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의 무 정복 지연 골유합술

        박건보 ( Kun Bo Park ),이승환 ( Seung Whan Lee ),김현우 ( Hyun Woo Kim ),박희완 ( Hui Wan Park ),이기석 ( Ki Seok Lee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골절편의 전위가 심하지 않은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의 지연, 불유합을 대상으로 정복 없이 골간단부 유합술 및 고정술을 시행한 술식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상완골 외과 골절 지연, 불유합으로 본원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시 환아의 평균 연령은 6년 1개월 (1년 7개월~9년 1개월)이었으며, 골절의 평균 전위는 3.3 ㎜ (2.0~4.5 ㎜)였다. 모든 예에서 정복을 시행하지 않고 불유합 부위의 소파술 후에 유관 나사 및 K-강선을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골유합이 확인되었으며,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7예, 양호 3예, 보통 2예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완골 외과 부위의 무혈성 괴사나 성장판의 조기 유합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의 지연, 불유합의 경우 골절편의 전위 정도가 심하지 않을 시에는 골절부의 해부학적 정복술을 시행하지 않고 소파술 후에 압박력을 가하여 나사 고정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in situ late osteosynthesis for slightly displaced fractures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0 to 2004, 12 patients (8 boys and 4 girls) were managed with in situ late osteosynthesis for fractures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6 years 1 month (1 year 7 months~9 years 1 month), and the mean amount of fragment displacement was 3.3 ㎜(2.0~4.5 ㎜). The operative procedure included curettage and in situ fixation of the fragment. Results: Bony union was achieved in all cases after avg. 48 months (33~73 months) follow-up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core system of Dhillon et al, 7 patients had excellent, 3 had good, 2 had fair results. None of the patients developed avascular necrosis or premature closure of the epiphysis. Conclusion: We suggest that in situ fixa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late treatment of slightly displaced fracture of the lateral humeral condyle.

      • KCI등재

        상완골 교합성 골수정을 이용한 소아 및 청소년의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

        박건보 ( Kun Bo Park ),박훈 ( Hoon Park ),김현우 ( Hyun Woo Kim ),박희완 ( Hui Wan Park ),노재영 ( Jae Young Roh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2

        목적: 소아 및 청소년의 대퇴골 간부 골절에서 상완골용 교합성 골수정을 이용한 치료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0명의 환자,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9명, 여자가 1명이었다. 기저 질환으로 골형성부전증이 2명, 단순 골낭종이 1명 있었으며, 우측이 7예, 좌측이 4예였다. 수상 당시 평균 연령은 12세 7개월 (8세 11개월∼15세 7개월)이었으며, 술 후 추시 기간은 평균 21개월이었다. 전례에서 상완골용 교합성 골수정을 대전자부에서 삽입하였다. 결과: 수술 후 감염이나 불유합, 하지 부동, 내고정물 파손과 같은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근위 대퇴부의 외반 변형이나 대퇴골 두의 무혈성 괴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소아 및 청소년의 대퇴골 골절에서 상완골용 교합성 골수정을 대전자부에서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가 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interlocking humeral nail for femur shaft fractures through the greater trochanter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 Materials and Methods: Eleven femoral shaft fractures in ten patients were selected. They were consisted of 9 boys and 1 girl. Two patients had osteogenesis imperfecta and one patient had a simple bone cyst as an underlying disease. 7 cases were right side and 4 cases were left side. The mean age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12 years and 7 months (8 years 11 months∼15 years 7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1 months and interlocking humeral nail was inserted at the greater trochanter in all patients. Results: All patients had a complete bony union without any complication such as infection, nonunion, leg length discrepancy and metal failure. Avascular necrosis of femoral head and coxa valga were not developed in all patients. Conclusion: Intramedullary nailing through the greater trochanter using interlocking humeral nail is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the femoral shaft fracture in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척수수막류 환아의 종족 변형에 대한 전경골근 건 이전술

        박건보(Kun Bo Park),박희완(Hui Wan Park),오경수(Kyoung Soo Oh),김현우(Hyun W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척수수막류 환아의 종족 변형에 대한 전경골근 건 이전술을 시행하고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술식의 제한점과 적응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술 후 최소 12개월(평균 25개월)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16명의 환아(평균 연령 7년 2개월), 27예를 대장으로 술 전 및 술 후 시행된 보행분석과 역동적 족저압 측정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종족 변형의 재발 내지 악화 혹은 다른 형태의 족부 기형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족근관절의 입각기 최대 굴곡이 증가하였고 최대 신전은 감소하였다. 종골부의 비례 추진력은 술 후 감소하였으나, 술 전 골반 회전 운동범위의 차이에 따라 뚜렷한 임상적 결과의 차이를 나타냈다. 술 전 보행주기 중 증가된 골반 회전 운동범위를 보인 경우 종골부 비례 추진력의 감소는 그렇지 않은 환아에 비해 작았으며, 또한 이들에서 감소된 슬관절 굴곡-신전 운동범위와 고관절 외전의 증가와 골반 사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결론: 단순히 전경골근의 근력이나 환아의 신경분절 수준만을 고려하여 수술을 시행할 경우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술 전 시상면에서의 감소된 슬관절 운동범위와 관상면 및 횡단면에서의 증가된 고관절 및 골반의 운동범위는 전경골근 건 이전술의 나쁜 예후인자로 판단된다. Purpose: To examine the results of tibialis anterior tendon transfer for the treatment of a calcaneus deformity in children with a myelomeningocele.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even feet in sixteen children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7<SUP>+2</SUP> years (range, 4<SUP>+11</SUP>-14<SUP>+9</SUP>) and the mean follow up duration was 25 months (range, 15-50). Three-dimensional gait analysis and dynamic foot-pressure measurement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index operation. Results: There was no recurrence or aggravation of the deformity. The sagittal kinematics of the ankle improved, and the relative impulse of the calcaneus decreased postoperatively. Those patients with an increased range of motion of the pelvic rotation during gait showed less improvement in the relative impulse of the calcaneus than those with a good range of pelvic rotation. They also had a lower range of knee sagittal motion and an increased range of abduction of the hip, and up-obliquity of the pelvis. Conclusion: A good range of motion of the hip and pelvis in coronal and transverse planes, and of the knee in the sagittal plane are important predictors of the functional transfer of tibialis anterior tendon in patients with a calcaneal gait in a myelomeningocele.

      • KCI등재

        대퇴 과간 절흔의 형성 부전과 전신적 인대 이완성을 동반한 소아의 습관성 슬개골 탈구에서 “Four-in One” 술식

        주선영(Sun Young Joo),박건보(Kun Bo Park),김보람(Bo Ram Kim),박희완(Hui Wan Park),김현우(Hyun W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1

        목적: 하지의 부정정렬이나 슬개골 고위증이 없고 대되 과간 절흔의 형성 부전과 전신적 인대 이완성이 동반된 소아에서의 습관성 슬개골 탈구에 대해 “Four-in-One" 술식을 시행한 후 치료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4명의 환아,5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술 시 평균 연령은 5.9세였고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41.6개월이었다. 술 후 신체검사와 방사선학적 검사 빛 Kujala가 고안한 평가법에 의거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추시 기간 동안 전 예에서 탈구가 재발한 경우는 없었으며 슬관절 동통이나 관절운동의 제한 및 보행 장애도 없었다. Kujala 점수는 평균 96.8점이었으며,2예에서 창상 치유와 관련된 합병증이 있었으나 모두 치유 되었다. 결론: 외측지대 유리술, 내측 강화술, 반건양근 건고정술 및 슬개건 이전술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소위 “Four-in-One" 술식은 부정정렬이나 슬개골 고위증이 없고 전신적 인대 이완성과 대퇴 과간 절흔의 형성 부전이 동반된 소아에서 적용될 수 있는 만족할 만한 술식이라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a “Four-in-One” procedure for a habitual dislocation of the patella in children with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and formation failure of the femoral trochlea. Materials and Methods: Five knees in 4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surgery was 5.9 years and the subjects were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41.6 months postoperatively.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criteria of the Kujala's scoring system as well as a physical examination and radiological findings. Results: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re were no recurrent dislocations, knee joint pain, limitations of motion or gait disturbances in any of the cases. The mean Kujala score was 96.8. Two cases had complications related to wound healing but they healed eventually. Conclusion: The "Four-in-One" procedure, which include the lateral retinacular release, medial vector augmentation, semitendinosus tenodesis, and patellar tendon transfer is recommended for a habitual dislocation of the patella in children with generalized ligament laxity and formation failure of the femoral trochlea.

      • KCI등재

        소아 손목 관절 주위 골절

        김기훈 ( Gihun Kim ),박건보 ( Kun-bo Park ) 대한골절학회 2021 대한골절학회지 Vol.34 No.2

        소아 손목 관절 주변의 골절은 소아의 골절 중 3번째로 흔하며 그 중 요골 원위부 골절은 소아의 골절 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골절이다. 발생률을 고려할 때 소아 및 청소년의 손목 관절 주변 골절에 대한 이해는 성장기 골절 중 가장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분야이다. 소아의 골절은 흔히 재형성이 되어 쉽게 치료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모든 골절이 그런 것은 아니며 성장기 소아에서 치료가 잘못 이루어질 경우 성장장애, 불유합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에 골절의 형태 및 부위에 따라 치료 방침이 다름을 알아야 한다. 본 종설에서는 소아 및 청소년의 원위 요골 골절, Galeazzi-equivalent 골절, 주상골 골절 및 기타 수근골 골절의 특징 및 치료에 대하여 최근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정확한 진단 및 적절한 비수술적, 수술적 치료를 한다면 환아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합병증 없이 성공적인 치료를 할 수 있을 것이다. Fractures around the wrist are the third most common fracture among all pediatric fractures. Furthermore, distal radius fractures, a type of wrist fracture, are the most common fractures in children. Understanding pediatric fractures around the wrist is very important considering their prevalence. There is a specific belief that pediatric fractures can heal easily because of remodeling, but not all fractures can heal without proper treatment. Complications such as growth problems, nonunion can occur if the fracture is not treated properly. This paper reviewed recent articles about distal radius fractures, Galeazzi-equivalent fractures, and carpal bone fractures, including scaphoid fractur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uccessful treatment can be achieved without complications when an accurate diagnosis and proper non-surgical or surgical treatment are performed based on this article.

      • KCI등재

        특발성 내반슬의 원인과 수술적 치료

        박희완(Hui Wan Park),주선영(Sun Young Joo),박진수(Jin Soo Park),박건보(Kun Bo Park),김현우(Hyun W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기능상 혹은 미용상 장애를 초래하였던 특발성 내반슬 변형 환자들을 대상으로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수술적 치료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하지의 선열 및 염전과 관계되는 방사선학적 계측을 시행하였으며, 변형의 원인에 따른 수술적 방법과 치료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각각 대퇴 전염각 증가군, 근위 경골의 내반 변형과 원위 경골의 외회전각 증가군 및 근위 경골의 내반 변형군 등 3개의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의 원인에 대한 회전 및 교정 절골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기능적, 미용적 결과를 얻었다. 결론: 특발성 내반슬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경우 실제 변형이 존재하는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단순히 근위 경골의 내반 변형에 의한 것인지 혹은 하지의 염전에 의하거나 동반된 것인지를 감별해야 하며, 이에 따른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어야 만족할 만한 교정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underlying causes of idiopathic genu vara, and to evaluate the results of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made using a standing orthoro-entgenogram and a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scan.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 after surgery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auses. Results: The patients with idiopathic genu vara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 group associated with increased femoral anteversion, a group associated with tibia vara and increased external rotation of the tibia, and a group associated with tibia vara. Satisfactory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 were obtained after corrective surgery based on actual causes. Conclusion: An accurate analysis based on the rotational and angular deformities is needed to make a surgical treatment plan for idiopathic genu vara.

      • KCI등재

        소아 및 청소년 슬개골 불안정성의 수술적 치료

        이정우(Jung Woo Lee),이용준(Yongjun Lee),박건보(Kun-Bo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3

        소아청소년에서 슬개골 불안정성은 다양한 슬관절 구조의 이상에 의해 발생한다. 슬개골 불안정성은 급성 탈구, 재발성 탈구, 습관성 탈구, 선천성 탈구 등으로 정의한다. 슬개골 불안정성은 슬관절 주위의 해부학적인 구조물의 이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원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시행해야 한다. 수술적 치료 시에는 근육과 골격의 불균형을 모두 고려하여야 한다. 슬개골 불안정성의 치료에는 외측유리술, 연부조직 재정렬 수술, 자가 인대 이전술, 동종건을 이용한 인대 재건술, 교정 절골술, 활차성형술 및 내측 슬개-대퇴 인대 재건술 등의 수술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Patellar instabi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caused by abnormalities of various knee structures. Instability of the patellofemoral joint can manifest as an acute dislocation, recurrent dislocation, habitual dislocation, and congenital dislocation. Patellar instability is associated with abnormalities in the anatomical structures around the knee,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ause should be undertaken. Surgery can be performed to reconstruct any abnormal musculo-skeletal alignment. Considerable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treatment of patellar instability in recent years, and surgical methods include lateral release, soft tissue realignment procedure, transfer of the autologous tendon, trochleaplasty, and reconstruction of the medial patellofemoral ligament.

      • KCI등재

        경직형 편측 뇌성마비 환아에서 첨족 보행에 대한 수술 후 보행 양상의 변화

        주선영(Sun Young Joo),박희완(Hui Wan Park),박건보(Kun Bo Park),김현우(Hyun Wo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경직형 편측 뇌성마비 환아에서 첨족 보행에 대한 수술을 시행할 경우 상위 관절 및 골반의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후 최소 1년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1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신체검사 및 3차원 보행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족근 관절에서는 최초 접지기, 최초 진출기 및 발가락 떼기 시 배측 굴곡이 증가하였고 입각기 및 유각기에서의 평균 배측 굴곡 각도도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골반에서는 최초 접지 및 보행 주기 전반의 평균 전방 경사 각도가 모두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수술 후 진출기때 족근 관절 힘 생성의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슬관절 과신전 보행 패턴을 보였던 환아에서의 최초 접지기때 슬관절 굴곡 각도는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입각기때 최대 신전 시 굴곡 각도도 증가하였다. 입각기의 평균 모멘트가 수술 전 굴곡 모멘트에서 수술 후 선전 모멘트로 변화하였으며 최대 굴곡 모멘트도 감소하였다. 보행 주기 동안 마비측의 골반이 외 회전되는 양상을 보였던 환아의 경우, 최초 접지 및 보행 주기 동안의 평균 골반 외 회전 각도가 모두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결론: 경직형 편측 뇌성마비 환아에서 족근 관절의 경직 및 첨족 변형은 슬관절과 골반 등 상위관절의 병적 움직임을 유발하며, 수술 후 족근 관절의 이상소견이 호전됨에 따라 슬관절과 골반 등 상위 관절의 이상 보행패턴도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urgery for an equinus gait on the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of ankle and proximal joints in cerebral palsy spastic hemiplegics. Materials and Methods: Sixteen spastic hemiplegic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surgical correction for equinu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during gait were assessed using computed gait analysis before and after surgery. Results: Postoperatively, the ankle range of mo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temporospatial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angular movement of the ankle joint and pelvis were improved. However, the kinetic parameters of the ankle joint were unaffected. In patients with a recurvatum knee gait pattern prior to surgery, the kinematic and kinetic parameters of the knee join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angular movements of pelvis after surgery were improved in patients with pelvic external rotation preoperatively. Conclusion: Genu recurvatum and pelvic external rotation during the gait in spastic hemiplegic CP might be improved by a surgical correction of the equinus deformity.

      • KCI등재

        소아 상완골 골절 치료기준으로서의 방사선학적 지표의 신뢰성

        곽윤해 ( Yoon Hae Kwak ),신동조 ( Dong Jou Shin ),박건보 ( Kun Bo Park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1

        목적: 주관절 신전-회외전 위에서 측정된 방사선 지표와 주관절 굴곡-회내전 위에서 측정된 방사선 지표들을 비교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소아 상완골 골절 치료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과상부 골절로 수술을 받은 환아 7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촬영된 건측 주관절 신전 위 및 굴곡 위 방사선에서 바우만 각, 골간단-골간 각, 내상과-골단 각을 비교하였다. 건측 주관절 신전 위를 기준으로 치료한 제1군 (35예)과 굴곡 위를 기준으로 치료를 한 제2군(36예)의 최종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바우만 각은 신전 위에서 골간단-골간 각은 굴곡 위에서 관찰자 내 재현성 및 관찰자간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신전 위에서는 바우만 각과 골간단-골간 각이 운반각과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굴곡 위에서는 골간단-골간 각만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바우만 각은 굴곡 위에서 내상과-골단 각은 신전 위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최종 추시에서 제1군과 제2군의 건측과의 비교 시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전완부 회외전-주관절 신전 위에서는 바우만 각의 임상적 효용성이 높으나 전완부 회내전-주관절 굴곡 위에서는 골간단-골간각의 임상적 효용성이 높으며 두 전후면상에서 간접적 운반각의 측정 시 차이가 있으므로 수술 시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suggest the most reliable guideline of the treatement for the supracondylar fracture in children by the comparison of the radiographic parameters between forearm supination-elbow extension and forearm pronation-elbow flexion view.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seventy-one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umann, metaphyseal diaphyseal and medial epicondylar epiphyseal angle of normal elbow in extension and flexion view were compared. Finally, the results of Group I (operation with elbow extension view) and Group II (operation with elbow flexion view) were compared. Results: Intraobserver reproducibility and interobserver reliability were better in the Baumann angle with extension view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with flexion view. In extension view, Baumann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show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rying angle but in flexion view, only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shows negative correlation. Baumann angle were greater in flexion view and medial epicondylar epiphyseal angle were greater in extension view.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nal results of Group I and II. Conclusion: Baumann angle was more effective in forearm supination-elbow extension view and metaphyseal diaphyseal angle was more effective in forearm pronation-elbow flexion view. The difference between elbow extension and flexion view should be considered during 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