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페라 〈소태산 박중빈〉의 플롯 연구

        오주은(吳周垠)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0 No.-

        <소태산 박중빈>은 원불교 교조인 소태산 박중빈의 일대기를 형상화한 최초의 오페라 작품이다. 이 글은 오페라가 음악을 일차적 표현 수단으로 삼는 연극 형식이라는 전제 아래 <소태산 박중빈>의 플롯을 살펴보았다. 플롯을 분석할 때 <소태산 박중빈>이 교조의 일대기와 사상을 무대화한 종교오페라라는 점에 중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경우 교조의 일대기와 사상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종교적 감동을 유발하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이에 상응하는 플롯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조의 생애와 사상을 전달하기 위해서 플롯의 서사적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불연속한 사건과 시간을 연결해주는 해설자를 설정함으로써 서사적 기능을 확대하자고 제안하였다. <소태산 박중빈>에서는 도창과 자막이 해설자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종교적 감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플롯의 극적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감동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기승전결의 단계를 각 장의 구조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태산 박중빈>의 장면을 세분화하자고 제안하였다. 다양한 갈등과 장면이 절정으로 집약되고 통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감정을 극대화하는 아리아를 절정에 해당하는 부분에 배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Sotaesan, Park Jung-bin is the first opera that portrays the life of Park Jung-bin whose penname is Sotaesan and who was the founder of Won Buddhism. On the assumption that opera is a theatrical form that takes music as its primary means of expression,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lot of Sotaesan, Park Jung-bin. The analysis of the plot focuses on the fact that Sotaesan, Park Jung-bin is a religious opera which makes a story laid in biography and philosophy of the founder of Won-Buddhism. As a religious opera has the purpose of fleshing out a founder’s life and thoughts and creating religious emotion, it needs a matching plot. In this study, religious opera is required to expand the epic role of plot in order to convey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founder. So, I have suggested that the epic role be expanded by letting the narrator put together and explain discontinuous events and time segments. I think that in Sotaesan, Park Jung-bin, Doh-Chang and subtitles can serve as narrator. I think that the dramatic role of plot should be expanded in order for a religious opera to create religious emotion. I have suggested further segmentation of scenes of Sotaesan, Park Jung-bin, as the stage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should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each act for the purpose of creating emotion. This is designed to ensure that various conflicts and scenes are condensed and unified into a climax. And I have proposed that the aria maximizing emotional reactions be placed at the climax.

      • KCI등재

        ‘서발턴(subaltern)’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자생 신종교 사상 : 수운, 증산, 소태산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종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7 No.-

        근대 한국의 자생 신종교의 창시자인 수운 최제우, 증산 강일순, 소태산 박중빈 등은 모두 몰락한 양반 출신의 ‘잔반’(殘班)으로서, 본격적인 종교활동에 앞서 시골 서당의 훈장, 농민, 장사꾼, 술사(術士) 등의 활동을 통해 생계를 꾸려나갔으며, 상층 양반으로부터 하층 상놈으로 전락하여 주변화된 서발턴적 위상으로 인해 다양한 서발턴들의 표현할 수 없는 염원과 원한을 종교적으로 대표/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성 질서의 질곡을 폭로하고 일탈하면서도 새로운 대안 질서를 이념으로 제시하지 않았던 조선 후기 ‘밀레니엄적 주변종교’ 운동과는 달리, 이들은 모두 지배층의 서발턴적 규제와 억압을 전복시키고 기성질서를 대체할 수 있는 ‘후천개벽’의 새로운 대안적 비전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실천한 ‘유토피아적 대안종교’로서 탈-서발턴(post-subaltern)적 종교를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는 이들의 사상이 서발턴을 대표/재현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종교적-사회적 주체로서 탈-서발턴의 사회적 비전을 구현하는 다양한 양상을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근대 한국의 자생적 신종교가 유토피아적 대안종교 사상임을 논증하였다. In early modern Korea, the founders of three main-stream indigenous new religions, Choi Je-woo (崔濟愚), Kang Il-sun (姜一淳), and Park Jungbin (朴重彬), were all ruined yangban, who could no longer maintain the social dignity of yangban. Prior to their regular religious activities, they earned livings as rural teachers, peasants, merchants, and fortune-tellers. They were marginalized for having declined from upper-class nobles to lower-class people. Due to their subalternal status, they religiously represented the inexpressible aspirations and resentments held by various subalterns. The millennial movements of marginal relig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exposed and deviated from the fetters of the established order, but they did not propose a new alternative order to replace it. Unlike these millennial movements, Choi Je-woo, Kang Il-sun, and Park Jungbin all proposed utopian visions of post-subalternal alternative religions that systematically presented and practiced new alternative worldviews characterized by the “Great Opening of the Later World (後天開闢).” The world they longed for was one wherein anti-subalternal social regulation were overthrown, the oppression of various subalterns end, and the established social order was replaced. In this article, I have argued that three main-stream indigenous Korean new religions, Donghak (Eastern Learning), the Jeungsan- inspired religious movements, and Wonbulgyo (Won Buddhism) are utopian alternative religions. I made this argument by analyzing some aspects by which they represented subalterns and offered subalterns a new religio-social status.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불교의 근대화

        원영상(Won Yong Sa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본 논문은 근대불교계의 개혁론을 어떻게 새롭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논의이다. 동아시아의 근대 불교계, 특히 중국, 일본, 한국의 경우 입장은 달라도 새로운 문명의 유입과 사회의 변동에 따라 전통과의 관계 정립을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각자 고민하고 있었다. 한국은 조선시대에 쇠퇴한 불교계의 근대적 정체성 확립과 국운의 쇠퇴와 식민지화를 극복하기 위한 저항적 민족주의의 노선을 걷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선각자들의 불교개혁론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백용성(白龍城), 박한영(朴漢永), 한용운(韓龍雲), 박중빈(朴重彬)의 불교개혁론을 중심으로 전통과 근대불교라는 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이러한 개혁론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불교계가 취한 불교개혁적 관점과도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불교계 또한 식민지 하에서도 서구 문명에 대한 대응, 불법의 시대적 사명, 불법의 사회화와 미래의 전망, 전통불교의 개혁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혁론을 피력하고 있다. 특히 서구문명의 유입을 필두로 관습과 생활문화의 변화, 공동체와 새로운 형태의 국가 출현 사이의 간극이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에서 불교개혁론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 있었다. 식민지 하에서는 일본불교의 한반도 진출과 함께 불교를 통한 식민지 통치 전략에 대해 실질적인 불교개혁을 통한 대응 또한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불교의 경우, 전통에 귀속되지 않는 독자적인 교단 창립을 시도하고 있지만, 불교사상 등의 내적인 측면을 계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대승불교의 역사가 보여준 불법승 삼보의 재구성을 통한 불교개혁을 완수하고 있으며, 회통성과 같은 한국불교의 성격을 실질적으로 확립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근대불교개혁론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의미는, 불법을 근대적 지(知)의 세계로 어떻게 승화시킬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불교개혁론이 지향했던 학문의 발전에 대한 담론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그리고 개혁론을 주장했던 선각자들은 실제로 전 생애를 통해 근대적 불교결사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을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will discuss how to newly understand the reformation theory of modern Buddhist communities. The modern Buddhist communities of East Asia, especially in the case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different perspective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issue of how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traditions in the wake of the arrival of a new civilization and changes in societies. Korea had to adopt the position of resisting democracy in order to establish the modern identity of the Buddhist community that declined in the age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overcome the decline of national destiny, and Japanese colonization. While doing that, Buddhist reformation theory formulated by leading figures contained various meanings.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of Baek Yong-seong, Park Han-yeong, Han Yong-un, and Park Jung-b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Buddhism will be examined. These reformation theories are connected with the point view of the Buddhist reformation of Japanese Buddhism that took place after the Meiji Restoration. The Korean Buddhist community, also, even under Japanese colonialism, formulated reformation theories in different guises such as the response to Western civilization, the mission of Buddhadharma of the time, socialization of Buddhadharma and prospects of the future, and reformation of traditional Buddhism. Especially, in the social situation where gaps appeared as a result of changes in customs and life culture, and the community was faced with a new type of n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 theory of Buddhist reformation sought a new way out. Under colonialism,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Japanese Buddhism to the Korean Peninsula, responses arose through Korean practical Buddhist reformation against the colonial ruling strategy of Japan through Buddhism. And in the case of Won-Buddhism, it tried to establish an independent order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traditional Buddhism, and yet, inherited and embraced the inner aspects of Buddhist thought. Finall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Three Jewels, namely, Buddha, Dhamra, and Sangha, that the history of the Mahayana Buddhism revealed, it completed the Buddhist reformation and practically established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that featured such characteristics as communicative penetration. Another meaning that can be seen in the theory of modern Buddhist reformation was that the discourses for the development of studies that the Buddhist reformation theory aimed at were conducted from the view point of how to sublime Buddhadharma into the world of modern knowledge. It also needs to acknowledge that these pioneers who put forward the theory of reformation practically led the modern Buddhist association movement through their whole life.

      • KCI등재

        근대 한국종교의 ‘세계’인식과 일원주의 및 삼동윤리의 세계관

        원영상(元永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0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4 No.-

        근대적 의미의 세계주의는 제국주의 팽창의 이념적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오늘날 부상하는 세계주의는 이러한 부정적 이미지로부터 탈피하여 지구를 하나로 보는 관점에서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싹텄다고 할 수 있다. 근대 한국종교는 이러한 측면에서 세계주의를 서양과 동양 문명의 만남의 시점에서 근대 문명의 한계를 뛰어 넘는 새로운 테제로서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들여다보기 위해 근대 한국 종교의 ‘세계’ 인식을 논하는 한편, 근대에 탄생한 신불교인 원불교 교의의 핵심사상에 해당하는 일원세계(一圓世界)와 삼동윤리(三同倫理)에 대한 근현대적인 의미를 해석하는 작업이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불교의 세계관에 대해 살펴본다. 이어 근대에 탄생한 천도교, 대종교와 관련된 사상가들의 세계주의 내지는 사해일가(四海一家)의 사상을 정리한다. 다음으로는 이에 기반하여 원불교의 교조 박중빈(朴重彬)이 깨달음을 통해 확립한 일원주의를 회통성의 입장에서 해석한다. 박중빈이 수행과 신앙의 대상으로 삼은 일원상(一圓相)은 전통 불교의 깨달음의 상징이었다. 이를 우주적이며 인간적인 통섭의 차원에서 새롭게 재해석해 낸 것이다. 삼동윤리는 박중빈의 제자인 송규(宋奎)가 일원주의를 보다 현실 사회에 맞추어 천명한 것이다. 여러 측면에서 위기에 처한 현대사회는 지구적으로 생각하고, 지구적으로 행동해야 할 입장에 놓여 있다. 유네스코를 비롯한 국제기관에서는 지구를 구하기 위한 보편윤리를 제정하고 있다. 분열과 갈등으로 치닫는 근현대문명의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설파된 일원주의와 삼동윤리는 현 인류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는 하나의 대안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Cosmopolitanism in the modern concept also played an ideological role in the expansion of imperialism. It can be said that the cosmopolitanism emerging today has sprung up from a critical mind of solving various social problems in the point of view of the earth as one, away from this negative image. In this respect, modern Korean religion suggests the cosmopolitanism as a new these that goes beyond the limits of modern civilization at the point of encounter between Western and Eastern civilizations. In order to look at thi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odern meanings of Ilwonism and Samdong-ethics, the core ideas of Won-Buddhism that is a new Buddhism born in modern times, while discussing the ‘World’ recognition of Korean religion. First, in this study, it examin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deology of universal brotherhood, including Daedong(大同) Thought by Confucian scholars in East Asia. And then, it summarized the ideology of universal brotherhood or the globalism of thinkers related to Cheondogyo and Daejonggyo, which were born in modern times. And, on the basis of this, it interpreted Ilwonism established through enlightenment by Park Joong-bin, a sect leader of Won-Buddhism, in terms of mutual unification. Il-Won-Sang, which Park Joong-bin considered as a subject for practice and faith, was a symbol of the enlightenment of traditional Buddhism. It was a new interpretation in the level of cosmic and humane consilience. Samdong-ethics is that Song Kyu, Park Joong-bin’s disciple, was to declare Ilwonism more reflecting in the actual society. Modern society, which is in crisis at various levels, is in a position to think globally and act globally. UNESCO and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have established universal ethics to save the planet. It is expected that Ilwonism and Samdong-ethics, which preached to break through the limitations of modern and modern civilization driven by division and conflict, can function as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various problems of humanity.

      • KCI등재

        島山 安昌浩의 ‘佛法硏究會’ 방문과 그 성격

        김도형(金度亨)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0 No.-

        독립운동 지도자 가운데 이념이나 노선에 관계없이 도산(島山) 안창호(安昌浩, 1878~1938) 만큼 널리 존경받는 인물은 없다. 그는 민족 독립만을 위해 한 평생을 살았던 애국자이고, 또한 위대한 사상과 고매한 인품을 가진 교육자로 추앙을 받고 있다. 도산은 1932년 4월 29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이송되어 4년형을 선고받고 감옥에서 위장병으로 1935년 2월 가출옥하였다. 출옥 이후 안창호는 만 2년간 고국의 각 지역을 유력(遊歷)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되었다. 1936년 2월 안창호는 호남지방 방문시 전라북도 이리(익산)의 ‘불교연구회(佛法硏究會)’ 총본부를 들려 원불교의 창시자인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 1891~1943)을 만나게 되었다. 이같은 사실은 도산이 각 지방을 순행하면서 독립의식을 고취시킬 것을 두려워한 일제가 그의 대한 감시와 통제를 가하였기 때문에 공적인 신문 등의 자료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도산이 ‘불법연구회’를 방문하여 박중빈과 담화를 나누었다는 것에 사실에 대해서는, 후일 두 사람과 함께 현장에 있었던 관계자의 증언에 의해 구전되어 전하고 있다. 일제경찰의 엄중한 감시가 있었기 때문에 안창호와 박중빈의 대담은 구체적으로 진행되지는 못하였지만, 두 사람의 이심전심으로 뜻하는 바는 충분히 나누었다. 1936년 2월 안창호가 호남지방을 순행할 당시, 박중빈은 그의 추종자들과 더불어 종교와 경제활동을 조화시킨 이상적인 농촌 공동체인 ‘불법연구회’를 만들어 놓고 있었다. 안창호는 1910년대부터 해외에 있는 동포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할 수 있는 이상적인 농촌 공동체를 만들고자 하였다. 도산은 이상촌 건설을 위해 노력하다가 1932년 4월 윤봉길의거로 인해 중국 상하이에서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게 되었다. 그러다가 1935년 2월 가출옥되면서, 곧바로 자신의 이상촌(모범촌)을 국내에도 만들어 보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전국을 순행하였다. 안창호는 일제의 식민지 치하지만 ‘불법연구회’가 모범적인 농촌이라는 말을 들고 익산을 방문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박중빈이 일구어 놓은 ‘불법연구회’의 농촌실태를 직접 시찰하고 창시자 소태산을 만났다. 박중빈을 만난 안창호는 그가 이룬 농촌 공동체에 대해 놀라움 표하고 성공을 치하하였다. 두 사람은 일제 경찰이 곁에 있었기 때문에 심중에 있는 깊은 얘기를 나누지는 못하였지만, 모두 ‘이상촌’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많은 말을 나누지는 못했지만, 안창호는 ‘불법연구회’의 공동체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음에 틀림이 없다. 안창호가 1936년 2월 ‘불법연구회’를 방문한 것은 우연이 아니며, 모든 것을 독립운동의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하는 도산의 심원한 계획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왜냐하면 실력을 양성하여 민족의 독립을 이루어야만 한다는 안창호의 이상촌(모범촌) 건설에 대한 사상과 박중빈의 생활과 종교 공동체를 성취시키려는 사상은 매우 유사점이 있기 때문이다. 안창호는 ‘불법연구회’를 직접 방문하여 그것을 보고, 자신이 가진 이상촌에 대한 생각을 보다 구체화시켜 나갔던 것이다. Dosan Ahn Chang-ho(1878~1938), a leader of Korean independent movement, is widely respected regardless of ideology or line. He was a patriot who lived a lifetime for the sake of the nation"s independence, so he received a reverence for his great ideas and personalities. Ahn Chang-ho was arrested in China on the 29th of April, in 1932 and immediately transferred to Korea. He was sentenced to four years in prison and was set free because of gastroenteritis in February 1935. After that, Ahn Chang-ho has met many peoples for two years while playing in various areas of his home country. Then, Ahn Chang-ho visited headquarters of the Buddhist Study Society(佛法硏究會) of Iri(Iksan) in February, 1936 and met with the founder of Won Buddhism, Sotaesan Park Jung-bin(1891~1943). The Japanese imperialists were afraid that Ahn Chang-ho would pursue the independence ritual in each province, so he did not allow him to meet his people, because he kept a watchful eye on his every move. As for the fact that Ahn Changho visited the Buddhist Study Society and had a conversation with Park Jungbin, he was told by the testimony of the person who was in the field with the other two people. In February 1936, when Ahn Chang-ho visited the Honam Province, what was the purpose of visiting the headquarters of the Buddhist Study Society? At the time he visited the Buddhist Study Society, Park Jung-bin had already formed an ideal rural community with his followers in harmony with religion and economic activities. Ahn Chang-ho tried to create an ideal rural community in which overseas compatriots could become economically selfreliant, at least in the course of their asylum in 1910. In 1932, Ahn Chang-ho arrested, and was imprisoned in Korea. Then, in February of 1935, he became a parolee, and went to the whole country with a plan to make his ideal village(model village) in Korea as soon as possible. Ahn Chang-ho visited here because he was told that the Buddhist Study Society was an exemplary rural area, although Japanese colonial ruled. He came to visit the Buddhist Study Society because he wanted to meet the founder, Park Jung-bin. Ahn Chang-ho, who met with Park Jung-bin, was amazed at the success of the religious community he achieved and appreciated his success. The two men were not able to talk deeply about the situation because the Japanese police were there, but they both had the same idea that they had to make an "ideal village". Therefore, Ahn Chang-ho must have been impressed with the community of the Buddhist Study Society.

      • KCI등재

        한국 사회의 평화 구축과 종교 역할

        박광수(Park Kwang-Soo)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4 No.-

        현대사회는 다양한 민족과 문화, 그리고 종교가 공존하는 사회이다. 르네상스 이후 서구의 근대화 과정과 19-20세기에 걸쳐 서구 중심의 근대 산업화 및 세계의 식민지 건설과정에서 다양한 문명의 대립과 충돌, 안전에 대한 위협과 갈등현상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났다. 세계 2차 대전이 1945년 막을 내린지 70년 이상의 세월이 지났다. 이는 곧 한반도 분단의 역사이기도 하다. 동북아시아 삼국은 종전 이후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국가 경쟁력을 국제사회에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데 성공하였다. 한중일 삼국은 경제적 교류의 확대와 협력을 추구하면서도,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과 미국, 그리고 남북한 군사력의 경쟁적 증강은 이웃 국가 간의 상호 신뢰가 확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현대의 경제적 신자유주의 시대에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 건설은 가능한 일인가? 한국, 중국, 일본 모두에게 주어진 과제는 건강한 공동체 의식을 확보해 동북아시아의 평화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격변하는 시대적 혼란기에 형성된 한국 민중종교의 개벽사상과 평등사상을 토대로 한 구세이념은 새로운 사회를 갈망하고 대다수 민초들의 희망을 대변하며 당시의 시대인식과 세계인식, 사회변화인식과 윤리의식, 가치관과 민족관 등을 응축하고 있다. 이러한 평화의 문명사회를 구현하고자 한 새로운 종교운동인 원불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박중빈(少太山 朴重彬, 1891-1943) 대종사를 비롯하여 정산 송규의 삼동윤리(三同倫理), 대산 김대거의 UR(United Religions)운동, 여산 류병덕의 평화통일사상 등에서 평화의 철학과 실천운동은 현 시대에 매우 중요한 비전과 실천을 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난 남북의 분단과 동서의 차별 시대, 배타적 근본주의 시대, 약육강식의 패권주의 시대를 넘어서야 하는 문명전환이 요청되는 시점에서, ①평화공동체를 위한 세계보편적 공공(公共)윤리 실천, ②탈종교시대의 열린 종교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n modern societies various nations, cultures, and religions live together. In the course of Western modernization since the Renaissance, and in the course of modern industrialization and the world-wide colonialism of the West through the 19th and 20th century, various opposing forces within and collisions among civilizations, as well as threats to safety and conflicts have occurred all over the world. Since World War Ⅱ ended in 1945, over 70 years have passed. It is also the history of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e three nations of Northeast Asia – Korea, Japan and China – overcame the situation of political confusion and economic crisis after the end of the war and succeeded in stably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society. While they pursued economic interchange and cooperation, Japan and the USA, and South and North Korea increased their military power in a competitive manner alongside China. It is proof that mutual confidence among neighboring nations was not established firmly. In the modern age of economic neo-liberalism, is it possible to build a community of peace in the Northeast Asia? The common task assigned to Korea, China and Japan is to recover a spirit of healthy community and achieve a community of peace in Northeast Asia. The ideology of saving the world that was formed in the chaotic time-period of rapid changes, based on the thoughts of the Great Opening (kaebyŏk) and the concept of equality embraced by ‘religions of the general people (minjung),’ seeks to establish a new society and represents the hopes of most people. It embraces an awareness of the times, world and social changes, and a sense of ethics, values, and provides a perspective on the nation at that time of upheaval and rapid change. It can be found in Won-Buddhism which was a new religious movement that strived to realize a peaceful civilization among societies. The philosophy of peace and it’s practice movements such as the Ethics of Threefold Unity of Jeongsan Song Gyu, the UR movement of Daesan Kim Dae-geo, the thought of peaceful reunification and the practice movement of Yeonsan Ryu Byeong-deok as well as the thought of the Founding Master of Won-Buddhism, Sotaesan Park Jung-bin, contain very important notion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are relevant in this ag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1) the practice of ‘common public ethics’ that are universal and need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peaceful community, and 2) engage in discussion about the open or inclusive religions in a post-religion era, at this time when a cultural transformation is required in which we should go beyond the age of the divis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prejudices and biases that still hold in rela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 age of exclusive fundamentalism, and the age of hegemony of the law of the jungle which occurred in the course of globalization.

      • KCI등재

        백학명과 박중빈의 불교개혁사상

        정순일(鄭舜日)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62 No.-

        근대한국불교의 성격을 규정하는 여러 측면 가운데 ‘불교개혁’은 중요한 키워드임에 틀림 없을 것이다. 불교개혁이라는 측면에서 근대 한국불교를 연 여러 선각자들 가운데 중요한 인물인 백학명(白鶴鳴, 1867∼1929)과 소태산 박중빈(少太山 朴重彬, 1891∼1943)의 관계를 살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학명과 소태산은 고향이 같다. 소태산은 대각 이전부터 학명과 교류가 있었고, 불교교학에 관한 지식과 불교개혁에 관한 여러 정보를 얻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두 사람은 1919년부터 1923년에 이르는 거의 4년간을 봉래산에서 지척에 두고 거주하며 선문답과 사상적 교류를 한 사이이다. 뿐만 아니라 불교개혁을 위하여 내장산에서 함께 일을 도모할 것을 고려하기도 하였다. 종래의 원불교 교학자들은 소태산과 학명과의 사상적 연계성에 대한 연구를 소홀히 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학명과 소태산의 교류는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그것도 인간적 교류만이 아닌 사상적 교류도 상당부분 이루어졌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한 작업을 통하여 불교와 원불교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에 중요한 시사점이 생길 수도 있다. Reform the buddhism is must be most important key word to define the identity of modern korean buddhis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 Hak Myung and Park Joon Bin who are the important person among the foresighters in modern korean buddhism. Baek Hak Myung and Park Joon Bin have same hometown. I suppose that Baek Hak Myung and Park Joon Bin had been communicate before Park Joon Bin’s great enlightenment, Park Joon Bin had many informations about buddhism from Baek Hak Myung. Two man not only had communicated the thought four years living Bongrae mountain but also to try the reform the buddhism together in Naejang mountain. I tried to proof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man has long time more than most of the scholars purposed before. I expect that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wonbuddhism through this article.

      • KCI등재

        기요자와 만시의 정신주의와 소태산 박중빈의 정신개벽 비교 고찰

        허석(Heo Seok),손지혜(Son Jihye)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8

        본 논문은 근대 일본에서 정신주의(精神主義)를 제창한 기요자와 만시(淸澤滿之, 1863~1903)와 한국에서 정신개벽(精神開闢) 운동을 전개한 소태산 박중빈(少太山朴重彬, 1891~1943)의 생애와 사상, 실천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양자는 근대 문명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정신’이라는 개념을 내걸고 종교개혁을 실천하였다. 그러나 양자가 처한 상황과 사회적 맥락이 달랐기에 그 교리와 방법에는 상이한 점도 적지 않았다. 기요자와는 일본 정토진종의 승려로서 타력신앙을 통한 내면의 충족과 종교적 심성의 확립을 지향하였고, 고코도를 설립하여 정신주의 보급과 교육에 주력하였다. 반면 소태산은 다양한 종교사상을 통합한 교리와 그 수행을 통해 물질문명을 선용할 정신의 확립을 추구하였고, 불법연구회를 창립하여 종교가 세속에 적극 활용될 수 있는 제도와 운영을 시도하였다. 결국 정신주의와 정신개벽은 근대 문명이 이루어 낸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면서도 그것이 초래할 부정적인 영향, 특히 인간성과 주체성의 상실 및 가치 전도의 현실을 간파한 종교인의 고뇌와 이상이 담긴 실천적 운동이었다.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thought and practice of between Kiyozawa Manshi’s “Spiritualism” in Japan and Sot’aesan Pak Chung-bin’s “Great Opening of Spirit” in modern Korea. Although both proposed the religious reformation under the concept of spirit, their doctrine and way of edification were quit different. Kiyozawa, as a monk of Jōdoshinshū, pursued to achieve internal fulfillment through religious belief and cultivation of moral nature. He disseminated the Spiritualism by establishing Kōkōdō. Sot’aesan, on the other hand, emphasized the promoting of morality and spirituality by incorporating various religious doctrines into a single teaching and by practicing based on the way. He found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which aimed to fully implement the religious practice and secular life together. In conclusion, “Spiritualism” and “Great Opening of Spirit” were practical movement to overcome the loss of value of humanity and morality created by modern times.

      • KCI등재

        인간의 마음과 본성에 관한 다산 정약용과 소태산 박중빈의 논의 비교

        허석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한국종교 Vol.53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scussions on the mind and nature of Dasan Jeong Yak-yong and Sotaesan Park Joong-bin, two figures who can be considered as representative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First, I would like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e of the mind as the driving force behind Dasan and Sotaesan to transform society, and the fact that they have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for mind and nature. Second, despite these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men, I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mind, nature, and methods of practice. Finally, I would like to asses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on Dasan and Sotaesan, and reevaluate the modern meaning of the ideas of the two men. The discussion of Dasan and Sotaesan's mind and nature is based on a critical spirit of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the love of the people. The discussion of the minds and natures of these two thinkers confirms that they both aim for strong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reality, not speculative theory. This originated from their intent to overcome the social problems they faced and help the lives of the people. Dasan emphasized the study of mind as the basis for managing the country properly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while Sotaesan emphasized the study of mind that is Wholeness of Both Spirit and Flesh. They criticized introspective and static practice and pursued a practice-oriented study of the mind in social relationships. To this end, Dasan and Sotaesan critically accepted the discussion of the existing mind and nature, forming their own unique system of thought.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mind and the view on nature while emphasizing the practice of the human subject. The ideologic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n can be considered an important asset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break away from a previous research perspective that evaluates the ideas of the two men in terms of modern orientation or modern achievement, and raise the need for a new perspective to examine the modern significance their discussions contain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대표하는 사상가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과 종교 지도자 소태산 박중빈(少太山 朴重彬)의 인간 마음과 본성에 관한 논의를 비교하는데 있다. 다산은 영체라는 용어를 통해 인간의 마음을 설명했다. 영체는 상제로부터 부여받은 것이며, 기호의 성(性)·권형(權衡)·행사(行事)의 특성을 갖는다. 영체는 본성의 기호를 따라 도심과 인심을 판단하고 이를 행위에 옮김으로써 인의예지 사덕을 달성해 나가는 존재다. 도덕의 원리가 인간 본성에 이미 주어졌음을 부정한 다산은 향벽관심·회광반조의 수행, 희로애락의 감정이 발하기 이전의 마음공부를 비판했다. 그는 도덕적 감정과 마음이 구체적인 행위로 나타난 결과로써 인의예지가 달성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서(恕)의 자세로 인(仁)을 실천하고, 가족간 효제자(孝弟慈)의 윤리를 구현함으로써 인륜을 확장해 가고자 했다. 소태산은 인간의 본성을 진공묘유(眞空妙有)하고 공적영지(空寂靈知)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본성을 인간뿐 아니라 모든 존재가 함께 공유하는 것이기에, 본성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큰 자비심과 이타심이 나타나게 된다. 그는 출가자 중심의 수행을 비판했고, 동정(動靜) 간 조화를 추구하되 생활이 위주가 되는 일상에서의 수행법을 제안했다. 또한 수양·연구·취사의 삼학 병진을 통해 본래 마음을 회복하고, 일과 이치 간에 지혜를 얻으며, 현실의 부조리와 불의를 제거하고 정의를 세워가는 실행을 통해 수행의 결실을 삼았다. 또한 훈련법과 법위등급을 두어 사실적인 수행 체계를 갖추었다. 본고는 다산과 소태산의 생애와 활동, 본성과 마음의 개념, 그리고 수행법으로 나누어 논의를 전개한다. 다산과 소태산은 마음과 본성에 관한 논의는 사변적 이론이 아니라 강한 현실참여와 실천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내성(內省)적이고 정적(靜的)인 수행을 비판하고,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실천 지향적인 마음공부를 추구했다. 이를 위해 다산과 소태산은 기존의 마음과 본성에 관한 논의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자신들만의 독특한 사상 체계를 구성했다. 하지만 인간 주체의 실천을 강조하면서도 마음을 이해하는 방식, 본성에 관한 견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인다.

      • KCI등재

        원불교의 개벽사상

        양은용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2 한국종교 Vol.35 No.-

        개벽사상은 한국 근대이후에 전개된 민중종교사상의 핵심코드이다. 본고는 이 개벽사상이 동학에서 제기된 이후, 원불교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전개되었는가를 다루었다. 원불교에서 개벽사상은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는 개교표어로 비롯된다. 이는 소태산(박중빈, 1891-1943)이 1916년 대각이라는 궁극적 종교체험으로 일원상진리를 드러내면서 시국정세에 따른 지도강령으로 내세운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불교의 개벽사상은 개교표어로 거양된 정신개벽이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는 물질문명의 이기에 의해 황폐화된 정신의 세력을 바로잡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둘째 이러한 개벽사상은 동학으로부터 시작된 민중종교사상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소태산은 특히 수운과 증산을 선지자로 보며 그 개벽사상의 계승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셋째 개벽사상에서 보는 인간관은 은(恩)사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법신불일원상을 현실적을 보면 사은(四恩)이며, 이의 실천이 감사생활이다. 넷째 개벽사상에서 보는 인간관 즉 개벽인간은 도학과 과학을 겸전한 조화된 인간상이다. 영과 육, 정신문명과 물질문명, 동과 정, 내와 외를 겸전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이러한 개벽인간이념은 대각초기부터 잘 나타나고 있다. 이른바 지도자를 길러내기 위한 가르침은 「최초법어」나 「병든 사회와 그 치료법」등이 이를 말해준다. 여섯째 개벽인간이 건설해나가는 세상이 참 문명세계이다. 도학과 과학이 조화된 참 문명세계는 낙원이며, 평화안락한 세상이며, 미륵불의 용화회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