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화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가격 수준이 소비자 지각과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준석(Kim, Joon Seok),최호림(Choi, Ho-Rim)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째,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가격이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의 그 영향력에 대한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한다. 둘째, 브랜드 인지도가 높고 낮은 경우 또는 지각된 가격이 높고 낮은 경우, 요인 간의 영향관계가 동일한지를 알아보았다. 부가적으로,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가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여 기업이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가격 전략을 구사할 때 직접적으로 구매의도를 높이는것이 효율적인지, 중간 매개의 다른 요인들을 활용하여 총 영향력을 높이는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사전조사를 통해 2개의 스포츠화 브랜드와 2개의 지각된 가격이 선정되고 20~40대 남녀 560명으로부터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가격이 높고 낮음에 따라 지각된 품질, 지각된 위험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의한 실증분석 결과 첫째, 스포츠화의 브랜드 인지도는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위험에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화의 지각된 가격은 지각된 품질과 지각된 위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구매의도에는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품질은 지각된 위험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위험은 구매의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가격이 높고 낮은 경우에 요인 간의 영향관계는 동일하지 않다는 사실을 확일 할 수 있었다. 이는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가격이 높고 낮음에 따라 요인 간에 영향관계가 상이하기 때문에 자사 브랜드의 상황을 고려한 마케팅 전략수립 및 실행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인지도와 지각된 가격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와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인지도는 구매의도에 직접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때 더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지각된 가격은 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때 더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price of sport shoes on the perceived quality,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Also, we testify if influences of variables are same when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price are high or low. From the pilot tests, two brands(Nike and K-SWISS) and two prices(150 thousand won and 50 thousand won) of sport shoes are selected. Data are collected from 343 male and 269 female aged between 20 and 40 years. Results are shown that the brand awareness positively influences on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and negatively influences on perceived risk. The perceived price positively influences on perceived quality and perceived risk and negatively influences purchase intention. The perceived quality, in turn, negatively affects the perceived risk and positive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The perceived risk negatively influences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influences of variables are not same when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price are high or low. Therefore, it is needed to set up and practice strategies concerning the situation of brand. Finally, in comparing direct effect with indirect effect among them in the model developed, we conclude the followings: The direct effect of brand awareness to purchase inten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indirect effect of brand awareness to purchase there is the brand awareness to purchase intention. Thus, it is suggested that when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them work together, the effect of brand awareness to purchase intention is expected to be doubled up. In terms of perceived price to purchase intention, the direct effect is bigger than the indirect effect.

      • KCI등재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허정호(Huh, Jung-Ho),우종필(Yu, Jong Pil)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2

        오늘날 소비자의 욕구는 한층 다양화되고, 끊임없이 새롭게 변화하고 있다. 이렇게 수시로 변화하는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기업은 브랜드의 품질 측면뿐만 아니라 소비자와의 관계형성에도 중요하게 관심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요즘 들어 기업이 소비자와 관계형성 중 장기적인 경쟁적 우위를 위해 가질 수 있는 방안으로 소비자의 일치성이 부각되고 있다. 기업의 입장에서 소비자의 일치성을 잘 활용하면, 강력한 브랜드 구축과 마케팅전략의 핵심을 이루는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어 강력한 마케팅을 통한 매출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학문적으로도 소비자와 제품의 기능적 속성과 관련된 ‘기능적 일치성’이나 소비자의 자아와 제품의 적합성과 관련된 ‘자아 일치성’등에 관한 연구들이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에서 많이 언급된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매력성, 환경성, 청결성, 공간성)등 다양한 외생변수가 자아 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매개변수가 다시 구매의도(재방문의도, 구전의도, 전환의도)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설정 한 후, 커피전문점을 찾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 후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와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매력성, 환경성, 청결성, 공간성)은 자아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브랜드 인지도, 물리적 환경(매력성, 환경성, 공간성)이 기능적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지각된 서비스 품질, 물리적환경(청결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자아 일치성과 기능적 일치성은 구매의도인 재방문의도와 구전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전환의도에는 부(-)의 방향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위의 결과 내용을 바탕으로 커피전문점의 브랜드 인지도 와 지각된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의 요인들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유발하는데 기능적 일치성 보다는 자아일치성이 중요한 영향요인이 되고, 타켓고객의 자아 이미지에 맞추어 브랜드 이미지의 개성창출과 제품에 대한 일치성을 창출하는 것이 주요 차별점이 될 수 있다는 마케팅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on congru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Korean coffee shop.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w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play mediating roles between congruity and purchase intention on focusing on coffee shop.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which consists of several constructs. In the model,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servic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was proposed to affect the congruity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coffee shop.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4 coffee shop customer in order to test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measures of each construct.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with reliability test with Cronbach's α warranted unidimensionality of the measures for each construct. In addition,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of each construct was warranted from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liablity analysis, path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8.0 and SPSS Win/PC 18.0.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appeared as follow: χ²=130.591(df=18), p=.000, GFI=.946, AGFI=.802, CFI=.949, NFI=.942, IFI=.950, TLI=.844, RMSEA=.128. Since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demonstrated a good fit, we could further analyze our data.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brand awar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gruity. Secondly, perceived service quality had a positively effect on self-congruity, but had not a direct effect on functional congruity. Thirdly, physical environmental(attractiveness, environment, interior cleanliness, spatiality)had a positive effect on self-congruity, but physical environment on interior cleanliness factor had not a direct effect on functional congruity. Fourthly, self-congruity and functional congruity had not a direct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t the end of this paper,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관광목적지 브랜드자산에 관한 연구-2018동계올림픽개최지 평창을 중심으로-

        신동주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로부터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위계효과에 기초한 구성요소들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관광목적지로서 동계올림픽개최지 평창의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브랜드자산을 강화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것이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목적지(평창)의 브랜드인지도는 인지된 품질과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인지된 품질은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목적지(평창)의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된 품질은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많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반면에 많은 선행연구의 결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인지도가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기각하였다.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특성에 맞는 메가이벤트 또는 축제를 개발 또는 개최함으로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관광목적지 브랜드자산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strengthen the brand equity of Pyeongchang to secure its competitive advantage as a tourist spo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based on the hierarchy of effect after drawing components of brand equity out of the advanced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like following. First, the brand awareness of tourist spots has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quality and brand image while the perceived quality of tourist spots has positive(+) influence on brand image. Second, the brand image and perceived quality of tourist spots hav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loyalty, which supports the results of many advanced researches. Contrary to the result of the advanced researches, this study dismissed Hypothesis 6(brand awareness→brand loyalt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ncludes that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the brand equity of tourist spots as a means to strengthen local competitiveness and vitalize local economy by developing and hosting festivals or mega-events suitable for each reg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 KCI등재

        아트 디자이너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지각에 미치는 영향: 아트 친숙성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박지영,김태우,이호배 한국상품학회 2017 商品學硏究 Vol.35 No.5

        According to Aaker(1991), there are five components of brand equity: brand loyalty, perceived quality, brand association, brand awareness and other proprietary brand assets. This research focuses on brand awareness,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which are so we called consumer’s brand perception. In this research, the collaborative effect of art design and brand on brand equity is presented. It also deals with the moderating effect of art familiarity. There are 2 hypotheses. First, compared with non-collaborative products, collaborative products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equity. Second, the art familiarity can moderate the effect of brand equity by collaborative products. As the empirical testing results of hypothesis 1,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ssociation are improved through art collaboration. However, brand awareness is decreased after art collaboration. It means collaboration can affect badly on well known brand. In empirical results of hypothesis 2, familiarity can moderate perceived quality, but art familiarity does not have any effect on brand royalty, brand association, and brand awareness.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at most of brand equity components are improved through art collaboration, even though brand awareness is decreased. So, art collabor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brand equity.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심미적인 정서를 유발하고, 메시지 기억을 강화하며, 지적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아트의 부가가치를 활용하여 브랜드의 이미지를 높이고자 하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바탕으로 한 기업의 브랜드 관리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아트디자인과 브랜드 제품의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아트 친숙성의 브랜드 지각에 대한 조절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개의 가설을 설정해서 검증을 하였다. 첫째, 콜라보레이션 브랜드가 비 콜라보레이션 브랜드보다 브랜드 지각(인지도, 지각된 품질, 연상이미지)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콜라보레이션 제품이 비 콜라보레이션 제품보다 지각된 품질과 연상이미지에는 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브랜드 인지도의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이미 잘 알려진 브랜드의 경우에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자산의 인지도의 측면에 있어서는 저해요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소비자의 아트에 대한 친숙성이 콜라보레이션 여부가 브랜드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적 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 아트 친숙도는 지각된 품질을 조절하였으나, 애호도, 인지도, 연상이미지를 조절하지는 못하였다. 아트 디자이너와 콜라보레이션하게 되면 아트친숙성이 높은 경우에 지각된 품질을 더 좋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이론적 의미로는 기존의 연구들이 콜라보레이션의 사례를 중심으로 다루고,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지만, 본 연구는 실증적인 경험적 연구를 하였다는 점을 들수 있다. 실무적 의미로는 브랜드 인지도가 높을 경우에는 아트 디자이너아의 콜라보레이션이 큰 효과가 없고 아트친숙성이 높은 경우에는 아트디자이너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지각된 품질을 높게 인식한다는 점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연구

        이미혜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between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bout ‘2011 Boryeong Mud Festival.’This study analyze that which experience factors were need to improve as well as managed. For this study purpose collection, classification, purification and validification of items for construction concept for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re performed.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re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concept on festival practice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because sport event marketers can gain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successful brands.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 and brand equity on festival has been a recent phenomenon in the festivals research area. Most available empirical research in sport events has been borrowed its methods extensively from other fields. The research analyzed following detailed matt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it investigated the factors of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with conceptualizing. Secondly, it analyzed how the festival experience has an effect on the brand equity and among brand equity factors. Using a sample of 295, respondents are required to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Spss 18.0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ink, act, relate of festival experience effected significant on brand equity. secondly, the sense and feel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equity. thirdly, positively effected among factors of brand equity. The some of festival experience show positive effects of the brand equity, such as brand awareness, brand image, perceived quality and brand loyalty. Boryeong Mud Festival pointed out in common that continuos maintenance would be necessary for items, such as pleasantness, uniqueness. Festival experience is major determinant to on attitude of festival participation and to raise the brand equity.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take efforts to continuous managements and improvements on festival experience. Boryeong government should raise their brand equity of festival through Boryeong Mud Festival and should also strengthen the brand equity of festival because the brand equ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further expansion of festival experience development. And variable programs which participants would experience some special and discriminative activites of festival, were to be developed to fulfill participants’ satisfaction. This study concluded with implications for the festival experience and brand equity a brief outlook for future study. 지역 간 경쟁우위를 도모하기 위하여 축제체험을 전략 수단으로 하여 축제의 브랜드가치를 높여야 한다. 이로서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에 대한 연구가 시기적으로 필요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연구하고 연구 후 결과를 토대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 간의 영향에 대한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체험과 브랜드자산에 대한 이론적 연구에서 개념적 접근을 수행하여 이론적 근간 마련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축제체험중 인지, 감각, 행동, 관계적 체험은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축제체험이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의 브랜드자산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요소임을 규명하였다. 셋째, 브랜드자산 구성요인 간의 영향관계에서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은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는 현재 참가수요에 이어 향후 잠재수요의 참가에 대한 결과인데 이들 간에는 영향을 미치므로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려면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제고에 대한 다양한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체험과 브랜드자산을 축제에 적용함으로써 두 변수간의 영향관계만을 실증연구 함에 한계를 지녔다. 이는 축제를 대상으로 한 초기연구였으므로 앞으로 보다 깊이 있고 다양한 차원의 연구로서 다소 미흡하였으므로, 앞으로는 본 연구를 토대로 보다 발전적인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저비용항공사 서비스품질과 행동의도에 있어서 브랜드인지도의 매개효과검증

        이동희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6

        국내 항공시장은 저비용항공사들의 성장과 이에 맞선 대형항공사의 적극적 공세와 한국에 진출하는 해외 저비용항공사들의 시장진입으로 나날이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안전성과 경제성에 대한 요구뿐아니라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의 기대 변화에 맞는 마케팅 전략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저비용항공사의 고객들의 이용의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어떤 요소에 집중적인 노력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국내 6개 저비용항공사에 탑승한 승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이용경험과 서비스품질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서비스품질 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고객만족과 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 서비스품질과 고객의 이용의도 간에 브랜드 인지도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통계 분석에 SPSS 23.0을 사용하였다. 항공사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측정항목들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와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요소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브랜드인지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검정을 위해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재검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비용항공사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으로 ‘항공요금’, ‘비행편 스케줄’, ‘안전운항’, ‘항공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저비용항공사 승객들의 예약/발권을 하는 경로로는 ‘항공사 홈페이지 이용’ 응답이 가장 많았고, ‘여행사 홈페이지’와 같이 인터넷 및 모바일 시스템에서 주로 예약/발권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좌석배정방식은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경우 자유좌석제가 아닌 지정좌석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저비용항공사 이용경험을 토대로 저비용항공사가 가장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기내의 쾌적성과 편안함’, ‘기내식음료’, ‘직원 및 승무원의 인적서비스’, ‘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처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요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4개의 요인들을 ‘기내서비스’, ‘운영시스템’, ‘부가서비스’, ‘항공기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분석결과 네 가지 서비스품질 요소 모두 고객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품질 속성과 고객의 이용의도 간에 브랜드인지도의 매개효과에 대한 Sobel test를 시행하여 분석한 결과, 서비스품질 속성의 모든 요인이 고객의 행동의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서비스품질 요인 중 ‘기내서비스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가장 높았고, 간접보다는 직접적으로 매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운영시스템’과, ‘부가서비스’, ‘항공기요인’에 있어서는 매개변수인 브랜드인지도가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간접적으로 고객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비용 항공사들은 서비스 품질 속성에 대한 승객들의 기대를 파악하고, 서비스품질요소의 집중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고객의 이용의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저비용항 ... The domestic airline market is intensifying competition due to the growth of low-cost carriers and aggressive offensive by full service carriers and entry of overseas low-cost carriers to Korea. Expectations for safety and economy as well as the quality of service for passengers using low-cost carriers are increasing. In order to increase the growth of domestic low-cost carri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hat meets the expectations of customers who use low-cost carr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factors should be focused on in order to gain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of low-cost carri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passengers who boarded six low cost carriers in Korea. Also,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and whether brand awareness mediates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intention. SPSS 23.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airlin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tem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service quality factors and behavioral intention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mediating effects were re-verified by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a low cost carriers were ‘Air fare’, ‘Flight schedule’, ‘Safe flight’, ‘Cabin service’. The most frequent route to make reservations/ticketing for low cost carriers passengers was to use ‘airline homepage’ and to reservation/ ticketing mainly on internet and mobile systems like ‘travel agency homepage’. In the case of domestic low cost carriers, seat preference was high for a seat carriers that was not a free seat. In addi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low cost carriers, low cost need the most complementary items in the order of comfort and comfort on board, in-flight beverage, human service of ground staff and cabin crew, Four factors extract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service quality factor were named ‘cabin service’, ‘operating system’, ‘additional service’, ‘aircraft f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all four service quality factors influenced customers' intention to use. As a result of the detailed analysis by Sobel test on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awareness between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customers' intention to use, all the factors of service quality attributes mediate the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cabin service factor’ had the highes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and direct mediating effect than indirect. On the other hand, brand awareness, which is a parameter in ‘operating system’, ‘supplementary service’ and ‘aircraft factor’, indirectly influences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 rather than direct effect. In conclusion, low-cost carriers need to understand the expectations of passengers about service quality attributes and to develop intensive service quality factors. In addition, low-cost carriers need to establish an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o increase brand awareness in order to attract customers' intentions.

      • KCI등재

        전시회 서비스 품질이 전시회 브랜드 이미지와 전시참가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은진,김미성,윤유식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3

        서비스 품질과 브랜드 자산은 전시회의 경쟁우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지만, 최근의 연구는 대부분 전시회 참가자들의 브랜드자산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정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참가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전시회 서비스 품질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이미지, 참가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에 참가한 154개의 전시참가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품질 요인은 전시 운영, 접근성 및 편의성, 전시 컨셉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시회 서비스 품질을 통해 인지된 브랜드 이미지는 전시주최자 브랜드 이미지와 전시회 브랜드 이미지의 두 가지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시주최자 브랜드 이미지에는 모든 서비스 품질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이미지에는 전시 운영을 제외한 나머지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는 인지된 참가기업의 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품질과 전시참가기업의 성과 간의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능적 측면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브랜드 이미지를 전시회의 차별화의 요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Service quality and brand equity are crucial to enha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 trade show. However, literature on the brand equity of trade show is somewhat limited and are focus on the trade show attendee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service quality on exhibitors’ brand image and performance. Accordingly, a total of 154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2018 Character & Licensing Fair’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rvice quality comprised three elements (trade show operation,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nd trade show concept), and brand image comprised two components (exhibition organizer brand image and exhibition brand image). It investigated that all service quality of trade show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exhibition organizer brand image and partial effects on exhibition brand image. It also demonstrated that brand image has partial effects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exhibitor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전시회 서비스 품질이 전시회 브랜드 이미지와 전시참가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은진,김미성,윤유식 한국무역전시학회 2020 무역전시연구 Vol.15 No.-

        서비스 품질과 브랜드 자산은 전시회의 경쟁우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중요하게 여 겨지지만, 최근의 연구는 대부분 전시회 참가자들의 브랜드자산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 정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참가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전시회 서비스 품질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이미지, 참가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에 참가한 154개의 전시참 가기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품질 요인은 전시 운영, 접근 성 및 편의성, 전시 컨셉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전시회 서비스 품질을 통해 인지된 브랜드 이미지는 전시주최자 브랜드 이미지와 전시회 브랜드 이미지의 두 가지 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시주최자 브랜드 이미지에는 모든 서비스 품 질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이미지에는 전시 운영을 제 외한 나머지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는 인지된 참가기업의 성과에 부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품질과 전시참가기업의 성 과 간의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시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능적 측면의 품질도 중요하지 만, 브랜드 이미지를 전시회의 차별화의 요소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Service quality and brand equity are crucial to enha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a trade show. However, literature on the brand equity of trade show is somewhat limited and are focus on the trade show attendee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hibition service quality on exhibitors’ brand image and performance. Accordingly, a total of 154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2018 Character & Licensing Fair’ and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rvice quality comprised three elements (trade show operation,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nd trade show concept), and brand image comprised two components (exhibition organizer brand image and exhibition brand image). It investigated that all service quality of trade show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exhibition organizer brand image and partial effects on exhibition brand image. It also demonstrated that brand image has partial effects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exhibitor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스포츠제품 브랜드자산의 구성요인 분석

        임기태 ( Ki Tae Yim ),장경로 ( Kyung Ro Ch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4

        최근 브랜드자산의 개념은 스포츠산업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스포츠제품에 대한 브랜드자산의 측정방법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브랜드자산 연구들을 기초로 스포츠제조업 상황에서의 브랜드자산의 측정방법과 구성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20대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291명(남 200명, 여 91명)의 자료를 이용하여 SPSS 11.01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LISREL 8.50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스포츠 브랜드자산의 측정문항과 구성요인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최초 154문항의 브랜드자산 문항을 내용타당도 분석을 통하여 73문항으로 선별하고,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52문항으로 축소하였다.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32문항으로 선별하였다. 마지막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모형을 검증하여 최종 22문항의 스포츠 브랜드자산 측정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각 구성요인은 브랜드인지, 브랜드가치, 브랜드개성, 조직연상, 지각된 품질, 마케팅활동, 브랜드충성도의 7가지 구성요인으로 분석되어졌다. The measurement of brand equity has been a recent phenomenon in the sport marketing research area. Most available empirical research in sport marketing has borrowed its methods extensively from other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dimensions and develop items under those dimensions for sport brand equity. Responses from 291 are used to test the measurement model. A paradigm for scale evaluation incorpora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LISREL 8.50 to assess measurement properties such as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mposite reliability. Results identified 22 items under 7 dimensions - brand awareness, brand value, brand personality, organizational recall, perceived quality, marketing activities, and brand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