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기관 윤리경영 활성화 대안 연구 -비윤리 행위 사례 유형 중심으로-

        황명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proposing the alternatives to vitalize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major cause of various unethical behavio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thical management is an essential factor not only for profit-making organizations but for nonprofit organizations. Especially, ethical management is a fundamental principle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However, constant unethical behaviors have been extremely harmful to the organization’s reputation. But the researches on the ethical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re quite a few. For all that, there are still a lot of unethical behavio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classify a type of unethical behaviors which are contrary to the realization of value for social welfare and help social welfare facilities vitalize ethical management by removing causes of unethical behaviors. so in this research the following subjects are set up: 1. What are the types of unethical behavio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2. What are the plans to vitalize ethical management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using both content analysis of newspaper and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presents the classifications of unethical behaviors that have happened since 1980s. Also, with three ethical fields - social ethics, business ethics, and social welfare ethics - this study also shows the classifications based on each ethical field and implications of ethical management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행위의 근본 원인을 유형별로 분석 찾아봄으로써 사회복지기관의 윤리경영을 활성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함이다. 그동안 윤리경영을 강조하는 사회복지기관에서 윤리경영 연구는 아주 미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사회복지계는 끊임없이 클라이언트와 수혜자 등에게 해를 끼치는 비윤리적인 행위들이 잔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의 사회복지기관 내에서 자행되었던 비윤리 행위들을 대상으로 근본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적으로 1980년도부터 2013년까지 언론에 보도되었던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 사건들을 찾아서 유형화하였고, 그 행위에 대한 원인들을 현장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찾으려고 하였다. 그 기준점으로는 보편화된 사회윤리, 복지윤리, 기업윤리 관점에서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행위의 접근은 단순히 단선적인윤리의 틀에서 해석하였다면 이제는 다른 관점으로 해석을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사회윤리, 복지윤리, 기업윤리를 종합화하고 이를 통합적인 윤리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여 사회복지기관 윤리경영활성화를찾아야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사회복지기관의 비윤리행위를 다양한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복지기관 윤리영영 활성화 방향을 새롭게 제언하였다.

      • 성육신 영성과 기독교사회복지

        유장춘 교회사회사업학회 2012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18

        이 논문은 성육신의 영성을 어떻게 기독교사회복지 또는 교회사회사업의 실천방법으로서 적용할 수 있나를 고민한 것이다. 기독교사회복지는 기독교 영성에 근거한 사회복지라는 사실 때문에 일반적 사회복지와 차별성을 갖는다. 성육신의 영성은 기독교영성의 가장 중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독교사회복지는 성육신 영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성육신의 영성은“나타내심,” “일치되심,” “경험하심,” “알게하심,” “대신하심” 등의 개념으로 정리될 수 있다. ‘나타내심’의 영성은 깨달은 진리를 체현(體現) 하는 것이고 이는 기독교의 세계관, 철학, 이념, 원리, 가치를 사회복지로 실현하는 것이다. ‘일치되심’의 영성은 사랑의 대상과 함께 있는 것인데 이를 사회복지에 적용하면 “당사자와 하나되기”라고 말할 수 있다. ‘경험하심’의 영성은 타인의 고난을 체험하는 것으로서 “당사자의 현실에 참여하기”라는 형태의 사회복지로 나타난다. ‘알게하심’의 영성은 예수의 모습을 삶의 모습으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사회복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모범적 행동으로 솔선수범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신하심’의 영성은 ‘타인의 문제를 대신 하기’로서 사회복지 안에서 ‘당사자의 문제를 대신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 KCI등재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채현탁(Chae, Hyu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본 연구는 정부의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로 인해 제기된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방향성을 지역성, 통합성, 주체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두 조직의 활동 및 협력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성 측면에서 읍면동 단위에서의 협력 논의는 시기적으로 매우 빠른 감이 있으나 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에 따라 새로운 협력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통합적 측면에서는 두 조직 모두 통합성을 구현할 기반이 취약하고, 지역사회의 한정적인 자원으로 인해 자원 확보 경쟁 및 이로 인한 갈등 가능성마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주체성 측면에서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참여 활동 경험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협력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한 과제로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성(읍면동 단위 등)을 고려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의식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보장적 기능/사회복지협의회는 개발적 기능으로 핵심 기능 정립,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주민생활 중심/사회복지협의회는 복지 중심으로 조직 구성상의 통합성 강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공식적 자원 조직화/사회복지협의회는 비공식적 자원 조직화로 읍면동 단위의 다중 안전망 구축 등을 제안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their adequate func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suggested by the government’s reinforcement of the welfare function of eup, myeon, and dong.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d regionality, integrity and subjectivity as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restructuring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 terms of these directions, examined the activities and coope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and related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s follows. From the aspect of regionality, it may be too early to discuss cooperation in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but it is required to find new cooper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determined will to promote the policy. In the aspect of integrity, both of the two organizations do not have a solid foundation for implementing integrity, and even the limited resources of community communities may cause competition and conflicts for securing resources. From the aspect of subjectivity, it is an important question how the experie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will be utilized for its cooperation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conscientiz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ity (the units of eup, myeon, dong, etc.), establishment of welfare function and developmental function as the key functions of, respectivel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reinforcement of the integr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entering on residents’ life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on welfare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construction of multi?layered safety net for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through organizing official resources b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unofficial resources by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etc.

      • KCI등재

        사회복지교육에서 액션러닝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명민,김승용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계의 사회복지 교육방법에 대한 상대적인 관심부족, 사회복지교육의 표준화로 인한 교육의 획일화 가능성, 그리고 사회복지현장교육을 실습에만 의존하고 있는 교육체계의 한계에 대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서 조직학습방법의 하나이자 실천을 강조한 학습방법으로 알려진 액션러닝을 소개하고, 이를 사회복지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액션러닝의 개념, 구성요소, 방법 등을 정리하여 제시하고, 사회복지에 액션러닝이 적용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였으며, 봉사학습, 실습과 같은 유사 학습방법들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실제 한 대학에서 시행된 사회복지 액션러닝 교과목 체제를 제시하고 그 문제점과 대안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액션러닝은 다소 생소하고 참여자들이 느끼는 학습 부담이 크다는 어려움은 있지만,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한 자신감 향상, 집단상호작용을 통한 친밀감 형성, 그리고 사회복지현장 감각 증진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결과적으로 관련자들의 패러다임 전환과 학교의 현실적인 지원이 확보된다면, 액션러닝은 사회복지교육방법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세영,구형선,송정화 한국신종교학회 2019 신종교연구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ere reviewed, and the response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to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hange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as analyzed, and the issues and issues that followed were analyzed.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and change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description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was the result of an active response to the enactment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law in 1970. Second,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and its facilities, which soared in the 2000s, account for the overwhelming portion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Samdonghoi, and the typ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elderly, and was the most concentrated in Jeonbuk by region. Third, Won-Buddhism founded a social welfare corporation in each diocese across the country while advocating ‘nationalization of welfare foundations’but failed to grow to its original purpose.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insufficient diocese capability and poor response at religious body. Fourth, the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is highlighted as the issue of reintegration of social welfare foundations, the problem of improvement of delivery system, and the issue of religious body responsibility for diocese foundations. Finally, the history of Won-Buddhism social welfare foundation has been formed and changed in line with the institutional and legal changes in Korea’s social welfar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설립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변화 추이와 사회복지의 제도적⋅법적 변화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대응을 분석한 후, 그에 따른 현안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형성과 변천에 따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원불교사회복지법인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은 1970년 사회복지사업법 제정에 따른 적극적인 대응의 결과였다. 둘째, 2000년대에 들어서 급증한 원불교사회복지법인 및 시설은 사회복지법인 삼동회가 압도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은 노인복지시설이가장 많고, 지역별로는 전북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원불교계는 ‘복지법인의 전국화’를 표방하면서 전국 각 교구에 사회복지법인을 설립하였으나본래의 취지에 맞게 성장하지 못하였다. 이것은 교구역량부족은 물론 교단적 차원에서의 대응이 미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넷째,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은 사회복지법인의재통합 문제, 전달체계 개선에 관한 문제, 교구법인에 대한 교단적 책임 문제 등이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원불교사회복지법인의 역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제도적⋅법적 변화와 그 맥을 같이하면서 형성되고 변천해왔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불교계 사회복지의 연구동향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김노은 한국불교학회 2012 韓國佛敎學 Vol.64 No.-

        한국에서 불교는 자비와 보시로 실제적인 복지를 수행해 왔으며 서양식 사회복지와 융합하여 불교사회복지를 구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교사회복지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동향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향후 불교사회복지 연구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회도서관에서 검색된 불교사회복지 관련 학위논문 140편을 간행연도, 학위구분, 주제, 사회복지 실천분야, 연구방법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0년 이후에 학위논문들은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으나 박사학위논문은 극소수였다. 학위논문의 주제에 있어 가장 흔하게 다루어진 것은 불교사회복지의 발전방향 및 과제였고, 2000년 이후에 불교사회복지의 발전방향 및 과제 또는 사회복지시설 운영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들은 증가했지만 불교의 사회복지사상에 관한 연구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실천분야별 분포에 있어서는 2000년 이후에 사회복지 전반을 다룬 연구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노인복지 및 승려의 노후복지에 관한 연구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실천분야들이 다양해지고 있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가장 흔히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이지만 2000년 이후에 와서는 문헌조사는 감소하고 실증적 연구방법인 설문조사나 사례분석 등의 방법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가지고 불교사회복지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the overview of the research trends and suggesting future directions in Buddhist social work research. With these purpose, I have investigated theses in the field of Buddhist social work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year, the degree, the theme, the field of social work practice, and the research methods. Besides, thes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ublished before and after the year 2000. The research trends in Buddhist social work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articles are growing in number, but there are only three doctoral theses. Second, the most common theme is ‘future direction and task’. ‘Future direction and task’ and ‘management of institution or program’ are the increasingly adopted themes. Third, the articles related to welfare for the aged and for the Buddhist monk are increasing in number. In addition, the fields of social work practice covered by theses have been diversifying. Lastly, in the research methods, the articles which adopted survey method are increasing in number. In the end, some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in Buddhist social work and tasks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Buddhist social work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문직의 원인론(etiology) 분석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영종(Kim Young Jo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社會科學硏究 Vol.24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문직이 갖는 원인론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문직의 정체성을 규명해보려는 것이다.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분야에서,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과 원인론을 확인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휴먼서비스 분야에서의 긴축(cutback)과 책임성 강화, 영리 부문의 참여 허용, 경쟁을 통한 서비스 구매(POS) 전략의 도입, 수행성과(performance outcome) 제도의 도입 등과 같은 변화는, 휴먼서비스 분야의 제반 전문직들 간의 심화된 경쟁을 예고한다. 이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전문직의 정체성(identity)을 공고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직의 원인론(etiology)을 명확히 규명하는 노력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제까지 많은 연구들이 사회복지전문직의 전문성 강화를 주장해왔으나, 사회복지전문직의 고유한 원인론을 통해 전문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시도는 부재해왔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문직이 가지는 원인론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2차 자료들을 사용했다.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을 위해 실시되었던 공급자 서베이 자료와 최근의 프로그램 연구 자료를 분석해서, 사회복지전문직이 갖는 원인론을 규명해 보았다. 분석의 결과, 사회복지전문직은 적어도 이념형(ideal type)적으로는 탄력적이고 포괄적인 원인론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프로그램화되어 나타나는 원인론의 적용은 이와 큰 차이를 두고 나타났다. 전문직 내부 변이(variation)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사회복지사들이 드러내는 원인론의 변이는 성별이나 경력, 직급 등과 같은 개인별 변수들보다는 소속 기관의 특성(조직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는 조직적 전문직(organizational profession)으로서의 사회복지전문직의 특성을 나타내는 결과이고, 이에 따른 함의를 적절히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at social work professionals conceive as the community problems, their causes, and what are their intervention strategies actually appeared in the programs. All of these questions a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etiology issue. Recent developments in social service field urge social work profession to prepare for building capacity in the area of planning. Among them are cutback environments and increased accountability, performance-based funding and management requests, increased use of POS method in public-private relation, and incoming of for-profit organizations in the human service market. For the profession to answer these requests, it must be assured of what is called 'professional identity'. Professional identity is closely related to professional etiology issue. This study analyze the professional etiology that social workers have, using a secondary empirical survey data gathered for identifying provider preferences in local human service setting. The results show mainly two things. First, social workers utilize multiple etiology combination for the respective areas, which means a healthy sign for the profession. This fact, though, may not prove that the social workers will use those actually in their practice situations. Second, differences in etiology found among social workers could not be explained by individual differences of gender, career length, and job position, but rather by the difference of employing organizations. These facts give considerable amount of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ofession, including suggestions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building the planning capacity.

      • KCI등재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과 과제

        석재은(Jaeeun Seok)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0 No.-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개혁 논의는 근본적 문제의식과 달리 자격주의(credentialism),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강화로 전개되며, 사회복지교육의 정체성을 되찾는 근본적 해법과는 거리가 멀어져 왔다.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보다 근본적 논의를 위해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성찰하고, 제한적인 교과과정 내에서 핵심 교과내용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개혁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은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사회정의 가치를 추구하는 전문적 실천을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치, 지식, 기술의 내포적 관계를 사회복지실천의 성찰(reflection)이라는 교육방법으로 통합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교육 개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정의 가치 실천이라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명확히 하고, 변용가능한(transformative)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핵심 교과목 및 교과내용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교육수요로부터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교과과정을 귀납적으로 재구성하고, 기본 공통영역과 전문영역의 교과과정으로 분류하고 모듈식으로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자격제도와 사회복지교육의 개혁 과제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가치-지식-기술의 통합적이고 성찰적 교육을 위해 사회복지현장의 실천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사회복지 교과서를 새롭게 개발하며, 교수자의 혁신을 위한 교수 재교육이 필요하다. Unlike the fundamental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discussion on the reform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 strengthening of credentialism and professionalism and has been far from a fundamental solution to regaining the ident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a more fundamental discussion on social welfa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seek reform directions that can be reconstructed into a core curriculum within the limited curriculum.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s to nurture professionals who can practice professionally pursuing the value of social justice for a better life and a better societ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the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knowledge, and skills into an educational method called reflec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to reform social welfare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which is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values, and to restructure core subjects and contents that can develop transformative core compet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tively reorganize the curriculum that composes core competencies from the educational demand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classify it into basic common areas and specialized areas, and systematize it in a modular way. Thir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reform task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Fourth, for value-knowledge-technology integrated and reflec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ccumulate practice cases in social welfare fields, develop new social welfare textbooks, and retrain professors for innovation of instructors.

      • KCI등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코로나19 위기대응 프로그램 내용분석: 2020년 배분사업을 중심으로

        엄기욱,박미희,남기철,김수정,장연진,최상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present the contents of social welfare programs intervened in the private sector in response to the COVID-19 crisis based on the system theory, focusing on the 2020 Social Welfare Community Chest of Korea distribution project result report. For this study, out of 1,172 distribution projects related to COVID-19, the result reports of 178 projects were used, excluding projects that delivered items or cash such as quarantine items, groceries, and gift certificate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opinion gathering procedure and a new service provision method that could reflec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new type of face-to-face service approach to guarantee the quality of service and psycho-emotional support for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social interaction through online. Third, education and consulting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the cooperative organization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hift from service provider-centered to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nd leading role.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organizations to continuously perform welfare functions in a crisis situation in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코로나19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영역에서 개입한 사회복지프로그램의 내용을 체계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하여 단계적 일상회복을 대비하기위한 민간영역 사회복지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코로나 관련 1,172개 배분사업 중에서 방역물품, 식료품, 상품권 등 단순 물품이나 현금을한국사회복지교육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2022. 3. 31, Vol. 57, pp 61-88 http://dx.doi.org/10.31409/KJSWE.2022.57.61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코로나19 위기대응 프로그램 내용분석: 2020년 배분사업을 중심으로* 4 )엄기욱(군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주저자) 박미희(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교신저자) 남기철(동덕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김수정(국제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장연진(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최상미(동국대학교(서울) 사회복지상담학과 조교수) [요 약] *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에서 수행한 “2020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배분사업평가(조사연구 2021-01)”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새롭게 작성되었으며, ‘2021 사회복지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된것을 수정·보완한 것임한국사회복지교육 제57집- 62 - 전달한 사업을 제외한 178개 사업의 결과보고서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한 함의로는 우선, 지역주민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의견수렴 절차와 새로운 서비스제공방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위험대응 일상화를 대비하여 온라인을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곤란한 대상자를 위한 심리⋅정서적 지원과 서비스 질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대면접근방식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연계협력 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컨설팅 등이 필요하며 넷째, 서비스 공급자 중심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주도적 역할로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조직이 향후에도 지역사회 위기상황에서지속적으로 복지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재단의 현황과 방향성

        이준우 교회사회사업학회 2012 교회와 사회복지 Vol.0 No.19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회와 기독교의 사회복지실천이 어떻게 한국 사회와 사람을 회복하는 데에 영향을 줄 수 있을까?에 대한 해결점을 찾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포괄적인 연구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해결해 나가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첫째, 교회와 교회사회복지실천의 성경적 본질은 무엇인가? 둘째, 역사적으로 한국교회의 사회복지실천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 셋째, 우리나라 기독교사회복지재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가? 이러한 연구 질문에 대한 탐색결과, 기독교사회복지재단에 의해 수행되는 교회사회복지실천이 바람직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본질을 갖고 있는 영성적 토대가 바르게 세워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매우 짧은 시간에 그 엄청난 교회사회복지실천의 외형적 성과들이 사리사욕을 위한 도구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사회복지실천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 않을 수 없다. 왜냐하면 사회복지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속화된 이타주의 활동의 변질을 막고, 새로운 모범과 대안을 제시하는 역할이 교회사회복지실천의 사명이기 때문이다. 또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영성적 공동체이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형상을 보여주는 영성적인 참 인간이다. 진정한 인간성은 예수님의 성품과 삶을 닮는 것이며, 교회사회복지실천은 이러한 영성의 ‘외연화’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회는 기독교복지재단(법인)을 통해 전문적이며 영성적인 교회사회복지실천을 구체화 해 나가야 한다. 이는 하나님나라의 복음을 통한 개인의 영적 구원과 사회복지를 통한 사회구원 양자의 통합적 운동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회는 영혼 구원이라는 본래적 복음 활동과 함께 교회사회복지실천의 새로운 활동과 그 범위를 구체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해야 한다. 첫째, 교회사회복지실천은 복지재단을 통해서 수행된다 하더라도 정부의 지원에 의존하기보다는 교회의 모든 자원을 동원하는 순수한‘인간사랑’으로 실천되게끔 보다 더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둘째, 교회사회복지실천은 인간의 다양한 욕구의 영역인 사회적ㆍ경제적ㆍ문화적ㆍ육체적ㆍ심리적ㆍ윤리적ㆍ영적인 범주를 포괄해야 한다. 셋째, 교회사회복지실천은 복지대상자들을 일방적 도움의 대상으로 간주하지 말아야 한다. 넷째, 교회사회복지실천은 평신도의 적극적인 동원과 참여가 요구된다. 다섯째, 교회사회복지실천은 지역사회의 복지기관들과 협조하여 교회를 중심으로 지역단위와 지역 공동체에 이르기까지 점진적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회사회복지실천은 교단 및 교파를 초월하여 지역교회의 교회연합운동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여덟째, 교회사회복지실천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끝으로, 교회는 교회사회복지실천을 위한‘지역화’와‘세계화’를 능동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