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과학기술산업정보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개발 전략

        곽동철,Kwack, Dong-Chu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산업기술정보원과 연구개발정보센터의 통합으로 출범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이 국가 대표 정보서비스 기관으로서 지녀야 할 역할과 목표를 정립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국가 과학기술산업 부문 지식정보시스템의 모형을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모형을 도출하기 위해 산업기술정보원과 연구개발정보센터의 지식정보시스템의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식정보시스템의 바람직한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model for an integrated national management system of information services in the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ectors by assigning major roles and purposes to KISTI which was set up by the merge of KINITI and KORDIC. In order to develope the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problems of KINITI and KORDIC. On the base of these analytical results, this study presents a desirable model of KISTI for a nation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ectors.

      • KCI등재

        한국의 동남아 경제 연구

        박번순(Bun-Soon Park)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1 아시아리뷰 Vol.1 No.1

        이 연구는 1970년대 말 이후 한국에서의 동남아 경제 연구의 성과를 개관한 것이다. 시기별, 주제별, 지역별 연구의 현황, 그리고 연구자의 성격을 분석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한국에서 동남아 경제 연구는 국제경제연구원에서 시작되어 현재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이르기까지 정부 출연 연구기관이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연구결과는 주로 정책보고서가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일반 학술 논문의 경우도 정책지향성이 강했다. 시기별로는 동남아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7년 이후의 연구가 많았고 지역으로는 베트남이 상대적으로 높은 관심을 끌었다. 연구주제는 현지 경제연구가 많았으나 한국기업의 진출 환경, 한국과 동남아와의 협력관계에 대한 연구도 많았다. 동남아 현지 경제를 연구한 경우, 일반적인 경제분석이 많아서 연구의 구체성과 깊이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 경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인력양성을 위한 대학교육과정의 개편, 국제경제론의 방법론 대신 지역지향적인 현장 연구 강화, 정부나 대학에서의 연구지원 강화 등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a survey on Southeast Asian studies undertaken in Korea since the late 1970s, which analyzed them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themes, areas within Southeast Asia, and types of researchers. This survey reveals that the Korea International Economics Institute (KIEI) and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ield of Southeast Asian studies, and that most of their research outputs have been in the form of ‘policy briefing.’ In general, most academic papers on Southeast Asia were on the topic of ‘policy advice.’ In terms of time period, most research papers on Southeast Asia were written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and analyzing Vietnam was relatively popular in particular. In terms of research topics, studies dealt with not only on the economic issues of Southeast Asia, but also topics related to Korea such as the business expansion environment for Korean corporations, or the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Southeast Asia. Yet, researches on Southeast Asian economy were mostly general economic analyses that lacked depth or detail. In order to encourage more research on Southeast Asia, university curricula must be reformed in order to train students as experts. Moreover, researches should be more areafocused, rather than based on international economics. The government should also expand their support.

      • KCI등재

        세라믹 중소기업의 중기와 단기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의 탐색적 연구 : 자원기반이론 관점으로

        권형주,이종원,박지형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9 창조와 혁신 Vol.12 No.3

        Contrary to the general perception that ceramic industry is traditional industries such as pottery and electrical appliance manufacturing, the ceramic industry is a high-tech industry that makes electronic, communication, energy, environment and consumer goods as core materi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99 percent of the total ceramic manufacture companies are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uccess factors of the management strategic point of view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 ceramic industry is a traditional industry. We apply the internal resource-based theory, which is the management strategy theory, to analyze the field data of 289 small-and medium-sized ceramic manufacturers in 2013-2015 by analyzing short-term growth factors through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id-term growth factors through the panel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facility investment of the company is the most important growth factor in the short term and the R&D investment and human resources investment are the main growth factors in the medium term in the ceramic industry. In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short-term and long-term growth factors can be different in academic terms. In practice, it can be useful for application of growth strategies of ceramic industry companies. 세라믹산업은 도자기, 전기기구 제조 등의 전통산업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는달리 4차 산업혁명의 핵심소재로 전자, 통신, 에너지·환경, 소비재 등을 만드는 첨단 산업이고 전체 기업의 99%가 중소 제조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어 있다. 세라믹산업이 전통산업이라는 인식 때문에 경영 전략적 관점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는거의 없다. 본 연구는 경영전략이론인 내부자원 이론을 적용하여 2013~2015년 3 개년 첨단세라믹산업 중소제조기업 289개사 기업 필드 데이터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서는 단기적 성장요인 분석하였고, 패널분석을 통해서는 중기 성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라믹산업의 중소 제조기업은 단기적으로는 기업의 설비투자가 가장 중요한 성장요인이며, 중기적으로는 연구투자, 인력투자가 주요한성장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필드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업성장요인이 단기와 장기가 다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세라믹 산업 기업의 성장 전략의 적용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News& Products

        한국광산업진흥회,Korea Association for Photonics Industry Development 한국광산업진흥회 2000 광산업정보 Vol.1 No.-

        지난 8월 10일 한국광산업진흥회 초대회장으로 취임한 김종수(LG이노텍 대표)회장이 산업자원부를 방문해 신국환 장관과 광산업계 발전을 위해 만났다. 이번 만남에서는 지난 4월 출범한 한국광산업진흥회의 초대회장을 받은 김종수 회장은 신임회장으로서의 소감과 광산업진흥회 발전방안 등을 이야기하며 산업자원부의 협조를 부탁했다. 이에 대해 신국환 장관은 광산업은 21세기 지식 기반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국가전략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 KCI등재

        산업별 혁신시스템과 R&D 지원서비스 : 엔유씨전자 사례를 중심으로

        김용열 한국기술혁신학회 2019 기술혁신학회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wo factors among various affecting facto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e.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and R&D support service, were actually applied in the case of NUC Electronics. This company has achieved high level of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change of injection port and improvement of extracting rate. This was possible because each component of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system was matched with the innovation activity.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in NUC Electronics was attributable to its own innovation efforts and R&D support service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In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company could receive high-level services in areas such as product design and virtual experiments that companies can not solve themselves.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o support the shortage of SMEs was important. In terms of each component of 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we found that there were many opportunities of new technology; sustainability was low; imitation was easy; appropriability was low but it has dualily; accumulation of technology was relatively high, availability of external knowledge was high. At the same time, both of the company and the network played an important role, and market conditions were very favorable. In terms of R&D support services, it is a direct effect that a great deal of time and cost savings have been achieved through virtual experiments on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screw. As an indirect effect,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mpany has been greatly strengthened by utilizing the momentum of technology development through external support, hence the company could establish the structure of virtuous circle of innovation. 본 논문에서는 기술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산업별 혁신시스템과 R&D 지원서비스의 요인이 엔유씨전자의 사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엔유씨전자는 투입구 변경과 착즙률 개선의 기 술혁신을 통해 높은 혁신성과를 달성하였다. 이는 산업별 혁신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엔유씨전자의 기술혁신과 부합하는 측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엔유씨전자의 성과향상은 자체적인 혁신노력과 함께 정부출연연구소의 R&D 지원서비스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기술혁신 과정에서 제품설계와 가상실험 등 기업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의 고차 원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중소기업에게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주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지원 역 할이 중요했다고 할 수 있다. 산업별 혁신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별로 보면 새로운 기술기회가 많은 만큼 지속성이 낮다, 모방이 쉽 고 전유성이 낮지만 복합적인 측면도 있다, 기술축적의 누적성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외부지식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주체와 네트워크 모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시장여건이 매우 유리하였다 등으로 요약 될 수 있다. R&D 지원서비스의 측면에서는 직접적인 효과로서 스크류의 재질과 형상에 대한 가상실험을 통해 엄청난 시간과 비용의 절약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간접적인 효과로서는 외부지원에 의한 기술개발을 계기로 엔유씨전자의 자체적인 핵심역량이 크게 강화되었고 혁신의 선순환구조가 정착되 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국가 측정표준의 재정립에 관한 연구 –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

        기정훈,진종순,배재성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정부혁신연구소 2022 정부행정 Vol.18 No.2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re-establishment of national measur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measurement standard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review of existing related literature and big data analysis. This is because the role of new measurement standards is expanding due to changes in national standards and quality systems, and it is required to play a leading rol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standards and quality system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stitutions such as the Korea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which carries out national R&D related to measurement standards, need to find out what standards are directly related to people's daily lives, safety, health, and environment, and make efforts to standardize them.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re-establishment of measurement standards in national standards and quality systems can be presented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ational standards related to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and expand R&D functions for internationaliz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ational standards to support the revitalization of future growth industries and to form a cooperative network with related companie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ational standard that can promote the discovery and growth of new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and discover a global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