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 복지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메타 분석: 5가지 논문을 통한 메타 분석

        송하성(Song, Ha-Seong) 한국공공정책학회 2018 공공정책연구 Vol.25 No.1

        본 논문은 5가지 논문의 내용을 문화 복지 정책의 개념과 개념 정의에 대한 내용, 그리고 문화적 박탈감으로 인한 문화 복지 대상의 범위 그리고 문화 복지 전달체계와 문화 복지 종교의 상호관계에서 문화 복지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메타 분석을 하였다. 첫째, 문화 복지정책의 시급한 사실은 문화 비전의 정립이다. 모든 문화 복지정책을 보면 정책의 특성을 살린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종류에 따라 균등한 발전을 도모할 것인지 일정한 수준을 바탕으로 집중과 선택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문화 복지정책참여자들의 참여를 위한 법・제도화가 실시되어야 한다. 지방자치실시 이후 주민들의 정책과정 참여가 늘어나고 있으나 문화 복지 분야에서는 아직 그 영향력이 미흡하다. 비공식집단인 문화적 박탈감의 계층에서는 일반 문화적 전문가인 공식집단에 비해 그 영향력이 매우 적었다. 는 문화 복지정책과정에서 문화적 박탈감 계층의 집단의 범위와 수단을 공식화하고, 절차를 제시함으로써 문화적 박탈감 계층 집단의 참여를 확실시하고 문화 복지정책과정의 참여자를 다양화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 복지의 과제로서 문화 복지가 문화의 영역이라는 기존의 인식에서 탈피하여 복지 영역의 하나로 보는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문화 복지는 삶의 질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는 바 이는 사회복지가 지향하고 있는 목표와 일치한다. 이러한 목표는 단순한 문화 감수성의 향유가 아니라 문화 역시 사회서비스의 하나로서 이에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될 때 보다 더 강한 현실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를 사회서비스영역의 하나로 간주하고 있는 현행 사회보장기본법은 좋은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문화 복지정책은 문화행정이 아니라 문화 상호관계성에서 공공보다 민간단체, 중소규모단체를 포함한 사회적 기업까지 폭 넓게 창작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풍부한 재정규모의 경계가 넓어졌기 때문에 삶의 질 차원의 지원정책이 되어야 한다. 문화 복지정책의 가치와 미션과 비전의 공유를 통해 전문 인력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공감대를 확대하고 강화시켜야 한다. 이에 대한 문화 복지정책의 위치에 적합한 전문 인력의 효율적 관리 체계의 마련이 요구 된다. With the contents of the five papers,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policie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the scope of the targets of cultural welfare due to the sense of cultural deprivation, and the directivity of cultural welfare policies in the mutual relation between the cultur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cultural welfare religions. First, an urgent thing in cultural welfare policies is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visions. All cultural welfare policies present clear visions that make the mos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It is necessary to decide whether to pursue equal development or pursue concentration and selection based on a certain level depending on the types of culture. Second, laws and 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participation of cultural welfare policy participants. Although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the influence of residents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field of cultural welfare. The influence of the class with a sense of cultural deprivation, which is an informal group, was much smaller compared to that of the official group comprising general cultural experts. In the process of cultural welfare policies, the scope and means of the class with a sense of cultural deprivation should be formalized and procedures should be presented to ensure the participation of the class with a sense of cultural deprivation, and diversify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cultural welfare policies. Third, as a task of cultural welfare,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cultural welfare is in the domain of culture and introduce the viewpoint to see cultural welfare as one of the domains of welfare. Cultural welfare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goal aimed by social welfare. This goal is not merely the enjoyment of cultural sensitivity, but since culture is also one of the social services, a stronger real possibility can be guaranteed when services necessary for culture are provided. In this context, the current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which regards culture as one of the social service domains, provides a good clue. Cultural welfare policies are not the cultural administration but shall be support policies at the level of the quality of life because the boundary of the rich scale of finance has been widened so that rather than public organiza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even social firms including small and medium sized organizations can carry out wide-ranged creative activities in terms of the inter-relatedness of culture. The bond of sympathy of communities should be expanded and strengthened so that experts can play their roles through the sharing of the value, mission, and vision of cultural welfare policies. To this end, an efficient expert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the position of cultural welfare policie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통합적 분석

        양정하,황인옥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oblems of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in Koreaand suggest its improving directions through using the analytic framework which modified andsupplemented the existed integrated policy analysis framework of social welfare policy. Withcontents analysis, the problems of target, service areas, delivery system and finance of the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in Korea have been investigated. And value analysis has beenused in finding out how the contents of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in Korea fullyensured the right for the elderly. The improving directions of the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in Korea have been suggested as follows ; expanding the target and unifying the age of theelderly, fulfilling and diversifying services, reconstructing the delivery system, fully securingfinance and strengthening the rights of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사회복지정책의 통합적 분석틀의 수정·보완을 통해 모색된 통합적분석틀을 활용하여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향을모색하는데 두었다.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내용분석을 통해 노인복지정책의 대상, 영역, 전달체계와재원 등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노인복지정책의 가치분석을 통해 노인복지정책의 내용이노인권리를 어느 정도 보장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노인복지정책의 통합적 분석을 통해 모색된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으로는 노인복지정책 대상의 확대, 노인복지정책 서비스의 내실화와 다양화,독립적인 노인복지정책 전달체계의 확립, 노인복지정책 재원의 충분한 확보 그리고 노인권리의 강화등이 제시되었다.

      • 한·중·일 장애인복지정책 비교연구

        김정희 ( Kim Jung-hee ),김경란 ( Kim Kyoung-ran ),이율희 ( Lee Yull-hee ) 한국장애인개발원 2015 장애인복지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지리적으로 인접할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많은 동질성을 확보하고 있는 한·중·일 3개국의 장애인복지정책 비교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 사회복지의 최근 변화와 동일한 맥락에서 동아시아 장애인복지 정책을 살펴보는 것은, 장애인복지정책에 대한 동아시아 국가에서의 논의를 촉발할 수 있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사사례비교연구설계방법을 분석틀로 비교기준을 소득보장, 고용보장, 의료재활보장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소득보장 측면에서는 지급대상자격과 재원에서 상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고, 고용보장측면에서는 제도변천의 지속적인 발전이라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의료재활보장측면에서는 3개국 모두 장애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반영된 정책을 전개해나가고 있었다. 연구결과 시사점을 살펴보면 첫째, 다양한 장애유형별 법령의 구비 및 확대, 둘째, 1981년 UN ‘장애인인권선언’ 발표 및 ‘세계장애인의 해’ 선포의 영향으로 인한 장애인 권리에 기반한 정책의 전개, 셋째, 사회통합 및 공생이념의 확산, 넷째, 인구학적 요인을 고려한 정책수립의 필요성이다. 한·중·일 3국의 고령화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향후 인구고령화 속도에 따른 장애인구의 추이에 관심을 갖고 장애인의 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정책을 설계하여야 한다. This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resent conditions of each area of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Those countries are geograph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both socially and culturally, they are considered to be very much alike. How this study looks into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recent changes in social welfares in East Asia could be a chance for the countries in East Asia to open a discussion over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has proceeded with its investigation and came up with implications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methodological strategy utilized in this study, called 'most similar systems' comparison design is fairly clear. In exercising these comparative logics, we have selected four comparative variables as income security, job security, medical rehabilitation security. In the light of income security, we have much in different of payment object qualification and finance, in terms of job security, there are some in common aspect of continuous development. In addition, in terms of medical rehabilitation security, three nations have steady policy of health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flected their desire. The implica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First, the three countries need to secure and expand various acts to cope with all those different types of disability. Second, in 1981, UN declared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ternational Year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ce then, the countries made a progress with their systems in relation to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ird, it is the social integration and spread of co-existence philosophy. When the ultimate goal of a welfare state is believed to be going for goals of individuals in a stabilized society, improving quality of individual life, quality of the disabled’s life will be in a great correlation with quality of a society. Fourth, the three countries need to take demographic factors into consideration when they try to establish any new relevant policies. Korea, China and Japan are rapidly changing into an ageing society and because of that, they should pay attention more to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a life cycle of those people when they design a relevant policy.

      • KCI등재

        청소년복지정책의 변천과정과 결정요인

        송건섭(宋建燮),김명수(金明洙) 한국지방정부학회 2006 지방정부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정책의 변천과정과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청소년복지정책의 수준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고려된 결정요인은 청소년복지정책의 법규이념, 결정자, 전달과정, 복지조직, 복지인력, 복지예산 등이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복지정책은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청소년복지를 단순히 보호차원에서만 논의하지 않고,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까지 적극적으로 복지정책을 수행해야한다. 둘째, 청소년복지정책의 결정자는 정책공급자 뿐만 아니라 수혜자인 청소년, 청소년단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전달과정은 개편할 필요성이 있는데 광역자치단체나 기초자치단체까지 청소년복지정책을 담당하는 별도기구를 설치해야 한다고 보았다. 넷째, 청소년복지담당 조직은 청소년위원회에 대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고, 전문 인력으로 청소년 지도사, 상담사 등을 보강해야 하며, 청소년복지예산을 확대해야 하는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ny-sided determinants in the youth welfare policy process and offer somepolicy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youth welfare level in Korea. As determining factors of youth welfare policy, we find six factors suchas the ideology of youth support policy, policy makers, service delivery system for youth, youth welfare organization, personnel, and budget.)Also, these factors are established based on content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about youth welfare policy determinants. The policy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we have to improve awareness for youth welfare. (2) we have to accomplish governmental policy support for youth welfare. (3) we have to carry out a reorganization of youth welfare administration organization. (4) we have to expand the budget for youth welfare policy implementation. (5) we have to play an important part of youth director and expert. (6) we have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the community and comprehension of relevant school.

      • KCI등재

        재정지출 선호도 및 복지정책 만족도가 증세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조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7 세무와 회계 연구 Vol.6 No.2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preference over government expenditures and assessment of welfare policy on the willingness to pay taxes for welfare increase. Although demands for various social welfare programs has increased ever before, few discussions have been found as to the effective way of public financing. Granted the necessity of tax increase to sustain the programs, scientific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 towards tax increase is capable of providing significant insights into fiscal and/or tax policy. Using the welfare penal data, I conducted statistical analyses examining relative preference over government expenditures and assessment of government performance regarding the Korean government’s social welfare policy. The empirical findings show that the fiscal psychological factors affect taxpayers attitude towards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In particular, respondents who are favorable of expending more on environment, health care, pension, poverty, elderly, disable, child care, culture and art, and governmental administration tend to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In addition, assessment of government performance as to health care and housing polici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tax increase, while the disable and the poor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ax increase.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link between tax morale and fiscal policy. In order for the government to ensure tax compliance with tax increase, it should establish the goal of welfare policy and adjust the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accordance with taxpayers’ welfare preference. The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explicitly the impact of fiscal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attitude about tax increase for social welfare. 본 연구는 정부지출 확대에 대한 선호 및 복지정책에 대한 만족도가 증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복지에 대한 수요는 날로 늘어가고 있지만 그에 대한 재원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논의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복지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증세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인정한다면 복지수요자들의 증세에 대한 차별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탐구는 재정 및 조세 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복지패널을 활용하여 복지의 직접적 수혜자들의 입장에서 정부지출과 복지정책의 어떠한 측면들이 증세에 대한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복지패널의 부가조사 문항에 포함되어 있는 부문별 정부지출에 대한 선호 및 사회정책에 대한 평가의 상대적 순위를 파악한 후, 패널회귀분석을 통하여 복지증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정부지출 선호도 및 정책 만족도는 복지증세에 대한 태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첫째, 복지수요자들은 환경, 보건, 연금, 빈곤, 노인, 장애인, 육아, 문화예술, 정부행정에 대한 지출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할수록 복지증세에 찬성하는 성향이 더욱 강함을 발견하였다. 둘째, 복지수요자들은 의료 및 주거는 정책평가 지표가 높을수록, 장애인 및 빈곤계층 지원에 대해서는 평가지표가 낮을수록 복지증세에 더욱 찬성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복지수요자들의 선호 및 만족도와 증세에 대한 태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납세의식과 재정정책의 연결고리를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정부당국은 복지정책의 목표를 바로 세우고 재정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합리적 기준을 세시함으로써 증세에 대한 복지수요자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건지출 확대의 필요성을 보건의료 정책에 대한 긍정적 평가 결과와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둘째, 장애인 및 노인 복지 정책에 관한 정부지출 확대 필요성을 증세의 필요성과 연계함으로써 증세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완화하고 긍정적 태도를 강화하는 선순환을 도모해야 한다.

      • KCI등재

        예술인복지법 정책결정과정 연구

        최정민(Jeong Min Choi),배관표(Kwanpyo Bae),최성락(Seong-Rak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예술인의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을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으로 분석했다. 예술인들이 복지정책의 사각지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책문제의 흐름이 있었다. 그리고 다양한 제도가 소개되고 관련 법안이 발의되는 정책대안의 흐름이 있었으나 그 대안들은 실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2011년 한 작가의 죽음으로 예술인들을 위한 복지정책을 요구하는 여론이 형성되는 정치흐름의 변화가 있었다. 이를 계기로 정책의 창이 열리고 예술인복지법이 법제화되어 마침내 정책이 결정됐다.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예술인의 복지 개선을 위한 정책결정과정이 Kingdon 모형으로 설명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특히 이 법은 우연적 요소의 결합으로 법제화됐음을 확인했다. 다른 사례들과 달리 예술인복지법의 제정과정에서는 정책선도가나 공식적 참여자보다 네티즌과 같은 비공식적 참여자의 역할이 중요했음을 밝혔고 정책선도가의 활동 부족으로 이 법은 최소한의 사회보장만을 담은 채로 법제화되었음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이것을 예술인복지법 정책결정과정의 특징이자 한계라고 보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making process to promote the artists welfare. In the problems stream, the artists have been found to suffer without any governmental support. In the policy stream, there have been various alternatives but they were not actualized. Meanwhile, a writer died of illness and famine in 2011. In the political stream, the public opinion to require the promotion of the artists welfare, was strengthened. It made the policy-window open and resulted in the legislation of the Artists Welfare Law. Based upon these analyses, this article concludes that Kingdons model is applicable to this case. Especially, this study shows that this policy was made with accidental events and the roles of informal participants such as netizen were more critical.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tent of this Law was modified and trimmed because there was no policy entrepreneur to persuade the dissenters. It could made the policy-making process of this Law distinguished from others.

      • KCI등재

        복지정책에 대한 지지도 연구 : 복지의식, 계층, 자기이해(self-interest)의 영향을 중심으로

        류만희(柳萬熙),최영(崔榮) 한국정책과학학회 2009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3 No.1

        본 연구는 민주화와 경제위기가 복지정치에 대한 국민의 참여를 이끄는 중요한 사회적 동인으로 작동하였다고 가정하여 복지의식이 복지정책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복지정책 지지도의 계층효과, 즉 계층(계급)별 복지정책 지지도의 변화, 복지정책에 대한 자기이해(self-interest)관계의 관철여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급적 지위가 복지정책 전반 뿐 아니라 하위영역별 제도에 대한 지지도에 일정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득계층에 따른 지지도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임금근로자간 복지정책의 지지도의 분화가 확인되었다. 즉 노동계급 내부에서도 상용직 임금근로자와 임시/일용직 임금근로자 간의 복지정책 지지도에 대한 분화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이해(self-interest) 관련 변수의 경우, 장애인가구여부나 노인가구여부 등이 복지정책 전반 뿐 아니라 각 하위영역별 복지제도 지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look at the attitude toward welfare policies among different classes and interest groups. For this, 1,677 case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at surveyed in 2006 and multi-variate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class variables influenced on the welfare attitudes and the level of support to the welfare policies. Especially, compared to employer and self-employed, temporary employed or unemployed people showed high level of support to the welfare polic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upport to the welfare policies among the three income groups. Second, in terms of self-interest, the household with disabled member showed high level of support to the welfare policies. However, unlike the european experiences, the household with a elderly member tended to be reluctant to increase government welfare expenditures.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입법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변화 연구 : 제17대, 18대 국회를 중심으로

        邊雄田,黃潤元 한국의정연구회 2012 의정논총 Vol.7 No.2

        우리나라의 고령인구 증가속도는 세계적으로도 그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노인복지정책 관련 법률 정비는 시급한 국가적 과제라고 할 수 있으며, 입법부의 노인복지관련 법률 정비는 노인복지정책의 핵심이다. 노인복지정책의 변화는 노인복지법과 같은 입법활동의 변화를 통해 잘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결정과정에서의 국회역할을 제17대와 제18대국회의 보건복지위원회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의 현실을 분석하고, 미래 방향을 찾고자한다. 특히, 노인복지법은 1981년 6월 5일 확정, 공포되어 제정되었는데, 1984년 제1차 개정 이후 20여 차례나 개정되었다. 이 과정에서 노인복지법은 2000년대 들어와 주택 관련 규정정비, 노인 학대방지관련 규정 개정 및 기초노령연금제도 규정의 개정을 통해 노인들이 실제로 피부에 느낄 수 있도록 선진화되고 현실화되어 왔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제17대, 제18대 국회의 노인복지정책 관련 활동을 입법과정인 법안 처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분석 결과, 17·18대국회 본회의에서 최종적으로 가결된 보건복지위 소관 법안은 총 218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통과법안 218건중 노인복지정책과 관련 법안은 19건이었으며, 이는 이 시기에 통과된 보건복지위소관법안의8.7%에 불과하다. 이는 노인복지정책 관련 법안에 대한 제정이나 정비가 좀 더 필요하며,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여전히 미흡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Korea is becoming one the most fast moving country in terms of aging society in the world. Accordingly the government of Korea should be well prepared for this new policy environment for the elderly through legitimizing these national agendas. Since the policy changes takes place in legislation process in the legislative body, the Korean parliament should take appropriate policy actions toward this rapidly changing elderly-friendly policy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lores the elderly welfare policy making process through 17th and 18th legislative sessions in Korea, particularly examining the Health & Welfare Committee legislation processes so as to seek the desirable future policy objectives. Specifically the Elderly Welfare Law has been revised 20 times so far in the parliament since its inception in 1981 as a token of policy changes in Korean elderly policy. As a result of these frequent revisions of the Elderly Welfare Law, the law per se has become more advanced and materialized for the elderly to make more secured livings. In this regards, it is important for us to conduct a research covering elderly welfare policy making processes through legislation process focused on the recent parliamentary sessions of 17th and 18th,, and this study is one of those effort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only 8.7% of total bill in the committee was found to be in the elderly policy related issues, showing 19 bills out of 218 bills, and that the more concerns and efforts to enact and revise the elderly welfare-related laws so as to enhance the standard of living for the elderly should be driven in the Korean parliament and society as a whole.

      • KCI등재

        장애인정책의 개선방향에 대한 헌법적 고찰

        윤수정 ( Yun Soo Jeong ) 연세법학회(구 연세법학연구회) 2016 연세법학 Vol.28 No.-

        장애인정책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목표를 갖는다. 하나는 장애인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사회에서 가능한 한 장애인이 배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애인복지`와 `장애인평등`이 장애인정책의 이념이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장애인 복지는 기본적으로 수직적·절대적 보호를 내용으로 하며, 그 결과 발생하는 복지의 사각지대에는 장애인평등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장애인복지와 장애인평등은 이념적·기능적으로 상호보완관계에 있다. 한편,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법제는 장애인정책의 이념을 기준으로 장애인복지법제와 장애인차별금지법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시 장애인복지법제는 「장애인복지법」을 중심으로 소득보장, 건강보장, 고용보장 그리고 일상생활보장 영역으로, 장애인차별금지법제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특정영역에서 장애로 인한 차별을 금지하는 그 밖의 차별금지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애인법제는 헌법적 근거를 두고 장애인정책의 이념에 따라 체계적으로 법제화되었다기보다는, 장애 개념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요청이 수용되어 구체적 필요에 따라 그때마다 제정되었다. 다시 말해, 장애인정책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기준이 사실상 부재하였고, 그 결과 입법목적에 부합하지 못한 장애 개념, 규율대상의 중복, 그로 인한 법률 적용에서의 선택 혹은 충돌의 문제 등이 발생하여, 장애인정책의 내용 및 체계를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헌법이 장애인정책의 규범적 근거가 되어 장애인정책의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헌법이 적어도 규범적으로는, 장애인보호에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관련 헌법조항을 적극적으로 재해석해야 한다. 그리고 재해석된 장애인관련 헌법질서로부터 장애인복지와 장애인평등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한 장애인정책의 기본원칙을 도출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장애인정책의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자면, 첫째, 차별금지사유로 `장애`를 삽입하거나, 국가의 장애인에 대한 적극적 보호를 특별히 규정하는 방향으로 헌법이 개정되어야 한다. 둘째, 현재 장애인정책에서 일반법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규범력을 강화시키고, 개별 생활영역에서의 관련 법률들과 체계조화적 질서를 구축하여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우선 규율대상에 대한 기능적·사회적 접근을 통해 각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장애 개념을 입법목적에 부합하도록 수정해야 한다. 다음으로 「장애인복지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구체적인 권리 및 권리구제절차, 장애인보호에 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객관적 과제 등 일반적인 사항들을 명시하고, 이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들은 개별 영역의 법률들이 규율하도록 수직적·수평적 체계화를 통한 장애인법제 간의 기능분담이 이루어져야 한다. Disability policies have two main objectives. One is to encourage the humane livelihood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other is to make sure that they are not excluded from society.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Welfar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Equalit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the two main ideas of disability policies. Welfar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guarantee vertical and absolute protection, and the concept of Equality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applied to the blind spot that results from this protection. Likewise, welfare and equa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oth ideologically and functionally. Meanwhile, the current disability legislation can be categoriz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disability policy: legislation for the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legislation on Anti-discrimination. The legislation for the welfa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be further categorized based on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uch as income guarantee, health guarantee, employment promotion, and daily living guarantee. The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can also be categorized based on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and other laws prohibiting discrimination in certain areas. However, such legislations were not established based o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r the ideas of disability policies. It was rather built by the specific needs of the society whenever a need arose. In other words, there is no realistic standard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ntire disability policy. This caused problem such as the concept of disability does not meet with the purposes and objectives, overlapping penalties which lead to problems of selection and confliction when enforcing enactments. These problems call for the need to set up a substance matter and a system for the disability polic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Constitution should lay down the normative groundwork for the disability policy and provide guidance for the basic direction. From this reinterpreted constitutional norm on disability,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disability to enforce a detailed policy on the welfare and equa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be deducted. Based on this, a few guidelines to improve disability policies can be provided. Firstly, the Constitution should be amended by specifying `disability` as a reason for non-discrimination, or impose a duty on the state to draw up special regulations which actively protect people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regulatory power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that function as the general legislation for implementing disability polici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a systematic balance between the legislations in the individual life area should be composed. A specific way of doing this would take a functional and social approach towards the target and modify the concept of disability defined in each laws to coincide with the goals of legislation. Next, the general points about the specific righ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medy procedure, and the objective dutie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to protect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be clarified in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and functional sharing amongst the disability legislation should be carried out so that specific laws of different domains can regulate the details of these points through vertical and horizontal systemization.

      • KCI등재

        효율적인 동물복지 정책관리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김순양(金淳陽) 한국공공관리학회 2016 한국공공관리학보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복지 정책관리체계 구축의 측면에서 우리나라 동물복지정책의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동물복지정책의 실효성 제고방안을 제언하려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농장동물, 실험동물, 반려동물, 야생동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들 중에서 농장동물복지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우선 동물복지와 관련한 이론을 소개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 틀을 설정하였다. 이론의 소개는 동물복지의 개념, 의의, 전개과정 등을 중심으로 하였다. 관련 선행연구도 고찰하였다. 연구 틀은 Gilbert and Terrell(2013)이 복지정책의 분석과 관련하여 개발한 변수들을 토대로 몇 가지를 추가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 동물복지 정책관리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을 의사결정체계, 전달체계, 재정체계, 프로그램체계, 모니터링 및 성과관리 체계, 사회적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문헌들을 조사하고, 농장동물복지 담당공무원 및 축산농가 등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을 토대로 동물복지정책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