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브라질 한인문학의 형성과 성향

        김낙현(Kim Nak-Hyeon),이명재(Rhee Myung-Jae)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1963년부터 공식적으로 시작된 韓人들의 브라질 이민은 농업이민 형식이었으나, 그들은 농촌이 아닌 도시로 진출하여 정착하였다. 상파울루를 중심으로 삶의 터전을 잡은 한인들은 그곳에서 한인문단을 형성하였다. 종합문예지인 『백조』, 『무궁화』 등을 통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던 한인들은 1986년 창간된 열대문화 를 계기로 본격적인 한인문학을 구축하였다. 『열대문화』의 창간 취지는 이민 1세대들이 자신들의 모국인 한국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그것을 후손들에게 심어주기 위해서였고 한국문화와 브라질 문화의 架橋역할을 하기 위해서였다. 디아스포라(diaspora)의 경계인으로 살아가는 브라질 한인들의 작품성향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표출되었다. 첫째, 가장 보편적으로 표출된 성향으로서 이민생활로 인한 流浪과 望鄕意識이 두드러졌다. 둘째, 이질문화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자각과 탐색이 구현되었다. 셋째, 새로운 삶을 찾아 떠나는 재이민과 다시 한국이나 브라질로 되돌아오는 역이민 의식이 재현되었다. 유랑과 망향의식은 초기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표출되었으며, 특히 시 장르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재브라질 한인문학 작품에서 드러난 망향의식은 낯선 이국땅에서 고달프게 살아가는 한인들을 치유하는 역할을 하였다. 수필 장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정체성에 대한 자각과 탐색은 한인들의 뿌리 찾기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와 관계된다. 이민 1세대를 중심으로 전개된 브라질 한인들의 작품에서는 브라질 사회와 문화에 同化하려는 태도를 보인 작품이 거의 없다. 한인들의 작품에서 재이민과 역이민 의식은 브라질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에 따라 달리 표출되었다. 이와 같은 재이민이나 역이민 의식은 재브라질 한인들이 브라질을 삶의 종착지가 아닌 일시적인 삶의 터전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또 다른 반증이 된다. The Korean immigration to Brazil, which officially started in 1963, was in the form of agricultural immigration but the Korean immigrants settled down not in rural communities but in urban areas. The Korean immigrants established their homes in the city of Sao Paulo and there the Korean literary circles was established. They started literary works in the general art and literature magazines such as 『Baekjo』, 『Moogoonghwa』 and so on and with the publishment of 『Tropical Culture』 in 1986 they established Korean Literature in earnest. The purpose of Tropical Culture was to pass dow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s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to instill it into descendants, and to perform the role of the bridge between Korean culture and Brazillian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ry works in Brazil as the marginal men of diaspora are expressed through three types as below. First, the most generally expressed characteristic is wandering and yearning for their home due to immigration life. Secondly, self-consciousness and searching for ego identity in the heterogeneous culture was embodied. Third, the consciousness of re-immigration searching for a new life and reverse immigration to Korea or Brazil was expressed. Wandering and yearning for their home were conspicuously revealed especially in the genre of poetry. Nostalgia for their home plays a healing role for Koreans living wearisome days. Consciousness and searching for ego identity which is conspicuously revealed in the genre of an essay are related to the fundamental problem of Koreans’ finding roots. In Korean literary works in Brazil led by the first?generation Korean immigrants, there is hardly any works which try to show any tendency of assimilation in the Brazilian society and culture. In Korean literary works, consciousness of re-immigration and reverse immigration was expressed according to Brazilian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Consciousness of re-immigration and reverse immigration is a kind of a proof that the Korean immigrants in Brazil consider Brazil as not a destination but a temporary place in life.

      • KCI등재

        ‘마주한 시간’과 ‘도래할 시간’ 사이에서 - 남미 지역 한인시 연구

        최종환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nal logic of Korean poetics in South America based on the ‘temporality’ agenda, and to promote the scalability of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abroad. The temporality of Korean poetry in South America is sensed in the cultural history and unconscious spatiality that unfolds between the time faced and the time to come. Among the problematic poets who have worked in South America are Mok Dong-gyun, Joo Seong-geun, Hwang Un-heon, An Gyeong-ja, Kim Jae-seong, Maeng Ha-rin, Myo-jong Shin, Park Sang-soo, Bae Jeong-woong, Yun Chun-sik, and Lim Dong-gak. Among them, this study focused on the poetics of Kim Jae-seong, Mok Dong-gyun, and Bae Jeong-woong, who exemplified the identity of South America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emporality and enhanced it with their own aesthetic grammar. The temporality that works in these poems arise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faced in South America and the ‘imagination’ to overcome that reality. This is mainly perceived in three contexts. First, it is a case of desire to arrive at a tim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difficult times faced in the relocation area. These two times are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and operate in the eschatological imagination. Second, the time that has arrived is similar to the time before migration. Derridan temporality flows here. Third, the time faced is highlighted, but the time of hope does not come well. The poems of Kim Jae-seong, Mok Dong-gyun, and Bae Jeong-woong show the straight-forwardness, paradox, and demise of time that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poetry of Koreans in other regions. This temporal imagination is problematic in that it reveals a typical sense of time in South American Korean poetry. Kim Jae-seong’s poems bring kairos time into the South American wilderness. It is because that time marks the time faced in South America as a sinful time. Mok Dong-gyun’s poetry highlights the overlapping of memories from Korea in the unfamiliar time that he encountered at the place he moved to. Bae Jung-woong’s poetry meets the tragic present, in which the future to come is postponed indefinitely. In the process, he experiences the temporality of annihi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vite more Korean poets from South America, who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to Korean academic circles, to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foreign lands.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 research perspective that allows access to Korean literature of regions such as Bolivia and Peru.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성’ 의제에 입각하여 남미 지역 한인 시학의 내적 논리를 분석하여 재외코리안문학 연구의 확장성을 도모하는 데 있다. 남미 한인 시의 시간성은 이주지에 가서 마주한 시간과 그곳으로 도래할 시간 사이에서 펼쳐지는 문화사적이고 무의식적인 장소성 속에서도 감지된다. 남미 지역에서 활동한 문제적 시인들로 목동균, 주성근, 황운헌, 안경자, 김재성, 맹하린, 심근종, 박상수, 배정웅, 윤춘식, 임동각 등을 꼽아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남미 한인문학의 정체성을 시간성 차원에서 예시하고 자신만의 미학적 문법으로 고양시킨 김재성, 목동균, 배정웅의 시학에 주목하였다. 그들 시에 작동하는 시간성은 남미 지역에 가서 마주하게 된 ‘현실’과 그 현실을 넘기 위한 ‘상상’이 다가오며 발생하는데 크게 세 가지 맥락으로 감지된다. 첫째, 이주지에서 마주한 힘든 시간과는 온전히 다른 시간이 도래해 주기를 욕망하는 경우이다. 이 두 시간은 서로 단절돼 있으며 종말론적인 상상 속에서 작동한다. 둘째, 그렇게 도래한 시간이 이주하기 전의 시간과 유사해지는 정황이다. 여기에는 데리다(J·Derrida)적 시간성이 흐른다. 셋째, 마주한 시간은 부각되지만 희망의 시간이 잘 도래하지 않는 경우이다. 상기 세 시인의 시에는 타 지역 한인의 시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 시간의 직진성, 역설성, 적멸성이 감지된다. 이 시간적 상상력은 남미 한인 시의 한 전형적 시간의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김재성의 시는 카이로스적 시간을 남미 광야로 도래시킨다. 그 시간이 이주지 남미에서 직면한 시간을 죄악된 것처럼 지시하기 때문이다. 목동균의 시는 이주한 곳에서 마주한 낯선 시간 속으로 한국에서 건너온 기억의 시간이 겹쳐지는 사태를 부각한다. 배정웅의 시는 자신에게 다가올 미래가 무한히 연기되는 비극적인 현재와 만난다. 그 과정에서 그는 적멸의 시간성을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의 성과는 아직 한국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더 많은 남미 지역의 한인 시인들을 재외코리안문학 연구의 장으로 초대시킬 것으로 예상한다. 더 나아가 볼리비아, 페루 등 지역의 한글문학까지 접근케 하는 연구 시야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브라질한인 문학에 나타난 트랜스내셔널의 특징 및 의의

        강회진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2 한국문학과 예술 Vol.44 No.-

        Transnationalism recognizes the existence of a nation-state, but emphasizes that it is not an immutable system. In this day and age when the stubborn boundaries of the nation-state have collapsed and transnational movement and migration have become commonplace, the research of identity-based "nationalism"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new epistemological paradigm. It is regrettable that many of the existing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abroad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national" or "ethnic," "diaspora," and "identity as a Korean." Therefore, this paper attempted to propose a transnational perspective from a perspective of Brazilian Korean literature and to examine the transnation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subject revealed in the work. The main subject of the analysis was part of the work included in the Brazilian Korean Literature Selection . Brazilian Koreans, who were voluntary migrants, suffer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nd frustrations within the new migration space. In the work, the subject depicts a specific local space living in order to overcome a series of problems experienced in reality as a space of fantasy and full of space where the subject will no longer be hurt. On the other hand, it shows a transnational pattern of trying to establish one's identity across boundaries in the mix of spaces mixed here and there. 트랜스내셔널리즘은 국민국가의 존재를 인정하되 고정불변한 체제가 아님을 강조한다. 민족국가의 완강한 경계선이 무너지고, 초국가적 이동과 이주가 일상화된 현 시대에, 동일성에 기반 한 “민족주의”와 한국 근대문학의 연구는 새로운 인식론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 해외 한인문학의 연구는 많은 부분이 ‘국가’ 혹은 ‘민족’ ‘디아스포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틀에 맞춰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브라질한인 문학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으로 트랜스내셔널한 관점을 제안하고 작품에 드러나는 주체의 트랜스내셔널한 특징 및 의미를 살피고자 하였다. 분석의 주 대상은 브라질 코리안 문학 선집 에 수록된 작품의 일부로 하였다. 자발적 이주 주체였던 브라질한인은 새로운 이주 공간 안에서 내·외적인 갈등과 좌절을 겪는다. 작품 속에서 주체는 현실에서 겪는 일련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거주하고 있는 특정한 로컬 공간을 환상의 공간이자 주체가 더 이상 상처받지 않을 충만한 공간으로 그리고 있다. 한편, 이곳과 저곳이 뒤섞인 공간의 혼재 속에서 경계를 넘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트랜스내셔널한 양상을 보인다.

      • KCI등재

        혼종적 주체의 자아 탐색- 브라질 한인작가 닉 페어웰의 『GO』 -

        남승원 배달말학회 2020 배달말 Vol.66 No.-

        The diaspora is complicated with immigrant worker, multicultural society and refugees in recent years. The diaspora became a way to interpret literature of overseas Korean also. The important thing is mixed culture without border.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d on Nick Farewell resident Korean in Brazil and his first novel GO. GO selected by PNBE(nonprofit organization in Brazil) and distributed library and public school all over th Brazil. But Nick Farewell is bounded neither Korea nor Brazil. He uses Nick Farewell, his pseudonym despite has a Korean autonym, Lee Gyu-Seok. This means he hasn’t been beholden to Korea and Brazil both sides. GO shows the follow rejection of oppressive identity, resistance egotistic criterion and mixed different cultural elements as hybridity. Nowadays most people agree with migration become usual and unicity changed to illusion. At this moment hybridity in the GO as possibility to seek mixed new identity. 민족적 이산은 글로벌 자본주의 사회에서 보편적 현상으로 확대되면서 이주노동자, 다문화 그리고 난민 등 현재진행형의 문제와 겹쳐져 보다 복잡하게 진행되고 있다. ‘디아스포라(diaspora) 문학’이 새롭게 제기된 것도 이와 같은 인식 때문이다. 같은 민족과 같은 언어라는 공통성으로 재외 한인 문학의 작품을 평가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해당 작품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위한 연구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이다. 이는 서로 다른 두 문화가 자연스럽게 섞이고 넘나드는 과정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경계’의 관점으로 재외 한인들의 문학작품을 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 논문은 브라질 한인 작가 닉 페어웰(Nick Farewell)과 그의 첫 장편소설 『GO』에 주목한다. 작가는 어린 시절에 부모를 따라 브라질로 이민을 갔지만 한국과 브라질이라는 국가적 의미에 얽매이지 않고 살아가는 방식을 선택한다. 본명이자 한국 이름이 이규석인 그가 소설가이면서 시인, 극작가, 만화 작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닉 페어웰’이라는, 그에게는 제3의 언어인 영어식 필명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같은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작품은 브라질의 한 비영리 교육단체(PNBE)의 선정도서가 되어 정부 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국의 도서관과 학교에 배포되면서 브라질의 많은 젊은이들에게 큰 호응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로 작품의 내용에서 한국 사회와의 직접적인 연결지점이나, 또는 브라질 사회의 특이성과 관련되어 있는 부분을 찾아볼 수는 없다. 오히려 주인공은 억압적 정체성에 대한 거부, 또는 자신만의 기준으로 만드는 새로운 정체성의 추구를 보여준다. 이는 이질적 요소들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혼종적 주체의 모습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주가 일상이 되고, 단일성이 점차 단순한 환상이 되어가는 현실에서 닉 페어웰의 장편소설 『GO』에 드러난 혼종성은 공통성 찾기에서 벗어나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