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디자인통계조사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연명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4

        Industrial Design Statistics Survey(IDSS) is comprehensive research on design industries and design activities. The survey is one of the design research of world-cla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iscover problems of whole process of the survey from planning to reporting, and to find the improvement direction. Research methods are as below. First, four national statistics, Service Industry Survey, Sports Industry Condition Survey, Content Industry Statistics, and Advertising Industry Stat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IDSS. Subsequently, two statistical quality diagnostic reports conducted in 2009 and 2014 for IDSS were review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problems on sampling design such as standard error and non-response are found. And, the survey sheet is too superabundant, because the sheet have wide range from industry condition grasp to design activities. In addition, insightful summary and analysis were insufficient in the report of the IDSS. The problems must be improved. Especially, survey items should be separated two parts, basic and supplementary parts, and ought to be reduced. When the survey items will be organized, we should take a balance with interest in design field and national economic viewpoint. Furthermore, sampling design should be improved, insightful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IDSS should be reflect in the report.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디자인산업과 디자인활동에 관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디자인 통계조사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유래없는 수준의 조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통계조사의 기획, 조사방법, 표본설계, 조사표작성, 조사 진행, 결과보고서의 작성과 공표, 자료의 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서비스업조사’, ‘스포츠산업실태조사’, ‘콘텐츠산업통계조사’, ’광고산업통계조사‘의 4가지 국가승인통계와 산업디자인통계조사를 비교하였다. 이어서, 2009년과 2014년 2차례에 걸쳐 진행된 산업디자인통계조사에 대한 통계품질진단 보고서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표본오차 관리, 무응답처리 등 표본설계상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조사표에는 매출이나 직원수와 같은 산업동향 파악용 문항 외에도 디자인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어, 분량이 과다하였다. 보고서에는 결과에 대한 해설이나 통찰을 담은 요약이 부족하였다. 산업디자인통계조사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표는 기본통계와 부속통계로 이원화하고, 문항을 정비하여 조사표를 축소하여야 하며, 이때 산업동향 파악이라는 국가경제 차원의 관심과 디자인 분야의 관심이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표본오차 관리 및 무응답처리 등을 개선해야 하며, 통계결과를 조망하고 해석한 내용이 보고서에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문화산업클러스터 기반구축형 디자인 거버넌스 사례 연구

        이진영 ( Jin Young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동대문 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구조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거버넌스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구성요소를 분석한 연구와 창조경제 이론의 관계를 규명하고, 문화산업 클러스터와 디자인 거버넌스의 관계를 정의하였다. 일반적으로 거버넌스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협력과 참여를 이끌어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구축을 위해서는 디자인을 중심에 놓은 거버넌스의 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2014년 개관이후 패션 및 문화산업클러스터의 중심지로서 자리잡기 위한 거버넌스 프로젝트가 추진되었고, 그중 문화산업클러스터 구축형 거버넌스의 전형이라고 할만한 동대문축제의 성격분석과 의미해석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이다. 본 연구는 문화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디자인 거버넌스의 모델발굴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즉 도시의 문화산업클러스터 구축형 거버넌스 프로젝트 사례를 근간으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 주변 상권 및 시민의 평가를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디자인 거버넌스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문화산업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디자인 거버넌스가 지역경제 활성화 및 창조경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동대문지역 상인과 시민 및 전문가 인터뷰 조사결과, 디자인 거버넌스 사업은 매출증대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산업생태계 조성에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역의 상공인들은 그동안의 소극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디자인 거버넌스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시작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디자인 거버넌스는 디자인을 통한 사회문제해결에 기여하고 있음을 증명해주고 있다. This study cares about the structural problem in the Dongdaemoon industrial cluster which is in a structural process obviously in the level of economical and cultural change lately in Seoul. For some practical and theoritical solutions for its cultural governance that is widely recognized as important, this study investigates its difficulties of the area-relationship, theoretical problems and impacts it might have if successful. A key concept could be proposed; a design governance which would use simulation, analytic models, prototype construction, or analysis of field data for an 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luster and design governance to solve the real problem in process. The Dondaemoon design plaza, created in 2014, is a case. This project based especially on area events and its promotion permits us to pull a kind of local development model. The model is constructed by a survey on the commercial needs and a deep interview to workers in the area which can be grouped together into one brief solution by making clear to find a way for design governance in the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levels. This crucial results mean that a design governance is necessary to answer the original question posed in local development and its promotion. This study drew not only a general conclusion explained above but another that leds to the study automatically to practice its contents to apply in the working field.

      • KCI등재

        대학 내 산업디자인 전공을 위한 순차적 연계 교과과정 설계와 사례 연구

        신창범(Shin, Chang Beom),종휘(Zhong, Hu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3

        세계 산업이 더 빠르게 진화하고 산업 간의 장벽도 허물어지고 있다. 지난 3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제품개발 시 고객의 지갑을 여는데 디자인은 큰 역할을 하였고 여러 기업 내부의 디자인 부서나 대학의 디자인 전공들은 오랜 시간 성과와 경험으로 이미 업무체계가 시스템화 되었다. 하지만 제4차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기업들뿐만이 아니라 대학들 그리고 산업디자인 분야에도 또 다시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가 신산업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증대하기 위해 대학 교육에서 산업디자인 전공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이를 대학 강단에서 사례 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문헌 연구에서는 첫째 신산업으로 인해 변화하는 인간의 생활과 이에 요구되는 산업디자인의 역할 변화를 살펴보고, 세계 유수 대학에서 추진되고 있는 디자인 혁신 프로그램의 특징들을 모색하였다. 둘째 미국과 함께 제 4차 산업혁명의 2대 선진국으로 부상한 중국에서 대학 내 산업디자인 전공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그 특징들이 신산업의 빠른 변화와 혁신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후 신산업 시대 대학 산업디자인 전공의 새로운 교육 모델을 위해 각 디자인 관련 교과목들이 순차적으로 연계된 교과과정을 설계하였고 이를 중국 대학산업디자인 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1년 간 5개 교과목을 진행함으로써 본 연구의 가치와 가능성을 실험하고 진단하였다. 결과적으로 ‘마케팅 매니지먼트’ 교과목을 통해 미래 신 시장을 예측하고 신상품 컨셉을 발굴하게 되었고, ‘제품디자인’과 ‘UI디자인’ 교과목을 통해 먼저 발굴된 컨셉을 시각적으로 정교화 하였으며, ‘디자인 프토토타입’ 교과목에서는 사용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는 시제품 제작으로 실현 가능성에 있어 문제를 진단하고 개선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교과목인 ‘브랜드디자인’에서는 개발된 신상품을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표와 로고를 디자인하게 되었다. 본 연구로 진행된 교과과정 설계와 사례 연구 결과는 이전 교과과정의 경우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의 우수성을 진단하였다. The world’s industries are evolving faster and the barriers between industries are crumbling. In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the role of design was opening the wallets of customers and design majors from various internal design departments of companies and universities were already established through long achievements and experiences. Howeve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ot only businesses field of companies but also academic field of universities and the industrial design area are demanding changes and innovations again now. This study designed a new curriculum for industrial design in university-education to increase the role of design at a time when the world turns into a new industry and this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 case study by a university-education platform. In theoretical study, first, we looked at changing human life and changing the role of the industrial design required by the new industry and looked for features of design innovation programs being pushed by the world’s leading universities. Second, China, which has emerged as the second most advanced countr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USA, analyzed the curriculum of industrial design majors in universities and found that its characteristics can flexibly respond to rapid changes and innovations and for a new model of industrial design majors in the new industrial era, each design-related curriculum was designed to be linked sequentially. It tested and diagnosed the value and potential of the study by conducting five subjects for one year for industrial design major in a university, China. As a result, via the ‘Marketing Management’ subject, students predicted a new market for the future and explored new product concepts. And they visualized their concepts through the ‘Product Design’ and ‘UI Design’ subject. In the ‘Design Prototyping’ subject, a prototype was developed that could interact with users to diagnose and improve feasibility problems. Lastly, ‘Brand Design’ was designed with a sign and logo to effectively deliver new products developed to customers. Finally, this study’s curriculum design and case studies were tested for excellence in this study by comparing it with the previous curriculum.

      • KCI등재

        근미래 자동차 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 연구

        홍경민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9 No.-

        Recently, Autonomous cars and electric vehicles have been developed and produced, causing a major change in human daily life. There are various types of automobiles depending on their use and function, and new automobiles with advanced technology will continue to be designed and develop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and future industr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industrial desig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successfully develop the automobile industry that will develop in the future. An industrial design strategy (direction) for the automobile industry, which is more advanced than the existing industrial design strategy, is urgently needed. This study studied the rapidly developing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and studied how the automobile industry will affect human civilization in the near-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near-future industrial design strategy (direction) for the new concept of the automobile industry and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researched in-depth the role of industrial design for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bile industry in the near-future and the automobile industry. Industrial design directions for the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a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These five directions were deduced from creative design using new energy, ultra-technical innovation design, new industrial design, eco-friendly desig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protection, and teamwork industrial design. The near-future world culture and civilization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and science accompanied by rapid change. Therefore, it is time to study the role and prospects of the automobile industry according to the role and change of human lifestyle. This study analyzed and researched all expected fields of the near-future automobile industry and presented the direction and role of industrial design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times. 최근, 자율주행자동차(Autonomous Car)와 전기 자동차 등이 개발 생산됨으로서, 인류의 일상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자동차는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근미래 산업의 발전과 함께 첨단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자동차가 계속하여 디자인되고 개발될 것이다. 따라서, 향후 발전될 자동차 산업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는 산업디자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기존의 산업디자인 전략보다 발전적인 자동차 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 전략(방향성)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근미래 자동차 산업에 관한 모습을 연구하고, 자동차 산업이 근미래 인류 문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근미래 자동차 산업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하여 산업디자인은 어떠한 개념으로 대비해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와 함께 신개념의 자동차 산업을 위한 근미래 산업디자인 전략(방향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근미래 자동차 산업에 관한 연구와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위한 산업디자인의 역할에 대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근미래 자동차 산업을 위한 산업디자인 방향은 다음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신에너지를 활용한창조적 디자인, 초 기술 혁신 디자인, 신조형 산업디자인, 주거 환경보호 친환경 디자인, 팀워크 산업디자인으로 이러한 5 가지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근미래 세계문화와 문명은 급속한 변화를 동반한 새로운 기술과 과학의 발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인류의 생활양식의 역할과 변화에 따른 자동차 산업의 역할과 전망에 관한 연구는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근미래 자동차 산업에 대한 예상되는 모든 분야에 대하여 분석하고 연구하여 급변하는 시대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산업디자인의 방향성과 역할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디자인산업 정책 변화와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 시대별 산업정책 패러다임 변화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이형진,하수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2

        한국의 디자인산업 정책은 지난 50여 년간 산업정책의 일 환으로 정부 주도의 디자인 진흥을 중심으로 정책이 수립 및 진행되어왔으며, 최근 4차 산업혁명 등 산업변화로 인한 새로 운 정책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60년 대부터 약 50년간 시대별 산업정책 및 디자인산업 정책에 대 한 문헌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각 시기별 정책의 디자인산업 에 대한 의의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디자인산업진흥은 196 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1980∼1990년대 강력한 국가 주도 의 디자인 육성기를 거쳐 1990년대 중반 이후 시장개방과 함 께 국내 소비자의 디자인 인식 제고와 수출 증가로 국가경쟁 력 강화의 수단으로 디자인산업 진흥을 추진해왔다. 이처럼 디자인산업 정책은 국가 산업발전 차원에서 산업정책의 추진 목표에 맞춰 산업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왔다는 측면에서 긍 정적으로 평가되며, 동시에 한국의 디자인산업이 짧은 시간 에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4차 산업혁명 이후 급속하 게 변화하는 산업환경에 조응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산업도 그 에 맞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국가 차원의 통합된 디 자인산업 정책 수립뿐 아니라, 디자인전문회사의 엔지니어링 디자인 역량 강화및 민간의 적극적 참여와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정책적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As a part of industrial policy for the past 50 years, Kore a's design industry policy has been established and carri ed out with a focus on government-led design promotion.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literature data on indu strial policy and design industry policy by era for about 50 years from the 1960s to derive the significance and im plications of each period's policy for the design industry. The design industry promotion started in the mid-1960s, went through a strong nation-led design incubation perio d in the 1980s and 1990s, and after the mid-1990s, the de sign industry was promoted as a means of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market opening, raising awareness of design among domestic consumers and incr easing exports. Thus, the design industry policy is evalu ated positively in the sense that it has played a role in supporting the industry in line with the promotion goals of the industrial policy at the level of 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In order to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design industry is also required to change accordingl 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not only to establish an integrated design industry policy at the national level, but also to strengthen the engineering design capabilities of design-specialized companies and to induce active partici pation and investment by the private sector as well.

      • KCI등재

        근 미래 산업디자인의 성공 요인과 창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홍경민 ( Hong Kyung Mi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지금까지의 산업디자인에 대한 일반적 개념에서 탈피하여 더욱 근 미래적인 차원에서 신개념의 산업디자인을 제시할 시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 미래의 산업디자인 방향은 기업경영의 핵심 요소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그것은 산업디자인을 기업경영의 중심축으로 한 디자인경영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의 산업디자인 방향은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하여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산업디자인을 구축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혁신적인 산업디자인은 시대의 흐름과 변화에 따라 그 개념이 보완되고 진보되고 있다. 신개념을 창출하게 되면서 매우 빠른 속도로 산업디자인은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시대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근미래 산업디자인의 성공 요인에 관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그 성공 요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문이라 할 수 있는 창조성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산업디자인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분석한다. 근미래에 예상되는 산업디자인의 성공 요인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It can be said that the time has come to present a new concept of industrial design in the near future by the breaking away from the general concept of industrial design. The direction of industrial design in the near future is rapidly emerging as a key element of corporate management. It is promoting a design management strategy with industrial design as the central axis of corporate management. Therefore, the future direction of industrial design can achieve its purpose by constructing a creative and innovative industrial design to increase corporate performance. The concept of such innovative industrial design is being supplemented and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and changes of the times. Industrial design is changing very rapidly with the creation of a new concep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uccess factors of near-future industrial design that can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time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industrial design is identified and analyzed by studying creativi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uccess facto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uccess factors of industrial design expect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산업집적 단지와 정주여건을 중심으로 사회기반에서 디자인역할과 발전방향

        강필현 ( Philhyun Ka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연구배경 자본주의사회에서 디자인 분야는 시장가치창출에서, 지역사회의 산업과 경제의 문제를 해결하고 발전기 시키는 역할로 확장해야 한다. 대한민국 정부가 그 동안 추진해온 산업과 사회기반 구축 및 발전정책을 분석하여, 디자인 분야의 역할을 고찰해야 향후 지역디자인산업이 지역사회의 진보에 참여 할 수 있다. 연구방법 첫 번째 산업기반은 산업혁명이후 선진국과 대한민국정부가 조성한 산업집적 단지관련 연구 자료들과 법령들을 조사ㆍ비교하여, 지역사회의 관계가치와 파생되는 문제유형 들에 대해 디자인 분야와 연계되는 역할을 정의하였다. 두 번째 도시의 생성과 발전과정에 정주기반의 기능에 대한 문헌들과 산업혁명이후 생성된 도시의 쇠퇴와 발전 과정에서, 지역사회에 유발한 문제들을 조사하여. 디자인 분야의 관련된 역할과 방법을 고찰하였다. 세번째 사회의 진보과정에서 사회적 경제 모델의 필요성과 디자인분야의 역할을 주요 사례로 검증하고, 정주여건과 산업집적 기반을 지역사회의 경제모델과 함께 다루어야 하는 디자인 분야의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한민국사회에서 디자인 분야가 담당해온 역할이 고도화 되고 지속 가능하지 않으면, 사회와 지역산업의 발전은 특정의사결정 체계에 편중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동안 정부주도의 산업육성정책 과정에서 지역사회의 정주여건과 산업기반에 파생된 문제의 회복 과정에 디자인 분야가 참여하는 당위성을 확인하고, 방법과 구조를 제안하였다. 결론 지역산업과 사회기반의 지속 가능한 유지와 발전 조건은 집단 구성원의 참여와 지역의 정체성이 지역사회의 역량의 기반이 되며, 이러한 조건을 촉진하고 증진시켜 실행 모델을 제안 할 수 있는 분야는 향후 지역디자인이 된다. 디자인 분야는 정주여건과 사회적 경제모델을 디자인하고, 실행하는 산업기반을 사회융합생태계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Background In capitalistic society, design field should expand its horizon from creating market value to resolving industrial and economic issues of local community and taking them to a new height. By analyzing policies regarding industry, building societal foundation and development which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pursued so far, the study should go over the role of design field so that communal design industry may participate in progress of local community in future. Methods First, w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data and laws of industrial complexes developed by the governments of advanced countries and the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the role of the design field was defined for issues related to the local community. Second, the literature on the settlement-based function of the second city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cit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considered as related roles and methods in the design field. Third, the necessity of the social economy model and the role of the design field in the development of society were verified as major examples, and the purpose of the design field was to be treated with the settlement conditions and industrial clustering base together with the social economic model. Results Going over how the government has driven industrial progress, the study has found that the design field has good reasons to participate in the resolution of issues caused to living conditions of local communities and industrial foundation, suggesting the method and structure. Conclusi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members and lo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the basis of capacity of local communities as the condition for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local industries and societal foundation, which should be facilitated and promoted to establish local design a

      • 해양산업과 연계한 부산시 디자인산업 정책 방향

        금진우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2 정보디자인학연구 Vol. No.

        디자인 산업은, 국제화의 진전으로 생산 요소와 기업에 대한 정부 통제력과 영향력이 점차 축소되는 가운데, 도시 경제에 중요한 활력소를 제공하고, 도시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시민의 삶을 윤택하게 하며, 사회의 창의력을 배양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의 바탕이자 국가 경제 성장의 원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이유로, 디자인 산업에 대하여 세계 여러 국가와 도시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디자인산업이 후발 개발도상국들이 모방하기 어려운 소프트적 경쟁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자국의 경쟁력을 지속시키는데 유효한 수단임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자인 산업은 다양화되는 시장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전통 제조업의 수익을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 저 생산성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비스업을 고 부가가치 형으로 전환하는데 적합한 수단이 된다. 최근 부산, 울산, 경남 등의 동남권역 지방 정부들도 디자인과 디자인 산업을 지역 전략 산업의 하나로서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부산시는 ‘해양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해양 수도 부산’이란 슬로건을 채택하여 해양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나아가 부산의 미래를 이끌어 갈 10대 전략산업에 ‘해양산업’과 ‘디자인산업’을 포함시켰다. 부산은 해양과 디자인에 관련된 산업체와 대학 그리고 연구 기관이 집적된 곳으로, 해양과 디자인 두 산업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산업 도시이다. 본 연구는, 지방 정부인 부산시가 추구해야 할 해양산업과 연계한 디자인산업 발전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도출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부산시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려는 해양산업과 디자인산업의 융합을 바탕으로 하여, 부산의 디자인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디자인 정책의 방향을, 정책 기구와 조직, 정책 방향, 융합으로서의 해양디자인 등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의 지식재산권 보호

        임남향 ( Im Namhyang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6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0 No.2

        산업화 초기에는 제조업이 산업의 대명사였기 때문에, 산업과 밀접한 산업디자인 역시 제품 자체나 포장 영역에서 발전하였다.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산업디자인의 외연도 확대되고 세분화되었다. 특히, 산업화 초창기에는 알지 못했던 서비스 내지 서비스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서비스디자인이 등장하게 되었다. 서비스디자인은 최근에 등장한 분야로서, 디자인업계나 디자인학계에서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었으나 지식재산권법 분야에서는 법적 보호에 관한 장치가 미흡하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한 산업디자인진흥법은 산업디자인의 하나로 추가하였다. 하지만 지식재산권법 분야를 살펴보면, 현행 지식재산권 관련 법체계에서 서비스디자인의 보호가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서비스디자인의 법적 보호에 관한 장치가 미흡하다. 아직까지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하나로 명확하게 통일하여 정의하기는 어렵다. 선행연구를 고찰한 결과에 따르면,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를 사용자의 경험이나 인식을 통하여 가치 있게 가시화하는 프로세스에 대한 디자인으로 이해된다. 오늘날 모든 산업은 서비스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서비스디자인은 산업디자인의 기존 유형들이 모두 융합된 영역이기도 하다. 따라서 서비스디자인의 영역은 넓어지고 다양해질 것이고, 동시에 많은 이해관계자의 등장으로 법적 보호의 필요성도 커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종류에 관하여 고찰하고, 서비스디자인이 구현된 결과물이나 산출물의 지식재산권에 대한 디자인보호법, 저작권법, 상표법, 특허법, 실용신안법 등을 통한 보호 가능성을 살펴본 다음, 사용자의 경험이 창출되는 과정(프로세스)이나 여정으로서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As manufacturing industry was dominant in earlier stages of industrialization, industrial design, which is closely linked to industries, has also mainly evolved around the areas of manufactured products and their packaging. And industries, which have become increasingly diverse and sophisticated beyond manufacturing, have contributed to the immens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industrial design as well. It is worth noting, in particular, that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services or the service industry previously unwitnessed in earlier stages of industrialization has accordingly given rise to the emergence of service design. Service design, as a newly emerged realm, has drawn intense attention from the design industry and the academia, but legal protections for it haven`t been sufficiently prepared in the area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laws. In this regard, the Industrial Design Promotion Act, which was enacted against this backdrop, has encompassed service design as a part of industrial design areas. Yet, the legal system related to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s not fully provided legal protections for service design, if not none. Service design is yet to be defined more clearly as an all agreed-upon concept. However, preceding studies have found that service design can be understood as the design of processes which enable users to experience and recognize invisible services in a way their worth can be clearly visualized. Since industries and services are inseparable today, the service design itself converges all different types of existing industrial designs. It is foretold, therefore, the service design will expand into a broader and more diversified area, drawing numerous interested parties who will be in a growing need of appropriate legal protections. In this respect,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types of service design and ways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the service design-applied outputs or deliverables under the Design Protection Act, the Copyright Act, the Trademark Act, the Patent Act, and the Utility Model Act. And then, it explores ways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n service design as a process or journey of creating user experience.

      • KCI등재

        정량적 데이터 분석을 통한 디자인산업 분류체계 구축 -해외 디자인산업을 중심으로-

        이양숙 ( Lee Yang Sook ),문은정 ( Moon Eun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디자인산업의 정량적 현황 데이터 수집을 통해 분류체계를 구축하여 현재 디자인산업 및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고 그 함의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한국디자인진흥원의 연구과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9년 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약 8년간이며, 내용적 범위는 해외 각국의 주요 디자인기관 보고서, 온라인 게재자료 및 링크된 광범위한 디자인네트워크들을 추적해 얻은 해외 디자인산업 관련 정량적 자료들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디자인산업(Design Industry)`, `디자인비즈니스(Design Business)`, `디자인경제(Design Economy)`, `디자인정책(Design Policy)`의 4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온라인 검색 및 대량의 경제, 경영 분야의 데이터들을 제공하고 있는 학술데이터베이스 ProQuest ABI 검색을 통해 검색된 자료를 중심으로 하였다. 수집된 총 269개의 자료 중 질적자료, 디자인산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자료들이 자료 검토 및 워크숍 과정에서 제외되었다. 최종적으로 81개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수집된 962개 메타 데이터를 기반으로 총 9단계의 분류체계가 구축되었다. 디자인산업 분류체계는 크게 디자인정의, 디자인가치, 디자인인프라, 디자인정책, 디자인교육, 디자인산업 분야, 디자인산업 전망, 디자인산업 경제적기여, 디자인비즈니스의 9개 대분류로 구분되었고 각 분야들은 세분화되어 9단계로 구성되었다.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디자인비즈니스로, 그 중에서도 내부적 관점에서의 디자인기업, 디자인인력에 대한 데이터 비중이 컸다. 이 대분류를 토대로 디자인산업의 구조를 유추할 수 있는데 디자인산업의 범위 및 의미(Meaning), 디자인산업의 일반현황(General Status), 디자인산업의 발전 및 개선(Development), 디자인산업의 경제적 가치 및 효과(Effect), 디자인산업의 향후 방향 및 전망(Prospect)으로 구분된다. 각 요소들은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미쳐 디자인산업 발전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분류체계 구축의 시발점으로, 향후 지속적인 조사 및 연구에 의한 데이터 보완과 업데이트를 통해 보다 완성도 및 신뢰도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taxonomy by collecting quantitative status data of overseas design industry. Secondly, to grasp the current structure of design industry and business in general and finally analyze its implications. The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project of the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The time range of the research was approximately eight years from January 2009 to July 2016. The scope of the research was quantitative in relation to overseas design industry, which was traced to major design agency reports and materials. In addition, the data was searched and retrieved from online journal ProQuest ABI search, an academic database that provides data on the management field by the four keywords of `Design Industry`, `Design Business`, `Design Economy` and `Design Policy`. Of the 269 data collected, qualitative data and data not directly related to the design industry were excluded from the data review and workshop process. Finally, nine levels of taxonomy was constructed based on 962 meta-data collected from eighty-one documents. The design industry taxonomy was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of design definition, design value, design infrastructure, design policy, design education, design industry field, design industry prospect, economic contribution of design industry, and design business. Among them, design business, which occupies the largest portion among them, was a large portion of data on design companies from the inside viewpoint and designers. The structure of the design industry was inferred based on these major categories; `Meaning` which defined the scope and meaning of the design industry, `General Status`, which indicated the general status of the design industry, `Development`, which was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design industry. `Effect` which meant the economic value and effect of the design industry, and `Prospect`, which indicated the future prediction of the design industry. Each element wa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design industry. This study was the starting point of taxonomy construction, and helped to obtain the more complete and reliable result through data supplement and update by continuou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