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스팔트 표층과 RCC 기층 계면에서의 부착특성 연구

        홍기,김영규,배석일,이승우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아스팔트 표층과 콘크리트 기층으로 구성된 복합포장은 강성기층의 높은 지지력과 아스팔트 표층의 소음저감, 평탄성, 미끄럼저항성 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포장이다. 롤러다짐콘크리트(RCC)는 빠른 시공속도와 경제성을 가져 복합포장의 기층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포장의 공용수명 및 성능은 포장 계면의 부착파괴로 인해 저하된다. 그러므로 아스팔트 표층과 콘크리트 기층사이의 적절한 부착은 복합포장의 단일거동(monolithic behavior)을 통한 포장성능 및 공용수명 확보를 위해 필수적이다. 복합포장에 적용되는 아스팔트와 택코트 재료는 역청혼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재료로 시간-온도에 의존적인 점탄성 특성을 나타내며 콘크리트는 환경적 조건(온도 등)에 따라 컬링 및 수축·팽창 등이 발생하는 재료적 특성을 가진 재료이다. 복합포장의 역학적 거동은 이러한 각 재료 및 포장계면의 특성에 기반 한다. 그러므로 부착 성능을 평가함에 있어 국내의 계절별 기후에 따른 복합포장 내 온도특성을 반영하여 부착성능이 평가되어야 하며 겨울철 반복적 동결-융해가 발생하는 국내의 기후특성상 이를 고려한 부착내구성 평가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20 ℃의 표준온도만을 적용한 부착성능 평가를 통해 품질관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복합포장의 경제적 강성기층으로 본 연구에 적용된 롤러다짐콘크리트(RCC)는 적은 단위수량 및 단위시멘트량을 사용하여 시멘트 페이트의 양이 일반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적으며 포설 후 롤러전압다짐이 적용되기 때문에 불규칙한 거친 표면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적정 택코트 재료 및 살포량 선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롤러다짐콘크리트-기층 복합포장에 대한 부착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RSC-4와 BD-Coat 두 종류의 택코트 재료가 실험되었으며 각 재료의 최적살포량을 선정하고자 0.3, 0.5, 0.7, 0.9, 1.1 ℓ/m2의 살포량이 적용되었다. 추가적으로 100 mm, 50 mm에 대한 core size effect가 고려되었다. 온도 조건에 따른 인장부착특성은 -15, 0, 20 40 ℃의 각 온도 조건에서 실험되었으며 반복적 동결-융해가 발생하는 국내의 기후 특성을 고려하고자 0, 50, 100 Cycle에 대한 부착내구성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의 각 부착파괴단면은 이미지분석프로그램을 통해 검토 되었으며 검토 내용을 바탕으로 부착특성과 부착파괴단면과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다.

      • KCI등재

        전경량콘크리트 및 모래경량콘크리트와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의 부착 특성

        장희석,이동기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8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9 No.4

        In order to construct a structure using lightweight concrete and FRP bar,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FRP bar. In the previous study, the normalized bond strength between normal concrete and deformed GFRP bar was greater than normalized bond strength between all-lightweight concrete and deformed GFRP bar, but the normalized bond strength between normal concrete and sand coated GFRP bar was smaller than the one between all-lightweight concrete and sand coated GFRP bar. This result is contradictory to the general expectation of ACI that the bond strength of normal concrete will be greater than the bond strength of all-lightweight concret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sand-lightweight concrete and sand coated GFRP bar were analyzed through experiments and then general trends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sand coated GFRP bar were investigated. As the experimental result, the normalized bond strength of sand coated GFRP bar with sand-lightweight concrete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sand coated GFRP bar with normal concrete. So,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on the bond characteristics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sand coated GFRP bar.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을 사용하여 구조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과 사이의 부착특성을파악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앞선 연구에서 보통콘크리트와 이형 GFRP 보강근 사이의 정규화된 부착강도는 전경량콘크리트와 이형 GFRP 보강근 사이의 정규화된 부착강도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보통콘크리트와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사이의 정규화된 부착강도는 전경량콘크리트와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사이의 정규화된 부착강도보다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는 보통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전경량콘크리트의 부착강도보다 더 클 것이라는 ACI의 일반적인 예상에 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경량콘크리트가 아닌 모래경량콘크리트와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특성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고 경량콘크리트와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사이의 그 일반적인 경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모래경량콘크리트에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을 사용한 경우의 정규화된 부착강도 역시 보통콘크리트에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을 사용한 경우보다 크게 나왔으며, 추후 경량콘크리트와 모래분사형 G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특성에 대하여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다양한 표면형상에 따른 FRP 보강재의 부착특성 실험연구

        정우태(Jung Woo Tai),박영환(Park Young Hwan),박종섭(Park Jong Sup)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1 No.4A

        FRP 긴장재는 PS 강연선의 부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FRP 긴장재의 재료특성(부착강도, 인장강도, 전달길이 등)은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 결정되어야 한다. 재료특성 중에 부착은 FRP 긴장재로 긴장된 PSC 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 명확하게 요구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표면형상을 갖는 FRP 보강재의 부착특성을 연구하였다. 콘크리트의 철근과 강연선 대신에 사용되는 FRP 재료의 부착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CAN/CSA S806-02에서 제안된 직접인발 시험을 수행하였다. 강연선, 이형 철근, 6가지 다른 표면 형상을 갖는 탄소 또는 유리섬유 FRP 보강재에 대하여 총 40개의 시편이 제작되었다. 부착실험 결과 각 실험체의 다양한 부착응력-슬립 곡선을 나타냈고, 국내에서 제작된 CFRP 긴장재의 부착특성과 비교하였다. FRP (Fiber Reinforced Polymer) tendon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corrosion problem of steel tendons. Material properties of FRP tendons-bond strength, transfer length, development length-must be determined in order to apply to concrete structures. First of all, in case of application for pretension concrete members with CFRP tendons, transfer length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The bond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should be demanded clearly to apply to PSC structures prestressed with FRP tendons. This paper investigated on the bond characteristics of FRP reinforcements with various surface-type. To determine the bond characteristics of FRP materials used in place of steel reinforcement or prestressing tendon in concrete, pull-out testing suggested by CAN/CSA S806-02 was performed. A total of 40 specimens were made of concrete cube with steel strands, deformed steel bar and 6 different surface shape FRP materials like carbon or E-glass. Results of the bonding tests presented that each specimen showed various behaviors as the bond stress-slip curve and compared with the bond characteristic of CFRP tendon developed in Korea.

      • KCI등재

        고연성 PET 섬유로 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 및 휨 거동

        박혜선,김소영,임명관,최동욱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0 No.6

        이 연구에서는 고연성과 낮은 탄성계수를 갖는 PET 섬유로 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부착특성과 휨거동을 각각 부착실험 및 휨실 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부착실험은 CSA S806에 따라 수행하였고, 실험변수는 섬유 종류와 보강량(CF 및 GF 시트 각 1겹, PET 시트 10겹)이었다. 총 8개의 보 실험에서 주요 실험변수는 단면의 연성비(μ = 3.4, 7.0), 보강섬유 종류(CF, GF, PET) 및 보강량이었다. 보 단면의 모 멘트-곡율 해석을 병행하였다. 부착실험의 결과, CF, GF 시트 1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각각 120, 60 mm 이었고 최대부착응력은 각각 3.25, 2.99 MPa 이었다. PET 10겹 보강에서 유효 부착길이는 60 mm, 최대 및 평균 부착응력은 각각 2.30, 2.10 MPa 이었다. 또한 최대 강도 시 CF, GF, PET의 변형율은 각각 0.36%, 0.49%, 6.29% 였으며 CF, GF 부착실험체는 계면에서 시트가 최종적으로 탈락하였지만 PET 부착 실험 체에서 박리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휨실험의 결과, PET 10, 20, 30겹으로 보강한 RC 보의 휨강도, 휨강성이 모두 무보강 보에 비해 증가하였 고, 연성적인 휨파괴 양상을 보였으나 PET 30겹의 경우 20겹에 비하여 연성이 감소하였다. 모멘트-곡율 해석의 결과, PET 보강 보에서 접착제 의 물성을 해석에 포함시키면 해석의 정확도가 향상하였다. 한편 PET 의 내구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문헌이 없어서 현재 연구 진행 중이다.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flexural performance and bond characteristics of RC beams strengthened using ductile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with low elastic modulus. Bond tests were planned and completed following CSA S806. Test variables were fiber type and fiber amount. Also, total of 8 RC beams was tested. Major test variables of the beam tests included section ductility(μ = 3.4, 7.0), fiber type(CF, GF, PET) and amount of fiber strengthening. Moment-curvature analyses of the beam sections were also performed. In bond tests, the bond stress distribution as well as the maximum bond str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PET. In case of 10 layers of PET, the effective bond length was 60 mm with the maximum and the average bond stress of 2.33 and 2.10 MPa, respectively. RC beam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moment capacity of the RC beams strengthened using PET 10 and 20 layers increased over the control beam with little reduction in ductility by fiber strengthening. All beams strengthened using PET resulted in ductile flexural failure without any sign of fiber debonding or fiber rupture. It was important to includ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dhesive in the moment-curvature analysis of PET-strengthened beam sections.

      • KCI등재

        낙동강 수계 청수성 부착조류의 공간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Achnanthes convergens를 사례로

        조명희 ( Myung Hee Jo ),변명섭 ( Myeung Sub Byun ),심준석 ( Jun Seok Sim ),장성현 ( Sung Hyun Ja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낙동강 수계 내 청수성 부착조류(Achnanthes convergens)의 분포 특성을 기반으로 이들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및 서식·수변 요인 등을 규명함으로 실제적인 보전, 복원에 대한 기준 또는 준거 등의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행하고 있는‘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Ⅴ)’사업 자료 중 낙동강 대권역의 총 25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12년 4월(1차)과 9월(2차)에 구축된 부착조류 및 이화학적 요인, 서식·수변환경 등의 결과들을 활용하였다. 또한, 각 환경요인들의 결과들을 연계시켜 Kriging, Hotspot, LISA 등의 공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조사구간별 Achnanthes convergens의 출현이 10% 이상인 지점을 청정수역으로 구분하여 그 외 지역(비청정수역)과의 공간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낙동강 대권역 250개 구간 중 청수성 부착조류인 Achnanthes convergens가 10% 이상 우점종으로 출현한 구간은 1차 조사에서는 총 56개 지점으로 나타났으며, 2차 조사에서는 다소 적은 지점인 41개 지점으로 나타났다. 청정수역에 대한 물리·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한 결과, 모든 지표들이 청정수역에 비해 비청정수역에서 더 악화된 수질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기전도도(청정수역: 평균 101.83㎲/㎝, 비청정수역: 평균 598.48㎲/㎝)와 탁도(청정수역: 평균 1.95NTU, 비청정수역: 5.58NTU) 등은 최대 5배 이상 악화된 수질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대권역 내 청정수역의 서식·수변 환경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자연적 종횡사주, 유속다양성, 저질상태, 제방하안재료, 제외지 토지이용 등이 지표생물인 청수성 부착조류 Achnanthes convergens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Hotspot 및 LISA 분석을 통해 Achnanthes convergens 높은 출현을 보여 청정수역으로 구분된 안동댐 상류, 임하댐 상류, 위천, 밀양강, 남강, 황강 등의 유역들은 Coldspot 및 LL 등급으로, 낙동강 본류 및 하류, 안동댐 하류, 금호강 유역 등은 Hotspot 및 HH 등급으로 분류되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Achnanthes convergens, and elucid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Periphyton diatom habitat. Data in 250 points of Nakdong river basin are collected between April(primary) and September(secondary) 2012,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s support. We define "clean area" over 10% of Achnanthes convergens appearance, and the others as "non-clean areas". Spatial statistics of Kriging, Hotspot, LISA are used in this study. Results show that 1) 56 points are identified as clean areas in the primary survey, while 41 points are discovered in the following survey; 2) using water quality variables, density of turbidity(clean 101.83 ㎲/㎝; non-clean 598.48 ㎲/㎝) and conductivity(clean 1.95 NTU; nonclear 5.58 NTU) are five-fold lower in clean-areas; 3) Habitat and Riparian Factors in Nakdong basin illustrate that natural sand bar, diversity of velocity, sediment condition, levee material, riverside land affect Achnanthes convergens; 4) Hotspots of Achnanthes convergens are located in watersheds, including upper Andong Dam, upper Imha dam, Wi-cheon, Miryang river, Nam river and Hwang river whereas mainstream/downstream of Nakdong river and Keumho river watershed are shown as coldspots.

      • KCI등재

        경량콘크리트와 GFRP 보강근의 부착 특성

        손병락,김명식,김충호,장희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6

        FRP 보강근을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구조체는 부식방지 및 자중감소의 효과를 동시에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서 추후 그 활용이 기대될 수 있다. 그러나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을 사용하여 보강근의 내부슬립 없이 외력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동안 보통콘크리트와 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거동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가 있어 왔으나 경량콘크리트와 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거동에 대하여는 현재까지 연구결과가 대단히 부족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량콘크리트와 보강근 표면에 나선형태의 이형을 갖는 GFRP 보강근 사이의 부착특성을 조사하였다. 비교목적으로 보강근 종류, 콘크리트 종류, 경량콘크리트 강도종류의 실험변수를 고려하여 인발실험체들을 제작하고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분석 결과, 보통콘크리트와 철근을 사용한 실험체의 부착강도를 1.0으로 하였을 때 경량콘크리트와 나선형태의 이형을 갖는 GFRP 보강근을 사용한 실험체의 부착강도는 0.49로 나타났다. FRP reinforced lightweight concrete structures can offer corrosion resistance and weight reduction effect simultaneously, so practical use of the structures may be expected afterwards. But to make concrete structures using lightweight concrete and FRP bar, that can resist external forces without internal slip of the FRP bar,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bond characteristic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FRP bar. During that time, a lot of studies for bond behaviors of FRP bar in normal concrete were conducted, but studies for bond behavior of FRP bar in lightweight concrete are very limited to date. So, bond characteristic between lightweight concrete and helically deformed GFRP bar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ree main parameters were considered in experimental investigation: type of rebar, concrete typ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concrete. As an experimental result, it could be known that bond strength of helically deformed GFRP bar in lightweight concrete was 0.49 times bond strength of steel reinforcement in normal concrete.

      • KCI등재

        보강섬유의 형상과 물성에 따른 인발특성이 콘크리트의 휨거동에 미치는 영향

        김홍섭,남정수,김정현,한상휴,김규용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에서는 섬유종류에 따른 인발특성과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특성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섬유의 재질 및 형상 다른 후크형강섬유, 비정질 강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에 대하여 인발시험과 섬유보강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휨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후크형 강섬유의 경우 최대인발하중에서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었지만, 비정질 강섬유는 섬유와 매트릭스의 부착강도가 섬유자체의인장강도보다 높아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지 않고 파괴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폴리아미드 섬유는 연신율에 의해 최대인발하중까지 변위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최대하중이후에 섬유가 끊어지는 파괴특성을 나타내었다.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특성에 있어서 비정질 강섬유는 매트릭스와의 부착강도가 높고, 섬유의 혼입개체수가 많아 콘크리트의 최대휨강도는 높았지만, 균열발생 이후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지 않고 섬유가 파괴되는 것에 의해 응력의 저하가 급격하게 발생하지만, 후크형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균열발생 이후 섬유가 인발되면서 응력의 저하가 완만하게 발생하였다. 폴리아미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균열발생이후 섬유의 연신률에 의해 응력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며, 섬유와 매트릭스의 부착에 의해 재상승하였다가 섬유가 끊어지면서 파괴되었다. 섬유와 매트릭스의 인발특성은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강도 및 변형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the bonding property of fiber and flexural behavior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morphous steel fiber, hooked steel fiber and polyamide fiber was used for evaluation of bonding property and flexural behavior. As a result, the hookedsteel fiber was pulled out from matrix when peak stress. However amorphous steel fiber occurred shear failure because bondingstrength between fiber and matrix was higher than tensile strength of fiber. Polyamide fibers occurred significantly displacement to peak stress because of elongation of fiber. After that peak stress, fiber was cut off. Amorphous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had a greater maximum flexural load compared with hooked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cause bonding performance between fiber and matrix was high and mixed population of fiber was many. However flexural stress was rapidly reduced in load-deflection curve because of shear failure of fiber. Flexural stress of hooked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was slowly reduced because fiber was pulled out from the matrix. In the case of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stress was rapidly lowered because of elongation of fiber. However flexural stress was increased again because of bonding property between polyamide fiber and matrix.The pull-out properties of the fiber and matrix has effect on the deformation capacity and flexural strength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 KCI등재

        보강섬유의 형상과 물성에 따른 인발특성이 콘크리트의 휨거동에 미치는 영향

        김홍섭,남정수,김정현,한상휴,김규용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5

        This study evaluated the bonding property of fiber and flexural behavior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Amorphous steel fiber,hooked steel fiber and polyamide fiber was used for evaluation of bonding property and flexural behavior. As a result, the hookedsteel fiber was pulled out from matrix when peak stress. However amorphous steel fiber occurred shear failure because bondingstrength between fiber and matrix was higher than tensile strength of fiber. Polyamide fibers occurred significantly displacement topeak stress because of elongation of fiber. After that peak stress, fiber was cut off. Amorphous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hada greater maximum flexural load compared with hooked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ecause bonding performance between fiberand matrix was high and mixed population of fiber was many. However flexural stress was rapidly reduced in load-deflection curvebecause of shear failure of fiber. Flexural stress of hooked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was slowly reduced because fiber waspulled out from the matrix. In the case of polyamide fiber reinforced concrete, flexural stress was rapidly lowered because ofelongation of fiber. However flexural stress was increased again because of bonding property between polyamide fiber and matrix. The pull-out properties of the fiber and matrix has effect on the deformation capacity and flexural strength of fiber reinforcedconcrete. 본 연구에서는 섬유종류에 따른 인발특성과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특성에 대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섬유의 재질 및 형상 다른 후크형강섬유, 비정질 강섬유 및 폴리아미드 섬유에 대하여 인발시험과 섬유보강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여 휨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후크형 강섬유의 경우 최대인발하중에서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었지만, 비정질 강섬유는 섬유와 매트릭스의 부착강도가 섬유자체의인장강도보다 높아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지 않고 파괴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한편, 폴리아미드 섬유는 연신율에 의해 최대인발하중까지 변위가 크게 발생하였으며, 최대하중이후에 섬유가 끊어지는 파괴특성을 나타내었다.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특성에 있어서 비정질 강섬유는 매트릭스와의 부착강도가 높고, 섬유의 혼입개체수가 많아 콘크리트의 최대휨강도는 높았지만, 균열발생 이후 섬유가 매트릭스로부터 인발되지 않고 섬유가 파괴되는 것에 의해 응력의 저하가 급격하게 발생하지만, 후크형 강섬유보강 콘크리트는 균열발생 이후 섬유가 인발되면서 응력의 저하가 완만하게 발생하였다. 폴리아미드 섬유보강 콘크리트는 균열발생이후 섬유의 연신률에 의해 응력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구간이 발생하였으며, 섬유와 매트릭스의 부착에 의해 재상승하였다가 섬유가 끊어지면서 파괴되었다. 섬유와 매트릭스의 인발특성은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휨강도 및 변형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철근부착력 평가를 위한 인발실험과 모델링

        박동천,Nobotosi Yoneda,조봉석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4 No.3

        Chloride attack to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located in seaside can cause a serious problem of durability andmaintenance during the service life. Corrosion of reinforced steel bars in concrete decreases the bond strength andfinally causes the detachment of concrete cover. Polymer cement mortar is usually adopted to repair the deterioratedRC structures because of its strong bonding property. The recovered load-carrying capacity after the repair wassimulated by non-linear FEM analysis. The properties of concrete, repairing materials, bonding materials and reinforcedbar were used as input data. Four types of redispersible polymer powders were used as components of polymer cementmortar. Pull-off test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bond properties such as rigidity and strength. Effects of acorrosion inhibitor and the loss of reinforced bars due to the corrosion were also considered in this study. FEMmodel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propose the universal model. Physical bond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repair materials and steel reinforced bar is more dominant than chemical bonding. 단면수복 보수를 실시한 RC조 부재의 내하성능 회복을예측 평가하기 위하여 FEM해석이 빈도 높게 사용되고 있으나 부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정확도 있는 예측이힘든 실정이다. 수치해석의 입력데이터가 되는 철근과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일련의 인발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범용성있는 해석결과 활용을 위하여 부착특성을 부착강성과 부착강도로 정의하고 비선형 FEM 감도 역해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보수재료의 화학적 부착보다 물리적 부착이 지배적이며 폴리머 분말수지의 함유에 의해 다소 부착계면의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알 수 있었다. 부착계면의 물성은 강성과 강도로 구분하여모델화하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부착자 관점에서의 전자감독제도의 개선방안 - 사회통제이론과 사회 구조적 특성을 중심으로 -

        임용진,박동수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1 한국범죄정보연구 Vol.7 No.2

        제도의 목적이 재범방지를 위한 대상자들의 직접적인 행동통제를 유도하는 것이며, 이는 대상자들로 하여금 ‘사회적 통제’맥락을 통해 부착 대상자의 일상에 적용하였다. 즉, 전자감독제도는 사회적 인식, 개인 심리적 부담감에서 비롯되는 잠재적 범죄 예방 효과의 긍정적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럼에도 효과성에 대한 일관된 주장을 쉽게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부착 대상자의 재범률은 감소하나, 제도 시행 이후의 재범률은 시계열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고 있다는 해석도 조심스럽다. 근본적으로 재범 사례가 1% 이하로 제시되지만 발생 사례 각각의 부정적 파급 효과는 단순히 부착 대상자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로 나타날 우려가 있다. 이 연구는 전자감독제도의 현황과 사례를 통해 다시 쟁점화된 실효성 논란을 중심으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와 사례 그리고 현황을 바탕으로 한국 전자감독제도의 특성과 대상 자 관점에서 사회적·법률적 통제 수단으로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범죄가 증가하는 요인과 위험성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자료와 지식들을 통하여 추론된 가설적 상황이 발생한다거나 발생하지 않을거라는 어느 의미로도 단정적이지 못함이 현 상황이라는 점을 재확인 하였다. 범죄 현상의 설명, 예측, 추론등을 통한 사회적 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데에 그 연구 의미가 있다. 어떠한 현상이 발생 중인 상황에서 그 원인을 찾고자하는 실증적 노력은 과거부터 이루어졌다. 하지만 명확한 예측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논리적 흐름이 절대적 불가능성을 가지지 못하는 의미라 한다면 그에 대한 실증연구를 위한 탐색연구도 우선시 시행 되어야 한다.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경우, 제도에 대한 효과성 및 논쟁여부에 대한 법률적, 학문적 주장을 담고 있었다. 즉, 연구의 대부분이 횡단연구설계의 하나로 진행되었으며, 연구 목적 또한 제한적이며 협의적 으로 진행된 점이 아쉬웠다. 하지만 대책방안을 수립하는 데에는 현재와 과거의 관점을 통합한 연구도 의미가 있지만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많은 대책방안이 수립되어 있다면 이를 활용한 종단적 설계 의 연구가 가능하도록 많은 종단적 의미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은 분명하다.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induce direct behavioral control of the subjects to prevent recidivism, and this was applied to the subjects' daily life through the context of 'social control'.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can expect positive results in the potential crime prevention effect resulting from social awareness and personal psychological burden. Nevertheless, it is not easy to make consistent claims about effectiveness. It is also cautious to interpret that the recidivism rate of those subject to attachment decreases, but the recidivism rat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shows a significant decrease over time. Fundamentally, the number of recidivism cases is suggested to be less than 1%,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negative ripple effect of each case may appear not only to the person attached to it but also to the entire community.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study focusing on the controversy over the effectiveness of the electronic supervisory system, which has been re-issued through the current status and cases. To this en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cases, and current status, we tried to explore the factors and risks that continue to increase crime despite acting as a social and legal control to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aracteristics and target audience of the Korean electronic supervis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reconfirm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conclusive in any sense that a hypothetical situation inferred through current data and knowledge will or will not occur.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to identify social phenomena through explanation, prediction, and inference of criminal phenomena. Empirical efforts have been made in the past to find the cause of a phenomenon in which it is occurring. However, if it means that logical flow does not have absolute impossibility even in a situation where a clear prediction is not made, exploratory research for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first. In the case of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studies, they contained legal and academic argumen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and whether it was controversial. In other words,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and it was regrettable tha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limited and narrowly conducted. However, research that integrates the present and past perspectives is also meaningful in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However, if a lot of previous research has been done and many countermeasures have been established, it is possible to conduct longitudinal design studies using thes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