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민주도성에 관한 개념도(Concept Mapping) 연구

        장연진,하은솔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1

        The citizen-initiative has been frequently mentioned in community building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by Seoul City. The citizen-initiative has become an important concept in the direction of community welfare efforts. However, this concept has not been defined clearly in social welfar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he practitioners of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recognize the concept of citizen-initiative. In this study, concept mapping method was used to generate 59 statements about the citizeninitiative in 10 social workers in Seoul.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re used to do mapping and grouping the 59 state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total of 6 categories were derived. The six categories are named “Inducement of Participation”, “Practice”, “Procedure”, “Awareness and Interest extension”, “Expression of Opinion”, “Attitude and Emotion”. “Practice” category was revealed as a core category in the concept of citizen-initia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first step to discuss "what is the citizen-initiative?” and to make consensus in social welfare academic area and practice field.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복지생태계조성사업, 마을공동체지향복지관 변화지원 사업과 최근 발의된 <마을공동체기본법> 등 주민주도성은 지역복지활동의 방향성으로 중요하게 부상하고 있는 개념이다. 그러나 주민주도성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 없이 사용되고 있어, 현장에서 활용되는데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적용하여 서울시내 복지관의 실무자 10명을 대상으로 주민주도성에 대한 59개의 진술문을 생성하여 개념지도를 그리고 다차원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총 6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6개의 범주는 “참여유도”, “실천”, “절차”, “인식과 관심 확장”, “의견표출”, “태도와 정서”로 명명할 수 있었으며, 주민주도성 개념에서 “실천”이 핵심범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주민주도성의 개념에 대해 실제 사회복지실천현장의 실무자들은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또 주민주도성을 실현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논의하고 향후 합의된 정의를 만들어가는 첫 시도로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이중관계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신념과 경험: 2001년, 2011년, 2022년 비교 연구

        장연진,김진숙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3 사회복지연구 Vol.5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01년, 2011년, 2022년에 실시된 동일 문항의 조사결과를 비교하여 클라이언트와의 이중관계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신념과 경험이 지난 20년간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2년 실시된 사회복지사 284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2001년과 2011년에 이루어진 유사 설계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2001년보다 2011년이, 2011년보다 2022년 이중관계에 관한 신념이 전반적으로 더 엄격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 관계에 있어서는 과거보다 허용적인 신념을 가진 응답자들이 2022년에 일부 증가하였으나, 대가성 관계와 개인적 관계에 대한 신념은 더 엄격해졌다. 반면, 세 관계 유형 모두 2022년 경험율이 2001년, 2011년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이중관계에 관한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신념은 점점 엄격해지고 있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중관계 경험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 명확히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전문적 관계에 대한 논의와 윤리적 실천을 위한 구체적 지침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workers’ beliefs and experiences regarding dual relationships with clients have changed over the past 20 years by comparing survey results of the same items conducted in 2001, 2011, and 2022. To do so,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284 social workers conducted in 2022 were compared with similar studies conducted in 2001 and 2011. The analysis showed that beliefs about dual relationships became more strict from 2001 to 2011 and from 2011 to 2022 overall. While some respondents held more permissive beliefs about sexual relationships in 2022 than in the past, beliefs about compensation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became more strict. However, the experience of all three relationship typ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2022 than in 2001 and 2011. Thus, it was clear that social workers’ ethical beliefs about dual relationships are becoming gradually strict, while their experiences of dual relationship are increas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ed to propose specific guidelines for ethical practices and discuss the profession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and clients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아동․청소년 관련 공공 서비스 이용 분석: 학교급별 차이

        장연진,서정아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관련 시설 및 기관을 이용하는 초, 중, 고 학생들의 이용 실태와 중복 이용 경험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아동․청소년 서비스 전달체계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아동과 청소년이 이용하는 공공 서비스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초, 중, 고 학교급별 차이를 통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반 시설(기관) 이용율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난 곳은 주민자치센터, 청소년수련관(수련원), 건강가정지원센터, 보건소, 시청·도청, 군청·구청, 교육청이었다. 복지 시설(기관) 중에서는 위(Wee)센터, 위(Wee) 스쿨, 지역아동센터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났다. 네트워크 연결 중심성 분석에서는 초등학생은 보건소, 중학생은 청소년 수련관, 고등학생은 주민자치센터가 가장 높게 나타나, 자체 및 중복 이용자 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Concor를 이용한 구획화 결과에서도 동일한 시설(기관)이라도 학교급에 따라 서로 다른 기관 간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아동·청소년 서비스 전달체계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생애주기적 특성을 고려한 통합 게이트웨이 구축과 개인별 시설(기관) 이용 데이터베이스 개발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ective service delivery system for children and youth considering service users and developmental stag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public service utilization for children and youth focusing on age difference, using statistical method and network analysis.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service utilization among different age groups appeared in community center, youth training center,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public health center, public office and office of education. In terms of service utilization for special needs, the differences in Wee Center, Wee School and community child center were significant. Top value of degree centrality in network analysis showed on public heath center for elementary school, youth training center for middle school, and community center for high school. Finally, modeling results by Concor presented several distinctive relationship patterns in public service utilization for children and youth according to different age groups. On the base of these results, building a gateway applying age difference and developing a individualized service utilization database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delivery system for children and youth.

      • The Role of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the Development of Diabetic Nephropathy

        장연진,박형섭,김현식,홍혜남,김미경,Jang Yeon-Jin,Park Hyoung-Sup,Kim Hyoun-Sik,Hong Hea-Nam,Kim Mi-Kyung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5 대한약리학잡지 Vol.31 No.1

        당뇨병성 신증은 만성 당뇨병에서 흔히 동반되는 심각한 합병증이나 그 발생기전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암, 노화, 염증등 여러 가지 질환의 발생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산화성 스트레스의 증가가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에 관여하는지를 알아 보았다. 쥐에서 신증의 유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먼저 한쪽 신장을 적출한후 스트렙토조토신을 주사하여 당뇨병을 유발하였다(NEPH-STZ). 당뇨병 유발 8주후, NEPH-STZ쥐들은 심한 고혈당증, 단백뇨, 고혈압의 증상을 보였으며 신장조직은 보상성 비대와 함께 혈관간기질(mesangial matrix) 증대의 형태학적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스트렙토조토신만을 주사한 쥐(STZ)에서는 단백뇨가 나타나지 않았고, 신장적출만을 한 쥐에서는(NEPH) 단백뇨의 증상은 나타났으나 신장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에서 혈관간 기질의 증대는 보이지 않았다. 이화같이 그 증상이나 신장조직 병변의 정도는 모두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신피질 조직 단백질의 산화는 NEPH, STZ, NEPH-STZ의 세 실험군 쥐에서 대조군(CONT)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 되어 있었다. 이 실험결과는 세 실험군 모두에서 조직의 산화성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산화성 스트레스의 증가가 당뇨병성 신증을 일으키는 유일한 발병기전은 아닐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조직의 산화성 스트레스의 증가가 여러 질환에서 조직의 손상을 유발하는 공통된 최종 경로라는 것을 고려해 볼 때, 혈행학적(hemodynamic) 혹은 대사성 인자 등에 의해 증가된 산화성 스트레스가 당뇨병성 신증의 발생에 있어서도 기여할 가능성은 크다.id deptide의 양이 변해서가 아니라 다른 기전에 의하여 조절되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nephropathy is still not completely understood while renal diseas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abling complications of diabetes. We, i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le involvement of oxidative stress in the development of diabetic nephropathy. To hasten the development of diabetic nephropathy, streptozotocin was injected to unilaterally nephrectomized rats (NEPH-STZ). Eight weeks later, NEPH-STZ rats developed severe hyperglycemia, proteinuria, and hypertension. The kidneys of these rats showed compensatory hypertrophy and mesangial expansion. In contrast, the rats with streptozotocin injection alone (STZ) did not increase urinary protein excretion. Nephrectomized non-diabetic rats (NEPH) developed increased urine protein excretion, but without prominent renal morphological changes. However, oxidation of renal cortical tissue protein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3 groups of NEPH, STZ and NEPH-STZ in comparison to control rats (CONT). The result indicates the non-specificity of the oxidative tissue damage and suggests that the oxidative damage is hardly a sole mechanism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diabetic nephropathy. However, it would still be a contributing factor considering that the oxidative stress is a common final pathway mediating tissue damages in chronic diabetic complications and other serious illness.

      • KCI등재

        뉴노멀 시대와 복지서비스 욕구 : 코로나19 전후 복지대상자가 겪는 어려움의 차이 비교

        장연진,김희주,권승숙 한국평화종교학회 2021 평화와 종교 Vol.- No.12

        코로나19는 팬데믹이란 상황을 초래하여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여 우리 삶의 전 (全) 영역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저소득 및 취약계층은 재난에 대응하고 적응해 나가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공공복지서비스 를 받고 있는 복지대상자들의 코로나19 전후의 어려움과 향후 복지서비스 욕구를 조사한 결과 를 분석하여, 코로나19 이후 뉴노멀(New Normal) 시대에 필요한 지역사회 복지정책 및 서비 스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OO구에 거주하는 행복e-음 대상자 중 500 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경제 및 고용, 돌봄 및 가족, 심리정서, 보건의료, 사회문화, 정보, 지 역사회자원이용, 전반적 생활상 어려움의 차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코로나19 전후 어려움의 차이 및 향후 복지서비스 욕구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영역에서 코로나19 이후 어려움이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전후의 어려움과 복지서비스 욕구와의 상관관계는 가족관계와 정보화 기기 보급 및 교육을 제 외한 전(全)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향후 뉴 노멀 시대에 필요한 지역사회 복지정책 및 서비스 방향을 제안하였다. COVID-19 has significantly impacted our overall lives, especially persons in poverty and in vulnerable situations, struggle to cope with and adapt to the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fficulties and needs of Welfare recipients, such as how their lives have changed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propose welfare policy and service implications for the post COVID-19, which is called New Normal era. For the data analysis, researchers randomly selected 500 recipients from OOgu, Seoul who are registered in the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 called Haengbok E-eum, and conducted a survey on economic and employment status, care and family,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health care, sociocultural aspects, information, access to community resources and overall difficulty in living.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quantifiable differences in difficulti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and welfare needs. The results show that difficulties in all life domains have been increased after COVID-19,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difficulties and welfare needs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except family relationship, and supply and education of informational technolog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of welfare policy and services for the future New Normal era.

      • KCI등재

        「다갈라 불망비」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연구: 이문구 초기소설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장연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space found in 「Dagala Bulmangbi」 and relevance between the debut work and early novels of Lee Mungu, and, ultimately, examine how it is contrasted by or linked with characteristics of Lee’s later novels. The setting of 「Dagalra Bulmangbi」 could be divided into three kinds of space : the periphery of ‘Jinyeoam’, the very ‘Jinyeoam’, the valley at the entrance of ‘Jinyeoam’. Various stories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finally become a form of novel in the periphery of Jinyeoam. Lee Mungu habitually collected materials for writing novel through his personal experience or acquaintance’s ordinary life. The style exposed in the periphery of ‘Jinyeoam’ is connected with this type of habit and it makes readers understand that his own writing style has been materialized since the debut as a writer. The second place, the very ‘Jinyeoam’, can be defined as the space of silence and stoicism. However, the third place, the valley at the entrance of ‘Jinyeoam’ is the ground for satisfaction of desire. In short, Buddhist Seong-cho is to the very ‘Jinyeoam’ what a young man to the valley at the entrance of ‘Jinyeoam’. The Buddhist temple is used as a significant place in another novels. Mo Ilman in 『Janghanmong』 and the narrator in 「As he told it」 pass by the temple. However the temple dose not function in the same way. Mo Ilman can understand the basic instinct of human when he stay in the temple, but the speaker in the latter suppresses his desire and obeys old teacher precept in the same place. The findings show that, unlike Lee’s mid-period novels that include characters who have individual differences and reveal typicality, regardless of the diversity of events, his early novels reveal his interest in private and individual desires of people. The valley also appears in other novels. For instance, you can find the valley in 「White clothes」 and 「Wall in ocean」 but the meaning of it is different from 「Dagalra Bulmangbi」. The valley means not a desire but grand nature in these novels and main characters experience the identification with nature. This kind of identification is very different from representation of nature. Since protagonists can not keep the distance from nature, they get involved in a mysterious situation. Although they attached different meanings to the space, i.e., one as a healing space and the other a destructive one, characters in the two novels have common experiences in being integrated into the nature. In the end, the healing nature and destruction of nature are derived from the same idea that humans are part of the nature, and his view on nature is linked with unique characteristics found in later novels of Lee. 통상 등단작은 한 작가의 문학 세계가 형성되는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면밀한 고찰의 대상이 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작품의 이질적 소재와 공간의 이채성 등으로 인해「다갈라 불망비」(1965)는 그간의 연구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고의 목적은 「다갈라 불망비」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분석을 바탕으로 이문구의 등단작과 그의 초기소설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는 이와 이후 이문구 문학의 특성이 어떠한 지점에서 대비 또는 연계되는가를 밝히려는 데에 있다. 「다갈라 불망비」는 진여암의 주변부, 진여암, 진여암 초입의 계곡 공간을 중심으로 서사가 전개된다. 먼저 진여암의 주변부는 이야기가 공유, 전달되어 소설화되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는 직접 체험과 주변인들의 일상에서 소재를 발굴하는 이문구의 작법 특성이 소설의 일부로 용해되어 있다. 다음으로 침묵과 금욕의 규율이 지배하는 진여암은 인간의 내밀한 욕망이 고뇌의 대상이 되는 공간이다. 이에 반해 진여암 초입의 계곡은 인간의 욕망이 자각되고 언어 없이도 소통이 가능한 공간이다. 그리고 암자와 계곡 공간의 의미는 각각 성초스님의 ‘구경삼매’와 청년의 ‘시명피안’으로 대립하는데, 연묘의 환속으로 종내는 ‘시명피안’의 가치관에 중점이 실린다. 이후 「다갈라 불망비」의 절(암자) 공간에서 펼쳐지는, 연묘의 욕망을 둘러싼 고뇌는 동일한 공간인 절을 배경으로 모일만과 「그가 말했듯」의 ‘나’에게서 각각 다른 방식으로 변주되며 나타난다. 여기에서는 이문구 중기소설의 인물들이 사건의 다양성과 관계없이 개별적인 차이가 지워진 채 전형성을 띠고 있는 것과 달리 초기소설에서는 인간의 내밀하고 개별적인 욕망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 「다갈라 불망비」에서 저마다의 존재가 ‘옳은 이름’으로 살아가고 말없이도 소통이 가능한 계곡 공간의 의미는 「백의」와 『해벽』에서 자연의 의미로 확장된다. 「백의」에서는 인간 세계와 동떨어진 노인의 거처가 일면식 없던 두 인물이 소통하고 내면의 상처를 보듬는 ‘자연’으로 제시되었다. 『해벽』에서는 사포곶을 지키는 조등만의 고투가 사람이 사람으로 존중받는 세상, 바다가 바다로 존재하는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지 않으려는 고투였음을 암시한다. 치유의 공간과 순리에서 벗어나 파국을 기다리는 공간으로 각기 다르게 의미화 되었으나 두 작품의 인물들은 자연과의 합일이라는 체험을 공유한다. 치유의 자연과 자연의 파국은 결국 인간과 자연이 하나라는 동일한 인식에서 파생된 것이며 이러한 작가의 ‘자연관’은 이후 이문구 문학의 고유한 특성과 연계된다.

      • KCI등재

        이문구 산문에 나타난 문학관 연구 : ‘산문적 소설’ 형식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장연진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7 No.-

        산문은 소설과 상호작용하며 이문구 문학의 지형을 형성한다. 이문구의 산문을 살펴보는 것은 궁극적으로 그의 문학의 지평을 확장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소설과 함께 이문구의 전체 텍스트를 구성하는 요소인 산문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면밀히 논구되지 못하였다. 본고는 이문구의 산문에서 소설과 언어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고찰하고 이와 그의 소설 특성 중 하나인 ‘산문적 소설’ 형식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2년 전후로 등장하는, 산문과 소설을 오가는 이문구의 글쓰기 방식은 ‘일상’을 지향하는 그의 소설관과 언어관에서 연원한다. 이문구는 많은 산문을 남겼음에도 문학에 관한 ‘∼론’ 형식의 체계적인 글은 쓰지 않았다. 그렇기에 이문구가 지닌 문학관의 세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그의 산문에 나타난 소설관과 언어관을 탐색하는 우회적인 방식을 취해야 한다. 이에 먼저, 본론 1장에서는 동일한 경험을 산문과 소설에서 호환해 사용하는 이문구의 소설 작법이 산문의 작법과 근사함을 논증하였고, 본론 2장과 3장에서는 각각 ‘경험의 전달로서의 소설’과 ‘경험과 소설의 매개로서의 언어’ 대한 이문구의 인식이 ‘사실성’과 ‘존재’를 지향하며 궁극적으로는 ‘일상’으로 합치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산문과 소설을 오가는 이문구의 글쓰기 방식이 그의 이러한 문학관을 바탕으로 삼고 있음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Reading Lee Moon-Gu’s proses closely will be helpful to interpret his literary works from a different standpoint. The reason to read his proses is that they interact with his novels and short stories. However, together with novels as the ‘central text’, proses as the 'para-text' composing the whole text by Lee Moon-gu have not been closely discussed yet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This paper considered Lee Moon-gu's perception of novel and language in his prose, and also examined the relations with the 'boundary writing',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 novel. The boundary writing means that there is no definite division between two genres. This kind of writing style is based on his philosophy of literature and language : they should not be separated from a daily life. In addition, he did not express directly his own theory of writing novels. So it is necessary to search his thoughts in proses. Chapter1 demonstrated that Lee, Moon-gu's novel writing using the same experience for prose and novel would be similar to his prose writing. Chapter2 & 3 analyzed that Lee, Moon-gu's perception of each 'novel as delivery of experience' and 'language as a medium of experience and novel' would eventually aim for/accord with 'daily life' and 'being'. In conclusion, the 'boundary writing' between prose and novel is based on Lee, Moon-gu's literary view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