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쇼(芭蕉)가 오토쿠니(乙州)에게 보낸 서간문을 통한 교류에 관한 고찰

        허곤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바쇼가 오토쿠니에게 보낸 4편의 서간문을 통한 바쇼와 오토쿠니의 학문적, 인간적 교류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토쿠니의 어머니인 지게쓰와 오토쿠니와 바쇼의 교류도 함께 조명하여 바쇼와 오토쿠니, 지게쓰의 교류의 특징과 의의와 그 영향에 관해 고 찰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4편의 서간을 중심으로 분석한 바와 같이, 바쇼와 오토쿠니와의 교류에서 볼 수 있는 특징적인 첫 번째 요소는, 인간적인 교류가 대단히 깊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내용 은 4편의 서간 전체에 걸쳐 나타나 있다. 일상생활 중의 개인의 사소한 이야기를 비롯하여 개인적으로 신변에 발생한 좋지 않은 일에 대한 바람직한 세상살이에 대한 충고에 이르기까 지 두 사람의 인간적인 거리를 가늠할 수 있는 내용이 언급되었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요소는, 하이카이를 매개체로 한 교류이다. 오토쿠니는 당시 오쓰에서 쇼몽하이카이의 대표적인 문인으로 활동하며, 바쇼의 새로운 하이카이 이론인 ‘가루미(軽み)’를 전파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큰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만년의 바쇼의 하이카이 정신이 잘 나타나 있는 오이노코부미(『笈の小文』)를 편찬함으로 인해 바쇼의 하이카이를 확대 발전시키는 데도 대단히 큰 공을 세웠다고 할 수 있다. Bashō and Otokuni exchanged for about five years between July 1689 and October 1694. Although the exchange was not long, the exchange between Bashō and Otokuni was of great significance to Bashō in his later years. Characteristic of the exchange between Bashō and Otokuni is that the human exchange is very deep. This is illustrated by four letters to Bashō and Otokuni. The contents of the letter describe in detail everything from everyday life to personal things, so you can feel the depth of the human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he exchange between Bashō and Otokuni was also influenced by Otokuni's mother, Chigetsu. Chigetsu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Bashō and work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for Syomon Haikai.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exchange between Bashō and Otokuni is the literary exchange through Haikai. Bashō had been literally living for a period of about 10 years for his Haikai reform. Otokuni was an active contributor to Bashō's Haikai reform. Otokuni worked hard at Otsu as a literary man for Syomon Haikai and helped develop Bashō's new Haikai theory, Karumi(軽み). He also published Oinokobumi( 笈の小文 ), in which Bashō's Haikai spirit was evident, and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Bashō's Haikai. The characteristic of the exchanges in Bashō's letter to Otokuni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iendly human exchanges and the academic exchanges in Haikai.

      • KCI등재

        바쇼(芭蕉)가 센나(千那)에게 보낸 서간문을 통한 교류에 관한 고찰

        허곤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3 비교일본학 Vol.57 No.-

        Senna was a writer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hōmon Haikai.He is one of Bashō's oldest writers, whom Bashō entered as a writer in the spring of 1685. Bashō was spurring the reforms of the Haikai during this period, and it can be said that it was a very important period for Bashō. At this time, Senna played a brilliant role in Omi Haidan, one of the representative areas of the Shōmon Haikai, and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Shōmon Haikai. As Bashō spurred the reforms of haikai, there were frequent departures of writers who gradually wanted to pursue a haikai world that was different from Bashō. It can be said that the departure of writers wh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ōmon Haikai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reform of Bashō's Haikai in the end. The successive departures of major literary figures after Bashō's death, including Senna, could be said to be the trigger for the decline of Shōmonhaikai. However, it can also be said that it was a turning point in pursuing a transformation from the Hikai pursued by Bashō's Shōmon Haikai to a new one. 센나는 쇼몬하이카이(近江 蕉門俳諧)의 중진으로 활동하였던 문인이다. 그는 바쇼가 1685 년봄에바쇼의문인으로입문한바쇼의오랜문인중의한사람이다. 바쇼는이시기에하이 카이의 개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던 시기였고, 바쇼에게는 대단히 중요한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센나는 쇼몬하이카이의 대표적인 지역 중 하나인 오미 하이단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며 쇼몬하이카이의 발전과 확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문인이라 할 수 있다. 바쇼가 센나 와 교리쿠에게 보낸 서간을 분석해 본 결과, 바쇼와 센나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하이카 이를 중심으로 교류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인간적으로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1691년 9월의 서간에서는 확연히 달라 진두사람의관계를엿볼수있다. 그것은센나의보수적인성격과, 바쇼가추구하고자한 하이카이의 개혁과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한 바쇼와의 갈등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바쇼가 자신의 하이카이 개혁에 매진하고 있던 시기에 발생한 바쇼와 센나와의 이별은 바쇼의 하이카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바쇼가 하이카이 개혁에 박차를 가함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바쇼와는 다른 하이카이 세계 를 추구하고자하는 문인들의 이탈이 다수 발생하게 되었다. 쇼몬하이카이의 중요한 역할을 하던 문인들의 이탈은, 결국 바쇼의 하이카이에 개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 다. 센나를 비롯하여 바쇼 사망 후 주요 문인들의 연속된 이탈은 쇼몬하이카이가 쇠락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한편에서는 기존에 바쇼의 쇼몬하이카이가 추구하였던 하이 카이에서, 새로운 하이카이로의 변혁을 추구하게 하는 전환점이 되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서간문을 통해서 본 바쇼(芭蕉)와 엔스이(猿雖)의 교류에 관한 고찰

        許坤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4 No.-

        바쇼가 엔스이에게 보낸 서간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바쇼에게 있어서 기행이란, 단순히 옛 선학들이 스쳐지나갔던 곳을 탐방하는 것이 아니라, 옛 선학들의 문학의 흔적을 답사하고 그것을 통해서 자신의 하이카이에 새로운 변환점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였던 것이다. 바쇼가 엔스이에게 보낸 서간에서 기행에 관해 언급하며 논했다고 하는 것은, 바쇼가 삶의 목표인 쇼몽하이카이 문학의 개혁과 발전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문인으로서 엔스이에게 거는 기대가 결코 적지 않았다는 것을 서간을 통해서 증명하고 있다. 둘째, 바쇼는 엔스이에게 보낸 서간에서 하이카이 문학의 출판에 관한 부탁이라든지, 자신의 새로운 문학이념인 ‘가루미(軽み)’의 당시 하이단(俳壇)에서의 수용 동향이라든지, 다른 문인들에게의 하이카이에 관한 당부 등을 하고 있다. 이는 당시에 바쇼의 하이카이 개혁과정에 있어서 엔스이의 역할이 대단히 컸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셋째, 바쇼는 서간을 통해서 자신의 내면적인 고민과 인간적인 관계에서 발생한 어려움, 자신의 가정사 등을 엔스이와 공유하는 모습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바쇼가 엔스이를 인간적으로도 얼마나 신뢰하고 있었는지를 대변해 주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엔스이는, 바쇼에게 있어서 자신의 삶의 가장 큰 목적인 하이카이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준 문인이었으며, 정신적인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하며 동행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서간의 교류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이다. Bashō letter is sent to the above Ensui, can be foun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First, the mention of the travelogue is that most of the letters appear. Bashō to travelogue is not that simple as visiting the place of the old poets passed, the old poets to explore the place was visited and will attempt to find a new turning point in his Haikai through it. Bashō is mentioned about the Journey in most of the letters sent to Ensui is, in Haikai goal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the great literature of his life hopes to Ensui, it can be said is that the more prove indirectly. Second, is that the mention of this Haikai be seen in most of the letter. Bashō, and when asked about the publication of literature for Ensui. And also make sure that their new Haikai philosophy of ‘Garumi(軽み)’ How accepted in academia. You can also see that the request includes a request for the city hard to poets and their relationship. Bashō is the fact that is can be seen to have great expectations from Bashō to Ensui in the process of reforming the poetry. Third, Bashō is can be seen that refers to Ensui, and mental distress in a letter to Ensui. And Bashō says the concerns encountered in human relations in the letter. Also, you can see that nothing about his family counseling. Contents of the letter are unknown at the time was the fact that Bashō is considerably trust Ensui. Bashō and Ensui is that you can make sure that he studied literature and poetry together who also served as a spiritual counselor to each other.

      • KCI등재

        바쇼(芭蕉)가 교라이(去來)에게 보낸 서간문을 통한 교류에 관한 고찰

        許坤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6 No.-

        바쇼가 교라이에게 보낸 서간문에는 두 사람의 다양한 교류 방법을 접할 수 있고, 바쇼와 다른 문인들과의 다양한 인간관계도 확인할 수 있으며, 서간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간을 통해서 문인들에게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전하고 있다. 둘째, 문인들과 일상적인 교류를 하면서 동시에 하이카이에 대한 자신의 강력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셋째, 서간의 화제가 오로지 하이카이에만 국한되어 있는 서간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쇼가 자신의 제일 측근이며 수제자이었던 교라이에게 보낸 서간문을 통해서는, 두 사람의 견고한 인간관계에 근거한 인간적인 교류와 바쇼가 일생의 삶의 목표로 삼았던 하이카이의 개혁에 대한 자신의 강력한 의지가 나타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쇼의 문인은 약 2천 명 정도였다고도 전해지고 있는데, 바쇼와 그들이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하이카이라는 매개체가 존재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 바쇼는 자신의 하이카이 개혁을 위해서 문인들과의 관계를 충분히 활용했다고도 볼 수 있다. 하지만 바쇼는 문인들을 자신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단순한 하나의 도구로 인식하기보다는, 먼저 자신과 주변 문인들과의 더불어 인생을 고민하고 풀어가는 인간적인 돈독한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바쇼는 자신의 주변 문인들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가지면서 한편에서는 자신의 학문적 목표를 함께 이루어 갔던 삶을 살았다는 사실을 바쇼가 교라이에게 보낸 서간을 통해서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letters sent by the Bashō to the Kyorai, there are various ways of conversation two people appeared. The letters can also see a relationship with Bashō and the other disciples. The main contents of the letter are as follows. First, Bashō is speaking his mind frankly in a letter to his disciples. Second, Bashō is that on the day-to-day life in a letter, and noted that Haikai about it. Third, Bashō has been mentioned only as to write Haikai. Thus the Bashō through a letter to the Kyorai, can see the strong relationship the two of them. And letters have shown a strong willingness of the Bashō to reform the Haikai. Bashō disciples of the generally is known as about 2,000 people. The Bashō and disciples were able to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because there was a medium of Haikai. Bashō maybe that it could well take advantage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isciples for Haikai innovation. However, Bashō did not think his disciples as a tool for their own Haikai development. Bashō was very important to think of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his disciples. Bashō sent letters to the Kyorai may be that a very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development and of the Haikai.

      • KCI등재후보

        김소월과 바쇼의 자연물 대상화 방식 비교 연구-새의 심상을 중심으로

        장보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5 No.-

        This journal focuses on a poetic narrator's view of nature that makes a meaning and similarity of poem's structure. Soweol and Basho are the poets who reflect a view of Oriental nature. In Oriental nature thought, the human body and emotion are assimilated with nature. They use different methods when they create a new poem. But, why do they have a similarity structure of meaning? Find a connecting spot is the goal of this journal. Basho's Haiku and Soweol's poem have a structure optimizing the their specific idea. For analyzing a gap, we observe 'bird' and 'crow' each poet assigns the important role. It has a sight which can catch a moment that possibly gives a hint of narrator's feeling. The bird is a kind of substitute realizes their identification. Meanwhile, several established researches of Soweol's poem annalize the relationship linked to traditional narrator and natural things. They have a equal rights in Soweol's poem for sharing their emotion. Actually, this poem written in the first-person who want to deliver his message effectively. Then his purpose reflected in structure of poem. Basho's bird is a real living creature acting in its ground. It didn't cry or act for comforting human's sadness. Bird fills a only landscape with their name instead of their real body. Actually, it is a chosen thing that make an image for narrator's needs. Narrator does not borrow serious meaning from bird, he wants to show the scene prepare for Haiku's triangle structure. However, Soweol's bird in his poem express the man's feeling that connect narrator's mind consistently. Bird appear in second verse for emphasizing cutaway and being absorbed to human's feeling. And, it also cry instead of talk for comforting human's sorrow. Bird perched on a twig, but it have an ability of to understand human society. So, Sowel's bird both narrator and reader can match their unspecified experience and emotion without any difficulties. Each poem can obtain its subject by mutual exchange of emotion. Soweol's narrator holds a better relation with his bird than Basho's bird, because Basho tries to keep a balance between the man and nature. Each methods make a tension of poem and then make general lyricism from the other genre. So, Basho's narrator emphasizes the coexistence for respecting individual similarity and Soweol's speaker highlights the union for projecting his emotion. 본 연구는 서정시 화자의 자연관(自然觀)이 미치는 시적 보편성에 주목한다. 바쇼의 하이쿠(俳句)와 김소월의 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용되는 장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자연 대상에 대한 화자의 의식 투영과 함께 시선의 정경화(情景化)를 이끌어냈다는 점을 공통으로 한다. 그 유사성을 밝혀내기 위해 이 글에서 주목하는 대상은 화자가 정한 공간에서 화자의 시선을 대리하는 대상인 ‘새’이다. 김소월 시에서 새는 인간 활동 및 감정표출의 대리자 역할을 한다. 화자는 시에서 새와 동일시하려는 의도를 표출하며, 구조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의미의 감화’를 유도하기 위해 특정한 사건과 그로 인해 벌어진 주변상황을 단계적으로 노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새는 다른 자연물과 달리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듯 묘사되고, 화자는 직접적인 감정표현을 삼가며 관찰자로서 시의 표면에 자리한다. 바쇼의 하이쿠에서의 새도 자연물 본래의 행동을 유지한다. 다만 하이쿠의 화자는 자연물이 있는 정경과 그가 말하고자 하는 순간을 비교적 객관에 가깝게 묘사하는 집중한다. 김소월의 시와 바쇼의 하이쿠의 화자 모두 대상물을 전면에 내세우며 언술 뒤의 숨은 존재로서 발화를 지속한다. 자연물은 각 작품에 내재된 화자의 의도에 맞추어 다른 자연물이나 감정을 제시하는 시어 사이에 배치된다. 화자의 자연관을 반영한 대상은 의미 발현양식으로서의 구조 안에서 유의미함을 획득한다. 그리고 대상들은 각 작품의 주제를 형상하기 위한 표현 방식에 따라 그 양상을 조금씩 달리한다. 바쇼의 것이 날것 그대로의 개체성으로 이지적(理智的)인 면모를 강조한다면, 이와 유사한 측면에서 김소월 시와 그 안에 포섭된 대상은 화자와 감정 교류 지속과 그것이 확장된 결과로서 ‘합일(合一)의 지점’을 마련한다.

      • KCI등재

        서간문을 통해서 본 바쇼(芭蕉)와 교쿠스이(曲翠)의 교류에 관한 고찰

        許坤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 硏究 Vol.0 No.38

        Check this through a letter exchange between Bashō and Gyokusui of this large category was divided into three. The type of the first flow of pure Bashō to Gyokusui may lead to Haikai, often give each other’s Haikai, including assessments while receiving flow through the Haikai like. The second flow is a type of communion with the poets. Bashō is for the exchange of their poets and writers to introduce special attention to writing an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o care for the look was confirmed through the letters. These first and second flow is characterized by the achievement of their lifetime Bashō is thought to promote reform and development of the Haikai you want to the active exchange of Bashō was an action that is willing. Such deliberate exchanges of Bashō by targeting their life on the reform and development of the Haikai in a very positive role in achieving that will be able to. The letter was sent from Bashō to Gyokusui, Bashō is asking Gyokusui is the safety of the family, and even to borrow money, you can see the contents. Through this form of communion is a very friendly relationship was an Bashō and Gyokusui can be confirmed. Bashō and Gyokusui are based on the exchange of trust, having been a human was possible. Bashō and Gyokusui, and the flow of the Haikai is available through increasingly close relationship because he was able to say that the development will be the last.

      • KCI등재
      • KCI등재

        바쇼(芭蕉)의 하이카이 문학(俳諧 文学)에 나타난 “죽음(死)”의 이미지에 관한 고찰

        허곤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100 No.-

        Bashō considered human life to be a part of nature. Bashō viewed the life and death of human nature as a part of natural law, because humans live according to the laws of nature; hence, natural death was viewed as part of the return of human life. In his work, Bashō’s view of life is reflected in the variety of forms he uses to represent “Death”, such that a concrete representation of its image is depicte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nfirmed Bashō’s expression of the image of “Death” as Flowers, Dew, Death, Tomb, and Parting in his works. More specifically, human “Death” was expressed using the image of a gorgeous “Flower”, through which death was likened to the finiteness of human life. “Dew” was used as a symbol of fleeting presence, representing the short human life before “Death”. “Death” should not only be accepted as the end of life, but as part of the events of human thought and experience, an expression of the nature of the process of regression. “Tomb” was used to describe “Death” as a future haven, as perceived by the human ear. “Parting” is expressed as an experience through which humans are meant to live repeatedly, and should not been seen as a farewell, touching the eternal rest through the “Death” of the image and the “Samsara” of the images. 바쇼는 인간의 삶이라는 것은, 근본적으로 자연의 일부분에 속하는 존재로 인지하고 있었다. 바쇼는 인간의 생(生)과 사(死)라는 명제는, 자연의 섭리이기에 자연의 일부분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다가 다시금 자연의 섭리에 따라 죽음을 맞이하여 자연의 일부로 돌아가는 것이라는 확고한 인생관을 소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바쇼의 작품에는 그러한 자신의 인생관이 반영되어 여러 가지 형태로 “죽음”에 관한 표현이 구체적인 이미지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고의 일련의 조명과정을 통하여서, 꽃(花), 이슬(露), 죽음(死), 무덤(塚), 이별(別れ)이라는 형태로 그의 작품 속에서 묘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꽃(花)”이라는 소재를 통하여 바쇼는, 화려하게 피고 지는 벚꽃을 인간의 삶의 유한성에 투영하여, 생의 이면에 필연적으로 동반될 수밖에 없는 “죽음”에 대비하여 언급하고 있다. “이슬(露)”이라는 소재를 통해서는, 덧없고 짧은 인간의 삶 속에 존재하는 “죽음”의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죽음(死)”이라는 생(生)과 사(死)의 근원적인 소재를 통해서는, 인간이 접하는 “죽음”이라는 것이 반드시 인생의 종언(終焉)의 의미로만 받아들이지 않고, 평생을 통하여 접할 수 있는 생사화복(生死禍福) 속의 하나의 요소로 접근하여, 자연에의 회귀의 하나의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도 엿볼 수 있다. “무덤(塚)”이라는 명제를 통해서는, 인간이 언젠가는 귀의해야하는 “죽음”의 안식처로서 묘사하고 있으며, “이별(別れ)”이라는 이미지를 통해서는, 인간이 살아가는 동안에 반복적으로 접하곤 하는 단순한 이별을 넘어서, 영면(永眠)을 통해서 접할 수밖에 없는 “죽음”의 이미지와 동시에 “죽음”의 윤회적인 이미지도 투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바쇼(芭蕉)와 가케이(荷兮)의 교류에 관한 고찰

        許坤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日本 硏究 Vol.0 No.53

        The exchange of Bashō and Kakei is about 10 years. Bashō and Kakei interacted with Haikai literature in human relations. Kake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ip, which was the means of Bashō Haikai reform. Bashō helped a lot in the growth of Kakei Haikai literature. As a result, Haikai literature of Kakei grew greatly, but he failed to adapt to new Haikai literary of Bashō reform and broke up with Bashō. The academic relationship between Bashō and Kakei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human relationship can be confirmed by letter Bashō to various writers. Until Bashō died, relationships with Bashō and mentors of Kakei were maintained. As a Haikai literary person, philosophy of Bashō life, which cherishes human relations, can also be seen in relation to Kakei. Bashō and Kakei could not share a scholarly path because of their differences in Haikai literature. Bashō had a different academic path from Kakei, even before his death, but he showed a sense of pursuing unity in human relations. This is a true figure of Bashō as Haikai literary man.

      • KCI등재

        일본 근세 하이카이 俳諧의 ‘계절어 季語’ 고찰

        최재철(Choi Jae 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7

        하이카이 俳諧의 ‘계절어 季語’에 대해 근세의 대표적 하이카이시인 俳人인 마쓰오 바쇼 松尾芭蕉의 자연 계절과 관련한 하이카이관 俳諧観 의 개략을 먼저 살펴보고,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 특징적인 구(句)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바쇼 芭蕉는 하이카이란, 천지자연의 조화(造化)에 따라 사계(四季)의 변화를 벗 삼아 이를 읊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계절어를 하나라도 새롭게 발굴하여 읊는 것은 후세까지 남을 훌륭한 선물’이라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시간의 추이와 그 시간 흐름의 흔적이 계절 변화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기행문집 『오쿠노호소미치 おくの細道』 첫머리에서, 영원히 흘러가는 시간(세월)을 나그네에 비유하며, 지나간 가을과 겨울, 이제 새로 찾아온 초봄에 이르는 계절의 변화 추이를 그리고 있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하이카이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계절의 추이와 거기에 동반하는 여정(餘情;풍취)을 잘 드러내는 계절어와 관련 어구가 쓰였다. “가는 봄이여 새 울고 물고기 눈에는 눈물 行春や鳥啼き魚の目ハ泪 여름풀이여 / 병사들의 / 꿈의 흔적 夏草や兵共が夢の跡” 시간의 경과를 드러내는 ‘가는 봄’, 또는 ‘흔적’이 계절어 ‘여름풀’과 함께, 흐르는 시간과 변화하는 계절, 순환하는 인생의 애수를 여실히 부각시키고 있다. “장마비여 / 색지 바랜 / 벽의 흔적 五月雨や色帋へぎたる壁の跡” 바랜 벽지를 통해 지난 장마철, 그 시간의 경과가 선명함에 따라 석별의 정은 더 깊어지게 되는 것이다. 바쇼는 사계절의 변화 순간순간과 그 시간의 흐름 속에서 자연과 인생, 시간의 의미를 발견하고 표현한 하이카이를 읊어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확립하였다. This paper firstly outlines the view of Haikai in relation to the seasons of Matsuo Basyo, the most exemplary poet of Haikai, and then considers specific phrases based on the flow of time and the change of season. Basyo urges that Haikai means the reciting of the change of seasons depending on nature’s phenomenon. Basyo highly appraises the importance of Seasonal words, The progression of time and the trace of such progression provides the beginning of the change of seasons. The opening of ‘Okunohosomichi’, a typical travel essay, for example, compares time to a traveler and also depicts the change of seasons of the passing autumn and winter as well as the newly approaching spring. The following Haikai uses Seasonal words which show the change of seasons and affection accompanied with the seasons. "Spring passing / Birds cries / Tears in a fish’s eyes(行春や鳥啼き魚の目ハ泪) Summer grasses / Soldiers’ / Trace of dream (夏草や兵共が夢の跡)" The word ‘trace’, which shows time progression, highlights the flow of time, the change of seasons, and circulation of sorrow in life, with Seasonal words such as ‘the summer grass.’ "Monsoon / Sikisi faded / Trace on wall (五月雨や色帋へぎたる壁の跡)" By the faded "wall", it express sorrow of parting as the time progression becomes distinct. Basyo discovers the meaning of nature and life through the change of seasons and time progression, identifies specific Seasonal words and then develops Haikai as a distinct literature gen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