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래염분 추정기법에 대한 해석적 연구

        박동천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추계

        해안가에 건설되는 구조물 표면은 해풍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해풍에 섞여 날아오는 염분이 건축물 외부에 흡착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부로 확산·이동하게 되어,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부식하게 된다. 따라서, 해안가 구조물의 비래염분에 대한 열화 예측을 보다 정확하게 조사하기 위해서는 실환경하에 작용하는 기상요인, 지형, 구조물의 형태 등 대상지역의 다양한 조건을 정밀하게 반영하여 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풍향, 풍속, 온도, 습도등의 다양하게 변화하는 기상요인에서 각 요인에 따라 발생되는 비래염분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실험인자에 따른 지속적인 실험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래염분 포집기 개발 및 인공비래염분 발생장치(이하, 인공장치) 개발과 장치 성능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기초 실험 실시에 목표를 하였고, 또한 개발된 비래염분 포집기를 실 환경에 설치하여 각 실험인자에 따른 실환경에서의 비래염분 포집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후풍의 영향을 배제한 다방향 비래염분 포집기 개발과 비래염분 포집에 관한 연구

        박동천,안재철,김우재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1 No.6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해 내구수명 산정을 위해서는비래염분량 평가가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도 국외에서 개발된 포집기를 주로 사용해 왔으나 포집기 자체의결함으로 포집 정확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일어왔었다. 본 연구 결과 기존의 포집기는 후풍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어 실제 포집기를 통과하면서 거즈에 부착된 비래염분은 후풍의 영향에 의해 이탈되어 포집량이 낮게 평가됨과 동시에방향성, 즉 남쪽에서 불어오는 비래염분도 북향하고 있는포집기에 포집되어 방향에 대한 구분이 없어지는 현상을 해석적, 실험적으로 규명하고, 문제해결형 개량형 포집기를개발하였다. 또 해안지역에서 실측에 사용하여 높이별 비래염분량 측정과 동시에 포집기의 성능검증을 실시하였다. Evaluation of the amount of chloride ion coming from the sea is very important in assessing the life expectancy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Developed in Japan, the incoming salt collector has been used to this day. Unfortunately, the incoming salt collector has had a bad reputation, which is caused by backward wind. Backward wind causes a reduction of the amount of salt collected in collector's gauze. The collector was developed to eliminate the effect of backward wind. Simulation test in the laboratory and site measuremen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incoming salt according to the height. The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analytic and experimental methods.

      • 서해안 비래염분에 의한 콘크리트 내 염화물 침투량 분석

        민지영 ( Min Jiyoung ),이종석 ( Lee Jong 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4 No.1

        콘크리트 내부 염화물 침투량에 미치는 해상 비래염분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5년간 서해안 지역에서 옥외노출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물-시멘트비를 가지는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한 다음 10~5,000m 해안거리에 위치시켜 대기중 비래염분량 및 시험체 깊이별 염분량을 측정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용이성을 위하여 거듭제곱 및 선형모형을 사용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로부터 서해안 비래염분 환경조건에서 표면염분량 및 침투염분량을 예측할 수 있는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비래염분량을 통해 선제적으로 비래염분에 의한 염해에 대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해상 강교량 도막 표면의 부착염분량 분석

        김기혁 ( Kim Gi-hyeok ),최영택 ( Choi Young-taeg ),정영수 ( Jeong Young-soo ),김인태 ( Kim I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해상 강교량은 특성상 혹독한 부식환경에 가설되어 있으며 장기간 공용중인 강구조물의 경우 염분에 의한 부식손상과 도막노화로 구조물의 정기적인 보수도장이 필요하다. 또한 부식손상과 도막노화, 온습도, 비래염분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된다. 하지만 도막표면에 부착되는 염분량은 비래염분량의 영향뿐만 아니라 구조형식 및 강우 유무에 따라 변화하게 되며, 해상강교량에서 12개월간 도막표면에 부착되는 염분량을 측정 하였다. 그리고 구조형식에 따라 누적 부착염분량의 차이로 도막노화 및 부식손상의 속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보수도장을 위한 의사결정 과장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해상 강교량의 비래염분과 부착염분 특성 평가

        정영수 ( Jeong Young-soo ),박광명 ( Park Kwang-myeong ),김인태 ( Kim In-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해상 강교량의 부식 내구성은 대기중에 포함된 염분량의 평가는 부식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강교량의 도막 노화에 의하여 방식기능이 저하되며, 염분 및 수분이 도막표면에 부착하여 부식에 의한 두께 감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 강교량의 유지관리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12개월간 기후조건과 구조형태 및 위치에 따른 비래염분 및 부착염분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 해안지역 장기재령 건축물의 특성과 비래염분 함유량에 관한 조사 연구

        박정은,김지현,이재용,이수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The following research has taken place from the buildings' that has been there between 20-40 years, located near the coastal areas and its level of flying salinity and effect elements are classified into its standard level, distance/range level, material level, direction level, region level, floor level and actual distribution of salinity content has been found. The buildings that are situated within 600m of the coastal area, which are ready to be demolished in Busan City, Nam-Gu, Su-young and Hae-woon-dae, such as apartments, hotels and long-term aged has been selected for the core test. From these selected buildings the core testing samples were drawn, an abscission took place in the interval of 10mm to 50mm depth from the surface and the following has been found from the each salt content level. From the selected 51 core test samples, the salinity level has been analysed and its result indicated that 14 samples (27%) fits under the regulated standard level of salt content of 0.3㎏/㎥ for the iron concrete, 8 samples (16%) leveled from 0.3∼0.6㎏/㎥, and the remaining 29 samples (57%) indicated fairly high level of 0.6∼5.5 ㎏/㎥ in salinity content level. And the salt content level from 20∼200m distance was at an average of 1.63㎏/㎥, and at 200∼600m distance showed 0.46㎏/㎥ salt content level, which indicates an obvious difference. The most suitable finishing material could be exposed concrete material and exposed finishing which indicated almost 2.0㎏/㎥ difference.

      • KCI등재후보

        해안지역 RC조 장기재령 건물의 비래염분 침투와 내부 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승철,김지현,이재용,이수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9 No.3

        The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absorption of flying salinity and internal distribution into the concrete of the buildings aged 20 to 40 years in a coastal district through the tests. The buildings subject to sampling for the test includes apartment and hotel buildings located within 500m from the seashore in the area of Nam-Gu, Suyeong-Gu and Haeundae-Gu in Busan. Those old buildings were mostly planned to be rebuilt or demolished. The core specimens were taken from the buildings, and were cut into 10㎜ and 50㎜ in depth and soluble salinity contained in concrete specimen were measured. The results are follows. (1) An average content of salinity contained in the specimen taken at the survey area was minimum 0.09㎏/㎥ and maximum 5.55㎏/㎥, which had a wide range of distribution. Viewing the content by specimen, the specimen at 10㎜ depth taken from the P-building contained as much as 13.17㎏/㎥, indicating the highest level among the specimens. (2) Among 51 specimens, 14(27%) were within the allowance of 0.3㎏/㎥ and 8(16%) were in 0.3㎏/㎥~0.6㎏/㎥, while remaining 29(57%) were in the range of 0.6㎏/㎥~5.5㎏/㎥, which was regarded a high level of salinity content. (3) The content of salinity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distance from the seaside, age and coating type of building, and the content of salinity has been increasingly growing as long as the building exists. (4) In comparing the ratio of salinity distribution

      • KCI등재

        강재마감별 부식개시 임계 비래염분량 및 부식속도 평가

        조규환,임명현,박동천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5 No.2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irborne chlorides that can weaken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concretestructures due to the corrosion of steel materials, but most of the studies have aimed to examine weathering byexposing various construction materials to the actual oceanic environment. However, with the exposure test, it wasdifficult to find the threshold of precise corrosive amount of airborne chlorides due to diverse deteriorating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ltraviolet ray, acid rain, floating material from industrial pollution as well as airbornechlorides. Therefore, in this study, an airborne chloride simulator was set up, in oder to conduct a corrosionaccelerating test for steels coated by five different finishing materials. A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orrosion beganto be observed at 0.58~0.73mg/dm2 for no-coated steel, at 7.89~8.46mg/dm2 for urethane-coated steel, at 57.95~69.48mg/dm2 for red lead-coated steel, and at 80.73~89.35mg/dm2 for stainless-coated steel, respectively. Hence, thesespecific data can be considered as the threshold ranges of corrosion for each coating material for steel. 실환경에서는 비래염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산성비, 산업공해 부유 물질 등의 여러 가지 복합 열화요소에 노출되어 있어 강재가 발청(發錆)하는 임계 비래염분량을 찾기에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래염분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비래염분 부착량을 조절하였으며 강재마감별 5종을 대상으로 부식촉진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결과 NC, UC, RLC-1, SS201에 각각 0.58~0.73,7.89~8.46, 57.95~69.48, 80.73~89.35mg/dm2 의비래염분량을 부착시켰을 때 발청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청 후 부식속도는 각각 1.60, 0.36, 0.97,0.17로 NC가 가장 빠른 부식속도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