shakespeare made his debut to the Korea public, dramas were something quite new and foreign that came from the outside world, even though Korea had some form of performing art such as masque drama or jester dance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Shakespeare in Korea was oblique. However, in the wake of the Korean War in 1950 things began to change rapidly. Earlier Korea saw the creation of a competent repertoire theater, Shin-hyup. During the war, Shin-hyup had to move its base to Pusan as the country moved its war time capital to Pusan and there they met a local scholar of English, Ban No-dan, who translated Shakespeare. In Pusan they staged the full-scale Shakespear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translation was by Han No-dan, and the play was directed by Lee Hae-rang, and played by Kim Dong-won. A number of scholars, intellectuals, and college professors began to translate, discuss, or review Shakespeare and his works. The front figure of the first generation Shakespeare scholarship in Korea is Choi Jae-suh. His doctoral dissertation in 1961 was On Shakespeare. Subsequently, he supplemented and revised his dissertation, and it was published both in Korea under the title The Art of Shakespeare(1963) and in Arnerica Shakespeare`s Art as Order of Life(1965). For Choi Jae-suh "order" is the core concept of the Shakespeare`s art. This work of Choi Jae-suh`s was a remarkable feat, which raised the standards of Shakespeare study in Korea. This feat has taken 50 years since Shakespeare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As the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mprove spectacularly in their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quality, Shakespeare has naturally emerged as a towering figure in the Western civilization. Now he is studied extensively and his plays are quite regularly performed in the universities by student actors. Koreans finally come to grip with the extent and depth of Shakespeare and his world. For English majors, Shakespeare is compulsory and quite a few students and lecturers choose Shakespeare as their main field of study. Repertoire theaters faithfully put Shakespeare on stage with mission when they feel the need to hone their deeper understanding of the theater art.

      • KCI등재

        셰익스피어극 구현의 현대화 과정 연구

        이주영(Lee, Joo You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5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8 No.-

        뮤지컬,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새로운 해석으로 끊임없이 재생되는 셰익스피어 작품의 인기는 상당하다. 이 현상은 셰익스피어가 과거와 현재의 변화과정의 기준이 되어준다는 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으며 반면 문화제국주의의 발현이라는 부정적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지금도 여전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그것은 그 자체만으로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셰익스피어의 동시대적 모습 자체를 판단하기보다 고전적 셰익스피어와 현대가 어떻게 공존가능하게 되는 가에 대한 방법론적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한 점에서 영국에서의 셰익스피어 극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더불어 탄생한 셰익스피어극단(R.S.C)과 그 속에서 새로운 방향성과 혁신적인 연극적 양식을 제시한 ‘피터 브룩(Peter Stephen Paul Brook)’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국 이외의 유럽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오스터 마이어(Thomas Ostermeier)’와 ‘에이문타스 네크로슈스(Eimuntas Nekrošius)’같은 연출가들의 행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영화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 IMDb(The Internet Movie Database)에 따르면 지금까지 셰익스피어 작품을 원작으로 만든 전 세계 영화와 드라마는 모두 997편에 이른다. 인간을 통찰하는 능력이 뛰어난 셰익스피어는 세대나 국적을 초원해 감정을 이입할 수 있는 캐릭터를 창조했다. 또한 인간의 보편적 감성을 자극한다는 점에서 위에 언급되었던 유럽의 연출가들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해석되고 재창조되었다. 이렇게 작품의 힘을 지닌 셰익스피어 작품은 시대에 따라 많은 형태적 변화를 겪어왔다. 또한 지금도 진화 중에 있다. William Shakespeare’s work is simply immortal; being recreated in different formats like musical, plays and movies, Shakespeare’s literature has been highly popular for some ages. This phenomenon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in a sense that Shakespeare defined the transition between past and present. Critics on the other hand have accused it as a manifestation of cultural imperialism. Regardless however, this phenomenon of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is still ongoing, and the momentum deserves a scholarly attention. Thus, rather than evaluating the contemporaneous features of Shakespea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that has allowed the original work of Shakespeare to adjust itself in a modern frame. On this note, we need to pay careful attention to Royal Shakespeare Company(England) England who reinterpreted and recreated Shakespeare, and Peter Stephen Paul Brook(England) who innovated the theatrical frame and direction. We also need to take a close look on acting directors outside England like Thomas Ostermeier and Eimuntas Nekrošius, and what they have been doing with Shakespeare’s work. According to IMDb(The Internet Movie Database), the world has produced total of 997 films and dramas inspired by William Shakespeare’s original literature. Understanding the human emotions inside-out, Shakespeare created characters which the actors and actresses -regardless of generation or nationalities - could fully immerse themselves into. And because Shakespeare always touched upon the most relevant and universal human feeling, it inspired the European producers& directors - whom we have mentioned above- to improvise and recreate the original work. That being said, Shakespeare’s work has constantly evolved throughout different periods. And the evolution is still ongoing without ever losing its momentum.

      • KCI등재

        Shakespeare in Asia

        Jung, Hae-Ry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9

        아시아의 셰익스피어 정 해 룡 최근에 아시아권에서는 서구 문화의 아이콘인 셰익스피어의 극을 독특한 문화적 관점에서 표현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 논문은 중국, 일본, 한국에서의 셰익스피어 공연과 번역의 상황을 검토하면서 이러한 독특함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있다. 중국에서의 셰익스피어 극은 근대 중국의 연극형태로 번역되고 공연되어, 많은 공연물들은 다양한 해석과 무대기법으로 원전을 새로운 관점에서 재생산을 시도했다. 중국에서 셰익스피어연구는 텍스트의 비평적, 이론적 분석보다는 무대를 위한 번역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일본에서 셰익스피어 수용은 대부분이 번역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번역의 질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일본의 번역가들은 셰익스피어의 풍부한 언어를 독특한 스타일로 번역하여 그들의 개성을 보여 주었으며, 따라서 오늘날 일본의 셰익스피어 공연은 전통적 엘리자베스조의 스타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동시에 재해석으로 ‘가부키’나 ‘노’ 스타일로 독특한 공연물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특히, 일본에서는 셰익스피어를 상업화하여 텔레비전쇼나 만화 등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한국에서의 셰익스피어 공연은 원전에 충실하기도 하지만 한국적 특성을 살린 독특한 해석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셰익스피어 연구의 경우 서구의 비평에 많이 의존하고 있어 우리 나름의 비평적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권에서는 셰익스피어 연극을 실험과 탐구의 대상으로 상호문화적 인물로 수용하여 동양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셰익스피어’를 지속적으로 창조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