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족주의의 현상과 전망 : 운동권 민족주의의 실체파악과 21세기 전망

        김혜승(Kim Heaseung)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6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5 No.1

        민족주의 격동기에 진입하며 국력을 기초로 대결하는 21세기 새로운 동아시아적 냉전체제에서 한국민족주의는 어떻게 민족공동체 실현과 동아시아 공동체 모색을 추구할 것인가? 한국민족주의 이해를 위해 정부 흐름에서 내용을 분석하여 그 실체와 방향을 전망할 수 있을 것이다. 80년대 민주화운동 이후 한미동맹, 반공Ideology가 민족주의 축에서 분리되고 자주ㆍ자립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그 실체를 파악하겠다. 김영삼정부 후 김대중, 노무현 정부로 이어지는 운동권의 민족주의 내용은 무엇인가? 21세기 동아시아의 새로운 세력균형에서 한미동맹이 무너지고 한국이 중국에 기울어진다는 외교의 축 속에서 중시되는 정책을 대외적 민족주의 관점에서 검토해 보겠다. 또한 국가와 민족구성원 사이의 관계로서 국군포로, 납북자 문제를 중심으로 대내적 정책도 검토해보겠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Korean nationalism can help Koreans and East Asia, which is a region entrenched with strong nationalism since the newly established East Asian Cold War.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21st century Korean nationalism and domestic regime trend. Meanwhile, the Korean democratic movement and the rise of Korean nationalism in the 1980s should be considered separately from the Korean-American alliance and the anti-communist movement.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e development and use of Korean nationalism by democratic movement activist such as Kim Youngsam, Kim Daejung, and Rho Muhyeon and their regimes. Furthermore, this paper resolves two issues about the result of a collapse in the Korean-American alliance and what would happen in South Korea when North Korea takes an important posi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issue of prisoners of war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 post-war civilian kidnappings.

      • KCI등재

        한국 민족주의의 쟁점 : 개념과 과제

        김영명(Yung-Myung Kim)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8 No.1

        지금까지의 민족주의 논의에서는 민족주의 용어가 지나치게 넓고 모호하게 사용되었다. 민족주의가 국가주의, 국민주의 등과 구별되지 않고 사용되며, 애국주의 개념도 또 다른 혼란을 불러온다. 그래서 심지어 때로는 반민족주의적인 현상마저 민족주의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다. 또 민족 정서와 민족주의를 구별하지 않고 모두 민족주의로 서술한다. 그 결과 한국의 민족주의가 매우 강하다는 결론이 도출되는데, 이 논문은 한국인에게 민족 정서를 강하지만 민족주의는 약하다고 주장한다. 한국 민족주의 논의에서는 사대주의에 주목해야 하는 바, 한국인에게 사대주의가 민족주의보다 더 강하다. 한국 민족주의의 과제는 민족주의 본질의 달성과 문제점 완화인데, 앞의 것은 민족 통일과 대외적 자주성의 고취이며, 뒤의 것은 배타성과 폐쇄성 완화이다. 한국 민족주의는 그 목표를 달성해 가면서 문제점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책과 이념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One of the most evident shortcomings in the studies of Korean nationalism is the overly broad usage of the concept of nationalism itself; the diverse aspects of nationalism some of which are mutually contradictory are not properly discerned and lumped together under the name of nationalism. The underlying problem is the English word nationalism itself which cannot properly distinguish between the nation, state, and citizenship which are all ingredients of nationalism. This article suggests that we properly discern the corresponding Korean terms for these different aspects of nationalism. It also suggests that we distinguish between nationalism, mostly an area of reason and national feelings, an area of passion. Korean nationalism is rather weak compared with strong national feelings of average Koreans. Sadaejui (“serving-the-great”ism), rather than nationalism, is Koreans’ prevalent mental position vis-a-vis outer forces. Sadaejui is directly opposite to nationalism, the essence of which are the movement toward national independence, integration, and self-reliance. Key tasks of Korean nationalism are the achievement of national unification and more independent foreign positions as well as the alleviation of the inherent problems of nationalism itself, i.e. the possibilities of international conflicts, domestic oppression and xenophobia.

      • KCI등재후보

        한국 스포츠-민족주의(Sports-nationalism)의 한 기원 : 해방 전후 <올림피아>(레니 리펜슈달, 1938) 1부 <민족의 제전>, 올림픽과 마라톤 문화/기록영화의 상영을 중심으로

        심혜경 영상예술학회 2014 영상예술연구 Vol.25 No.-

        이 글은 대한민국에서 스포츠와 민족주의가 만나 스포츠-민족주의를 구성하게 된 한 기원을 추적한다. 우선 이 글에서 중심으로 두고자 하는 것은 베를린올림픽 문화/기록영화인 레니 리펜슈탈(Leni Riefenstahl)의 <올림피아:1부 민족의 제전, 2부 미의 제전(Olympia:1. Teil-Fest Der Volker, 2. Teil-Fest Der Schonheit)> (1938)의 상영이다. 오늘날까지도 전무후무한 최고의 올림픽 문화/기록영화로 꼽히는 이 영화는 식민지 조선의 마라토너 손기정이 1위하는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런 이유로 이 영화는 식민지 조선에서 상영되었을 뿐 아니라, 해방 조선에서도 상영되며 대한민국 스포츠-민족주의의 기원의 한축을 담당했다. 더불어 이 글에서는 <민족의 제전>의 해방 후 재상영을 탈식민과 민족-국가 수립이라는 시대적 과제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봄으로써 단독 정부의 수립과 스포츠-민족주의의 관계를 규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이글은 이어 <민족의 광영>, <세기의 제전>, <한국의 승리> 같은 올림픽과 마라톤 문화/기록영화의 상영을 추적한다. <민족의 제전>의 재상영이 불러온 이들 영화의 상영은 미디어 중심의 스포츠-민족주의 구축 매커니즘을 보여준다. 미군정, 대한민국 정부, 대한체육회가 한국 대표가 참가하는 국제마라톤대회와 올림픽을 담은 이들 문화/기록영화를 주도적으로 상영하면서 우익의 민족주의로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 민족-국가주의(nationalism)와 스포츠의 유착관계의 한 기원의 시점을 드러낸다. 한국에서 스포츠-민족주의가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과 반공의 의미를 가지고 국가건설과 민족의 통합의 수단으로 구축되는 데에는 손기정의 마라톤 승리와 해방 후 마라톤 국제대회와 올림픽 출전을 둘러싸고 벌어진 미군정과 대한민국 정부의 행보, 이들의 후원을 입은 대한체육회의 활동, 또 이를 실황으로 상영, 보도한 영화와 인쇄 미디어의 역할이 지대하다는 것은 거의 확실해 보인다. 식민시기 <민족의 제전> 상영과 마라톤을 둘러싼 스포츠-민족주의가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문화 민족주의’적 측면과 국내의 소극적 저항의 움직임을 만들어낸 ‘구국의 민족주의’적 측면을 보였다고 한다면, 해방 이후 <민족의 제전> 재상영과 <올림픽 기록영화>와 <보스톤국제마라톤 기록영화>의 상영과 마라톤을 둘러싼 스포츠-민족주의는 국가기관과 단체(미군정, 과도정부, 대한민국 정부의 문교부와 공보부, 이와 협조한 대한체육회와 올림픽위원회와 올림픽후원회)의 ‘문화적 민족주의’, ‘구국적 민족주의’에 ‘파시즘적 국가주의’가 추가된 형태로 이어졌다. This paper traces one origin of sports-nationalism generated by the composition of sports and nationalism in South Korea. The center of this article is at screening of the Berlin Olympic Kulturfilm/documentary Olympia:Part 1. Festival of Nation, Part 2. Festival of Beauty(1938) produced by Leni Riefenstahl. This film is considered as the unprecedented best olympic Kulturfilm/documentary and it contains the winning scene of the marathoner Son Kee-chung who took 1st place at the marathon game of Berlin Olympic. With that reason, this film was screened in Chosun both in the colony period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that served a crucial part of one origin of Sports-Nationalism in Korea. In addition, this paper will examine the rerun of the film Festival of Nation after the liberation in terms of the association of postcolonial establishment of the nation to define the relationship of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nd Sports-nationalism. Then this paper will trace the screening of Kulturfilm/documentary like Minjokeui gwangyeong, Segieui jejeon, and Hangukeui seungli which dealt with Olympic and marathon culture. The screening of these films brought by the rerun of Festival of Nation shows the mechanism of sports nationalism centered by media. This paper will reveal the origin of links between sports and nationalism through examining the attempt of USAMGIK(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South Korea), South Korea government, and Korea Sports Council to bring rightists’ nationalism by proactive screening of documentary films showing Korean representative’s participations for international marathon and Olympic.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Sports-nationalism was util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 and national integration as means of resistance against imperialism and anticommunist. And this was clearly contributed by Son Kee-chung’s victory, moves of USAMGIK and Korean government for participations of international marathon and Olympic, activities of Korea Sports Council, and the roles of films and media coverages with live reporting. The screening of Festival of Nation and Sports-nationalism during colonial period shown aspects of Cultural Nationalism resisting against Imperialism and Salvational Nationalism generating passive resistance. However the Sports- nationalism surrounded by the rerun of Festival of Nation after the liberation and screening of Olympic girok yeonghwa and Boston gukje marathon girok yeonghwa, shown the combination of Cultural Nationalism, Salvational Nationalism, and Fascist Nationalism driven by governmental institution and organizations(USAMGIK, interim government, Education Department and Public Information Department of South Korea government, Korea Sports Council, Olympic committee, Olympic sponsor association).

      • KCI등재후보

        대북정책과 대미정책 그리고 민족주의

        김근식 ( Geun Sik Kim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13 동북아연구 Vol.28 No.1

        한국의 민족주의는 한민족의 정서와 감정에 토대한 민족주의가 존재하는 한편, 근대화된 국민국가 건설의 과제로서 정치적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원동력이자 토대로서의 민족주의가 필요하고 완성되어야 했다. 특히 근대화 과정이 왜곡되고 외세의 침탈과 개입으로 지체되고 분단되면서 한국 민족주의는 여기에 더하여 저항 민족주의와 통일 민족주의라는 추가적 성격이 결합되어 더욱 강고한 이념적 정체성을 갖게 되었다. 21세기 한국의 대외전략의 이념적 토대로서의 민족주의는 바로 이 같은 한국 민족주의의 특성과 성격을 고르게 반영하는 정치적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첫째 한국의 민족주의는 공민적 민족주의와 종족적 민족주의를 동시에 반영하고 동시에 성취해야 한다. 두 번째로 한국의 민족주의는 통일 민족주의와 저항 민족주의의 특성을 반영하고 성취해야 한다. 따라서 민족주의에 토대한 한국의 대외전략은 반미 자주와 반미 통일이라는 급진적 주장이 아니라 민족화해와 대등한 한미관계의 진보적 가치가 동시에 북한 근대화와 우호적 한미관계라는 보수적 가치와 공존하고 양립하고 병행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대북정책과 대미정책의 엇박자를 교정하고 남북관계와 한미관계의 악순환을 단절하면서 불필요한 남남갈등을 해소하는 지름길이자 해법이다. In terms of nationalism in Korea, It is based on Korean people`s emotion and sentiment. In the mean time, we also required complete nationalism as the driving force and foundation for political democracy and 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build a modernized nation state. In particular, as the modernization process was distorted, delayed and fractured due to foreign pillage and intervention. Korean nationalism added to it the additional characteristics of resistant nationalism and reunification nationalism combined and came to have an even more stable ideological identity. In this 21st century, Korea`s nationalism as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its international strategies should include political content and reflect Korean nationalism`s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in a balanced way. First, Korean nationalism should reflect civic nationalism and ethnic nationalism at the same time and achieve them simultaneously as well. Second, Korean nationalism should reflect and achieve the characteristics of reunification nationalism and resistant nationalism. Therefore, Korea`s international strategies based on nationalism should not be the radical insistence of anti-American autonomy or anti-American reunification but the progressive value of national reconciliation. The equivalent Korean-American relationship should coexist with, be compatible with, and accompanied by the conservative value of North Korean modernization and favorable Korean-American relationship at the same time. This is a very expedient solution to narrowing the gap between policy toward North Korea and policy toward the U.S., stop the vicious cycle of North and South Korean and Korean-American relations, and resolve unnecessary South-South conflict.

      • KCI등재

        근대 한국에서 기독교와 민족주의 관계 연구

        최영근(Youngkeun, Choi)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4 No.-

        민족주의는 한국 기독교 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시대적 상황속에서 기독교가 한국사회의 문제에 대응하면서 민족주의와 상호 관계하였기 때문에 기독교가 한국에서 뿌리내리고 주류종교로 발전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기독교 민족주의 연구는 민족주의의 복잡성과 다양성, 그리고 이에 반응한 기독교의 다양한 관계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채, 민족주의 관점에서 기독교 관계에 주목하였다. 또한 기독교와 민족주의 관계가 한국 기독교에 끼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민족주의의 복잡성과 이에 대한 기독교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고려할 때 기독교와 민족주의 관계는 접합의 조건과 상황, 접합의 논리를 고찰하는 가운데 분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독교와 민족주의가 결합된 다양한 유형들을 살펴보면서 기독교와 민족주의의 상호관계가 갖는 긍정적 영향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선교초기부터 대한민국정부수립 시기까지로 한정하여 기독교 민족주의를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사회·문화적 차원에서 기독교 민족운동을 전개한 문화적 유형; 둘째, 기독교 신앙활동을 통해 민족구원을 추구하며 기독교의 민족적 사명을 강조하는 복음적 유형; 셋째, 정치·사회적 차원에서 기독교적 이념과 가치를 국가와 사회에 구현하고자 하는 공적·제도적 유형; 넷째, 기독교 신앙의 보편적 가치와 민족공동체의 지향이 상호부합하며 나타난 현상적 유형. 문화적 접합과 공적·제도적(정치적) 접합이 연결관계를 강조하는 통합유형이라면, 복음적 접합과 현상적 접합은 구별과 분리를 강조하는 분리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기독교 민족주의 접합의 긍정적 측면은 기독교가 당면한 상황 속에 민족이 풀어야 할 과제를 배타적으로 이해하지 않으면서 복음의 보편적 가치 안에서 응답하고자 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접합관계가 갖는 한계는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기독교와 민족주의 연결을 강조하는 통합유형에서는 교회가 민족주의 이념에 종속되거나 세력화되는 경향이 나타나며, 구별을 강조하는 분리유형에서는 기독교 신앙이 개인적 차원의 신앙과 도덕으로 환원되는 경향이 노출되었다. 21세기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에서 기독교는 배타적 민족주의를 극복하고, 신제국주의적 확장주의를 경계하면서, 기독교의 사랑과 정의와 평화의 보편적 가치를 지역사회에 실현해야 한다. Nationalis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terpreting the ways in which Protestantism has settled down as a major religion in Korean society. Protestantism interacted with nationalism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Studies on the Protestant nationalism so far have overlooked the complexities and diversities of nationalism as well as the various interactions with Protestantism. From the nationalist perspective, furthermore, these have often disregarded the problems that the interrelation brought into the Korean church. The complexities of nationalism and the diverse relations to Protestantism considered, Protestant nationalism should be explored by analyzing the conditions and discourses, where they became articulated with each other. This paper investigated the different paradigms of articulation of Protestantism and nationalism in Korean society and highlighted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to church and society. Covering the period from the Protestant beginn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paper analyzed Protestant nationalism into four paradigms: the cultural type carrying out Protestant and nationalist tasks through socio-cultural movements; the evangelical type taking the evangelical responsibilities for the nation; the official, political type seeking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state based on Protestant belief and moral values; and the phenomenological type, in which the Christian faith became accidently and seemingly regarded as a nationalism in a given context. Protestant nationalism as a whole played an affirmative role in relating the church to the nation while evading exclusive ethnic nationalism. On the one hand, however, nationalism often subjugated and manipulated Protestantism as seen in the cultural and the official, political types. On the other hand, Protestantism in the evangelical and the phenomenological types became reduced to individual piety and private morals. Protestantism should aim for glocal, ecumenical Christianity to realize the universal Christian values such as love, peace, and justice while standing aloof from exclusive nationalism and neo-liberal globalization which instigates discrimination and domination over the marginalized.

      • 의암 유인석 의정척사사상의 논리적 기반과 민족주의적 특성

        문중섭 한국시민윤리학회 2008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21 No.2

        민족주의와 관련해서 본 유인석의 위정척사사상은 자신의 확고한 논리적 기반 위에서 구축된 것이다. 주요한 논리적 기반은 문화주의와 소중화론 그리고 존화양이론과 정치적 대일통론 등이다. 이러한 논리에 기반을 두고, 유인석은 위정척사사상을 주창하고, 투철하게 자신의 이념을 실천해 갔다. 우리는 그의 위정척사사상을 원형적(元型的) 민족주의로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국과의 관계에서는 ‘주체성의 결여’라는 한계를 갖는다. 그의 위정척사사상이 갖는 민족주의적 특성으로는 국수주의적이고 전근대적인 문화민족주의적 성격과 전근대적인 원형민족주의적 성격이 지적될 수 있다. 또 그의 사상은 대내적으로 보수주의적이고 대외적으로는 배타주의적·반침략주의적 성격을 지닌다. 이와 같은 유인석의 위정척사사상은 세계화 시대의 민족주의와 시민성에 상관하여 우리들에게 주체적이면서 공생적인 시민민족주의를 지향하고, 합리성과 공공성에 기초하는 자율적인 시민·국민국가 성원으로서 권리와 의무를 다하는 시민·세계시민의식을 갖고 다른 민족과 공존 공영을 추구하면서 지구의 공동선을 지향하는 시민이 될 것을 교훈으로 일러 준다. From a nationalistic perspective, Uijeong-Cheoksa(衛正斥邪) ideology of Yoo In-seok is surely based on his determined logical foundations, which are culture-centrism, So-Junghua(小中華) perspective, Jonhua-yangi(尊華攘夷) doctrine, and political doctrine of Dae Il Tong(大一通). From these logical basements, Yoo In-seok had developed his Uijeong-Cheoksa ideology and translated the ideology adamantly into real actions. We can see his Uijeong-cheoksa ideology as a kind of fundamental nationalism. But it has a limitation such as 'lack of national subjectivity' in relations with China. As the nationalistic characteristics of Yoo's Uijeong-Cheoksa ideology, ultra-nationalistic, premodern cultural-nationalism and premodern proto- nationalism are worth to indicate. Also, his ideology was domestically conservative and externally exclusive and anti-aggressive. Relating to the nationalism and the citizenship in this globalizing era, we can learn from Yoo's Uijeong-Cheoksa ideology that we, as self-controling citizens and members of a nation-state with rationality and public spirit who pursuit autonomous and symbiotic civic nationalism, should develop the global common goods and seek after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with other nations, with cosmopolitan citizenship.

      • KCI등재

        해방 직후 민족주의의 행태적 특성: 건준ㆍ인공ㆍ반탁운동의 현대적 함의

        김동성(金東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6 신아세아 Vol.13 No.1

          본 연구는 해방 직후 정치상황 전개를 ‘민족주의운동’이라는 구체적이고 특수한 영역에다 초점을 맞춰서 그 과정을 재구성, 재해석 한 것이다. 근 현대 세계 각지에서 전개되어온 민족주의의 전개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민족주의 운동의 행태적 모형을 근거로 한 비교분석 조망과 분석틀을 적용했다.   해방직후 전개되었던 건준중심의 ‘건국민족주의’운동, 인공중심의 좌파 민족주의운동, 그리고 김구ㆍ임정계 중심의 ‘반탁 민족주의’운동에 대한 분석결과는 Anthony Smith가 말하는 민족의 자치성, 단일체적 통일성, 그리고 정체성을 확립하려했던 당시의 민족지도자들의 노력과 대중적 차원의 열정이 대단한 수준이었음을 확인했다.   건준의 민족주의운동은 Smith와 Breuilly가 말하는 ‘민족주의 독트린’, 예를 들어 민족적 가치와 이익은 다른 모든 가치보다 우선하며 민족독립과 정치적 주권을 필요로 한다는 류(類)의 독트린을 적용하여 대중과 엘리트 모두를 조정ㆍ동원ㆍ정당화 기능을 통해 신 국가권력의 형성목표로 향하도록 했다는데 엄청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박헌영의 공산계열이 건준 세력을 분열시켜 건준 민족주의 운동조직을 극좌파의 것으로 전취시켜 나가면서 한국 민족주의운동은 ‘하나의 정치적 형식’(a form of politics) 이라는 전형적 특징을 드러낸다. 인공수립 결행은 ‘임정추대’를 중심으로 결집되기 시작한 민족우파의 움직임에 대한 선 제압의 필요성 때문이고 여운형의 ‘임정봉대’에 대한 꺼림과 경쟁심을 교묘하게 활용한 결과다.   이제 새로이 조직화되기 시작한 우파세력(한민당계열)은 좌파 모두에 대한 극단적 불신감을 갖고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게 되었고, 이후 한국 민족주의운동은 좌우 이데올로기 대립 구도 하에서 분열적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었다.   극좌파 주도의 인공은 ‘타협적 대미노선’과 ‘친일파잔재 청산’ 주장을 교묘하게 같은 고리에다 묶고 임정봉대를 주장하는 공략에 부심했고, ‘친일ㆍ반민족세력타도’를 내세워 포퓰리즘ㆍ대중동원 전략을 구사해 나갔다. 한편, 이승만의 환국 후 우파주도의 민족주의 동원력이 강화되자 극좌파들은 민족우파 진영을 싸잡아 ‘반민족’ 혹은 ‘반민족세력에 대한 보호자’ 범주로 위치 지워 놓으려 했고, 이에 따라 우파세력이 극좌파에 대한 부정적(negative) 민족주의 운동공세를 취하자 좌파는 경성에서의 권력투쟁과 지방에서의 계급투쟁적 민중동원을 민족주의 운동의 핵으로 삼았던 것이다.   반탁운동 과정에서 좌ㆍ우 세력은 ‘반외세 배타성’과 ‘국제주의연대’의 슬로건을 들고, 민족주의란 ‘민족주의 주장’(nationalist argument)을 통한 국가권력 장악투쟁이라는 도식이 한반도에서 전개되는 모습을 시현했다. 이때 김구 중심의 반탁민족주의운동은 민족독립ㆍ민족자주ㆍ민족정기의 가치에 대한 국민적 각성과 열정을 재확인 시킨 기념비적 운동사례로 평가될 수도 있으나, 자기중심적인 ‘민족지상주의’에 도취되어 국제적 환경제약에 대한 무지함을 드러냈고 좌파의 ‘민족지상주의’에 도취되어 국제적 환경제약에 대한 무지함을 드러냈고 좌파의 ‘민족주의정책화’ 전략 능력을 간과함에 따라 결국은 향후의 분열적 역사의 전개에 일조를 한 셈이 되었다. 결국 민족주의운동은 일시적으로 민중동원에 성공한다 하더라도 현실주의적 전략체계를 결할 경우 본래의 민족주의 운동 목표에 반하는 방향으로 귀결될 수 있음을 입증한 셈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해방직후 ‘반제ㆍ반봉건 과제’ 실현과 ‘일제 잔재의 청산’이 이뤄지지 못한 것과 통일정부수립에 역행한 책임이 해방직후부터의 민족우파와 미국 때문이라는 최근 수십 년 간의 좌파적 역사인식의 도그마를 교정하는데 부분적인 기여다.   This research aims at analytic reinterpretation of the political history for the period of 6 months after the end of Japanese colony. Comparative perspective and analytic framework of nationalist movements by Anthony Smith and John Breuilly are the main reference of the analysis. The three cases are set forth for the study: ① the nationalist movement by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② the Leftist movement through the Korean People"s Republic, ③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by the Rightist nationalists.   One of noticeable findings of the study is that passions and endeavors of mass and elite groups during the movement of the Preparation Committee were enormous in order to achieve national autonomy, unity, and identity. For the purpose of state-building, the nationalist leaders applied "nationalist doctrine" effectively, while well performing multi-facet function of coordination, mobilization, and legitimacy.   The Korean nationalism, however, began to reveal itself a form of politics soon after extreme Leftists made the "Preparation Committee" dissoluble for their own Korean people"s Republic. The Rightist nationalists who became distrustful about the Leftists now adopted a negative campaign against the Communist. The Korean nationalism thereafter undertook itself toward the disunited direction.   "The Korean People"s Republic" led by the Communist proclaimed its compromise line with U.S Military Government, and claimed "Clearing Up Japanese Remnants" in the process of attacking the Rightists who support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Chung-Ching. Since Syngman Rhee"s coming back home, which inspired Rightists upsurging, Leftists tried to place the Rightists under the category of either "national traitors" or "protector group of the traitors", in the process of national mobilization, showing a typical model of populist tactic.   The nationalist movement of "anti-Trusteeship" was the leading example of nationalism which used to aim at searching for state power through "nationalist argument". The nationalist movement led by Kim Ku gained the highest level of public popularity and mass participation at the time. The anti-Trusteeship movement, however, left a historical legacy that ignorance of international constraint and overlooking the Leftist capability of nationalistic tactics eventually called for ideological antagonism as well as division of the n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people"s some distorted view on the history of the "post-liberation period" should be corrected since the Leftist-nationalist doctrine has been dominating to say that all the reasons for failure of such tasks as "anti-imperialism and anti-feudalism" and "national unification" lie at the responsibility of the Rightist nationalists and the U.S. military occupation of the time.

      • KCI등재

        모리스 바레스의 귀환 -바레스 연구 100년

        마은지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9

        민족주의는 제한된 근대적 이데올로기들 가운데 가장 주요하고 지속적인 힘을 발휘하는 이데올로기이다. 민족주의가 이런 지속성을 발휘하는 이유는 다른 신앙들이나 이데올로기들과 달리 ‘민족적 이상을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행동 프로그램’이고, 그런 목표를 위해서 사람들의 충성심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민족주의가 사멸할 것이라는 예견과 달리 근자에 나타나는 민족주의 현상은 그것이 우리에게 부정할 수 없는 삶의 일부임을 확인시켜준다. 게다가 민족주의는 하나의 모습이 아니라, 시공간에 따라 다양한 옷을 입고 나타난다. 민족주의 운동들의 무수한 사례들이 있지만, 그 중에 프랑스의 모리스 바레스의 우익민족주의는 사학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세기 후반, 바레스는 세기말에 프랑스의 공화주의적 전통에서 벗어나 우익 민족주의로의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인물이다. 바레스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기라도 하듯, 최근 들어 바레스 관련 연구서들과 논문들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는 그동안 잊어져 묻혀 있었던 바레스를 프랑스 안에서 새롭게 발굴하고 있다는 표시이며, 바레스의 귀환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모리스 바레스의 생애와 그에 대한 100년간의 연구사를 정리하고, 그것을 통해 바레스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바레스 관련 연구 경향들은 몇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우선 문학가들은 바레스의 민족주의 성격의 소설들을 ‘토지문학’(littérateurdu terroir)으로 분류하며 ‘토지’와 민족의 연관성에 주로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두 번째 경향은 우익 지식인으로서 새로운 정체성 형성이 바레스의 민족주의로 나타났다고 파악한다. 세 번째 경향은 바레스를 전-파시스트로 보는 시각이 있다. 이와 같은 바레스의 민족과 민족주의 사상의 복잡함은 해석과 관점들에 따라 지금까지도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런 분분한 견해는 ‘민족’(nation)이 갖고 있는 이원성 때문이다. 바레스의 민족주의는 파시즘 문제와 논쟁이 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바레스와 같은 인물이, 그리고 당대의 사상계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던 입장에서 어떻게 그와 같은 종류의 민족주의 사상을 조탁해냈는지 그 출현 이유가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그의 민족주의에 대해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접근방식으로 해석이 필요하다. 바레스의 민족주의는 민족주의와 파시즘의 관계에 대한 해석의 문제로 이어진다. Nationalism is the most powerful of the limited modern ideologies. Because unlike other faiths and ideologies, it is a programme of action to achieve and sustain the national ideal, and that requires loyalty in so many countries for its aims. In opposite to the anticipation of more people coming to an end of nationalism, the phenomenon of nationalism occurring more recently demonstrates it has been an undeniable fact of our lives. Besides, it has been able to reappear in so many different guises. Then there are many cases of nationalist movements. Of all cases, the nationalism of Maurice Barrès had an important meaning in French nationalist movement. Barrès played an important role of transformation from the republican nationalism to the right-wing nationalism. Recently, studies and publications in relation to Barrès tend to increase more and more. It demonstrates fact that Barrès is rediscovered in France, and ‘the return of Barrès’ at the same time. This article aims at examining the life of Barrès and the study on Barrès during the past century. There are three views according to subject . The first view is that literary areas classify Barrès’ romans as ‘soil literature’. They focus on relations between soil and nation. The second regards the nationalism of Barrès as the formation of the right-wing intellectual identity. Lastly, there is one view considering Barrès as a pre-fascist in France. To understand the complex thoughts of Barrès’ nationalism, first of all, the conceptual problem of nation has to be examined. The concept of nation complicates two meanings, territorial and ethnical. And then, it has to be explained the reasons for Barrès to elaborate such kind of nationalism. Finally, Barrès’ nationalism has to be interpreted by new approach of nationalism. After all, it leads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sm and fascism.

      • 현대 한국민족주의운동에 대응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조성국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민족주의는 현대 한국사회를 움직여욘 사장 주요한 이데올로기임과 동시에 다른 이념들이 정치적인 동력을 갖게 한 핵심동력이었다. 그 동안 한국의 교육학자들과 기독교교육학자들은 해방이후의 한국사회 민족주의와 교육의 관련성 문제에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해방이후 민족주의의 양태는 우파민족주의, 진보 및 좌파민족주의, 북한 민족주의, 민족주의이념에 대한 비판적 담론으로 나뉠 수 있다. 민족주의의 경험과 비판적 담론들은 민족주의가 긍정적 요인 못지않게 위험성과 한계를 가진 이념이라는 사실을 잘 드러내었다. 한국민족주의 운동에 대응한 기독교교육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족주의의 종교성과 환원성을 반성하는 세계관 교육이 필요하다. 이 교육은 민족주의가 민족의 개념과 특정 국면을 신성화하거나, 민조고가 국가를 절대화함으로써 결국 다른 집단의 권리와 책임을 환원심킨 억압적 전체주의였다는 것을 알게 하고, 설사 기독교민족주의라고 해도 민족과 민족국가 자체도 이미 종교적으로 반립상태에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하는 세계관 비판의 교육을 뜻한다. 둘째, 민족은 기독교인들에게 사랑의 대상이다. 그러나 민족공동체를 사랑하는 방법은 민족이라는 규범이 안이라 하나님의 규범에 따라 민족 공동체 안에서 정의와 평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성경적 정의와 평화는 인간의 기본적 권리 보장, 그리고 정당한 관계에서 감사와 기쁨이 있는 화목을 증진시킨다. 따라서 기독교교육의 과제는 학생들의 내면에 민족에 대한 사랑과 정의와 평화의 태도와 성향을 형성하고, 우리 사회 안에 사랑과 정의와 평화를 실현하는 것이다. Ethnic nationalism has been both the most significant idelogy and the core energy having driven other political ideologies in modern Korean society. Korean(Christian) education researchers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nationalism and education. Modern Korean nationalism can be classified by the rightist nationalism, the liberal and the leftist nationalism, the North Korean nationalism, and the critical discussions on nationalism by social scientists. Experience and discourses show that nationalism has many dangerous and limited elements as well as a few positive elements. Christian education has two tasks to the modern Korean nationalistic movement. Firstly, we need world view education critically reflecting the religious and reductive propensity of nationalism. By means of sanctifying and absolutizing a nation or a race, nationalism oppresses other ethic groups and reduces other demensions of the society. It prevents even Christians from recognizing the true antithesis within nationalism. World view education may contribute to escaping from such problems. Secondly, we need the education seeking for love, justice and peace. A nation, for Christian, is an object of love. However, the way of loving the nation is to follow the Lord's words for community life. The words demand justice and peace that are composed of basic human rights and righteous relationaships with joy and thanks among people. Therefore, Christian education should pay much attention to improving love, justice and peace in the society and to forming such virtues and attitudes in student's hearts.

      • KCI등재

        종교와 근대민족주의의 형성 - 새로운 연구동향과 한국적 맥락에 대한 검토

        박종일(Park Jong-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08 사회사상과 문화 Vol.17 No.-

          민족주의의 형성과 근대사회의 등장이 서로 맞물린 과정으로 이해하는 입장을 ‘근대민족주의 이론’이라고 칭할 수 있는데, 이는 민족주의 연구에서 서구사회과학계의 지배적인 이론으로 자리 잡아 왔다. 하지만 최근에 종교와 민족주의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둘러싸고 민족주의 이론에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근대민족주의 이론에서는 민족주의의 등장을 종교의 쇠퇴를 대치하는 역사적 변화로 묘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새로운 시각에서는 종교가 서구근대사회의 민족주의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고 ‘근대’민족주의의 특성에 종교적 요소가 강하게 투영되어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BR>  이 글에서는 종교와 민족주의의 관계에 대한 근대주의 이론을 소개하고 종교의 역할을 둘러 싼 비판이 논쟁의 핵심적인 주제로 떠오른 배경을 논의하고 있다. 요약하자면 민족주의가 강화된 배경에는 각 사회에 이미 존재하고 있던 종교적 전통이 선택적으로 강조되었다는 점이 자리 잡고 있으며, 또한 자신이 속한 집단이 하늘로부터 선택되었다는 의식(선민주의)은 민족주의의 형성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BR>  마지막으로 이런 이론적 논의가 한국의 민족주의 연구에 던지는 교훈을 찾아본다. 종교의 역할과 민족주의 형성의 한국적 맥락에서 민족종교라 불리는 ‘천도교’와 ‘단군숭배’는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단군숭배는 일부 선민주의적 인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역사자료와 기존의 종교적 전통을 선택적으로 강조하여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단군숭배는 당시에 지배적인 진화론적 세계관과 결합하여 더욱 강화되었다.   The modernist theory of nationalism has been the dominant approach in understanding nation and nationalism around the world. It claims that nation is a product of modernization and secularization. The dominant power of modernist theory has been challenged recently, however. In debates on the role of religion in emergence of nationalism, Anthony Smith and others demonstrate national community is very similar to "sacred communion" in a sense that they both believe in divine selection and mission of people. In this paper I discuss religion indee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sm. Tangun, the mythical founder of Korean nation, became a symbol of n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s nationalists selectively emphasized historic records. Through Tangun worship Koreans built a notion of "chosen people" and it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formulating anti-colonial nationalism in the context of social Darwinist struggle in the early 20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