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 및 외과 골절에서 환자 경향의 변화

        김성수(Sung Soo Kim),김현준(Hyeon Jun Kim),김현호(Hyun Ho Kim),석상윤(Sang Yun Seok),정성윤(Sung Yoo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목적: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 및 외과 골절의 시대적 변화양상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상완골 과상부 및 외과 골절에 대해 수술을 시행한 소아 환자 335명을 10년 단위로 I군, II군으로 나누어 시대별 연령, 성별, 발생 원인, 발생 계절, 수상 당시 주말 여부, 보호자의 학력 수 차준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발생 원인은 I군에서 실족 및 낙상에 의한 경우가 91예로 가장 많았으나 II군에서는 운동손상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골절부위는 상완골 과상부 골절은 I, II군에서 각각 112예, 121예였으며, 상완골 외과 골절은 각각 65예, 37예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9). 보호자의 학력 수준은 외과 골절의 경우 I, II군에서 고졸 이하가 각각 28예, 10예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40). 결론: 상완골 과상부 골절은 시대에 따른 큰 변화가 없었으나, 외과 골절은 발생 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발생 원인 중 낙상 및 실족에 의한 골절의 감소와 함께 보호자의 교육 수준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nges in patients pattern retrospectively for pediatric supracondylar and lateral condylar hume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335 pediatrics treated operatively for supracondylar and lateral condylar fracture from March 1993 to February 2013. The pediatrics were divided depending on the 10-year time period: those who received treatment from March 1993 to February 2003 as group I, and those who received treatment from March 2003 to February 2013 as group II. By each group, the differences in age, gender, cause, season of incidence, whether the time of incidence was a weekend, and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Fractures in group I were mainly due to slip down and fall down, but sports injury was the main cause of fractures in group II. There were 112 cases and 121 cases of supracondylar fractures, and 65 cases and 37 cases of lateral condylar fracture in groups I and II.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cidence of lateral condylar facture (p=0.009). In terms of the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the number with high school or under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group I to group II, from 71 cases to 45 cases (p=0.040). Conclusion: The supracondylar fracture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ime lapse in the age and cause of incidence. However, the incidence of lateral condylar fracture shows a decreasing trend which may be related to the decrease of the incidence of slipping and falling, and the improvement in the parent’s education level.

      • KCI등재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이순혁 ( Soon Hyuck Lee ),박상원 ( Sang Won Park ),정웅교 ( Woong Kyo Jeong ),이대희 ( Dae Hee Lee ),유순용 ( Soon Yong Yoo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4

        목적: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을 도수정복 및 K-강선 외측 고정 후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부터 2003년 4월까지 내원한 모든 전위된 상완골 과상부 골절을 연속적으로 도수정복 및 K-강선 외측 고정을 하였고 이 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했던 총 6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는 운박각과 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여 Flynn에 의한 평가를 시행하였고, 방사선적 평가는 수술 직후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Baumann 각도, humerocapital 각도를 측정하여 정복의 적정성을 판단하였고, 고정력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술 직후와 K-강선 제거 후의 Baumann 각도, humerocapital 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Flynn의 판정법에 의한 기준으로 최우수 55예 (80%), 우수 12예 (17%)였고 수술 직후와 K-강선 제거 뒤의 Baumann 각도와 humerocapital 각도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82, p=0.27). 수술 직후 Baumann 각도와 humerocapital 각도가 건측과 비교하여 10도 이상 차이 나는 경우가 각각 9예, 32예 있었으나 임상적 결과는 1예를 제외하고는 우수 이상이었다. 결론: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로 도수 정복 및 K-강선의 외측 고정 방법은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치료 방법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의 결과 수술 중 운반각이 회복되고 골절 부위의 안정성이 얻어졌다면 회전 변형이나 골편의 과신전 등이 있었던 경우라도 임상 경과는 양호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adiological and clinical outcomes after operative treatment of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with lateral K-wire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69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lateral K-wire fixa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arrying angle and range of motion were measured and graded by the Flynn criteria.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reduction, Baumann angle and lateral humerocapital angles were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side, an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fixation both measurements were taken immediately postoperatively and after K-wire removal. Results: 55 cases (80%) were categorized as excellent and 12 cases (17%) as good.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Baumann angle and lateral humerocapital angle between postoperative and K-wire removal. Although there were 9 cases that showed differences in Baumann angle and 32 cases in lateral humerocapital angle of more than 10 degrees compared to the opposite side at the immediate postoperative radiograph, 9 cases showed satisfactory clinical results. Conclusion: Closed reduction and lateral K-wire fixation is considered as an acceptable modality of the treatment of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and clinical outcome is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carrying angle and stability of fracture site rather than rotational deformity or hyperextension of fragment measured radiographically.

      • KCI등재

        소아 상완골 골절 치료기준으로서의 방사선학적 지표의 신뢰성

        곽윤해 ( Yoon Hae Kwak ),신동조 ( Dong Jou Shin ),박건보 ( Kun Bo Park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주관절 신전-회외전 위에서 측정된 방사선 지표와 주관절 굴곡-회내전 위에서 측정된 방사선 지표들을 비교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소아 상완골 골절 치료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과상부 골절로 수술을 받은 환아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촬영된 건측 주관절 신전 위 및 굴곡 위 방사선에서 바우만 각, 골간단-골간 각, 내상과-골단 각을 비교하였다. 건측 주관절 신전 위를 기준으로 치료한 제1군 (35예)과 굴곡 위를 기준으로 치료를 한 제2군(36예)의 최종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바우만 각은 신전 위에서 골간단-골간 각은 굴곡 위에서 관찰자 내 재현성 및 관찰자간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신전 위에서는 바우만 각과 골간단-골간 각이 운반각과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굴곡 위에서는 골간단-골간 각만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바우만 각은 굴곡 위에서 내상과-골단 각은 신전 위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최종 추시에서 제1군과 제2군의 건측과의 비교 시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전완부 회외전-주관절 신전 위에서는 바우만 각의 임상적 효용성이 높으나 전완부 회내전-주관절 굴곡 위에서는 골간단-골간각의 임상적 효용성이 높으며 두 전후면상에서 간접적 운반각의 측정 시 차이가 있으므로 수술 시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suggest the most reliable guideline of the treatement for the supracondylar fracture in children by the comparison of the radiographic parameters between forearm supination-elbow extension and forearm pronation-elbow flexion view.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seventy-on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umann, metaphyseal diaphyseal and medial epicondylar epiphyseal angle of normal elbow in extension and flexion view were compared. Finally, the results of Group I (operation with elbow extension view) and Group II (operation with elbow flexion view) were compared. Results: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better in the Baumann angle with extension view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with flexion view. In extension view, Baumann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show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rying angle but in flexion view, only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shows negative correlation. Baumann angle were greater in flexion view and medial epicondylar epiphyseal angle were greater in extension view.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results of Group I and II. Conclusion: Baumann angle was more effective in forearm supination-elbow extension view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was more effective in forearm pronation-elbow flexion view. The difference between elbow extension and flexion view should be considered during operation.

      • KCI등재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 : 도수정복 되지 않는 골절의 최소 절개를 통한 정복술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of the Manually Irreducible Fracture

        한경진,어수익,박응석,강신영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전위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에서 도수 정복 후 석고 고정술 또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거나 도수 정복이 되지 않은 경우 최소 피부절개를 통한 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위된 상완골 과상부 골절(Gartland 제 Ⅱ, Ⅲ형)로 치료한 8세 이하의 환아중 1년 이상 추시가 되었던 총 74명 (74 골절) 을 대상으로 하였다. Gartland분류에 의한 제 Ⅱ형이 19차례, 제Ⅲ형이 52차례 이었고 정복의 기준은 건측의 주관절 Bauman 각으로 하였다. 안정적인Gartland 제 Ⅱ형, 6례에서 석고 고정을 시행하였고 불안정한 Gartland 제 Ⅱ형 13례와 Gartland 제Ⅲ형 52 례는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도수 정복이 되지 않은 20례 (제 Ⅱ 형 1례, 제 Ⅲ 형 19례)의 경우, mini C-arm 영상하에 주관절 후면에 최소절개를 가하고 소절골도를 이용하여 정복하였다. 결과의 분석에는 주관절 운반각과 기능적인 운동범위의 소실 정도에 따른 Flynn의 분류를 사용하였다. 결과 : 저자들의 결과를Flynn의 분류에 따라 분석하면, 운반각의 경우 excellent는 52 례 (73.2%). good은 13례(18.3%) 로 만족할 만한 결과는 91.5% 이고 운동 범위의 경우 excellent는 49례 (69.0%), good은 20례(28.2%) 로 만족할 만한 결과는 97.2% 로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도수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이 운동 범위 요소(Functional factor)에서 더 많은 excellent, 그리고 최소 절개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은 운반각 요소(Cosmetic factor)에서 더 많은 excellent를 나타내었다. 결 론 : 소아의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는 소아 골단의 성장판의 손상과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각변형을 고려하여 되도록 정확하고 세심한 정복과 안정적인 고정을 요한다. 또한, 도수 정복이 불가능할 경우 무리한 도수 정복 조작을 계속하지 말고 관혈적 정복을 시행하며 연부조직 손상을 줄이기 위해 가능한 최소 절개를 통한 정복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을 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displaced supracondylar fractures in children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cast immobilization, closed reduction and crossed K-wires fixation. Materials and Method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after 1 years of the treatment of 71 extension-type fractures (Gartland type Ⅱ-19 cases, type Ⅲ-52 cases) of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under age of 8 years. Closed reduction was impossible in 20 cases (1 type Ⅱ, 19 type Ⅲ) and we performed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and cross percutaneous pinning. We measured Baumanns angle and range of motion of elbow and evaluated the results by Flynns criteria. Result : By Flynns criteria, 91.5 % of satisfactory (excellent, good) resuts in cosmetic factor and 97.2 % in more excellent in functional factor and that of the minimal open reduction and percutaneous pinning in cosmetic factor but over all satisfactory results were similar. Conclusion : The treatment of the displaced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need accurate and delicate reduction and firm fixation to prevent deformity and to preserve function of the elbow. Open reduction with minimal incision instead of general incision for the manually irreducible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 would be a reliable and convenien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upracondylar humeral fractures in children.

      • KCI등재

        도관 나사못을 이용한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

        박진수 ( Jin Soo Park ),정영기 ( Young Khee Chung ),유정한 ( Jung Han Yoo ),노규철 ( Kyu Ched Noh ),정국진 ( Kook Jin Chung ),이동녕 ( Dong Nyoung Lee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1

        목 적: 상완골 과상부 골절을 도관 나사못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그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과상부 골절 환자 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65세(49∼82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6개월 (12∼24개월)이었다. 골절의 형태는 AO 분류법상 과상부 단순성 횡골절인 A2형이었다. 전 예에서 도수정복을 하였다. 고정 방법은 8예에서 경피적 방식으로 도관 나사못 (cannulated screw)을 교차 삽입하였다. 8예 중 4예를 제외한 3예에서 내과적 질환이 있었고 1예에서는 원위부 요골 골절이 동반되어 있었다. 결과 판정은 Mayo식 주관절 기능평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수술시간은 평균 59분 (45∼75분)이 소요되었으며 도관 나사못으로 모두 견고한 내고정 및 조기 관절운동이 가능하였다. 평균 관절 운동범위는 5∼120˚였으며 결과 판정상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Mayo식 주관절 기능평가에서 평균 88점(75∼95)이었다. 결 론: 성인의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도관 나사못 고정은 특히 내과적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년층에서 비교적 간단한 수술 방법으로 수술 및 마취 시간을 단축하고 수술 시 견고한 내고정을 얻을 수 있으며 조기 관절 운동이 가능하여 기능상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the treatment of the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according to the fixation methods with cannulated screw. Materials and Methods: Eight patients, aged 49 to 82 years (average, 65 years), were reviewed after a mean follow-up of 16 months (range, 12~24 months).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all fractures were classified as type A2 (simple transverse supracondylar fracture). All patients underwent closed reduction. Percutaneous fixation with cannulated screws was performed in 8 patients. Three of 8 patients had associated medical problems and one patient had distal radius fracture. The functional results were assessed by the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Results: Mean operation time was 59 minutes (45~75) and all the patients with cannulated screw fixation had bony union and were able to early ROM exercise. Mean ranges of motion was 5~120 degrees with excellent functional results. Functional evaluation of elbow joint by Mayo method showed mean value of 88 (75~95). Conclusion: The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supracondylar fracture of humerus, especially in the elderly aged group with medical disease had excellent functional results (rigid fixation & early ROM exercise) due to shortening of surgery time and anesthesic time, combined with decreased technical difficulties of the surgical procedure.

      • KCI등재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에서 회전 변형이 내반 주에 미치는 영향

        신현대(Hyun Dae Shin),김경천(Kyung Cheon Kim),김동규(Dong Kyu Kim),이우용(Woo Yong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5

        목적: 소아의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수술적 정복 및 고정 후 회전 정도와내반 주 변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상완골 과상부 골절 증 Gartland 2형 이상의 골절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263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Gartland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2형 141예, 3형 122예였다. 수상 당시 개방성 요골 신경 손상을 보인 l예를 제외한 전 예에서 도수 정복 후 경피적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으며, 골 유합 시점에서 과상부 골절의 축상면 회전 이상과 내반 주변형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학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불유합이나 의인성 척골 신경 마비는 없었으며, 합병증으로 내반 주 변형이 8예 관찰되었다. 내고정 후 골절편의 축상 면에서의 회전 정도와 최종 추시 상 내반 주 변형과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P>0.05). 결론: 소이의 상완골 과상부 골절에서 축상면에서의 원위부 골절의 회전 정도와 내반 주 변형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bitus varus deformities and rotatory abnormalities after bone union.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63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Gartland type Ⅱ supracondylar humerus fractures between May 1996 and May 2003 and underwent surgery. The Gartland method was used to classify the fractures. Of the 263 cases, 141 were type Ⅱ, and 122 were type Ⅲ. All patients underwent subcutaneous K-wire fixation after manual reduction except one that showed open radial nerve damage at the time of trauma. A mathematical method was used to evaluate rotation abnormalities in the axial plane. Results: There was no postoperative nonunion or iatrogenic ulnar nerve palsy in 8 cases of cubitus varus deformity. Cubitus varus deformities fail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lrotation in the axial plane. Conclusio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rotatory abnormalities after union and cubitus varus deformities.

      • KCI등재

        소아 주관절 주위 골절

        김태훈 ( Taehun Kim ),조재호 ( Jaeho Cho ),정승민 ( Seungmin Chung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1

        소아 주관절 주변 골절에 대한 최신 지견 및 진단 치료에 대한 연구이다. 최신 소아정형외과 교과서 및 발간된 논문을 참조하여 주관절부 골절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 외과 골절, 근위 요-척골 골절에 대하여 각 골절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을 축약하였다. 소아주관절부 골절은 다른 동반 손상 및 골절에 대한 정밀한 검사와 치료를 요한다. 소아 환자들은 성장 잠재력이 있어 정확한 치료를 요한다. This study assessed the current concepts of pediatric elbow fractures. PubMed and Embase databases were searched for publications in English on elbow fractures. Papers believed to yield significant findings to this area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 supracondyle of humerus, lateral condyle of the humerus, proximal radius, and proximal ulna fractures were included. Sixteen papers and textbooks were selected. Pediatric elbow fractures should be evaluated for combined injuries. Treatment should be done accurately for each fracture for the further growth of children.

      • KCI등재후보
      • 소아에서 발생한 굴곡형 상완골 과상부 골절

        강재도,김광열,김형천,임문섭,최신권,박현수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굴곡형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 방법과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1례의 환자(Gartland 1형 3례, 2형 5례, 3형 3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신전 석고 고정으로 치료한 경우가 3례(1형 3례), 외측 경피적 K-강선은 술후 4-6주에 제거하였으며 추시 관차 기간은 12개월에서 26개월로 평균 16개월 이었다. 결 과 : 치료와 결과에 대한 판정은 술후 운반각의 변화와 운동범위의 소실을 토대로 한 Flynn 등의 기준에 따랐으며 10례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로 나타났으나, 2개의 외측 경피적 핀 고정술을 시행한 3형 1례에서는 보통이었다. 결 론 : 굴곡형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도 신전형에서와 같이 K-강선을 이용한 고정을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사료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treatment modality and clinical results in flexion-type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 11 cases of flexion-type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3 type Ⅰ, 5 type Ⅱ, 3 type Ⅲ)were treated, 3 fractures (3 type Ⅰ) with extension cast 6 fractures 5 type Ⅱ, 1 type Ⅲ) with two lateral percutaneous K-wire fixation, 2 fractures(2 type Ⅲ) with open reduction and crossed pin fixation. the K-wire were removed after 4-6 weeks of operation and th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12 months to 26 months, averaging 18 months. Results : By Flynn's functional and cosmetic criteria, nine cases were good and excellent results, one case (type Ⅲ with two lateral percutaneous pin fixation) is fair results. Conclusion : As the same methods of the extension-type supracondylar fractures, the K-wire fixation is useful method in the treatment of flexion-type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in children.

      • 소아의 전위성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 수술 시점과 합병증과의 연관성

        한수홍,조덕연,윤형구,김병순,김재화,박형근,김세현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적 : 소아의 전위성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 심각한 합병증을 고려하여 응급에 준하여 많은 저자들이 조기 수술을 권장하고 있으나 수술 시점에 대한 구체적이 연구 및 제시가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저자들은 적절한 수술 시기를 예측하고자 수술 시점과 술후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4월부터 2002년 1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전위성 상완골 과상부 골절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79례의 소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남아는 125혜, 여아가 54례로 평균 연령은 6.9세였다. 모든 소아는 손상 후 수술까지의 시간에 따라 A군 (8시간 이내), B군 (9시간~16시간), C군 (17시간~24시간), D군 (25시간~48시간), E군 (49시간~72시간)의 5개 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군에 대하여 수술 시간 및 창상 감염, 의인성 척골 신경 마비, 재수술의 빈도,구획 증후군 등의 술후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 손상 후 수술 시점까지의 시간 차이에 따른 각각의 군에 대하여 수술 시간, 술후 창상 감염, 의인성 척골 신경 마비, 재수술, 구획 증후군 등 술후 합병증의 빈도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05). 결론 : 전위성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의 수술 시점에 대하여 저자들이 설정한 기준에 의한 통계학적인 분석에 있어 수술 시점은 환자의 전신 상태, 골절 양상, 수술실 여건 등을 고려하고, 장시간이 아닌 한 술자의 판단에 따라 선택적으로 지연될 수 있다고 사료되는 바이다. Purpose : Even though emergent percutaneous pinning after closed reduction is the popularized treatment of the displaced type Ⅱ and type Ⅲ pediatric supracondylar fractures of the humerus, the timing of pinning still presents controvers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surgical time without significant perioperative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pril 1995 to January 2002, 179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to 5 groups [A group : 8 hours or less following injury(24 cases), B group: from 9 to 16 hours(63 cases), C groups: from 17 hours to 24 hours(63 cases), D groups: from 25 hours to 48 hours(18 cases,) and E group: from 49 hours to 72 hours(11 cases)] and reciewed retrospectively to analyze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operation time. Result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with respect to surgical wound infection, iatrogenic ulnar nerve injury, VIC, operation time and the necessity of reoperation(p>0.05). Conclusion : Within the parameters outlined in our study, we could not find the an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surgical timing and occurrence of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also, we think that timing of percutaneous pinning can be delayed to the time when a surgeon considers it apporpr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