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후기 신국가 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정호훈(Jeong, Ho-h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7 다산과현대 Vol.10 No.-

        조선후기 사상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주요한 특징의 하나는 많은 학자들이 현실 조선과는 다른 새로운 국가를 구상하고 이를 책으로 편찬한 점이다. 유형원의 『반계수록(磻溪隨錄)』, 유수원의 『우서(迂書)』, 홍대용의 『임하필기(林下筆記)』, 정약용의 『경세유표』 등이 그 대표적인 책이다. 『경세유표』는 이전에 나온 여러 책들의 전통을 계승하며 저술되었는데, 특히 『반계수록』의 영향이 컸다. 이 글에서는 『반계수록』과 『경세유표』의 비교를 통하여경세유표 국가론의 성격이 어떠했던 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 『반계수록』에서 『경세유표』에 이르는 동안 새로운 국가 구상의 핵심을 이루었던 사안은 사유재산제에 기반한 농업경제․토지제도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두 책의 저자는 당시 조선의 모든 문제는 지주제로부터 비롯한다고 판단하고 있었으므로 이 과제 해결을 중심으로 국가를 기획한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반계수록』에서는 전 토지를 공전화(公田化)한 공전제를 기반으로 국가 체제를 구상했고, 『경세유표』에서는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이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는 토지제도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전자에서는 개개인이 가지는 토지의 사적 소유권을 혁명적으로 제한하여 국가가 이를 온전히 관리하고자 했고, 후자에서는 국가가 경제적인 방식을 활용하여 공전을 확보, 공전과 사전이 균형을 이루는 체제로 기획되었다. 당대 농업·농민 문제의 해결책에 대해, 『반계수록』에서는 토지를 농민들에게 나누어주는 방식을 주목했다면, 『경세유표』에서는 농민의 세금 부담을 경감하는 한편으로 상업과 수공업 등 전 산업을 활성화하여 변화를 도모하는 방법을 중시했다.  『경세유표』는 『반계수록』에서 볼 수 있는 국가의 주도적 역할을 중시하는 태도를 공유하면서도 사적인 경제 활동의 장점을 최대한 긍정하는 개성을 보인다. 이 점은 정약용이 가지고 있던 국가관-인간관이 어떠했던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보이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해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Gyeong’se yupyo (經世遺表) was written by inheriting the tradition of the new national building idea which the book such as Pan’gye surok (磻溪隨錄) raised. I tried to find out what the nature of the theory of governing the nation wa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books. What was at the core of the new national Concept from Pan’gye surok to Gyeong’se yupyo was how to solve the matter of agricultural economy and land system based on the private property system. The authors of both books thought that all the problems of Chosun originated from the land system, so it was natural to plan the nation around. In the Pan’gye surok, the system was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make the whole land a common land. On the other hand, In the Gyeong’se yupyo, The state is designed to be built on a land system in which common land and private land are balanced at a certain rate. The former method has revolutionized the private ownership of each individual, and the nation has the characteristics to manage it completely. The latter is promoted in the form of securing the common land by using the economic method in order to recognize the private property system. In this system, the shared land and the private land have an appropriate balance, and Private ownership scheme of land has not been dismantled by direct pressure by the state power. Gyeong’se yupyo shares the attitude of emphasizing the dominant role of the country as seen in Pan’gye surok, This point seems to be an important indicator to see how the national-human perspective of Jeong Yak-yong was held, and it should be intensively explained in future resear

      • KCI등재

        반계 경세학에 대한 영남 유학자들의 관심과 수용

        전성건 한국양명학회 2023 陽明學 Vol.- No.69

        This paper focuses on the interest and acceptance of Yeongnam Confucian scholars in the theory of reform of Bangye Ryu Hyung-won, that is, the Bangye Essay, by Garam Lee Hyun-il’ Hongbeomyeonui and Hanju Lee Jin-sang’s Myochungrok. Garam completed the first draft of Hongbeomyeonui, which was written by the second oldest brother Lee Hwi-il, which can be said to be the definitive edition of the so-called Toegye School of a reformed work. In short, it can be said that Garam’s reading of the Bangye Essay enabled comparison and review between Hongbeomyeonui’s reading, which can be evaluated as Hwanggeuk- centered reformed work and the Bangye Essay, which can be evaluated as Jurye-centered reformed work. Hanju Lee Jin-sang was criticized by Toegye School, which is his academic origin, because he advocated a heart theory reminiscent of Yangmingism, but the national reforms he submitted are significant targets for grasping the political system of the time. That’s what myochungrok is. Of cours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ngye Essay has been widely read not only by Yeongnam confucian scholars but also by Noron and Soron, but it is also the Seongho School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the Bangye Essay.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Gwak Woo-rok written by Seong-ho, the japdongsani of Sunam Ahn Jung-bok, who transcribed the Bangye Essay, and Dasan Jeong Yak-yong’s Gyeongseyupyo, which was written with awareness of the Bangye Essay. 본 논문은 반계 류형원의 경세학, 즉 『반계수록』에 대한 영남 유학자들의 관심과 수용을 갈암 이현일의 『홍범연의』와 한주 이진상의 『묘충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반계의 경세학은 그가 제시한 실리론과 변법론의 맥락에서 다루어져 왔다. 반계는 변(變)과 통(通)을 각각 화재(化裁)와 추행(推行)으로 설명하고, 그것을 천하의 백성에게 시행하는 것을 사업(事業)이라고 정의하며, 동시에 이를 다시 이기(理氣)를 합체(合體)하여 화재(化裁)하고 추연(推行)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갈암 이현일은 반계의 친우이자 사돈이었던 만학당 배상유를 통해 『반계수록』의 서문을 부탁받는 한편, 그 개혁안의 실행을 권유받았다. 갈암은 중형 존재 이휘일이 집필을 시작한 『홍범연의』의 초본을 완성하였는데, 이는 이른바 퇴계학파 경세서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다. 요컨대, 갈암의 『반계수록』 일독은, ‘황극 중심의 경세서’라고 평가할 수 있는 『홍범연의』와 ‘주례 중심의 경세서’라고 평가할 수 있는 『반계수록』과의 비교ㆍ검토를 가능하게 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한주 이진상은 양명학을 상기시키는 심즉리설(心卽理說)을 주창하였기에 자신의 학문적 연원이 되는 퇴계학파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그가 제출한 국가 개혁안들은 당대의 정황(政況)을 파악할 수 있는 데에 유의미한 대상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묘충록』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한주가 저술한 『묘충록』 또한 『반계수록』의 영향을 확인해볼 수 있는 자료가 된다. 다만 두 저술의 차이는 『반계수록』이 ‘復古’를 지향하고 있는데 반해, 한주의 『묘충록』은 ‘시세(時勢)’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반계수록』이 영남 남인뿐만 아니라, 노론과 소론 등에게도 광범위하게 읽혔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역시 『반계수록』의 영향 관계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역시 성호학파라고 할 수 있다. 성호가 작성한 『곽우록』, 반계수록』을 필사해둔 순암 안정복의 『잡동산이』, 『반계수록』을 의식하고 작성한 다산 정약용의 『경세유표』 등을 통해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반계수록』의 전승과 『잡동산이』

        함영대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5

        『Bangyesurok』 is a book written by Bangye Yu Hyeong-won (1622∼1673) who tri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ng the state by realizing godo (古道)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called the Ming-Qing Transition that actually shocked the intellects in Chosun with the fact that ijeok (夷狄) collapsed the Middle Kingdom (中華).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ough what routes Yu Hyeong-won’s 『Bangyesurok』 was reported, transmitted, evaluated, and published. In addition, by considering 『Bangyesurok』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nam-bon 『Bangyesurok』) contained in Sunam An Jeong-bok’s 『Japdongsani』 as it was transcribed while 『Bangyesurok』 was being transmitted comparatively, this author traced the system of the original. This is the examination of mentality to understand how 『Bangyesurok』, the innovative conception of the time, was transmitted and accepted by the contemporary and future intellects and also philological exploration over the process of 『Bangyesurok』, a monumental work, becoming published as one of the publications. 『Surok』 completed in 1670 with Bangye Yu Hyeong-won’s almost 20 years of endeavoring came to be published in 1770 that was about 100 years later from its completion. In the process, Bangye’s disciples and descendants tried to reveal the fruition showing Bangye’s work to the scholars of the time. In fact, high-minded scholars in office including Hong Gye-hui reacted favorably to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empathizing with its detailed sections. The fact that Bangye’s plan of reformation to preserve the commonsensical principles of Gyeongjayujeon (耕者有田) and guarantee the least conditions of life failed to be realized concretely due to the resistance of those equipped with power was not solely attributed to Gyeongsechaek in the past. As you can see from Jeongjo’s case to rebuke to avert their eyes to more realistic reformation, the indifference of those equipped with power grasping public posts while securing the lineage possessing and handing down their vast land about ultimate reformation allows us again to realize that the actualization of policy is not just about planning but the product of acquisition grounded on restless struggles. 『반계수록』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夷狄이 中華를 침몰시키는 충격을 주었던 명청 교체기라는 문명의 전환기에 古道의 실현을 통해 국가 재건의 가능성을모색하고자 했던 반계 유형원(1622∼1673)의 저작이다이 글에서는 유형원의 『반계수록』이 어떠한 경로로 보고되고 전파되고 평가받으며, 출간에 이르게 되는지를 규명한다. 아울러 『반계수록』이 전파되는 과정에서 필사되어 순암 안정복의 『잡동산이』에 수록된 『반계수록』 (이하 순암본』반계수록』)을 비교 고찰하여 그 원본의 체제를 추적했다. 이것은 『반계수록』이라는 당대의 혁신적인 구상이 당대와 후대의 지식인들에게 어떻게 전파되고 수용되는지를 검토하는 지성사의 검토이자 동시에 『반계수록』이라는 기념비적 저작이 하나의 출간물로 완성되는 문헌학적 탐색이다. 반계 유형원이 거의 20년의 공력을 들여 1670에 완성한 『수록』은 100여년이지난 1770년에 발간되었다. 그 과정에서 반계의 후학들과 후손들은 당대의 학자들에게 반계의 저작을 보이며 그 성과를 드러내고자 했고, 홍계희를 비롯한 재조의 의식있는 학자들도 그 절목의 상세함에 공감하면서 이 책의 발간에 호응했다. 耕者有田의 상식적인 원칙이 지켜지고 최소한의 삶의 여건을 보장하자는 반계의 개혁안이 기득권의 저항에 의해 구체적인 실현을 보지 못한 것은 온전히과거의 일로만 돌릴 수 없다. 더 현실적인 개혁안에 눈을 돌리라고 질타한 정조의 사례에서 보듯 거대한 토지를 가지고 세습되는 문벌을 확보한 채 관직을 독점하던 기득권의 근본적인 개혁에 대한 무관심은 정책의 구현이 기획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단한 투쟁을 통해 획득되는 산물임을 다시 한 번 각성케 하는것이다.

      • KCI등재

        유형원의 학문 연원과 『반계수록』의 정치론-서경덕계 학맥과 연관하여-

        정호훈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2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origin of Yu Hyeong-won's studies and reviewed the political theory of Bangye-surok in relation to it. It is part of the work to trace the academic background where Bangye-surok's theory of national reform could have been created. People who influenced Yoo Hyeong-won during his growing up were Northerners in terms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generally related to Seo Gyeong-deok's studies in terms of academics. They had a personality that could not be found in Yi Hwang or Lee Yi・Seong-Hon's descendants, and it can be summarized as having an openness to study of various personalities and Qi(氣). In addition, they paid much attention to the ancient legal system. Around the time he was writing Bangye-surok, Yu Hyeong-won, who had experienced a change in his thinking that put importance on the natural law, away from the world view that emphasized Qi, prepared the basic ideology of Bangye-surok and conceived laws based on this. Yu Hyeong-won believed that the law of a new country should contain the laws of heaven, and found the way to realize the laws of the kingdom in the laws of the country. From his point of view, all legal systems derived from the Gongjeon system(公田制) were unified with heavenly principles, and at this time, the legal systems found by Yu Hyeong-won passed through the ancient time exper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Yu Hyeong-won's Bangye-surok was able to emerge based on the academic trend formed in Seo Gyeong-deok's academic lineage and a new understanding of heavenly principles. Yu Hyeong-won, while writing Bangye-surok, referred to Chinese and Korean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as well as Chinese and Joseon political theories, so it may not be very effective to search for the academic background of Bangye-surok by linking it to a specific academic lineage. However, it is probably not a coincidence that Bangye-surok has achievements that cannot be found in major scholars who were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Lee Hwang and Lee Lee Yi's studies. 이 글에서는 유형원(柳馨遠)의 학문 연원을 살피고 이와 연관하여 반계수록(磻溪隨錄) 의 정치론을 검토하였다. 반계수록 의 국가개혁론이 만들어질 수 있는 학문적 배경이 어디에 있었던가를 추적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성장기 유형원에게 영향을 끼친 인물들은 정치 성향으로는 북인(北人)과 북인계 남인(北人系 南人)이었고 학문으로는 대체로 서경덕의 학문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들은 이황이나 이이・성혼의 후학들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개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기를 중시하고 다양한 성격의 학문에 경도되는 개방성을 갖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들은 고대의 법제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반계수록 을 집필하던 무렵, 기(氣)를 중시하던 세계관을 벗어나 천리(天理)를 중시하는 사유의 전환을 경험했던 유형원은 이를 바탕으로 반계수록 의 기본 이념을 마련하고 법제를 구상했다. 유형원은 새로운 국가의 법은 천리를 담아야 한다고 보아, 천리의 실현 방식을 국가의 법제에서 찾았다. 그가 보기에 공전제(公田制)로부터 비롯하는 제반 법제는 천리와 법제가 통일되어 있었는데, 이때 유형원이 찾은 법제는 고대의 시간 경험을 거친 것이었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유형원의 반계수록 은 서경덕계 학맥 속에서 형성된 학문적 경향, 그리고 천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기반으로 출현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유형원이 반계수록 을 저술하며 중국과 한국의 경서와 사서, 중국과 조선의 정치론을 두루 참조하였으므로 반계수록 의 학문 배경을 특정 학맥과 연결하여 찾는 일이 그다지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황과 이이 학문의 영향권 속에 있던 주요 학자들에게서 찾을 수 없는 성취를 반계수록 이 지니었던 사실은 우연은 아닐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 『경세유표(經世遺表)』

        정호훈(Jeong, Ho-hu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0 No.-

        경세유표(經世遺表)는 이전 시기 반계수록(磻溪隨錄)과 같은 책에서 시도한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을 계승하며 저술되었다. 필자 는 이 두 책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경세유표 국가론의 성격이 어떠했던 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작업 과정에서 특히 주목한 점은 국가구상의 핵심을 이루던 전제(田制)의 특징, 그리고 이와 연관되는 국가 성격의 변화였다. 반계수록에서 경세유표에 이르는 동안 새로운 국가구상의 핵심을 이루었던 사안은 사유재산제에 기반한 농업경제․토지제도가 만들어 내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점이었다. 두 책의 저자는 당시 조선의 모든 문제 는 지주전호제로부터 비롯한다고 판단하고 있었으므로 이 과제 해결을 중심으로 국가를 기획한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반계수록에서는 전 토지를 공전화(公田化)한 공전제를 기반으로 국가 체제를 구상했고, 경세유표에서는 공전(公田)과 사전(私田)이 일정한 비율로 균형을 이루는 토지제도가 실행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전자의 방식은 개개인이 가지는 토지의 사적 소유권을 혁명적으로 제한하여 국가가 이를 온전히 관리하는 성격을 지녔다. 후자는 사적(私的) 토지소유를 인정하는 위에서 국가가 경제적인 방식을 활용하여 공전을 확보, 공전과 사전이 균형을 이루는 체제로 기획되었다.당대 농업․농민 문제의 해결책에 대해, 반계수록에서는 토지를 농민들에게 나누어주는 방식을 중시했다면, 경세유표에서는 공전(公田)의 확보를 바탕으로 사전(私田)의 확장을 제한하는 한편 상업과 수공업 등 전 산업을 활성화하는 방법을 주목했다. 반계수록에서 경세유표에 이르는 동안 논의되고 형상된 새로운 국가상은 조선후기 대변화를 꿈꾸었던 사회 일각의 열망이 반영된 것이거니와, 국가․사회․인간의 혁신을 둘러싼 여러 논의가 어떠한 내용,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갔던 지를 풍부하게 알려준다. Gyeong’se yupyo (經世遺表) was written to perpetuate the tradition of the new national construction idea, which books such as Pan’gye surok (磻溪隨錄) had started.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theory of national self-governanc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books. It identifies the character of the land system as making up the core of the national idea in the two books, and the change in national character associated with it. At the core of the new national Concept from Pan’gye surok to Gyeong’se yupyo was the question of solving the problem of an agricultural economy and land system based on an private property system. As the authors of both books believed that all the problems of Chosun originated from the land system, it was natural for them to plan national governance around it. In the Pan’gye surok, the system was designed in such a way as to make the whole land a common land. On the other hand, In the Gyeong’se yupyo, the state was designed to be built on a land system in which common land and private land were balanced in a certain ratio. The former method revolutionized the private ownership of each individual, and the nation managed it completely. In this national system, the land system would be hidden. The latter method promoted the securing of common land using the economic method to recognize the private property system. In this system, there would be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shared land and private land, and the private ownership land scheme would not been dismantled by direct pressure from the state power. To solve the agricultural and farming problem, Pan’gye surok chose to distribute the land to farmers, while Gyeong’se yupyo focused on reducing the tax burden on farmers and promoting all industries, including commerce and handicrafts.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national conception had greatly evolved in terms of feasibility from Pan’gye surok to Gyeong’se yupyo.

      • KCI등재

        『반계수록』의 경세론적 위상과 유형원 개혁론의 계승

        송양섭 ( Song Yang-seop ) 한국사상사학회 2024 韓國思想史學 Vol.- No.76

        유형원이 세상을 떠난 후 『반계수록』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그의 개혁론은 광범위하게 유통되어 경세론의 전범으로 확고한 지위를 얻게 된다. 유형원은 李珥와 흔히 비견되었으며 『반계수록』은 『목민심서』·『경세유표』 등과 함께 거론되었다. ‘經世’의 뜻을 펴지 못한 점은 식자들의 아쉬움으로 회자되었다. 『반계수록』은 정치적 입장 차이를 넘어 많은 학인들에 의해 계승되었다. 노론 낙론계 인사들의 『반계수록』에 대한 관심은 특별했고 이는 소론계 학자들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유형원은 남인 경세가의 계보 맨 앞자리에 위치했다. 『반계수록』의 개혁안을 채용할 것을 건의하는 상소가 끊이지 않았던 데서 보듯 유형원의 경세론은 재조·재야를 막론하고 많은 지식인에게 공감대를 불러일으켰다. 공전제는 새롭게 해석되거나 그 문제점이 구체적으로 거론되었다. 특히 공전제의 비현실성을 지적하고 이를 한전론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農隱 李爗의 공전제 비판과 限田制的 방안이 대표적이다. 19세기 경세서·경세론에도 『반계수록』의 흔적은 깊이 각인되어 있었다. 兪致範의 『一哂錄』, 李震相의 『畝忠錄』은 대표적 저술로 편제와 목차는 물론 내용까지 『반계수록』의 영향이 역력하다. 특히 개항 이후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를 배경으로 유형원은 개혁의 대명사로 더욱 부각되었다. 유형원은 修己에 짝하여 治人의 방안을 제시한 更張의 상징이자 성리학적 이념에 걸맞는 이상적 왕조체제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인물로 기억되었다. ‘실학자 유형원’의 이미지와는 사뭇 달랐던 것이다. After Yu Hyeongwon’s passing, Bangyesurok became widely known, solidifying his theory as a classic paradigm of “Gyeongse theory” (經世論). Yu Hyeongwon was often mentioned together with Yi Yi, and his writings were also discussed alongside works such as “Mokminsimseo” (牧民心書) and “Gyeongseyupyo” (經世遺表). The fact that he did not fully expand on the meaning of “Gyeongse” (經世) was lamented by scholars. Bangyesurok transcended political differences and was embraced by many scholars. The interest of scholars in Bangyesurok was significant. Although Yu Hyeongwon stood at the forefront of the lineage of Namin, his reform plans resonated with intellectuals across various factions, regardless of their political leanings. “Public Land system” (公田制) was reinterpreted or specifically addressed in details. Particularly, there was a strong tendency to interpret “Public Land system” in a perspective of restricting landowning (限田). Song Dynasty scholar Lin Xun’s proposal presented by Yi Yeop as an alternative to “Public Land system” was notable. Bangyesurok also deeply influenced 19th-century treatises and theories on governance. Works such as Ilsillok (一哂錄) by Yu Chibeom and Myochungrok (畝忠錄) by Yi Jinsang, in their compilation and contents, showed clear influence of Bangyesurok. Especially against the backdrop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upheavals after Korea’s dpening to the world, Yu Hyeongwon became more prominent as a symbol of reform and advancement. Yu Hyeong-won was remembered for systematically presenting an ideal Confucian regime through proposals for self-cultivation (修己) coupled with governance (治人), in line with Neo-Confucian ideals. This portrayal contrasted significantly with the image that of the “Silhak scholar Yu Hyeongwon”.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자 반계 유형원의 향약관 -『반계수록』 내용을 중심으로-

        한종수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0

        This thesis is a study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tems and contents of Bangyesurok(磻溪隧錄), which was excluded from existi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and identifying the position of its hyangyak in the transition process of ‘Joseon Hyangyak’(朝鮮鄕約). The author analyzed the data of ‘Bangyehyangyak’(磻溪鄕約) and presented its character and significance. First, the Joseon-style hyangyak such as ‘Toegye hyangyak’ and ‘Yulgok hyangyak’ appeared as the ancestral hyangyak of the Jujajeungsonyeossihyangyak(朱子增損呂氏鄕約) was handed down to Joseon, and Bangye inherited the Joseon hyangyak. Toegye’s ‘Yeanhyangripyakjo’(禮安鄕立約條) and “Bangyehyangyak” have similar regulations of negligence clause, which is intended for punishment, but the spirit of Toegye’s hyangyak, which emphasizes family customs amid the severity of punishment, continues in Bangyehyangyak was confirmed. In addition, ‘Yulgok Hyangyak’ was inherited. Among them, Seowon hyangyak(西原鄕約), which Yulgok introduced as the pastor of Cheongju, had a great influence on Bangyehyangyak. The point is that it is used in connection with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Seowonhyangyak can be confirmed in the article ‘Bangyehyangyak’. ‘Bangyehyangyak’ reflected the changes in the rural society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The Japanese and two Manchu invasion, in which the entire country was ravaged, devastated the land of Joseon and shook the foundations of the rural society. This change began to be reorganized into the government-led, local-dominated order, and the Bangyehyangyak showed the beginning of that change. The series of appearances in Bangyehyangyak, such as the concurrent appointment of the Hyanggwa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Village associations(洞契) encompassing the nobles and the poor, proves that it reflects the changes in the rural society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The article of ‘Bangyehyangyak’ is that it is very systematic and efficient. Bangyehyangyak completed a detailed but efficient systematic fragrance by leaving the frame of the four major elements of the existing Jujajeungsonyeossihyangyak and trimming the elements based on reality. This point perfectly reflects the order in the villag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can be carried out smoothly. 본 논문은 국내외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반계수록』에 포함되어 있는 「반계향약」의 조목과 내용을 통해 그의 향약이 ‘조선향약’으로 변천과정에서 어떠한 위치를 가지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의 글이다. 필자는 「반계수록」의 내용을 분석하여 「반계향약」의 성격과 의의를 제시하였다. 첫째, 「주자증손여씨향약」이 조선에 전래되어 이황과 이이의 향약과 같은 ‘조석적 향약’이 등장하는데 반계는 그 향약을 계승하였다. 퇴계의 「예안향립약조」와 「반계향약」의 <과실상규> 조항이 유사한데, 처벌을 위한 조목이지만 엄격한 처벌 속에서 가풍을 중시하는 퇴계의 향약정신이 「반계향약」에도 계승되고 있다. 또한 이이의 향약도 계승하였는데 그중에서도 이이가 청주목사로 부임하여 입안 시행한 「서원향약」은 「반계향약」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이 향약의 특징은 양반, 양민, 천민의 모든 주민을 참여시키는 계 조직을 향약조직과 행정조직에 연계시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은 「반계향약」 조목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반계향약」은 17세기 조선의 향촌사회 변동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왜란과 두 번의 호란은 조선의 전국토를 황폐화시키고 향촌사회의 기강을 뿌리째 흔들어 놨다. 이러한 변화는 관 주도 향촌지배질서로 개편되기 시작하였고, 반계의 향약은 그 변화의 시작을 보여줬다. 향관의 약정 겸임, 사족과 천민을 아우르는 동계의 시행 등, 「반계향약」에서 보이는 일련의 모습은 당시 향촌사회 변동 모습을 잘 반영하고 있다. 「반계향약」의 조문은 매우 체계적이고 효율적이다. 「반계향약」은 기존의 「주자증손여씨향약」의 4대 강목을 그대로 두고 당시 현실에 바탕하고 있는 조목들을 가감하여 효율적이면서도 체계적인 향약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점은 향약이 향촌내의 질서를 반영하며 향약에 의한 향촌운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역학 저변을 통해 본 반계 유형원 - 남겨진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

        김승대 ( Kim Seung Da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2 韓國思想과 文化 Vol.105 No.-

        반계 유형원에 대한 유적 연구는 부안 우반동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 경기 지역과 충청, 경상지역까지 지역적 범주가 확대되고 있다. 서울은 그가 태어나고 자란 곳이며, 경기는 그의 선대와 연계된 반계의 세거지였다. 특히, 서울 소정릉동은 그의 외가인 여주이씨와 관련된 유적이 중심이고, 경기 용문은 아버지 유흠과 관련된 유적이 확인된다. 부안 우반동은 반계의 사회·경제적 활동영역의 중심지로서 향후 문화콘텐츠와 하드웨어 건립 등이 검토된다. 아울러 반계학단에 대한 연구와 관련 사료 번역작업도 필요하다 충청, 경상지역에서 주목되는 유적으로는 충주 김세렴과 공주의 양득중 유적 등이다. 또한, 김천의 배상유 유적과 『반계수록』이 간행된 경상감영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반계 유형원에 대한 지역학적 차원의 본격적인 확장 연구가 있어야 한다. 이와 함께 관련 유적지별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 측면에 대한 진지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Bangue(磻溪) Yu Hyeong-won(柳馨遠) was a pioneer of realism(實學) and had written the Banguesoorok(磻溪隧錄) in Buan which is arepresentative masterpiece of assessment advocated a reform of a new society. Research on the remains of Bangue(磻溪) Yu Hyeong-won(柳馨遠)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Uban-dong, Buan. Recently, research is ongoing by expanding the regional scope to Seoul and Gyeonggi regions, as well as Chungcheong and Gyeongsang regions. Seoul is the place where he was born and raised, and Gyeonggi-do is confirmed as a place of rebellion linked to his predecessor. In particular, in Sojeongneung-dong, Seoul, relics related to his maternal family, the Yeoju Lee clan, are centered, and in Yongmun, Gyeonggi, relics related to his father Yu-heum are confirmed. Uban-dong, Buan, is the center of social and economic activity in Bangue(磻溪), and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contents and hardware will be considered in the future. In addition, research on the Bangue(磻溪) Academy and translation of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are also required. Among the relics that are noteworthy in Chungcheong and Gyeongsang are the remains of Kim Se-ryeom(金世濂) in Chungju and Yang Deuk-jung(梁得中) in Gongju. Also noteworthy are the studies on the remains of Bae Sang-yu(배상유(裵尙瑜) in Gimcheon and Gyeongsang Gamyeong, which was published in Bangue(磻溪) Collection. A full-fledged expansion of the regional level of the Bangue(磻溪) type circle is necessary. In addition, a serious review of the software and hardware aspects of each relevant historical site is also required.

      • KCI등재

        "특집 1 :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초기 실학 : (기조강연) 반계 유형원의 학문세계와 그 영향"

        정구복 ( Jeong Gubok ) 한국실학학회 2017 한국실학연구 Vol.0 No.34

        이 글은 한국 실학의 창시자인 반계 유형원(1622~1673)의 학문적 성격을 주로 살펴본 것이다. 그의 학문은 대단히 광범위 하였고 그 저서가 70여 책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그의 저서 중 현전하는 책에는 두 가지뿐이다. 하나는 그가 45세 때에 쓴 『동국여지지』로서 이는 우리나라 전국의 군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저술(9권)이고 다른 한 책은 31세 때부터 쓰기 시작하여 49세 때에 완성한 국가통치제도론인 『반계수록』 26권이다. 이들 현전하는 두 책을 통해 그의 학문적 관심, 성향, 그리고 그 중심 논리를 추론해 보았다. 이 두 책은 다룬 내용은 크게 다르나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저술이다. 『동국여지지』는 『반계수록』이란 저서를 쓰기 위한 자료를 정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국여지지』는 조선 후기에 큰 학문경향을 띈 역사지리학 발전에 중심적 역할을 하였다. 이 책에서 그가 전국의 지리와 국토, 역사를 사랑하고 존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서 그가 추구하는 것은 문학적 표현보다 사실적 기록을 존중하는 학문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전국의 지리지를 자신의 저술로 주장하지도 않아 역사지리학의 공적 개념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자신이 찬자임을 명시하지 않았고 내용을 후대 사람들로 하여금 보완하도록 한 조처가 이를 말해준다. 『반계수록』은 그가 20년에 걸쳐 완성한 국가개혁안이었다. 이는 국가경영학이란 학문 분야를 새롭게 개척한 것이다. 그의 국가 통치제도 개혁론의 근본 정신은 “모든 사람이 자기 몫을 차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 근본 정신을 고대의 『주례』에서 찾았지만 그렇다고 그가 고대사회로 복귀하자는 것은 아니었다. 그의 개혁안은 사욕(私慾)이 배제되고 천리(天理)가 구현된 통치제도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천리는 당시의 철학인 성리철학에서 가장 중시한 핵심 개념이었다. 성리학이 자기 수양을 위해서 강조하던 천리의 실현을 개인차원에서 사회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확대시켜 끌어 올린 것이다. 그의 학문적 영향은 그가 장기간 살았던 지역 전라도 지역의 후배학자들에게 준 영향과 그의 묘소가 있는 경기도 용인시를 중심으로 하는 서울 경기지역의 학자에게 준 영향으로 구분해 살펴볼 수 있다. 전라도지역에서는 그의 학문보다 행실과 인품을 사모하여 서원을 세워 매년 제사를 올렸으니 부안의 동림서원이 그의 사후 20년만에 세워졌고, 그의 역사지리학은 전라도 순창에 살았던 신경준(1712-1781)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개화기까지 이지방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경기도 서울 권의 영향은 그의 국가경영학이 성호 이익(1681-1763), 다산 정약용(1762-1836)에 의해 계승 발전하였고, 안정복(1712-1791), 홍계희(1703-1771) 등에게 큰 학문적 영향을 주었다. 그의 저술 『반계수록』은 조선시대 당파에 구애되지 않고 모두 칭찬되었고, 영조 46년 1770년에 경상도 감영에서 목판으로 출간되어 조선시대의 준 법전으로 인정되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Bangye Yu Hyeongwon (1622~1673). He authored about 70 books but only two books are extant. One is 『Donggukyeojiji(東國輿地志)』 in 9 volumes and the other is 『Bangyesurok(磻溪隧錄)』 in 26 volumes. He wrote the former at the age of 45 describing the human geography of Joseon and the latter from the age of 31 to 49 discussing the ruling system of it. From the two extant books, his academic interests, disposition and the central logic can be inferred. The contents of the two books are different but closely related. 『Donggukyeojiji』 was the result of organized data to write 『Bangyesurok』. 『Donggukyeojiji』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geography of late Joseon period. From the book, his love and respect for the land and history of Joseon can be identified. He used realistic descriptions rather than literary expressions. He did not claim himself as an author of the book. Instead, he took geography as a public subject and allowed the contents to be supplemented by the future generations. That reveals the public concept of historical geography. 『Bangyesurok』 was a national reformation plan completed in 20 years. An academic discipline of national management was pioneered. His reformation principle of a ruling system was 'Everyone should have his own share.' He claimed the principle originated from 『Jurye 周禮』 but didn't mean to return to the ancient society. His reformation plan was to build a ruling system following natural law (天理) without selfish interests. Natural law was the core concept of Neo- Confucianism at that time. Neo-Confucianism emphasized natural law for self-discipline and the concept was expanded from the individual dimension to the social one. His academic influence has succeeded in Jeollado province where he lived for a long time an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entering Yongin where his tomb exists. In Buan, Jeollado, Dongrim Seowon memorial hall was constructed in the 20th year after his death to cherish his behavior and character rather than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has held an annual memorial rite. His historical geography influenced Shin Gyeongjun(1712-1781) in Sunchang, Jeollado and other local scholar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Gyeonggido province and Seoul, his national management succeeded to Seongho I Ik(1681-1763) and Dasan Jeong Yakyong(1762-1836) and influenced An Jeongbok(1712-1791) and Hong Gyehui(1703-1771) greatly. 『Bangyesurok』 was praised regardless of factions and published in wood block printing in 1770 (Yeongjo the 46th year) by the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It was recognized as a quasi-law book in Joseon period.

      • KCI등재

        磻溪 柳馨遠의 저술 재검토와 후학의 관련 자료 고찰

        이형성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After the both wars of Imjin and Byeongja, Joseon incurred social and economic crises due to destruction of its social order. There were scholars who sought to overcome the time of crises for national and social stability. A scholar that intended to systematically correct everything was Yu Hyung-won(柳馨遠) who was playing an active role in Honam Province. His Bangyesurok(磻溪隨錄) was a piece of writing which thoroughly reflected social aspects of that time. After his death, writings such as Jeon(傳) and Haengjang(行狀) by other literators and junior scholars mentioned his written works but it was not so much of uniformity and there also was not inconsiderable number of scholars who followed Yu Hyung-won’s thoughts and promoted reforms. This article reexamined every piece of Yu Hyung-won’s writings one by one and re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contents. Referring to both direct and indirect materials of scholars who succeeded Yu Hyung-won’s thoughts, this study briefly covered Yu Hyung-won’s study in those materials. This work would be a future opportunity to examine Yu Hyung-won’s thoughts in a stereoscopic manner and to study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comprehensively. Further, it would help to get a sense of the independent identity of Honam Province in comparison to Silhak in near-capital area(近畿實學). 조선은 양란 이후 사회적 질서가 무너져 사회⋅경제적으로 위기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시대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와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무너진 질서 체계를 적극 바로잡으려고 추진한 학자는 바로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이었다. 그의 『반계수록(磻溪隨錄)』은 당시 사회상을 철저하게 반영한 저서였다. 유형원은 10대 중반에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삶이 매우 어려웠다. 출사(出仕)를 통해 어려운 삶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당시 무너진 사회 질서를 목도하고서 출사보다는 참다운 학문을 지향하는 열정이 남달랐다. 부안으로 이주한 이후 초야에서 학문을 깊이 탐구하며 52세에 삶을 마감하기 전까지 많은 저술을 남겼다. 유형원 사후, 그의 문인과 후학들이 지은 「전(傳)」과 「행장(行狀)」 등은 그의 저술 서목이 언급되었지만 일률적이지 못한 면이 있고 서명이나 권수도 약간씩 다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유형원이 지은 서목을 일일이 재검토하여 내용적으로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후학들의 유형원 관련 직⋅간접 자료를 살펴보면서 그들 자료에 담긴 유형원의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그 자료를 일일이 나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후학 14인만을 한정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앞으로 유형원의 사상을 입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나아가 근기실학과 대비되는 호남만의 독자적 실체를 가지는 것이므로, 유형원에 대한 직간접 자료 발굴 조사가 이루어질 때 “호남실학”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