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니메이션 감상을 통한 근대 과학기술 문명 탐구 - 미셸 오슬로의 <세 명의 발명가>를 중심으로

        윤경희,최정윤,박유신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7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9

        This paper attempts a close-reading of Michel Ocelot's short animation film, <Three Inventors> (1979), and proposes it as an available text in art appreciation class for young students. <Three Inventors> stimulates the students' attention and intellectual curiosity thanks to the exotic and fantastic atmosphere, beautiful mise en scene, and intriguing plot. Ocelot's technique of decoupage used in this film rejuvenates both the traditional folk art and Lotte Reiniger's early experiments in the history of animation film. Ocelot subverts the ideal of modern male adult subject as unique possessor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echnology, by adopting a female figure and a young child, who is also female, as main characters. The imaginative and subversive power of animation contributes to creating posthuman beings beyond the homocentric figure of Vitruvian Man. The posthuman condition supposes that human beings have the equal relationship of continuum with not only other humans but also non-human beings like all living things and inanimate matters. In order to teach and learn the posthuman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conceive an interdisciplinary and integrated curriculum including art, science, philosophy, history, and social sciences. Animation film serves excellently as educational text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posthuman. 본 연구는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술 감상 수업을 진행할 때 미셸 오슬로의 단편 애니메이션 <세 명의 발명가>를 교재 텍스트로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이 작품은 우선 이국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 아름다운 이미지, 흥미진진한 줄거리로 인해 학습자들의 호기심과 주의력은 물론 지적 욕구와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 오슬로는 이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오로지 종이 공예만 사용했는데, 이는 전통적인 민속 예술의 명맥을 이으면서 애니메이션의 역사에서는 여성 감독 로테 라이니거의 기술을 부활시킨 것이다. 이 작품은 여성과 아동 인물도 발명가로 설정함에 따라서, 성인 남성만 지식과 기술이라는 인간적 역량의 주체로 간주했던 근대의 인간상을 전복한다. 애니메이션의 상상력은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의 이미지로 표상되는 인간우월주의적 근대인을 넘어서 포스트휴먼을 생성시킨다. 포스트휴먼은 인간이 과학기술, 상상력, 윤리적 실천을 통해 다른 타인들뿐만 아니라 세계 안의 모든 생명체와 무생물 물질과 탈중심적인 평등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를 교수 학습하는 과정에서 예술뿐만 아니라 과학, 윤리, 사회 등 타 교과와의 통합 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애니메이션의 감상은 이처럼 포스트휴먼이라는 첨단의 주제에 당면하여 통합 교과 수업을 수행하는 데 매우 적합한 교육적 방법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조바니 바티스타 피라네시의 델라 만니피첸차(Della Magnificenza) : 고대 로마건축기술에 대한 열망과 환상 그리고 공포

        김정락(Kim Jungrak),조은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0 美術史學 Vol.- No.24

        18세기 중엽 로마의 신고전주의를 선행했던 역사적 사건은 고대 그리스-로마간의 우월논쟁이었다. 빈켈만이나 르루아 등이 중심이 되어 고대 그리스는 미술에 있어서 가장 모범적인 이상으로 설정되었으며, 이와는 반대로 고대 로마미술은 그리스의 퇴행적인 모방으로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이것에 가장 극렬히 저항했던 예술가는 조바니 바티스타 피라네시(Giovanni Battista Piranesi, 1720-1778)였다.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그는 18세기에 가장 뛰어난 판화가로 추앙받고 있지만, 그는 스스로를 항상 건축가로서 지칭하였다. 그의 가계에서부터 이어받은 소질과 열망은 건축에 있었다. 그리하여 그가 제작한 거의 모든 판화는 건축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두 개의 대표적인 판화집을 출간하면서 우월논쟁의 최전선에 뛰어들었다. 『안티키타 로마네 Antichit? Romane』(1756)와 『델라 만니피첸차 Della Magnificenza』(1761)를 출판한 시기는 신고전주의자들에 의해 그리스의 모범을 따르는 새로운 경향이 점차 대세를 이루게 되었다. 이에 반하여 이탈리아에서도 수많은 학자들이 고대 로마미술의 고유성과 자율적인 위치를 알리려고 노력하였으며, 피라네시는 스스로 그를 지원하는 학자들의 대변인이 되어 우월논쟁에 나갔다. 『안티키타 로마네』는 고대 그리스-로마간의 우월논쟁의 포문을 열었고, 『델라 만니피첸차』는 신고전주의자들의 주장에 대한 피라네시의 최종 반론으로 정의할 수 있겠다. 피라네시는 고고학적 경험주의와 과학적 합리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이탈리아 계몽주의적인 학계로부터 역사와 건축에 대한 것을 배웠으며, 이것들을 자신의 주관적인 상상력 속에서 거대한 이슈로 키워나갔다. 그는 외삼촌인 루케시로부터 건축기술에 대한 경험을 얻었으며, 당대의 석학들인 폴레니로부터는 고대 로마건축의 과학적인 성과를 배웠고, 베네치아의 신고전주의 건축이론의 창시자 로돌리로부터는 건축의 현상학적 순수주의를 전수받았다. 그로 인한 첫 결과물인 『안티키타 로마네』에서 피라네시는 고대 로마건축의 우수성을 다양하고 견고한 축조방식과 거대한 토목공학적인 업적에 대해서 선전하였다. 피라네시는 고대 로마건축의 가장 큰 특징인 축조기술의 발달에 접근하였고, 이것은 당시까지 건축에 대한 관념론적인 이론을 극복하고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토목공학의 성과를 고대 로마건축의 본질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대의 다른 건축들과 비교하려고 한 것이다. 피라네시는 기술의 우위를 기초로 하여 미학적인 우위로 주장을 옮겨갔다. 『델라 만니피첸차』에서 피라네시는 르루아와 다른 프랑스의 신고전주의자들이 주창했던 그리스건축의 이상성에 대해 개별적이고 비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그리스건축이 목조건축을 석조로 계승함으로써 건축재의 본질이 현상학적으로 왜곡되었음을 밝혔다. 동시에 이것으로 인해 파생되었던 여러 축성적인 문제들을 제기하기에 이르렀다. 무엇보다도 피라네시는 신고전주의자들이 이론적 근거로 삼았던 비트루비우스의 원리를 재정리하여 로마의 건축이 오히려 더 원리적인 것이며, 건축 미학적인 측면에서도 더 우수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피라네시는 에트루리아의 엄격하고 숭고한 전통을 이어받은 고대 로마건축이 자율적인 것임을 명시했으며, 또한 열악한 자연환경 속에서 이룩한 초인적인 건축유산을 공포에 가까운 경외심으로 재현해내었다. 그의 상상력이 재현한 지하의 구조물이나 내부의 거대한 석조구축물은 동시대에 에드먼드 버크가 숭고미의 특징으로 들었던 여러 조형적 요소들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피라네시는 고대 로마건축의 우수성을 그리스의 우아함에 비견되는 숭고함에서 찾았으며, 이 숭고함은, 피라네시에게는, 환경에 맞선 고대 로마의 건축기술에 의해서 이룩된 것이다.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n Rome, there was a historical incident, so-called 'the quarrel between ancient Greece and Rome' that was ahead of the Neo-classicism. A few scholars like Winckelmann and LeRoy sat up the ancient Greece as the best canon for the art. On contrary the art of the ancient Rome began to be regarded as a regressive imitation. Piranesi was the extreme one of keen Antagonists against that movement. Although from that time till today Piranesi is known as the best printmaker of the 18th century, he called himself rather as architect. Earning from his familiar profession he was almost passionately interest in architecture. Therefore his almost works related with the architecture. With two representative works Piranesi ran in the frontline of the debate. At that time, when he published Antichit? Romane (1756) and Della Msgniticenza (1761), the trend of philhellenism became more and more general. On the other side many italian scholars tried to announce the originality and the independency of the ancient roman art and Piranesi became their spokesperson in the quarrel. Antichit? Romane started with the quarrel and Della Magnificenza was Piranesi's ultimate argument against to the phil-hellenist. Piranesi learned ancient history and architecture from scholars of Italian Enlightenment which was based on the archeological empiricism and scientific rationalism. Piranesi brought up all he acquired to great issue in his subjective imagination. He got the experience about the architectural technic from his uncle Matteo Lucchesi. From Giovanni Poleni, a famous polymath at the time, he learned the technical achievements of the ancient Rome and Carlo Lodoli, a franciscan Monk and a founder of the venetian Neo-classicism, teach him the phenomenological purism of the architecture. Antichit? Romane was the first result from these education and with this work Piranesi propagated the superiority of the Roman architecture which had various and durable methode of building and leaved great achievement of civil engineering. So Piranesi accessed to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al technic that is the best character for the ancient Roman architecture. This opened him new horizon beyond the ideal theories dominated until that time. In other words he define the achievement of civil engineering as the essence of the roman architecture and with this criteria he would compare the other ancient architectures with the roman. For Piranesi the superiority of the technic means the same of aesthetic. Through the Della Msgnificenza Piranesi analyzed critically and concretely the ideality of the Greek architecture which LeRoy and other french Neo-classicists insisted.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he revealed that the Greek architecture was phenomenological distortion of the essence of material by mere inheriting of the wooden architecture in the stone. At the same time he pointed out a few Problems on the architectural construction. Above all Piranesi redefined the architectural principles of Vitruvius, on which the Neo-classicists theoretically depended on, and he qualified the Roman architecture more principal and aesthetically better then the Greek. Piranesi stated through his two opus magnum, that the ancient Roman architecture was born in the lofty and sublime tradition of the Etruscan architecture and therefore authentic. For that object he reproduced the superhuman architectural heritage with awesome admiration. The substructure presented or the hugh stonewall by his imagination accord with many elements which belong to character of the sublime that Edmund Burke mentioned in the same period. Piranesi found the superiority of the Roman architecture in the sublime on contrary to the grace of the Greek architecture. And this sublime, for Piranesi, was established by the technology with which the ancient Roman struggled to the rough nature.

      • KCI등재

        대중매체 속에서의 미술작품 해석과 서술에 대한 고찰: 소설과 영화 <다 빈치 코드>에 나타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장원 한국영상문화학회 2019 영상문화 Vol.0 No.34

        At the quincentenary of Leonardo da Vinci's death this year, he needs to be re-evaluated more than as an artist we would usually think: as an inventor, militarist, armorer, anatomist, botanist, astronomer, musician, cook as he recognized himself. In fact, Leonardo had performed his creation in extensive fields. It is simply proved with his enormous records and sketches in comparison to his completed paintings less than 20 works. Particularly, through his entire life, Leonardo devoted himself to the investigation of many areas in natural science, and attempted to figure out the mystery of human body and life with modern scientific mind and attitude. Insisting confrontational claims against academic results in art historical discipline, however, Dan Brown's worldly best-selling novel and movie, The Da Vinci Code, interprets Leonardo's works as antichristianism. Art works of the past, I believe, should be examined and clarified in the basis on accurate sources and facts. At the 500 anniversary years after Leonardo da Vinci's death, I feel an obligation to research and clarify the genuine facts around art. Since the author’s brand new interpretations on Leonardo’s works are due to the different suggestions of their backgrounds, there are numerous books published to confute the religious faults. Therefore,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Brown’s alleged claims with the “canonical” interpretations of art by reputable art historians. By cracking details of what Brown sta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reach the truths and to serve to those who want to enjoy the genuine truths in art and literature. 올해로 서거 500주년을 맞이하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1452-1519)는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예술가로 흔히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사 실 그는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예술가라기보다는 발명가, 군사전문가, 무 기제조자, 해부학자, 식물학자, 천문학자, 음악가, 요리사 등 실로 광범위 한 영역에서 창의적인 활동을 벌인 일종의 근대적 선각자라고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 그의 방대한 기록들과 스케치는, 20여 점이 채 되 지도 않는 그의 회화 완성작과 비교해보더라도 이 점을 충분히 증명해준 다. 레오나르도는 특히 평생에 걸쳐 자연과학의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가지 고 연구에 깊이 몰두했으며, 인체와 생명의 신비에 대해서도 근대의 과학 적 태도로 접근하고 규명하려고 노력했다. 그런데 소설 다 빈치 코드는 레오나르도의 작품을 반기독교적 도상으로 해석하며, 기존의 미술사 서술 과는 대치되는 주장을 펼친다. 이와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소설의 오류들 을 반박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설이 다루는 주요 작품 중에서 ≪비트 루비우스의 인체비례≫가 갖는 근대과학의 의미와 더불어, ≪모나리자≫ 와 ≪최후의 만찬≫의 도상과 의미 규명을 통해 그의 작품들이 지닌 미술 사적 위치를 재점검하고자 한다.

      • KCI등재

        트랜스휴먼의 형상과 변이로서의 신체 — 김혜진의 「비트루비우스 인간」과 이종산의 『커스터머』

        우미영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4 No.-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and meaning of metamorphosis described in two narratives that deal with physical metamorphosis: the short story “Vitruvius Man” by Kim Hyejin and the novel Customer Lee Jongsan. Both stories are narratives of bodily metamorphosis that illustrate how the instability of the boundaries of various dimensions within the spheres of technological, scientific and cultural discourses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human body. In this context, both stories can be considered to be metamorphosis narratives that are mediated by technology and science. Before analyzing the texts, I discuss the concepts of posthumanism and transhumanism. The figures of the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era have primarily be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post-human; however, there is a wide spectrum of meanings ascribed to the term “post-human.” The “Vitruvius man” and “customer,” who are the literary figures of each respective novel, are the prototypical forms of the transhuman. “Vitruvius man” and “customer” differ in that the former is related to the anxiety of transhumanism and the latter involves the search for the potential acceptance of transhumanism. The “Vitruvius man” and “customer” are based in the theme of the extinction of the biological body and the self-production of the body, respectively. As indicated by the terms “extinction” and “production,” both authors clearly demonstrate that they hold diverging views on metamorphosis mediated by technology. Indeed, “Vitruvius man” gestures toward technological deformity created by anxiety about and fear of genetic engineering, whereas “customer”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escaping from an existing fixed body and identity. Despite these differences, both novels assign the new literary meaning to mutation, which is located on the margins of transhumanism, through the figures of technology and science. The literary figures observed in the fictions of Kim Hyejin and Lee Jongsan represent the transhuman subject that exists in future potentialities. Furthermore, they are also the figure of the posthuman; that is, they are a continuum of the human and non-human. However, their perspectives belong to the present time. This is because their conceptualizations of future figures are based on a very human understanding of technological deformity and mutation; that is, their perspectives are based on “our” present-day, humanist horizon of understanding. In this sense, the two literary figures of “Vitruvius man” and “Customer” are ironic beings who makes us look back critically on the conditions for transhumanism via the figure of the transhuman.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perspectives on post/transhumanism through a series of discussions of both novels. 본 논문에서는 두 편의 소설—김혜진의 단편소설 「비트루비우스 인간」과 이종산의 장편소설 『커스터머』—에 나타난 신체 변형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두 소설은 기술과학 문화 담론의 자장 내에서 인간의 신체 인식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보여주는 신체 변형 서사이다. 텍스트 분석에 앞서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먼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였다. 두 편 소설의 문학적 형상인 ‘비트루비우스 인간’ 과 ‘커스터머’는 일차적으로 트랜스 휴먼의 양상을 띤다. 전자는 유전공학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이 탄생시킨 기술 기형의 상상력을, 후자는 기존의 고정된 신체와 정체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의 영역을 보여준다. 이러한 대비를 넘어 이 두 편의 소설은 기술과학의 형상을 통해 트랜스휴먼의 가장자리에 놓인 돌연변이의 의미를 문학적으로 새롭게 제기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김혜진과 이종산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문학적 형상은 미래의 가능 영역에 존재하는 트랜스휴먼이다. 동시에 이들은 포스트휴먼 즉 인간–비인간의 연속체적 형상이기도 하다. 이들의 시선은 근본적으로 현재적인데, 이유는 이들에 대한 상상이 기술 기형과 돌연변이에 대한 너무도 인간적인, 즉 휴머니즘에 입각한 현재 ‘우리’의 상상력 위에 구축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비트루비우스 인간’과 ‘커스터머’라는 두 문학적 형상은 트랜스휴먼의 형상으로서 트랜스휴먼의 조건을 비판적으로 되돌아보게 하는 아이러니의 존재이다. 두 편 소설에 대한 일련의 논의를 통해 본논문은 포스트/트랜스휴먼에 관한 문학적 시선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서구 요새 발달사 연구

        조두원(Doo Won Cho)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3

        오늘날 전 세계의 다양한 城들은 특정 시대에 국한해 축조된 것 뿐 아니라, 여러 시대에 걸쳐 발생한 지역, 국가 간 분쟁, 전쟁에 따라 각 지형에 순응하고 효과적 공방을 위한 보강과 보완의 과정을 거듭하며 발전해왔다. 본고를 통해 서구를 중심으로 초기 로마제국시대부터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까지 城制발전사를 분석한다. 세부적으로 로마 시대 군사건축가 비트루비우스, 후기 르네상스 시대 바티스타 안토넬리, 바로크 시대 보방과 같은 전문군사건축가의 다양한 요새 축성론과 영향사를 분석한다. 또한 기존에 국내에 알려지지 않았던 이들의 요새건축론이 어떤 방식으로 16 ~ 17세기 유럽을 비롯한 중남미, 러시아 등지에서 발전하는 지 알아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동서양간 城制 상호영향사 연구의 기초 자료의 초석이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를 위한 인류 문명 교류사 정립에 중요 자료가 될 수 있다. There are many fortifications all over the world. They are built not only in a certain period but also in many successive periods. They were developed and well integrated with their confronted nature, moreover, they were reinforced and modified each times in order to defend and attack effectively in line with local conflicts and international wars.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the development history of fortifications from early roman empire era via medieval, renaissance to baroque times centering on the european region. In detail, it is to analyse various theories on the fortification formulated by military architect Vitruvius during early roman empire era, Battista Antonelli during late renaissance and Vauban during baroque times. On the other hand, it is to analyse how those fortification system was developed not only in the european region but also transferred to latin america, south america, russian region etc.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an be a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study on the interchange of thefortification system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futire, moreover, it will help the preliminary study on the‘interchange of human values’ for the UNESCO World Heritage nomination.

      • KCI등재후보

        알베르티의 건축 설계론과 비트루비우스

        조은정 한국미술이론학회 2010 미술이론과 현장 Vol.9 No.-

        Alberti's De re aedificatoria is the earliest case in the history of Italian Renaissance architectural treatises dealing with recovery of antiquity through textual and archaeological pursuits. The key source of the Renaissance theoreticians was Vitruvius' De architectura. However, Alberti was keenly aware of inaccuracy and Hellenization of Latinity in this classical text, and tried to compensate them in his own treatise. Furthermore he claimed a reformed discipline of the architects as well as the patrons, and prescribed how future buildings and cities should be built, based on the proper authority of ancient architecture in proper and intelligible Latin. Such an adaptation of classical usage in order to reestablish a modern norm preceded in his earlier work Momus, a satire on the contemporary Italian society of his own by following the model of Lucian. Alberti's suggestion of proper government in Momus's phrase was expanded in De re aedificatoria, for he consider the buildings are subject to the rules of morality and public interests. He proclaimed that the nature of beauty is the reasoned harmony of every part within a body, and architectural beauty also lies on the harmonized arrangement of all the elements within an individual building and of all individual buildings and facilities within a city. For the architects to execute this task, he formulated the concept of lineanenta, the form derived from the mind in order to prescribe the proper place, numbers, scale, and orders for whole building structure. It is the future oriented city-plans and building designs to serve the public interest and the good of all the individual citizens who make up the City-State that Alberti pursued in his treatise.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인문학적 사고와 글쓰기 교육 방안

        이소연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5 No.-

        Most of lots of classes in respect of through or writing consist of contents related to reflection on individual and human life in the early stage of classes. By the way, it is necessary to seek changes of classes in cultural classes in a university, expecially in classes related to thought and expression, looking into the rapidly changing the phases of the time. This paper, to look into a human character of this era which has become posthuman, examined processes toward humanism, semi-humanism and post humanism from the standpoint of humanistic science.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critical post humanism,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expect new, communal and ethical human beings from the universal standpoint, critically looking for both of utopian and dystopian standpoints, So to speak, a person as reflection on relation and manifold, subjectivity having recognition of self is required to appear. In order to materialize such humanistic reflection through classes, this paper criticized humanism and introduced an activity for anti-humanism utilizing Vitruvius man of Leonardo da Vinci through such a class in humanistic reflection. Continuously, this paper diagnoses post-human era and carried out an activity for reflecting new humanistic identity and otherness of self utilizing the animation <Ghost in the Shell>. All activities ended with 5-paragraph writing including assertive contents. Through the total activity, students distressed themselves about meanings of self and human beings, and also about the duties and roles of man posthuman era has to play and expressed the results in writing. It can be said that all such processes are convergence thinking, and activities including inhumane existence that is not humanities for only human beings and reflection on the relation with such existence. 사고나 글쓰기 관련 수업들은 많은 경우 수업 초반 개인 및 인간 성찰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급변하는 시대상을 살피며 대학의 교양 수업, 특히 사고와 표현 관련 수업은 변화를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는 포스트휴먼이 된 현시대 인간상을 파악하기 위해 휴머니즘, 반휴머니즘, 그리고 포스트휴머니즘으로 향하는 노정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폈다. 특히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 입장에서 과학 기술에 대한 유토피아적 관점과 디스토피아적 관점 모두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범지구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공동체적 윤리적 인간에 대한 전망이 필요하다. 즉 ‘관계’에 대한 성찰 및 ‘다양체’로서의 인간, 자아에 대한 인식을 지닌 주체성이 요청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문학적 성찰을 수업을 통해 구현하기 위해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 인간’을 활용하여 휴머니즘에 대한 비판 및 반휴머니즘으로 나아가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를 활용하여 포스트휴먼 시대를 진단하고 새로운 인간 정체성 및 자아의 타자성에 대해 성찰하는 활동을 진행하였다. 모든 활동의 마무리는 주장하는 내용이 담긴 5단락 글쓰기로 마무리하였다. 전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자아 및 인간의 의미에 대해, 그리고 포스트휴먼 시대 인간이 해야 할 역할 등 나아갈 바에 대해 고민하고 그것을 글로 정립하였다. 이 모든 과정은 인간의, 인간만을 위한 인문학이 아닌 인간-아닌 존재와, 그러한 존재와의 관계에 대한 성찰을 포함한 융합적 사고 및 활동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프란체스코 디 지오르지오 마르티니의 건축 드로잉에 나타난 인체에 관한 연구

        황민혜(Hwang Min-Hye),임석재(Yim Seok-Jae)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rancesco di Giorgio Martini's architectural drawings of 'human analogy' on the basi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with Renaissance Humanism. Most of his architectural drawings are based on Vitruvius's theory. However, there was a gap about 1500 years between Francesco di Giorgio and Vitruvius. There were also mistranslations. For example, He translated Vitruvius's Human in Circle as anthropomorphism It is the difference which is a key also key to understand his drawing characteristics, on which this study will be largely based. His distinctive drawings and architectural theory will be seen in the concept of a priori ; the method of geometric division and the analogy of human body as functions of urban and architectural planning.

      • KCI등재

        괴테와 고딕건축 -「독일 건축술에 관하여」를 중심으로

        이영기 ( Young Ki L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1 No.-

        Seit dem Zeitalter der Renaissance wurde der Begriff ``gotisch`` im Gegensatz zum Klassischen abgeschatzt gebraucht, weil er identisch mit dem Fremdartigen, Barbarischen und Bizarren war. Angesichts der negativen Gotikkritik im Allgemeinen hat England eine Neubewertung gotischer Architekturformen seit dem mittleren 18. Jahrhundert betrieben. Die Neugotik in England ist dann schnell auch auf den Kontinent uberschwappt. In diesem Kontext soll die vorliegende Arbeit Goethes Bewertung der Gotik anhand des Aufsatzes Von deutscher Baukunst(1772) herausarbeiten. Als Schlußeltext des Sturm und Drang ist Von deutscher Baukunst ein Hymnus auf Erwin von Steinbach, den Baumeister von Straßburger Munster. Hier stilisiert Goethe Erwin zum gottahlichen Genie und unterstreicht die Naturaffinitat des gotischen Baues, insofern die Natur das einzige Vorbild fur den Kunstler ist. Und durch seine Polemik gegen die in Vitruvianischer Tradition gelaufige Messbarkeit von Italienern und Franzosen wird ``Gefuhl`` uber dem Verstand angesiedelt. Nicht bloß als gotische Kunst zeigt Straßburger Munster eher als ``deutsche`` Baukunst vor allem die Eigenart der ``charakteristischen`` Kunst, welche Goethe fur die einzig wahre Kunst gehalten hat. Denn charakteristische Kunst kommt nicht "auf fremden Frugeln", sondern lebt von "eigenen Kraften". Nach der Ruckkehr von Straßburg hat seine Abkehr vom Gotischen schon viel fruher als erst wahrend der Erfahrungen in Italien begonnen. Nach der italienischen Reise hat Goethe 1788 in einem mit Baukunst betitelten Aufsatz seine Gotikkritik vor allem archtekturgeschichtlich erforscht. 1795 hat er noch im Aufsatz Von Baukunst versucht, seine Uberlegung zur Architektur uberhaupt systematisch sowie kategorial zu entwerfen. Mit der Gotik und deren Formensprache hat Goethe sich erst durch das Zusammentreffen mit Sulpiz Boisseree wieder beschaftigt, der ihn mit dem Kolner Dom und dem Vorhaben der Vollendung des Riesenbauwerks bekannt gemacht hat. Goethes Verhaltnis zur Gotik zeigt, dass er nun jedes Werk in seinem historischen Kontext betrachtet, ohne doch normative Bedeutung zu verlie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