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이익주(Lee, Ikjoo)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이 논문은 고려가 반원운동에 성공한 1356년(공민왕 5)부터 북원이 멸망한 1388년(우왕 14)까지 고려와 원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이 시기의 고려-원 관계는 1219년부터 시작된 고려-몽골 관계의 대미에 해당하나 지금까지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근래 들어 고려의 반원운동 이후 고려-원 관계와 원-명 교체 이후 고려-북원 관계가 연구되고 있지만, 두 시기의 고려-원 관계를 종합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는 고려의 반원운동으로 ‘세조구제’가 폐기된 이후 그것을 대신할 원칙을 수립하지 못했고, 새로이 명이 등장함으로써 다원적인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에 따라 단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으므로 다음과 같은 몇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단계는 1356년 고려의 반원운동이 성공한 뒤로부터 홍건적의 침입을 받는 1359년(공민왕 8)까지의 시기이다. 이때는 고려가 원과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주도하면서 형식적인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홍건적의 침략으로 고려가 대원관계의 개선을 위해 원에 접근하고, 그에 따라 원의 입장이 다시 강화된 시기이다. 이에 대응하여 원은 고려와의 관계를 반원운동 이전으로 되돌리고자 했는데, 그러한 정책은 공민왕을 폐위하는 것으로 절정에 이르렀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고, 이후로는 고려의 주도권이 다시 회복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1369년(공민왕 18) 이후의 시기이다. 중국에서 원-명 교체의 조짐이 보이자 고려는 원과 관계를 단절하고 명과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함으로써 정세 변화에 대응하였다. 그 뒤로도 북원이 건재하면서 명과 대립하였지만, 고려는 시종 친명·반원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네 번째 시기는 1374년(공민왕 23) 우왕이 즉위한 뒤로부터 북원이 멸망하는 1388년(우왕 14)까지의 시기이다. 공민왕 시해와 명 사신 살해사건을 계기로 고려와 명의 관계가 일시 중단되고, 그 사이에 고려는 북원과의 책봉 -조공 관계를 일시 회복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친명반원 정책을 포기하지 않았다. 고려가 원-명 교체를 일찍부터 인정하고 친명 정책을 채택함에 따라서 북원과의 관계는 급속히 소원해지고, 북원의 존재가 고려-명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서 작용하지 못했다. 당시 고려가 친명 정책을 견지한 것은 공민왕의 반원운동 이후 양국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원의 공민왕 폐위 등 무리한 정책에 대한 고려의 반원 감정과 더불어 당시 원-명 간의 대립에서 명이 우세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명과 북원이 대립하고 있었으므로 고려의 외교정책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Goryeo’s relationship of with the Mongol Empire from its successful anti-Yuan movement in 1356 until the fall of the Yuan Dynasty in 1388. Despite the importance of this period,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levant studies. Some current research on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after the anti-Yuan movement and the Goryeo-Northern Yuan relationship after the Yuan-Ming transition are in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entir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had no replacement for Sejoguje (世祖舊制) after its abolishment by the anti-Yuan movement. As a consequence, relations became unstable with the emergence of Ming China. The resulting significant short-term changes in the relationship are discuss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First, soon after the anti-Yuan movement succeeded, Goryeo was in the leading position over Yuan while establishing a perfunctory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However, during the Red Turban Invasion in 1359, Goryeo approached Yuan seeking a stronger relationship. Acquiring a reinforced position accordingly, Yuan demand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to the pre-anti-Yuan movement level, but this did not continue beyond the dethronement of King Gongmin, and finally failed.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stage is the Yuan-Ming transition in 1369. Recovering its superiority again, Goryeo severed diplomatic ties with Yuan and created a new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Ming China, which it kept coherent despite Northern Yuan’s presence and antagonism against Ming China. The last stage is from the enthronement of King Wu in 1374 to the fall of Northern Yuan in 1388. During this period, the Goryeo-Ming relationship was severed for a time due to the assassination of King Gongmin and the murder of a Ming envoy. There once was a two-sided diplomacy as Goryeo temporarily restored the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but Goryeo maintained pro-Ming and anti-Yuan principle. Goryeo experienced a sinking in its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since its quick acceptance of the Yuan-Ming transition and the inclination toward Ming China. Although Goryeo could have profited through a two-sided diplomacy between Northern Yuan and Ming China, its unbalanced foreign policy of pro-Ming and anti-Yuan prevented this from working. In that sense, Goryeo’s foreign policies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can be evaluated as not having ful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situation.

      • KCI우수등재

        독일 반원전 운동의 전개와 원전 담론의 변화

        박진희 ( Park Jin-hee )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3

        독일에서의 원전 담론은 반원전 운동의 출현, 성장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변화해 왔다.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신화가 지배적이던 1960년대까지만 해도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대한 반대 운동은 지역에 국한된 일시적인 현상에 지나지 않았다.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예정된 원전 부지 주변 주민들은 방사능 위험, 지하수 위험과 농작물 폐해를 근거로 반대 운동에 나서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운동은 부지 이전 결정이 내려지면 바로 사라지곤 하였다. 반원전 운동이 지역 운동에서 전국적인 운동으로 성장해 간 1970년대의 원전 담론은 시기별로 내용을 달리하고 있었다. 초기에만 해도 원전의 방사능 위험, 건강상의 위험 등이 부각되었다가 원전 부지 운동이 대규모로 벌어지고 이에 대한 주정부, 연방 정부 공권력에 의한 진압이 거세지자 원전 담론은 원전 기술과 민주주의 질서에 관한 논쟁으로 이어졌다. 원전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가 개인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가. 원전 정책에 개입할 수 없는 시민의 위상 등이 쟁점이 되었다. 병행하여 독일 정당 정치 개편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로도 이어지고 있었다. 이런 1970년대 논의는 1980년대 반원전 운동에 참여했던 이들이 제도 정치에 진입하여 원전 정책 대안들을 마련해가면서 원전 담론은 대안 에너지 담론으로 이전해갔다. 반원전 운동은 또한 탈핵 운동으로 이전해갔고 정치 영역에서의 새로운 대안 에너지 정책 논의가 시작됨과 아울러 시민 사회에서는 대안 운동이 출현하고 있었다. 이런 담론의 변화가 오늘날 독일 탈핵 정책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The nature of the discourse concerning nuclear power plants in West Germany ev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nti-nuclear power plant movement in the 1960`s. The movements against building nuclear power plants in the mid-20th century were temporary episodes observed only in local areas. Local residents were involved in the anti-nuclear movements primarily over arguments of underground water contamination and health risks from radioactive materials. However the local movements disappeared immediately after a new reactor site was selected. In the 1970s the discourses on nuclear power plant shifted from concerns of risks of nuclear power plant to debates risked democracy by nuclear technology. The excessive suppression of nation-wide anti-nuclear power plant movement by police evoked those debates and normal citizens began to ask if the state constrain freedom of citizens on behalf of nuclear industry. There were also discussions on a reform of the German political system which might not represent the interests of citizens engaged in anti-nuclear movements. In the 1980s the groups of anti-nuclear movements could enter the municipal and federal parliament and discuss alternative policies to nuclear energy. The discourse on renewable energy began to replace the discourse on nuclear power plants. Nuclear phase-out (Atom-Ausstieg), instead of being solely anti-nuclear power plant, became a new goal of the movement. While new alternative energy policies were discussed in the parliaments, an alternative movement for shaping the new energy system was prepared in civil society. This development of adapting discourses is a background for today`s German energy transition policy.

      • KCI등재
      • 고려중·후기 이후 천도 논의와 조선조 漢陽 遷都의 의미

        이원명(Won myung Lee)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논총 Vol.28 No.-

        본고는 “고려 중·후기 천도 논의와 조선조 漢陽 遷都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이를 위하여 <고려 중·후기 南京(한양)으로의 천도 논의>과 <공민왕대 이후 反元運動과 한양 천도 논의> 및 <조선초 치열한 천도 논의와 漢陽 遷都의 의미>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한양이 종래 조선의 수도로서 600년의 역사 뿐 아니라, 삼국시대 이래 2000년의 역사의 중심지로서 그 의미를 재음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특히 조선초 한양 천도 논의 과정은 조선조 儒敎社會로의 시대적 변화의 산물이자, 새로운 시대의 도약을 알리는 상징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s <discussion of transfer of capital in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period and Meaning of Hanyang transfer of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dynasty>. In such case, the writer of this article search divided 'Discussion to transfer of capital Namgyung(南京; 한양) in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period' and 'Movement of anti-Mongols of after King of Gongmin(恭愍王) and discussion to transfer of Hanyang(漢陽) capital, and after keen battle of discussion of transfer of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period. This search is not Hanyang as a history of 600 years traditional capital of Chosun, but take review since the period of the epoch of the three kingdoms, as a center of 2000 years. Like this discussions and decision process of transfer of capital from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dynasty is able to the result of change and symbol move into a new epoch. Especially, discussion process of transfer of Hanyang(漢陽)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dynasty is a result of change the confucian society(儒敎社會) and symbol move into jump of a new epoch.

      • KCI등재

        재난 이후의 ‘피난약자’ -내부로의 ‘피(避)-난(難)’과 외부에서의 ‘생(生)-존(存)’ : 어려움을 피하고(避難) 삶을 존재하게 하다(生存)

        신지영 ( Shin Ji-you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69 No.-

        본 논문은 2011년 3월 11일 지진, 쓰나미, 원전사고로부터 5년(현재는 8년)이 지난 시점에 일본에서 탈원전/반원전 운동의 변화와 한계가 논의되었음에 주목한다. 그 한계들은 탈원전 반원전 운동 속에서 타자와의 관계나 ‘정상성’에 대한 비판이 얼마나 이뤄졌는가를 되묻는다. 이런 문제의식하에 피난이 늦었거나, 피난을 할 수 없었거나, 피난을 했음에도 다시 되돌아 왔거나, 더 나아가 피난의 대상으로 고려조차 되지 않았던 “피난약자”들을 통해서 ‘피난’과 ‘생존’의 의미를 재구성하려고 한다. 분석대상은 ‘피난약자’ 및 ‘재해약자’가 등장하는 기록영상과 기록문헌들이다. 먼저 <이타테 마을, 나의 기록>을 통해 농촌 거주 피해자들의 난민화를 보여준다. 두 번째로 노인요양시설의 증언을 바탕으로 쓴 『피난약자』와 장애인의 피난 경험에 대한 증언을 바탕으로 만든 <도망가지 못한 사람들-동일본지진과 장애인> 등을 통해, 방사능 지대에 머무는 것이 오히려 ‘피난’이 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다룬다. 세 번째로 피난의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았던 동물들을 다룬 영상기록 <보이지 않는 오염>을 후쿠시마의 동물의 현재상황을 기록한 책과 함께 살펴본다. 네 번째로 피난의 고려대상이 되지 못했지만, 학교 전체가 집단 이주에 성공한 조선학교의 사례를 『원전 재해하의 후쿠시마 조선학교의 기록』을 통해 살펴본다. 이와 같은 피난 약자 및 피난의 대상이 되지 못한 자들을 대상으로 한 기록들은, 탈원전 반원전 운동 속에서도 남아 있던 국민-인간-정상성이라는 한계를 넘어서,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피난과 생존을 고민하도록 해준다. 이처럼 ‘재해 이후’의 기록물들을 통해 피난과 생존의 의미를 재구축하는 것은 일본의 재해 이후 탈원전·반원전의 의미를 되묻게 한다. 또한 세월호 참사 5주기를 맞이하는 한국사회에서도 기존의 사회운동이 지닌 ‘근거’를 질문하는 실마리가 될 것이다.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occurred on the eleventh of March in 2011. Since then, we have made protests against nuclear power plants without ceasing. This paper takes note of the changes and limitations of the campaigns and asks how we have addressed issues about “normalcy” and the interrelations between Others. We have many Others around us who missed an opportunity for seeking refuge, who came back to their native land after having taken shelters in another place, or who were deserted out of indifference. By examining their testimonies in the images and literature records, the meaning of their refuge and survival will be reconfigurated. We have four kinds of documentaries for this project. Firstly, “Itate Village and my Writings” displays how the earthquake and nuclear accident victims in the farming village have become displaced. Secondly, in “The Weak in the Disaster” and “Those who cannot Flee for Safety: the East Japan Earthquake and Tsunami, and the Disabled”, the cases will be shown in which elderly and disabled in the radioactive zones instead took as their shelter their native but contaminated place, although they should have evacuated shortly after the accident. Thirdly, in “Invisible Contaminations”, the animals in the devastated area, which have not attracted any attention till now, will be treated along with the writings about their current situations in the aftermath. Lastly, although a pro-North Korean residents’ school in Japan was completely overlooked for evacuation, we find that it made a successful collective evacuation by looking into the Records on a North Korean School in the Fukushima Nuclear Disaster. The image and literature records on the weak in the (aftermath of the) disaster and their testimonies in them lead us to reconsider the meanings and effects of refuge and survival through the interrelations between Others together with the limitations imposed by the nation, humanity and normalcy. The new notions of refuge and survival from this perspective will raise the new issues about and the criticisms against the existing social movements.

      • KCI등재

        논문 : 일본 불교의 평화실현 운동: 조도신슈(淨土眞宗)의 반(反)원전 및 반(反)야스쿠니 운동을 중심으로

        기타지마기신 ( Rev Kitajima Gishin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통일과 평화 Vol.5 No.2

        전후(戰後) 50년이 가까워지면서 일본 내 여러 불교 교단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침략전쟁에 가담했던 사실에 대한 고백과 희생자에 대한 사죄 및 참회의 결의를 공식적으로 시행했다. 이 결의를 종교 생활 속에서 얼마나 현실화해야 하는지가 모든 불자들에게 제기되고 있는 질문이다. 이러한 질문이 풍부한 결실을 거두려면 우선 왜 일본의 불교 교단이 국민국가 형성 과정에서 국가신도에 기초를 둔 정치체제와 협력의 길을 택했는지 그 이유를 명확히 해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 평화의 과제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도신슈(淨土眞宗)는 10개의 종파로 이루어져 있고, 2만 개의 사원과 2000만 이상의 신자가 있다. 그런데 히가시혼간지(東本願寺)와 니시혼간지(西本願寺) 등의 본산(本山)은 신란(親鸞) 성인의 가르침에 반하는 진속이제론(眞俗二諦論)에 근거해 천황제에 적극 협력했다. 조도신슈에서 진속이제론은 종교적 신앙을 정신세계에만 한정하고 신자로 하여금 맹목적으로 국가에 따르게 하는 이데올로기로 작용했다. 13세기 신란 성인은 불교의 가르침을 매도하는 살해범조차 자신의 죄가 크다는 사실을 깨닫고 불교의 가르침으로 생각을 바꾸면 구제될 수 있다고 설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신란 성인의 가르침에 입각해 조도신슈의 승려와 신자가 참회의 행동으로 참여하고 있는 ‘반(反)원전 운동’과 ‘반(反)야스쿠니 운동’의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그들의 평화 운동은 일본국 헌법 제9조 및 제20조와 나눌 수 없도록 연결되어 있는 시민운동이면서 동시에 종교적인 운동이기도 하다. 이들 운동은 ‘죽여서는 안 된다, 죽이게 해서도 안 된다’는 불교적 원칙에 근거해, 타자를 평등한 인간으로 존중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As Fifty Years Post-war came near, many Buddhist Orders resolved to admit the cooperative responsibility for the aggressive War against the Asia and Pacific areas and to confess their sins to the victims. It is up to us, as Buddhists, to decide how to actualize these resolutions in our religious lives. At first, in order to enrich the realiz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asons why Japanese Buddhist Orders collaborated with the political system based on the State Shintoism in the process of nation state building.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explicitly the present issue of peace realization that we are facing. In Shin Buddhism(淨土眞宗), with ten factions, more than 20,000 temples and over 20 million followers, all Religious Orders cooperated with the Imperial System on the Combined Theory of Religious and Secular Truth (眞 俗二諦論) that was against St. Shinran (親鸞聖人), forcing followers to obey blindly the State, and to confine religious faith to their minds only. In the 13th century, St. Shinran once said that even those who have committed homicide and reviled the Buddhist teaching shall be saved if they realize their sinfulness and turn their thought towards Buddhist goals. In this essay, I explain Anti-Atomic Power Generation Movement in Suzu City (珠洲市) and Anti-Yasukuni Shrine Movement in which priests and followers of Shin Buddhism have participated to practice repentance for their sins. Their peace movement is not only a religious one but also a citizens` campaign that is inseparably connected to Article 9 and 20 of the Constitution. This is because they have based their movement on the Buddhist principle that says, “You shall not slay, you shall not cause to slay,” to respect others as human beings.

      • KCI등재

        생태주의, 민주주의, 인권 - 독일 탈핵 운동사에서 찾는 세 가지 가치 -

        전진성 한국독일사학회 2012 독일연구 Vol.- No.24

        This paper deals with the history of German anti-nuclear movement in the light of the following three ideas: ecology, democracy and human rights. While turning from the peace movement in the Cold War era to the “Anti-AKW-Bewegung” in the 1970s, the West German anti-nuclear movement formed an alliance with the new environmental movement which was breaking with the former conservationist position and taking issue with the fatal environmental devastation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So-called “ecological turn” of the German anti-nuclear movement enabled its advocates to repudiate the fraudulent slogan of “Atoms for Peace” and to oppose all sorts of nuclear facilities and artifacts. This mental change was accompanied by opposition to the construction of new nuclear power plants so that dissenting groups occupied the prearranged areas for the construction like Wyhl and Brokdorf and stood against the government. The West German “Anti-AKW-Bewegung” was the arising “new social movements” par excellence, since such an act of civil disobedience was changed to a grassroots democracy in the course of unreserved debates and mutual consent. This new political tendency led to the foundation of the Green Party in 1980 which initiated to plan on shutting down nuclear power plants in West Germany. In line with such a grassroots democracy the idea of human rights can be another value system on which the German Anti-nuclear movement relied. At issue here are not only fundamental rights and social justice, but also more transnational rights for living and health. Under the threat of the potential danger of radioactivity man should try to find a way out of his vulnerability, whether disasters may be resulted from a atomic weapon or from a nuclear power plant. The history of German anti-nuclear movement provides an answer concerning how to recover the rights for autonomous decision for each man’s own life in the post-Fukushima 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