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 표현특징에 관한 연구

        강박(Jiang Bo),홍관선(Kwan-Seon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최근 몇 년간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기존의 건축양식과 디지털 도구가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건축물을 구현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러한 건축물은 기존의 정형 건축물과는 확연히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다. 디자이너는 비정형 건축물을 구축할 때 다양한 방법이나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여 비정형 건축 형태와 보다 자유로운 건축 형식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비정형 건축형태 특성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첫째, 본문은 비정형 건축물의 외부형태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정형 외부 형태 요소를 고찰하고 통합하여 재구성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비정형 형태의 유형을 분류하는 동시에 비정형 건축형태의 디지털 프로세스 디자인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셋째, 본문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비정형 건축물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 형태 표현의 특징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관련 분야의 연구를 위한 사례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비정형 건축물의 특징과 관련된 분포 법칙과 존재 가치를 모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 기능적 용도의 분포와 결합하여 분석을 전개하였으며, 비정형 형태가 용도별로 건축물에 적용되고, 이러한 형태의 적용 추이를 파악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강화하고자 한 점에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recent years, various types of unstructured buildings have begun to be implemented by combining traditional architectural styles with digital tool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ventional formal buildings. Designers will use various methods or digital tools to complete the unstructured and freer architectural forms when building an unstructured building.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unstructured architectural forms is raised. First, the text was reconstructed by considering and integrating the elements of the unstructured exterior form based on prior research, with the external form of the unstructured building as the main research object. Se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various types of unstructured forms and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designing digital processes of unstructured architectural forms.Third, from 2000 to 2020, the text focused on the study of unstructured buildings and conducted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orm expressions. While providing a case basis for the study of related fields, distribution laws and presence valu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unstructured buildings were sought.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combin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functional use of buildings, and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research in that the atypical form is applied to the buildings by use, and the application trend of this type is understoo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atypical form of buildings.

      • KCI등재

        북유럽 비정형 건축의 건축형태 유형분류에 관한 연구- 네덜란드, 덴마크, 스웨덴 말뫼 중심으로 -

        박상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6 No.-

        While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in the 21th century affects various fields, the paradigm of architecture creates new formative language. various and dynamic space unlike the past, and the form of nature into the space, leading to unique and infinite possibility.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of informal architecture primarily enables the digital formation process to be analyze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design technology, the advent of digital media and advancement and specialization, and secondarily, is expected to establish effective digital tool information system for informal process. The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esents theoretical basemen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ecedent studies focusing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ern European informal architecture. Second, the case form classification of Netherlands and Denmark is done based on the theory of informal architecture, or informal buildings' geometric classification mentioned by Kare Vollers through field study and case study of Northern European informal architecture. Third, the study presents specific explanation on cases and deducts the conclus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rthern European informal architecture through informal architecture form classific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enables the tendency and future direction of informal architecture to be anticipa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ystemic form of recent informal architecture regarding Northern European empirical cases by Kare Vollers tools, its similarity is used almost EX[angle], TR[shear] but a point of difference is convergence between inside and outside of the informal architecture and the study in the future, will be based the data that can also analyze to develop by comparing with Korea's informal architecture. 본 연구는 최근 21세기 과학기술의 발달은 다양한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축의 패러다임에 있어서도 새로운 조형언어를 생성시키고 있음을배경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건축에 있어서 과거와는 구별되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그리고 비기하학적인 형태 및 공간을 창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비정형적 형태의 분류와 분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의비정형 건축형태 분류는 일차적으로 디지털 디자인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디지털 매체의 등장과더불어 고도화, 전문화 되어 디지털 형상 과정을 분석가능하며 이차적으로 비정형 프로세스를 위한 효율적인 디지털도구의 정보 체계 구축까지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유럽 비정형건축의 현황과 특성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둘째, 북유럽의 비정형건축을 답사하고 사례고찰을 통해서 비정형건축의 이론 즉, Kare Vollers가 말한 비정형 건물의 기하학적 분류를 바탕으로 네덜란드, 덴마크의 사례 형태 분류를 한다. 셋째,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비정형 형태 분류를 통하여북유럽 비정형의 특징을 토대로 하여 비교분석을 통해 결론으로 도출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북유럽의 실증적 현황 사례에 관하여 최근의 비정형 건축의 Kare Vollers 형태의 분류를 통해 네덜란드와 덴마크의 공통점은 EX[angle], TR[shear]의 경사면과사선면이고 차이점은 내·부 양면성의 조합과 조형적접근에 있다. 따라서 다변화 비정형에 대응하기 위해서 융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차후 연구되어질 국내의 비정형 건축과 비교하여 비정형 건축의 형태 계보를 집대성하고 방향성 제시하는데 기초적 데이터의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비정형 건축물 공사의 생산성 분석 및 향상방안 - 노출콘크리트 공사를 중심으로 -

        이은영,김예상,Lee, Eun-Young,Kim, Yea-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3

        2007년 독일의 건축 잡지 바우넷에서 선정한 세계 5대 설계사들의 2006 ~ 2010년 설계한 전체 설계 중 25%가 비정형 건축물로, 비정형 건축물은 도시, 국가의 랜드마크로서 그 사회적,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국내 또한 인천세계도시축전 기념관, 킨텍스 제2전시관, 동대문디자인 플라자 등 비정형 건축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 트렌드 및 증가하고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수요에 반해 이를 충족할 만한 비정형 건축 프로젝트의 설계 및 시공 관리 경험 부족으로 인해 비정형 프로젝트는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완공 후에도 많은 문제들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국내 인력의 비정형 프로젝트 수행 경험부족으로 인해 불확실한 공사비 예측, 설계 과다변경 등으로 인해 완공 후에도 품질 문제를 비롯한 공사비 상승 관련 문제들이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비정형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초기 계획은 프로젝트 수행 시 실제와 그 차이가 커 프로젝트 관리 리스크로 작용하지만 아직 비정형 건축물 프로젝트 관련 실적자료나 사례분석 자료 구축은 미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건축물 공사 중 생산성이 낮은 공종을 선정하여 작업 프로세스 분석 및 실제 현장 생산성 자료 분석을 통해 실질적인 생산성 자료 구축 및 비정형 건축물 공사 생산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Global's top five Design Firms selected from BauNetz a German architectural magazine in 2007 designed free form building design which was 25% of the overall design by 2006-2010. Free form building is a landmark of the city and the country so its social and economic impacts are very large. In case of Korea, free form buildings such as Tribowl in Incheon, KINTEX Exhibition hall 2 and Dongdaemun Design Plaza have increased. However, those the increase in design trends and, the needs due to the lack of free form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experience, free form building projects can't be expected to profitability and have a number of problems after completion. Especially, there are many excessive quality problems and the rising cost due to design changes frequently and lack of experience and data. Thus an initial plan regardless of considering of free form building's characteristics can be a huge risk because of the difference with the plan and actual projects, yet there aren't free form building project's performance data and case studies related to productivity. In this study, through selection of low-construction productivity works and an analysis of the work process and productivity data, hope to propose an actual field productivity of free form building and the ways to improve productivity.

      • KCI등재

        비정형 건축시설물 및 공간에 대한 사용자 행동에 관한 연구

        김효진,박지민,이향선,이윤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최근 비정형 건축물 및 건축공간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비정형 건축물의 사례를 쉽게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건설된 대표적인 비정형 건축물에서의 사용자 행위를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여 비정형 건축공간에서의 인간행동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비정형 건축공간 설계의 거주 성능 검토를 위한 인간행동 시뮬레이션 기술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결과는 이를 위한 사용자 행위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선행연구들에서 비정형 건축공간에서 어떠한 행동적인 특징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조사나 분석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간행동 시뮬레이션 도구에서 간과했던 비정형 건축공간에서 인간행동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즉, 대표적인 비정형 건축물을 현장방문 및 조사하여 전형적인 공간과 다른 비정형 건축물에서의 사용자 행동을 조사하여 다른 행동이 나타나는 곳과 행동을 도출하였다. Recently, social demands on atypical buildings and building spaces are increasing, and examples of atypical buildings are easily seen in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r behaviors in the typical atypical buildings currently constructed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 in the atypical building spac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human behavior simulation technology for reviewing residential performance of atypical building space design,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user behavior modeling and simulation technology developmen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find an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what behavioral characteristics occur in the atypical building space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 in the atypical architectural space that has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human behavior simulation tools. In other words, the site visits and surveys typical atypical buildings to investigate user behaviors in typical spaces and other atypical buildings.

      • KCI등재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의 비정형 건축 디자인에서 인간행동 재현이 창의적 발상에 미치는 영향

        이윤길(Yun Gil Lee)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비정형 공간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차 증대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공간에 대한 사회의 요구는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디자인하기 위한 Rhino와 같은 도구의 활용은 학교는 물론 실무에서도 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자인 결과물 및 과정은 자칫 인간행동에 주는 편리함이라는 건축의 근본적인 가치를 간과하는 상황을 초래하기도 한다. 오히려 비정형 건축공간은 기존의 건축물에서와는 다른 인간행동이 나타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편의뿐만 아니라 안전에도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교육적인 측면에서 비정형 건축 디자인 과정은 새로운 건축형태의 생성에 유익하다. 그러나 학생은 물리적인 형태로 규정되는 인간행동에 대하여 고려할 수 있어야 형태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 우수한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다. 인간행동에 대한 고려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설계과정 중에 사람형상의 이미지를 사용하곤 하는데 비정형 건축물의 디자인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는 없다. 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설계에서 인간행동 재현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것이다. 즉, 비정형 건축설계 과정에서 인간형상의 재현이 창의적인 발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77명의 학생이 다양한 인간형상의 이미지를 자신의 비정형 디자인에 배치하고 배치 이전과 이후의 설계결과물을 각각 산출하게 하였다. 또한, 각 결과물을 비교하면서 설문에 참여하고 설문을 통계적인 수법으로 분석하여 인간행동 재현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인간형상의 재현을 통하여 설계자는 더욱 결과물의 유용성/합리성에 대하여 확신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발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 및 편의에 대하여 더욱 검토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The social demand for the atypical space is gradually increasing. The demand of society for new space is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and the use of tools such as Rhino for designing them is increasing in the school as well as the practice. However, such design outcomes and processes often overlook the fundamental value of architecture, which is the convenience of human behavior. Rather, atypical architectural spaces can show different human behaviors than existing buildings, and this is an important issue that directly affects safety as well as user convenience. From the educational standpoint, the atypical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is beneficial to the creation of new architectural forms. However, students must be able to consider human behavior as defined in physical form, so that they can design not only types but also spatially superior buildings. For the consideration of human behavior, the image of a human figure is usually used during the design process, but the effect of the design of the atypical building has not been elucidated in detail.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 of human behavior representation on irregular architectural design.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human figure on the creative idea in the irregular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was analyzed. In the study, 77 students placed images of various human shapes in their atypical designs and calculated the design results before and after placemen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results of human behavior by analyzing questionnaires by statistical method. Through the result of the study, it is analyzed that the designer can more sure about the usefulness / rationality of the result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human figure, can discover various functions, and can review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the user.

      • KCI등재

        비정형 구조물의 시공성을 고려한 3차원 디지털 설계 최적화 프로세스

        류한국,Ryu, Han-Gu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5

        Nowadays the widely used media in architecture include visualizations, animations and three-dimensional models. 3D digital methods using active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and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imaging have been developed for accurate shape and 3D measurements in freeform buildings. In contrast to a conventional building using auto CAD system and others, the proposed digital optimization method is based on a combination of 3D numerical data and parametric 3D model for design and constructio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herefore to present digital optimization process for constructability of freeform building. The method can be useful i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n error-proofing process of freeform building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3D digital coordinate data can be used effectively to identify correct size of structural and finish members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each members in construction field. In addition, architects, engineers and contractors can evaluate design, materials, constructability and identify error-proofing opportunities. Other project participants can also include representatives from all levels of management, departments as well as workers and key subcontractors' personnel, if necessary. The 3D digital optimization process is therefore appropriate to serious variations in freeform shape. For future study, the developed digital optimization method is necessary to be carried out to verify the robustness and accuracy for constructability in construction field. 최근 상당기간과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이 새로운 기술로 구현되고 있다. 이는 비정형 건축물의 최적화 설계와 부재화를 통한 공장 생산 시스템과 현장 조립 및 설치 기술로 가능하다. 비정형 건축물의 구현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비정형 건축물 시공은 설계오류와 시공자의 도면이해 부족, 시공경험 및 공법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시공 품질과 공기, 공사비 증가 등의 잠재적 리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비정형 건축물의 시공품질 향상과 공기단축 및 시공비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3D 디지털 설계와 제작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형 구조물의 시공성을 고려한 3차원 디지털 설계 최적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비정형 구조물의 구조검토,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에 의한 부재의 정밀제작, 설치, 시공의 오차관리로 최적 시공의 근간이 되는 비정형 건축물 외피 시스템 구현을 위한 최적화 설계 프로세스를 제시한다.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을 구현한 사례를 살펴보고 디지털 설계 프로세스와 적용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비정형 건축물의 설계도의 3D 디지털 데이터 구축과 디지털 최적화 구현 사례로 4대강 대표 물문화관(The ARC)을 중심으로 설계단계에서 적용된 최적화 기법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3차원 좌표제어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

      • KCI등재

        박물관의 비정형 건축형태와 중심공간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상준(Sang-J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박물관 건축의 작품 중 특별 전시의 기능을 제외한 상설전시가 주를 이루는 박물관을 중심으로 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나타난 정형, 비정형, 세그먼트, 사선형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164건의 작품사례에 적용한 결과 건축형태를 비정형, 정형, 반정형, 세그먼트, 사선형, 선형으로 재분류 하고, 박물관 건축 형태와 중심 공간과의 상관성의 유무를 유추함으로써 비정형 건축형태와 중심공간과의 관계가 성립하는가를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이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적으로 대부분 비정형박물관건축형태와 일치하는 중심공간의 비정형 형태로서 92.7% 분포도를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반적으로 박물관 비정형 건축형태가 다수 나타났으며 정형보다는 비정형 건축형태에 있어서 중심공간과의 상관성이 성립되는 것으로서 향후 박물관 건축형태는 비정형이 지속적으로 발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중심 공간 실내건축 설계는 건축형태와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설계를 지향하는 기초적 근거자료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useums mainly holding permanent exhibitions except for the function of special exhibition in museum architectural works.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possibility to establish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form and central space of museums, by applying the forms like formal form, informal form, segment form, and diagonal form shown through a case study to total 164 work cases, reclassifying the architectural form into informal form, formal form, semi-formal form, segment form, diagonal form, and linear form, and then analogizing the matter of cor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form and central space of museums. The relevant conten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most of the central spaces according with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were the informal form, which showed 92.7% distribution rate. overall, there were many cases of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Compared to the formal form,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showed the higher correlation with central space. The informal architectural form of museums is estimated to be continuously developing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basic data aiming for interior architecture design b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central space and architectural form.

      • KCI등재

        초고층 건축물의 비정형 입면디자인 요소 및 구조시스템

        정경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5 No.4

        As the demand for high-rise buildings increased, the standardized box shape was converted into a new trend of atypical shape. In this study, 50 cases of atypical skyscrapers with a scale of 200m or more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n order to explore the design trends of future atypical skyscrapers through various cases of atypical skyscrapers constructed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structural system according to the atypical form of the high-rise building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typical forms of current high-rise buildings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application in the order of Taper, Curve, Twist, Free-Shape, and Folding eleme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lication frequency of the structural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Outrigger Frame, Shear Walled Frame, and Diagrid Frame systems were applied in the order.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he tendency of structural systems with relatively high application frequency from atypical facade design elements. 초고층 빌딩의 수요가 높아질수록 획일화된 박스형태는 비정형 형상이라는 새로운 경향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국내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해외 사례에 비해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건설되는 다양한 비정형 초고층 빌딩 사례를 통해 향후 비정형 초고층 건축물의 디자인 경향을 모색하고자 200m 이상의 규모를 갖는 비정형 초고층 건축물을 50건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초고층 건축물의 비정형 형태에 따른 구조시스템 적용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초고층 건축물의 비정형 형상은 Taper, Curve, Twist, Free- Shape, Folding 요소 순으로 적용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정형 형태 요소별 구조시스템의 적용빈도를 분석한 결과, Outrigger frame, Shear Walled Frame, Diagrid Frame 시스템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비정형 입면디자인 요소로부터 상대적으로 적용빈도가 높은 구조시스템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현대건축의 비정형형태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상호관계분석에 관한 연구

        박상준 ( Sang Ju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건축의 전반적인 형태변화는 디지털패러다임의 영향으로 위계적 형태의 질서를 거부하고, 유기적이며 자유로운 형태를 지향하는 비정형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디자인도구역시 시대와 형태의 유형변화에 따라 발전하고 있으며, 건축을 포함한 형태이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함께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정형형태의 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상호관계 분석을 통해, 다양한 비정형형태의 유형분류와 디지털디자인도구 활용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의 비정형형태와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와의 상호관계까지만 설정하였으며, 실제 형태구축의 적용에 관련한 연구는 후속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비정형 관련 연구는 대다수 Parametric, NURBS, 외피구성에 따른 비정형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형태생성을 위한 디자인도구 활용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비정형형태와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비정형형태를 Extrude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와 여러 유형으로 분석하여 라이브러리화 하였으며, 비정형형태유형은 2,3장에서, 비정형형태유형과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의 관계는 3장에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비정형형태의 유형분류를 바탕으로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와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하여 디자인도구의 명령어를 2D, 3D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이러한 상호관계 설정을 바탕으로 디지털디자인도구 명령어 규칙의 조합을 통한 현대건축의 다양한 비정형형태 생성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general conformational changes of architecture refuse the order of hierarchical form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paradigm, and develop atypical form aiming at organic and free form. In accordance with this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a study on use of digital design Commands and type classification of various atypical forms through an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types of atypical form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In addition, the range of this study sets up the interaction between atypical form of architecture and command language of digital design Commands, and the study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actual form-build will be consistently researched through follow-up studie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informal forms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this researcher analyzes informal forms in various types including Extrude and put it in a library. In chapters 2 and 3 are described informal forms, and in chapter 3 is classified the relations between informal forms and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To establish their relations with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informal forms, this study divides design tool commands into 2D and into 3D, defines them, and establishes their correlations. As the result, this study tries to combine the rules of digital design tool command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variety of informal form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 KCI우수등재

        맞춤형 커튼월 패널의 꼭짓점 좌표데이터 전이를 통한 BIM 형태 구축 프로세스 모델 연구

        고성학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ing methodology through the exchange of coordinate data of a three-dimensional customcurtain wall panel between Rhino and Revit, an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model implemented in the drawing. Although the modelingmeans and method are different, a fundamental principle is that all three-dimensional modeling begins by defining the position of the points,the most primitive element of geometry, in the XYZ coordinate space. For the BIM modeling methodology proposal based on this geometrybasic concept,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points of Rhino and Revit programs are identified, and then BIMimplementation process model is organized and systemized through the setting of the interoperability process algorithm. The BIMimplementation process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1) Modeling and panelizing surface into individual panels using Rhino andGrasshopper; (2) Extraction of vertex coordinate data from individual panels and create CSV file; (3) Curtain wall modeling through AdaptiveComponent Family in Revit and (4) Automatic creation of Revit curtain wall panels through API. The proposed process model is expected tohelp reduce design errors and improve component and construction quality by automatically converting general elements into architecturalmeaningful information, automating a set of processes that build them into BIM data, and enabling consistent and integrated designmanagement. 비정형 건축물의 BIM 구현에 관한 연구는 계속 진행되고 있으나,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와 외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형상의 패널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노와 레빗간의 3차원 맞춤형 커튼월 패널의 꼭짓점 좌표데이터 교환을 통한 비정형 건축물의 형태 구축의 모델링 방법론 제시와 더불어 도면생성에 있어 구현된 모델의 유효성 검토를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모델링 기반이 다르다 하더라고 공통된 원칙은 모든 3차원 모델링은 XYZ 좌표 공간에 기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인 점의 위치를 규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점에서 출발하며, 라이노와 레빗 프로그램의 점과 연관된 특성 파악을 통해 비정형 BIM 구축 프로세스 모델을 체계화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BIM 구축 프로세스 모델은 1. 라이노와 그래스호퍼를 이용한 모델링 및 개별 패널화, 2. 개별 패널의 꼭짓점 좌표데이터 추출, 3. Adaptive 컴포넌트 Family를 통한 커튼월 모델링, 4. 데이터 매칭을 통한 레빗 커튼월 패널 자동 생성의 4단계로 구성된다. 제안된 프로세스 모델은 비정형 건축 설계단계에서 생성된 비정형 객체들을 건축적으로 의미 있는 건축 정보로 자동변환하고, 이를 BIM 데이터로 구축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자동화함으로써 비정형 건축 설계 데이터 구축에 대한 설계 시간을 감소할 수 있으며, 설계 데이터에 대한 일관성 있는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하여, 설계 오류를 감소시키고, 부재제작 및 시공의 품질을 높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의 비정형 형태 매스에 외피 패널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모델 연구로 기하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점, 선, 면이라는 기본 개념에서 출발하여, 각각의 프로그램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BIM 데이터 구축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