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지리수업에서 사고기법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방안

        홍기대(Hong Ki-Dae)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4

        본 연구는 지리교육에서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창의적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자가 제시한 개념을 조사 비교하여 그 개념을 이해하고 적립하였다. 그리고, 창의력의 본질은 확산적 사고력이고 창의력은 지능과 다르며 창의력은 개발할 수 있기 때문에 창의력은 신장 시킬 수 있다. 창의적 사고 기능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과 같은 유형이 있다. 창의적 사고력의 기법으로 사고력을 촉진하는 다양한 기법을 지리수업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Treffinger의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으로 혼란 찾기, 자료 찾기, 문제 찾기, 아이디어 찾기, 해결책 찾기, 수용 찾기 등이 있는데 이를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는 수업 모형에 활용할 수 있다. 끝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안,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수업 사례,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발문수업 사례와 평가계획을 제시하였다. This model of research is for examining and comparing the concept suggested by the preceding researcher about creative concept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ity will be improved, based on the theory that creativity is essentially spreading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is far from intelligence and it can be developed. The function of creative thinking contains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elaboration and so on. Diverse techniques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will be utilized properly in elementary geography teaching. Treffinger’s creative model of problem solving, contains Mess Finding, Data Finding, Problem Finding, Idea Finding, Solution Finding, Acceptance Finding and so 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model lessons which will train creative thinking ability. At the end of the summary, I suggested the proposal of Instruction, the class examples to utilize with creative thinking technique, and the class example of an epilogue to train thinking power.

      • KCI등재

        일상적 문제상황 해결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이해와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류혜숙,김정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4

        본 연구는 일상적 문제상황 해결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이해와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위치한 H어린이집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일상적 문제상황 해결활동은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 주 2회씩 16주 동안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t 검증을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일상적 문제상황 해결활동은 유아들의 수학개념이해와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상적 문제상황 해결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이해뿐만 아니라 사고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a Solution Activity with Usual Problem Situation on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and Thinking Power. The specific education goals for this were to promote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and thinking powe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ying a Solution Activity with Usual Problem Situation, the subjects were 40 5-year-old children attending H day care center.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after execution, mathematical concept and thinking powertests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Using t-test,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ed activities were effective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 and thinking power.

      • 유아 뇌발달 훈련에 따른 뇌기능, 사고력 및 다중지능간의 관련성 연구

        조성제 ( Sung Je Cho ),심준영 ( Jun Young Sh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뇌교육연구소 2011 뇌교육연구 Vol.7 No.-

        본 연구는 만 5세 남녀 유아 90명을 대상으로 뇌발달 훈련에 따른 뇌기능과 다중지능 및 사고력에 대한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집단 선정은 뇌교육 훈련자집단 30명과 뉴로피드백 훈련자집단 30명 그리고 통제집단 30명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별 실험처치는 매주 2회, 1회당 20분식 12주간 훈련을 실시하여 훈련 전과 후의 변인간의 상호 관련성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변인간 관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뇌기능 검사는 뉴로피드백 뇌파측정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사고력은 색채누리행렬검사(K-Raven CPM)를 하였으며, 다중지능은 교사관찰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다중지능과 사고력은 사전,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지능과 뇌기능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묶인 뇌기능 하위요인 BQ1(기초율동지수, 정서지수), BQ2(활성지수, 주의지수 우뇌, 자기조절지수), BQ3(주의지수 좌뇌, 항스트레스지수, 좌우뇌균형지수)중 사전검사에서 BQ2와 BQ3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측정기간의 성숙효과를 배제한 집단별 편상관분석 결과, 뉴로피드백 훈련은 다중지능, 사고력, BQ1, BQ2, BQ3의 편상관관계 측면에서 통제집단과 큰 차이가 없으며, 뇌교육 훈련은 MQ(다중지능지수)와 TQ(사고력지수)의 상관관계를 더욱 강하게 하고 BQ1과 BQ3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기의 풍부한 뇌가소성은 뇌교육 및 뉴로피드백 프로그램의 훈련 특성에 따라 두뇌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brain function, multiple intelligence and thinking power by brain development training (brain education and neuro-feedback) with 90 five-year old children. Groups selected consisted of 30 brain education group, 30 neuro-feedback group and 30 control group. Experiment by each group was conducted for 20 min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12 weeks an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before and after train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Brain function test to measure relevance among variables was measured by neuro-feedback brain wave measurement system, thinking power test was measured by coloured progressive matrices (K-Raven CPM), and multiple intelligence test by teacher-observational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brain function, multiple intelligence and thinking power, multiple intelligence and thinking powe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pretest and posttest. Multiple intelligence and brain func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BQ2 and BQ3 in sub-factors of brain function such as BQ1 (Basic Rhythm Quotient, EQ), BQ2 (Active Quotient, ATQ right brain, Self-Regulation Quotient), BQ3 (ATQ left brain, Anti-Stress Quotient, Left and Riht Brain Balance Quotient) in pretest,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them in posttest. As a result of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by groups excluding maturity effect of pre- and post-measurement period to examine concrete cor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neuro-feedback training had no great difference from control group in the side of multiple intelligence, thinking power, BQ1, BQ2, and BQ3, brain education training strengthened correlations with MQ (Multiple Intelligence Quotient) and TQ(Thinking Quotient) more and relations between BQ1 and BQ3.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ich brain plasticity in childhood can influence the brain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training characteristics of brain education and neuro-feedback program.

      • KCI등재후보

        창의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수-학습 전략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0 사회과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르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우선, 사회과 교육에서 창의적 사고력 신장과 가장 관련성이 깊은 사고 기능을 ‘의사결정과 문제해결’로 보았다. 그리고, 사회과에서 창의적 사고력 육성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으로서, ①의사결정과 문제해결 과정 이해하기 → ②다양한 사고 기법 익히기 → ③사례 분석하기의 3단계 활동을 제안하였다. 그런 다음, 교수-학습 전략에 관련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검토하였다. 우선, 사회과에서 의사결정과 문제해결 능력 육성을 위하여 단위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과정을 ①문제 파악 → ②대안 개발 → ③대안 평가 → ④대안 선택 및 실행계획으로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앞에서 설정한 수업과정에 따른 수업 사례로서 ‘우리 음식의 세계화’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통해 사고 기법을 익히고 문제 사례를 분석하는 활동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up a teaching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s?creative think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 investigated the following contents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First of all, I suggest the decision-making & problem-solving in relation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skill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I set up a teaching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student? creative think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①To understand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 problem-solving → ②To practice thinking techniques → ③To analyze examples. After that, I investigated three stages of the teaching strategy as follows. I set up an instructional process for the problem-solving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①To find out problems → ②To develop their alternatives → ③To evaluate the alternatives → ④To choose good alternatives among them and plan their practice.

      • KCI등재

        문학교육과 사고력(Ⅱ) - 소설을 통한 ‘인간에 대한 이해’ 확장을 중심으로 -

        정은아(Chung, Eun-ah)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지금까지의 ‘문학교육과 사고력’ 연구는 대체로 개론적이거나 원론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떤 문학 텍스트 자료를 통해 어떤 사고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가를 논하여 문학교육과 사고력 연구에 구체성을 부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 연구에서는 ‘시’를 자료로 삼은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 그 중에서도 고전인 체홉과 류노스케의 작품을 그 자료로 삼아 ‘인간에 대한 이해’의 ‘편견성’이 ‘보편성’으로 확장되는 점을 살폈다. 구체적으로 그 고찰은, 첫째, ‘규범’과 ‘상황’의 천착을 통한 이해 확장과 둘째, ‘인물’과 ‘나’의 천착을 통한 이해 확장을 토대로 삼아 이루어졌다. 이는 문학교육의 다양한 사고력 성장의 측면 중 학습자가 작품을 읽고 반응하고 글을 쓰는 과정을 통해 인간에 대한 이해로 확장되는 사고력 범주를 두 가지 토대로 살핀 것이다. 이는 곧 문학교육이 지닌 또 하나의 훌륭한 사고교육적 측면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짚은 것이라 할 수 있다. Until now , the study of ‘literacy education and thinking ability’ was generally introductory or theore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in detail what kind of text can develop the thinking ability. In the previous study, ‘poetry’ was used, and ‘novel’ was used in this study. In this article, we have used the classic novels “I want to sleep” of Chekhov and “Nose” of Ryuunosuke. And the thinking power to improve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responding and writing works is as follows. The bigger direction is the extension from ‘prejudiced’ understanding of humans to ‘universal’ understanding. Specifically, the focus was on expanding understanding through ‘norms’ and ‘situations’ and expanding understanding through ‘character’ and ‘me’. This is another example of a good thinking educational aspect of literary education through concrete examples.

      • KCI등재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 방안 - 알라딘을 중심으로 -

        정해석 ( Cheong Hae-seok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월트 디즈니사가 1992년에 제작한 〈알라딘〉을 소재로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비판적 사고력 신장과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의 연계 과정에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아동들의 시각과 청각을 효율적으로 자극하면서도 별다른 저항감 없이 그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훌륭한 교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알라딘>을 분석하는 과정과 비판적 사고활동을 비교해 보았으며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을 구안하여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개발된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을 4, 6학년 수업에 투입한 결과, 인지적인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자료에 대한 관찰, 자료에 대한 분석, 자료에 대한 평가, 숨겨진 편견과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논리적 탐구 및 추론에서 비판적 사고 활동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의적인 측면에서의 신중함, 명백함의 추구, 지적 열망, 합리적인 태도·객관적인 태도· 내적 일관성을 유지시키려는 체계성, 근거 없이 결론짓기를 유보하는 철저성이 4· 6학년 모든 수업의 분석 과정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의 발전적 적용을 위해, 학년 수준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이 개발되어야 하고, 내용 영역별로 디즈니 애니메이션 활용 학습 지도안들이 구안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draw educatoinal implications from Aladdin produced by Disney co. in 1992 and to grope for learning measures to make good use of Disney animations for the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power. Disney animations and the cultivation of critical thinking power, Disney animations provide children with fantasy, adventure, hope and imagination, where as Disney-style cultural politics and commercial greed tend to put passive consumptive roles before critical thinking power or citizenship. The researcher shed light on a relationship between a process of analyzing Aladdin and critical thinking activities to materialize Disney-animation-based learning programs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class. The survey on the fourth and sixth -grader classes from the angle of cognitive aspects reveals that there were such activities as the observation of materials,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materials, the selection of materials, the various interpretation of one problem, the understanding of hidden prejudice and symbolic meanings in arguments. The survey on the fourth and sixth -grader classes from the angle of emotive aspects reveals that both the graders showed carefulness, pursuit of obviousness, aspiration for knowledge, rational attitudes, objective attitudes, logical consistency and refraining from rushing to conclusion, etc.

      • KCI등재후보

        모의재판을 적용한 대학 <사고와 표현> 교과 수업의 학습효과

        김영학(Kim, Young-Ha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문화와 융합 Vol.38 No.5

        본 연구자는 대학 <사고와 표현>교과의 학습 목표인 사고력 및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모의재판수업을 설계했고, 교실에서 적용해 보았다. 수업을 종료하면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모의재판을 적용한 수업이 토론 위주의 수업방법보다 학습자들의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결과는 학습자들이 모의재판수업을 통해서 변론, 논쟁, 판결 등을 수행한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즉 변론과 논쟁을 거치면서 비판적 사고를, 판결문 작성을 통해 합리적 사고의 과정을 훈련받은 결과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재판 과정을 겪으면서 토론 위주의 수업 때보다 더욱 적극적이면서 심층적으로 사고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designed a moot program to improve thinking power and communication ability as a learning goal of <Thinking and Expressions>, a university program, and applied it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of an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after the class was completed, it was discovered that the class using a moot was effective for developing thinking power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students as opposed to a traditional class. It seems that the moot worked positively through argument, discussion and judgement toward the learning goals. That is, students were trained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through argument and discussion and developed reasonable thinking processes through judgement. In other words, the students thought more scientifically and intensively through the trial process rather than in a discussion-oriented traditional class.

      • KCI등재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창의성 및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김정주(Kim Jeong-Ju),류혜숙(Ryu Hye-Sook)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2

        본 연구는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창의성과 사고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W와 S유치원 만 5세아 원아 4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유치원의 생활주제와 연관된 그림책을 선정하여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으로 교육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생활주제와 연관된 그림책을 들려주고 간단한 토의활동 이외에 그림책과 연관된 추후활동은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에 참여한 유아들이 창의성과 사고력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방법이 유아의 사고력과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using picture books influenced children's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at S kindergarten in G city. For the experiment group,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using picture books on kindergarten life-related themes. The comparison group was provided with educational activities by reading picture books, but no additional activities were conducted except for a brief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between the experiment and comparison groups. This finding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teaching method using picture books could improv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thinking power.

      • KCI등재

        문법교육을 위한 탐구학습 자료 개발 연구

        김홍범 ( Hong Beom Kim )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현행 교육과정은 문법교육의 목표를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에 두고 있지만 앞으로는 문법교육의 목표를 고등사고력 신장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등 사고력의 구성 요소는 탐구력, 의사 결정력, 창조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메타인지로 알려져 왔는데, 이는 탐구학습의 구성 요소와 대체로 일치한다. 따라서 탐구학습자료는 고등사고력의 구성 요소를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 적합하다. 현행 탐구학습은 이론과 실제가 다소 유리되어 있어, 교육 현장에서 실행하기가 무리가 있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탐구학습의 취지를 손상시키지 않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먼저 가설 평가를 도입하여 학습자 중심의 탐구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탐구학습의 효과도 거들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가설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합리적 가설을 선별한 후, 심화 탐구학습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탐구학습 자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탐구학습 모형의 제시가 가능할 것이다. 탐구학습의 목표를 염두에 둔 언어 자료를 제시하고, 제시한 자료에 대한 탐구과제를 부과하였다. The goal of current grammar education is to extend the capability of using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 goal of grammar education has to be set to extend the advanced thinking power from now on. The componenets of advanced thinking power are inquiry, decision making, creative making, 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Hypothesis evolution has to be introduced into inquiry study. Inquiry study becomes effective through the process of hypothesis evolution. It is important to obtain useful materials sufficiently to improve inquiry study. The model of inquiry study can be presented based on the developed materials of inquiry study. The useful materials of inquiry study cover the studies on the following areas: word order, particle omission, word formation parts of speech.

      • KCI등재후보

        글쓰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모형 연구 - 역사의 한 상황을 화제 삼은 토의 및 토론 수행을 중심으로

        김영학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 교양교육연구 Vol.9 No.2

        Writing education is designed to increase a student's thinking power. Therefore, when students can expand their recogni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 world in the process of writing, the peculiar meaning of writing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this context, this writing program used dramatic situations in history which students can sympathize with, and which are easily accessible, and made changes to the classroom environment to allow a wider range of thinking. Gwangju Democratic Movement was presented as a topic with which students could feel and have access to people in history directly and represent a scene from history even roughly. In the <Thinking and Expression 1>, an a required subject in liberal arts at University A, a teaching model with the content presented above was applied to 33 students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is teaching program can contribute to higher thinking power and writing ability. Educational effects and the meaning for the teaching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lained as follows: First, as this teaching model was designed to be easily applied for discussions on history in the writing program, it is suggested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higher perceptions on history and improved critical thinking power.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the teaching model of discussion on a dramatic situation in history is a new and a difficult attempt that has not been made in previous studies. Second, this study also has meaning in that it presented a new model for process-oriented writing which can be applied in university education. This teaching model was designed to have diverse processes in a program to improve writing ability. This study made dynamic interventions in this teaching model as follows: matrix formation, introducing a person's achievements and chang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hrough these interventions, students were led to have less of a burden in writing, and have an interest in it. As students went through this process, they could develop thinking power and their writing ability improved. Third, this program has meaning in that it introduced a ‘discussion matrix’ in the actual classes and verified its educational effect. A ‘Discussion matrix’ is a form where the space of a discussion is visually expressed to converge participants' opinions according to the specific topics and it has been intensively used at jobs and schools for active discussion. However, a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verified its educational effects, this study has meaning in that it confirmed the high educational effect of a discussion program using the matrix.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eachers who feel limits in standardized writing programs to find a more effective method. 글쓰기는 학습자들의 생각하는 힘을 기르게 할 목적으로 실행된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나와 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식 확장을 꾀할 수 있어야 글쓰기 교육 고유의 의미를 살릴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이 공감할 수 있고 다가가기 쉬운 역사의 한 상황을 화제 삼고, 사유의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교실 환경에 변화를 줬다. 그동안 생각만 했던 ‘광주민주화운동’을 화제 삼아 역사 속 인물을 직접 몸으로 느껴보도록 역할을 맡게 하고, 역사의 한 현장을 투박하게나마 재현한 것이다. A대학교 교양필수 과목 <사고와 표현1> 강의 중에 수강생 33명을 대상으로 위의 내용을 골자로 한 교수 모형을 적용한 결과 이 교수법이 글쓰기 능력 신장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필자가 개발한 교수 모형의 교육적 효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이 교수 모형은 역사를 화제 삼은 토론 및 글쓰기 수업을 할 때 쉽게 적용할 수 있게 설계한 것으로, 역사에 대한 인식 확장 및 비판적 사고 능력 신장에 도움되리라 본다. 역사의 한 상황을 포착해 토의 및 토론 수업을 하는 교수 모형은 종래 연구에서 찾기 어려운 새로운 시도이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둘째, 대학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정 중심 글쓰기의 새로운 모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본 교수자는 글쓰기 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는 수업을 하되 ‘매트릭스 작성’, ‘인물 행적을 조사해 조원들에게 소개하기’, ‘교실 환경 바꾸기’ 등 다양한 과정을 거치도록 교수 모형을 설계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글쓰기에 대한 부담을 떨치고 흥미를 느끼며 글을 쓸 수 있게 이끌었다. 셋째, ‘토의 매트릭스’를 실제 수업에 도입해 교육효과를 검증한 점을 의의로 꼽을 수 있겠다. ‘토의 매트릭스’는 토의 세부 주제별로 참석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토의 공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양식으로 최근에 토의 활성화를 위해 직장 및 학교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교육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는 점에서 ‘매트릭스’를 활용한 토의 수업의 교육효과가 높다는 사실을 확인한 점은 성과라 할 수 있겠다. 이 논문의 성과가 고정된 교실에서 정형화된 글쓰기 지도에 한계를 느끼는 교수자들이 활로를 찾는데 도움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