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직무스트레스가 근로자들의 신체적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이종은,김순례,정혜선,이복임 지역사회간호학회 2004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worke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using the Job Stress Model propo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to the 30th of December 1999. The subjects were 2,123 workers employed at 155 work sites.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through SAS/PC program. Resul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younger and wome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than elder men groups. By work condition, groups with highe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included workers of irregular shift work. Dark lighting, improper temperature in winter, improper ventilation, inappropriate humidity, unpleasant work environment and crowded work pla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By work-related facto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high in those with higher variance in work load, quantitative work load, role conflict, job burden, role ambiguity and future ambiguity. On the other hand,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low in those with little underutilization of ability. A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and non-work related facto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high in workers who had a side job, were bringing up infants alone, cleaned the house alone, cared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persons, were studying,were volunteering at another organization, and were spending 5-10 hours in religious activities per week.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was in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overall social support, supervisory support and family support, but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worker support. Conclusion: The main predictors of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were gender, shift work pattern, overtime work, ventila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future ambiguity, job control, variance in work load, overall social support, worker with side job, worker who cleans the house alone, worker who is studying. These predictors explained 19.10% of the total variance of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 KCI등재후보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미치는 자기은폐성향의 영향 분석

        김동민(Dong-Min Kim),양대희(Dae-Hee Yang)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8 No.2

        이 연구는 자기은폐와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간의 관계에 관한 Cramer(1999)의 분석 중 보다 명확히 해명될 필요가 있는 두 가지 사항을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관한 심리적 불편감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심리적 불편감의 수준에 따라 자기은폐성향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있어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와 심리적인 불편감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불편감의 수준에 따른 자기은폐성향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 정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불편감 수준에 상관없이 동일하며, 자기은폐성향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도 심리적 불편감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다. 한편, 자기은폐성향은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 보다 심리적 불편감과 더 밀접히 관련 되어 있었으나,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대한 심리적 불편감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영향은 그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자기은폐성향이 심리적 불편감에 기여하지만 그렇다고 쉽게 상담 서비스를 활용하도록 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높은 자기은폐성향을 가진 개인이 상담에 참여하더라도 상담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Self-concealment and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so as to clarify the main point conducted by Cramer(1999). For this analysis, 1000 data sets were generated using the correlation matrix reported by Shin(2004). Then, 2 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the attitude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distress have significant main effects on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and Self-concealment.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ofessional help seek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distress both on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and Self-concealment were not significant. This analysis suggests that even if one suffers severe level of psychological distress, the negative attitude of professional help seeking the person may have can prevent professional help seeking behavior. This result of the analysis implies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nature of counseling to the population on target and for precounseling education to the potential clients to reduce service gap.

      • KCI등재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과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임윤미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2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discomfort, coping style and relief level of female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394 women who worked at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 city and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pril 20∼30, 2010, and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AS 9.2. Results: showed that discomfort during menstru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ge, marital status, pregnancy experience, and birth experience. The average degree of discomfort during menstruation was 2.46 ± 0.68, which was the average of 5, and the pattern was pain, water accumulation and behavior change. The degree of mitigation according to coping strategies was the most effective at 3.55 ± 0.58,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behavior and discomfort during menstruation was correlated only with avoidant coping. p = .001). Conclusion: In order to mitigate the inconvenience of menstruation, women should seek to cope with their own coping strategies rather than passive coping methods and suggest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relieve the discomfort during menstruation 본 연구는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의 양상과 대처방법 및 그에 따른 완화정도를 파악하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여성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한 394명이다. 2010년 4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SAS 9.2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월경시 불편감은 연령, 결혼유무, 임신경험, 출산경험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근로특성은 차이가 없었다. 월경시 불편감의 정도는 최대 5점 중 평균2.46±0.68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양상은 통증, 수분 축적, 행동변화 순이었다. 대처방법에 따른 완화정도는 행동적 대처가 3.55±0.58로 가장 효과적이었고 월경시 불편감과 대처행동 간에는 회피적 대처에서만 상관관계가 있어 불편감이 높은 사람일수록 회피적인 대처를 하고 있었다(r=.178,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여성근로자의 월경시 불편감을 완화하기 위하여 회피적 대처방법보다는 스스로 극복하도록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모색해야하며 앞으로 월경시 불편감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은정(Eun-Jung Jo),김예진(Ye-Jin Kim),권은비(Eun-Bi Kwon),이동훈(Dong-H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불편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4곳의 고등학교의 고등학생 375명을 연구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 심리적 불편감, 학교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심리적 불편감이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 적응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은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부적영향을 미치고, 심리적불편감에는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불편감은 학교적응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 모형 검증 결과,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심리적불편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스마트폰 과의존과 심리적 불편감이 미치는 영향과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예방적 교육 및 조치에 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school adjustment. In detail, this study focus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on 375 students at 4 high schools in the capital area were used in th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school adjustment, psychological distress. To find out if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are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istress, the model was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smart-phone addiction is found to have an advers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model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행동훈련을 통한 정보제공이 비진정 상부위장관 내시경검진자의 불안과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조영선,여정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4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formation and behavioural training on anxiety and discomfort in clients undergoing an endoscopy procedure. The control group in our study consisted of 34 who received a 5 min preparation with sensory and procedural information and sequence of events associated with endoscop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35 who received 7-10 min preparation with sensory and procedural information and sequence of event associated with endoscopy, in addition, instruction in deep exercises, tongue depressor task and swallowing technique.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e anxiety (p=.003), objective (p<.001) and subjective (p<.001) discomfort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ensory and procedural information and behavioural training to provide the clients before endoscopy were useful in lessening their anxiety and discomfort. Therefore, it could be useful in the nursing practice. 본 연구는 행동훈련을 통한 정보제공이 비진정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진자의 불안과 불편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시 소재 G병원 내시경센터에서 진단을 목적으로 한 검진자 69명으로 행동훈련을 통한 정보제공을 받은 실험군 35명과, 정보제공만을 받은 대조군 34명으로 편의표집 하였다. 자료수집은 일반적 특성과 상태불안을 사전 조사하였고,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직전에 상태불안을 조사하였으며, 검진 중에는 객관적 불편감을 관찰 측정하였고, 검진 후에는 주관적 불편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와 카이제곱검정, t-검정, Mann-Whitney 검정, Wilcoxon 부호순위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태불안(U=345.00, p=.003)과 객관적 불편감(U=282.50 p<.001), 주관적 불편감(U=133.50, p<.001)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행동훈련을 통한 정보제공은 비진정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진자의 상태불안을 완화하였고, 주관적 불편감과 객관적 불편감을 감소시키므로 임상실무에서 적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상황 공감-불편감 척도의 개발

        이한종(李翰宗)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1

        이 연구에서는 상황 공감-불편감 척도(Situational Empathy-Distress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함으로써 타인의 곤경에 대한 감정반응을 현재의 감정상태의 차원에서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척도들이 안정된 정서적 특성의 관점에서 공감을 측정한 것과 대조된다. 406명의 대학생들이 곤경에 처한 사람의 가상적 사례에 대한 반응을 탐색하는 설문조사에 참여했다.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상황 공감과 상황 불편감으로 구성된 16문항 2요인 구조가 도출되었다. 상황 공감은 특성 공감 및 이타적 의사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상황 불편감은 특성 불편감 및 우울과 이러한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두 하위척도의 수렴타당도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변별 타당도의 경우, 두 하위척도 사이의 상관계수가 낮을 뿐만 아니라 두 하위척도 모두 사회적 바람직성과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에 의해 지지되었다. 구인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이타적 의사를 결과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예측변인으로 특성 공감의 다음 차례에 상황 공감을 투입한 후 결과변인을 설명하는 정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상황 공감의 경우 타인 지향 집단에서 자기 중심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상황 불편감은 자기 중심 집단에서 타인 지향 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가 확인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특성 공감과 특성 불편감의 집단 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ituational Empathy-Distress Scale(SEDS) which measures emotional reactions to a person in need in terms of the current emotional state as opposed to the stable emotional disposition assessed by most previous measures of empathy. Four hundred six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examining their reactions to a fictitious situation. A two-factor structure, i.e. Situational Empathy(SE) and Situational Distress(SD) consisting of 16 items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n the survey data. Converg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the positive correlations of SE scores with dispositional empathy and altruistic willingness and by the positive correlations of SD scores with dispositional distress and depression. Results supported discriminant validity: no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wo subscales; scores on the two subscales indicated weak correlations with social desirability. Attempts to obtain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were made;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E subscal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prediction of altruistic willingness when added to the dispositional empathy measure; higher SE scores and lower SD scores were obtained in the other-perspective condition than in the self-perpective condition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dispositional empathy and distress between the two conditions.

      • KCI등재

        Validation of a Floor Noise Annoyance Scale (FNAS) in a Community Sample

        Na Young Shin(신나영)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21 연구방법논총 Vol.6 No.1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이 주요 거주형태 중의 하나인 우리나라에서 층간소음은 이웃간 갈등을 유발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소음불편감은 정서적 고통, 지각된 불편, 생리적 변화, 대처행동 등을 포함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금까지 대개 단일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로 평가되어왔다. 층간소음불편감 척도는 층간소음에 대한 불편감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척도로, 다양한 장면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타당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아파트 거주민 282명을 대상으로 층간소음불편감 척도를 실시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요인이 발견되었으며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층간소음불편감 척도의 총점은 소음민감도와 가장 강한 상관을 보였고, 고통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신경증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층간소음불편감 척도가 아파트 층간소음으로 인한 심리적 불편감을 측정하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Noise transmitted between floors in apartments is a major problem of neighborhood conflicts in Korea. While noise annoyance involves multi-components including emotional distress, perceived disturbances, physiological changes, and coping behaviors, one-item scales have been used to assess the level of noise annoyance. Floor Noise Annoyance Scale (FNAS) is a multi-item self-reported questionnaire developed in Korean language to evaluate neighbor noise annoyance from upper floors in residential buildings. For the practical use of FNAS, a validation study on the scale is needed.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NAS among apartment residents in Kore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results showed that the FNAS has a single factor structure, and the scale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mong Korean apartment residents. The FNAS sco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noise sensitivity, distress intolerance, neuroticism. This study provides support for the utility of the FNAS and shows that the scale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of assessing upper floor noise annoyance among apartment residents.

      • KCI등재

        고려수지요법이 척추마취 수술 후 불편감과 운동 및 감각기능에 미치는 영향

        조선경,박혜자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1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hand acupressure on discomfort and motor and sensory recovery after surgery under spinal anesthesia. Thirty patients were sequentially assigned to either a control group (n=15) or an experimental group (n=15).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Korean hand acupressure at the sites of N17 (gall bladder), N18 (liver), J23 (kidney), and B4, B5, B6, & B7 (1st∼2nd sacrum and 3∼5th lumbar vertebrae) using T-bongs for 3 hours immediately after surgery. Data were assessed by discomfort VAS scale and scores of motor, touch and pain before and at the time of 1, 2, and 3 hours after intervention. The changes and differences of variables were analyzed by repeated measures' of ANCOVA and t-test. The change of discomfor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was not significant. The changes of motor and sensory (touch and pain) scores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Korean hand acupressure was not evident to improve discomfort and recovery of motor, touch and pain after surgery with spinal anesthesia. Because the motor and sensory function has been nearly recovered from spinal anesthesia within 1 hour, it is suggested to evaluate the motor, touch, and pain changes within 1 hour just after surgery with the larger sample size. 본 연구는 고려수지요법이 척추 마취 수술을 받은 환자의 마취회복기 동안 불편감과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비뇨기과와 일반외과 수술을 받은 미국 마취과 협회 마취환자 1군과 2군이고 동일한 척추마취방법 하에 척추 마취높이 T8, 척추마취 최고 차단 높이가 T10에 도달한 환자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대상자이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설계의 유사실험으로 검정력 분석에 따라 대조군 17명과 고려수지요법을 적용한 실험군 17명에게 불편감과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을 측정하였다. 수술 중 전신마취로 전환한 4명이 탈락하여 실험군 15명과 대조군 1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불편감과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과 관련된 고려수지요법 내장 상응도에 의해 N17(담낭), N18(간장), J23(신장), B4, B5, B6, B7(1-2 천골과 3-5 요추) 부위에 수술직후부터 3시간 동안 T봉을 부착하였고 1시간 간격으로 불편감과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을 측정하였다. 자료는 SAS/ STAT version 8.1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반복측정공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불편감, 하지의 운동기능, 촉각과 통각의 감각기능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고려수지요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마취 후 운동기능과 감각기능 회복에 대한 간호 연구를 처음 시도했고, 관찰과 환자의 주관적인 보고에 의존하지 않고 객관적인 신경학적 피부분절 도구를 이용하여 마취 높이에 따른 운동과 감각기능을 사정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마취 회복 후 1시간 내에 운동과 감각 기능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일반화를 위해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고려수지요법적용 후 1시간 이내의 변화를 확인하는 추후 연구 수행을 제언한다.

      • KCI등재

        안경 착용자의 불편감 조사

        김효정,이군자,마기중,정수정,오현진 대한시과학회 2000 대한시과학회지 Vol.2 No.2

        안경을 착용한 성인 남녀 246명(평균 안경 착용기간 8년)올 대상으로 안경으로 언 한 불편감과 안경의 관리 방법 둥에 관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착용중인 안 생의 조정 (fitting)상태와 광학적 조제 상태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경을 착용하면서 겪었던 역학적 불편감은 ‘코와 귀부위의 압박감’이 35.1%, ‘안경테 흘러내림’이 32.6%로 가장 많았으며, 시각적인 불편감은 ‘시력저하’가 17.3%, ‘안정피로’가 10.6% 동으로 조사되었다. 2. 착용중인 안경의 불펀감은 ‘안경테 흘러내림’이 25.2%, ‘코와 귀부위의 압박감’이 끊.1%로 조사되었으며, ‘조정 (fitting)상태가 부적절한 경우’가 64%, ‘부정확하게 조제 펀 안경’이 18.69%로 조사되었다. 3. 안경 착용자의 관리 상태는 안경을 쓰고 벗올 때 ‘항상 양손을 사용한다’가 ]1%, ‘항상 한 손을 사용한다’가 31%, ‘한손과 양손을 혼용한다’가 58%로 조사되었으 며, 안경을 닦을 때 ‘한쪽 안경다리를 잡고 닦는다’가 23.9%, ‘양쪽 안경다리를 잡고 닦는다’가 11.4% 등으로 조사되 었다. 본 연구 결과 안경 착용으로 인한 역학적 불편감으로 압박감과 안경테 흘러내렴, 부적절한 피탱상태와 부정확한 조제가공 상태가 원인으로 조사되었으며 안경 착용자 익 안경 관리 방법이 올바르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안경 착용자의 불편 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압박감과 안경테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는 한국인의 얼 날 형태에 적합한 안경테의 설계가 필요하며, 안경사의 정확한 조제 가공과 조정 ( fitting) 기술 뿐 만 아니라 안경 착용자의 안경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샤료된다. We have studied to investigate the complaints and the causes of complai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 questionaires from 246 spectacle wear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st popular causes of physical complaints in the ex-wearing spectacle are frame pressure(35.1%), slipping forward(32.6%), and most popular visual complaints are blur vision(17.3%), and asthenopiaOü.6%). 2. The most common physical or visual complaints in the present wearing spectacle are slipping forward(25.2%), pressure(53.l%), and 64.1% of spectacles are improper fitting state and 18.69% of spectacles are improper ophthalmic dispensing state. 3. The methods of spectacle wearing and taking off are by two hands(ll%), one hand(31%), and mixing(58%). The cleaning methods of ophthalmic lens are one temple(23.9%), two temple (l 1.4%), lens(28%), bridge(33%), and rim(4%). As the result, the most common causes of complaint in the spectacle wearers are spectacle pressure, slipping forward, and many spectacle wearers used to manage spectacle improper method. So we suggest proper spectacle fitting and ophthalmic dispensing technique are required for opticans, and the managing method of spectacle are educated to the spectacle wear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