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적 체험 교육에서 미적판단 :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공완욱(Wanwook KO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91 No.-

        미적 체험 교육은 미적 대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과 감성을 풍부하게 하고 주변 세계와 시각적으로 소통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므로 중요하다. 그러나 미술 수업에서 미적 체험을 가르친다는 것에는 많은 오해와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체계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적 체험이 근본적으로 미적판단에서 시작된다고 가정하며, 이 측면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미적 체험 교육에서 미적판단의 이해가 작용하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둘째, 미술교육에서 미적 체험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레빈슨의 절충적 실재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 이다. 미적판단에서 객관성과 주관성의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탐구하고, 이를 미적 체험 교육에서 구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한다. Levinson의 이론적 틀은 미적 체험의 분석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을 모두 개발하기 위한 방향성을 보여주어 미술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적판단에 대한 이러한 기준의 설정은 학생들이 미적 체험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심미적 감성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 수업, 평가에 있어 구체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미적 체험 교육에 반영함으로써 보다 균형 있고 효과적인 미술교육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미적 체험과 미적 판단력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Teaching aesthetic experience is important because it enriches our awareness and appreciation of aes-thetic objects and improves our ability to communicate visually with the world around us. However, there are many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when it comes to teaching aesthetic experience in art classes. To address this, a clear and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This study assumes that aesthetic experience is fundamentally based on aesthetic judgment, and this aspect is explored in depth.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how does the understanding of aesthetic judgment work in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Second, how can Levinson's eclectic realism be applied to improve aesthetic experience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is paper explores Levinson's eclectic realism, which maintains an appropriate balance of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aesthetic judgment, and proposes directions for its implementation in aesthetic experiential education. Levinson's theoretical framework provides a direction for developing both the analytical and person-al dimensions of aesthetic experience, which can be utilized in art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se cri-teria for aesthetic judgment can be a concrete tool in the design, teaching, and assessment of curricula to help students develo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sensitivity. By incorporating Levinson's eclectic realism into the teaching of aesthetic experience, we can provide more bal-anced and effective art education to enrich students'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judgment.

      • KCI등재

        대학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

        김형숙(Hyungsook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1

        미적소양교육은 대학교양교육에서 학습자가 세계를 비평적으로 이해하는 사고를 배양하고 예술 및 문화의식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대학교양교육에서 미적소양교육의 재개념화(再槪念化)를 위하여 미국대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교양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함유된 자유교육 정신과 학습자의 삶을 둘러싼 시각 이미지들을 읽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미적소양교육의 의미, 그리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학제간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행한다. 둘째, 미국의 주요 대학에서 실행되고 있는 미적소양교육을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 해서, 우리나라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미적소양교육의 가치를 발견하고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유럽대학에서는 전통적 교양주의를 넘어서 전문교육으로 전환한데 반해, 미국대학은 교양교육에서 자유교육 정신을 고수하면서 전문교육은 전문대학원에서 행하는 대학교육의 구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의 분석을 통해서 미적소양 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함양하고 학습자가 처한 세계를 비평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민을 양성할수 있는 중요한 영역임을 주장하고, 미적소양 교육에서 타 분야와의 학제간 접근, 체험교육의 확대, 주제중심의 탐구 방법 등이 시각적 문해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미적소양 교육을 재개념화한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는 미적소양교육은 미술을 전공하지 않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따라서 대학교육에서 미적소양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을 향상시키는 가치를 발굴하고, 학습자가 비평적 관점으로 세계를 바라볼수 있는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학의 교육적 기능에 관해 조명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중요성이 있다. As part of liberal education courses at university, art education about aesthetic attainments enables student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bout the outside world and cultivate artistic and cultural consciousness. With the aim of redefining education aimed at cultivation of aesthetic attainments as part of university's liber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gress of liberal education particularly in U.`S. universities and ponders on its implications for liberal education at South Korean universities. Departing from conventional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European universities already transformed their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nto specialized courses, whereas most universities in the U.S. still adhere to the spirit of traditional liberal education while running specialized courses at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This study contemplates, from theoretical viewpoints, the spirit of liberal education mirrored in the history of liberal education courses, the meaning of education about aesthetic attainments for perceiving visual images surrounding students' lives,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s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Against this backdrop, it also performs some case studies of progress status of education courses on aesthetic attainments currently available at prestigious U.S. universities, thereby exploring the value of art education on aesthetic attainments and it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universities. Such analysis of liberal education courses at university demonstrates that education on aesthetic attainments plays a pivotal role in nurturing citizens with critical mindset regarding the outside world by improving students' visual literacy. Moreover, it shows that interdisciplinary approach, expansion of hands-on education programs, and theme-based research methods can act as a crucial methodology for learners to acquire visual literacy from those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cultivation of aesthetic attainments. Art education on aesthetic attainments herein is only confined to those students not majoring in the fine arts, thus excluding those courses on aesthetic attainments for those students with a major in the fine arts. In conclusion, this study unlocks the value of education on aesthetic attainments to improve students' visual literacy and sheds light on its educational functions as part of university curriculum to foster students into citizens with critical perspective during the prevalence of visual culture.

      • KCI등재

        쉴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 ‘인간의 미적 교육을 위한 편지’ 를 중심으로 -

        이화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2 No.-

        Schiller advocates aesthetic education through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 and in his aesthetic education, aesthetic activity is nothing more than a means, and human education in harmony is the purpose. He points out that conflicts and lack of harmony are problems presenting human personality and circumstances that are conflictory. He suggests that harmonizing and unifying such conflictory human characteristics is ‘beauty.’While doing so, he explains in detail the justification of aesthetic play which takes beauty as its goal. For instance, he suggests the drive of human personality as ‘the formal drive; and the drive of condition as ‘the material drive’. The drive to unify such conflicting drives(desires) is the play drive,and the play drive is a desire that operates on the basis of beauty. In addition, he carefully explain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from material condition to mental condition and then to aesthetic condition, and the concept that uses such process or stages of such process is aesthetic appearance. Aesthetic appearance provides an opportunity to enter aesthetic sentiment by taking advantage of human's inherent material attribute and mental attribute. Thus,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points out specifically how the forms and contents of aesthetic play influence human personality and change instead of making a remark in a superficial manner on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ducation which we advocat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 and deducted ways to apply the methods of aesthetic education to aesthetic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deduced methods of aesthetic education in aesthetic education of Letters Up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Schiller's method of aesthetic education is using ‘the play drive’, ‘aesthetic appearance’, ‘aesthetic freedom’,and ‘aesthetic condition.’ This study offered three examples of using the play drive in a specific manner, five examples of formation of aesthetic appearance,and three examples of experiencing aesthetic condition, and this study was completed with examples of applying them to modern aesthetic education. 쉴러는 『미적 편지』 를 통해 미적 교육을 주장하였는데, 그의 미적 교육에서 미적 활동은 하나의 수단에 불과하고 조화로운 인간교육이 목적이다. 그는 인간의 대립적인성질인 인격과 상황을 제시하여 서로 조화되지 못하고 갈등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립적인 인간 특성을 조화롭게 통합시키는 것이 ‘미’라 제시했다. 그러면서 미를 목적으로 하는 미적 유희의 정당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인간의 인격의 추진력을 ‘형식충동’이라 하고, 상태의 추진력을 ‘소재충동’이라 제시했다. 이와 같은 상반된 추진력(욕구)을 조화롭게 통합시키는 추진력이 유희충동이고,유희충동은 미를 바탕으로 작용하는 욕구이다. 또한 그는 인간이 물질적 상태에서 정신적 상태로, 다시 정신적 상태에서 미적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을 주의 깊게 설명하고있는데 그 과정이나 단계를 사용하는 개념이 미적 가상이다. 미적 가상은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물질적 속성과 정신적 속성을 이용하여 미적 정조의 단계로 진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여 준다. 이와 같이 쉴러의 『미적 편지』는 피상적으로 우리가주장하는 미적 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기 보다는 미적 유희의 형식과 내용이 어떻게인성에 영향을 미치고 변화하는지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미적 편지』를 연구하고 미적 교육의 방법을 현대 우리 미적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미적 편지』 의 미적 교육에서 미적 교육의 방법을 추론해내었다. 쉴러의 미적 교육 방법은 ‘유희충동’, ‘미적 가상’, ‘미적 자유’, ‘미적 상태’를 이용하는 것이다. 유희충동의 이용은 구체적인 방법으로 3가지를 제시했고, 미적 가상의 형성은 5가지로 제시하며, 미적 상태의 체험은 3가지로 제시하여 다시 현대 미적 교육에 적용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했다.

      • KCI등재

        쉴러(F. Schiller)의 미적 교육론 함의* - 인간의 미적 교육을 위한 편지(Über die ä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in einer Reihe von Briefen) 를 중심으로-

        이화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6 No.-

        이 연구는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을 위한 편지 를 중심으로 미적교육적 함의를탐구하는 연구이다. 쉴러는 미적 편지 에서 미적 교육의 타당성을 논의하였고 그의주장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몇 가지 미적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쉴러가제시한 미적 교육의 방향이 현재 우리 미적 교육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하고있으며 그 방향이 현재에도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본 연구는 쉴러의 미적 교육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 미적 교육에 시사하는 교육적 함의를 찾아내었다. 첫째는 전인교육으로서 인간교육을 강조했다는 점이고, 둘째는 인간교육을 위한 미적 교육의 가치를 강조했다는 점이며, 셋째는 인간교육을 위한 미적 교육의 지침을 제공했다는 점이고, 넷째는 이전의 미적 교육과는 다른 미적 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 KCI등재

        Aesthetic Assumptions and Artworks as Propositions in Aesthetic Education

        Lee, Min Jung(이민정)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3

        예술작품과 미적 가정은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하고, 비평하는 데 있어서 상호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예술작품은 미적 가정들을 통하여 논의되어지고, 미적 가정은 예술작품을 통하여 새로운 가정들을 수립하여 나간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미적 가정과 예술 작품이 하나의 명제로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할 때, 각각의 미적 가정들과 예술작품은 명제로서 진리를 내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질 수 있다. 이 때 미적 가정과 예술작품이 드러내는 진리는 열려진 개념으로서 이해되어지며. 미학 교육에서의 반성적 사고와 토론을 이끌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본 논문은 미적 가정과 예술작품의 명제적 성질을 바탕으로 가능한 변증법적 병렬 놓기 통하여 만들어지는 “제 3의 공간 (the Third Space)”을 통한 가능한 미학교육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명제로서 미적 가정과 명제로서의 예술작품의 각각의 특징을 밝히고, 그 양자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한 후, 이러한 성질을 바탕으로 하는 변증법적 병렬 놓기를 통하여 형성되어지는 제 3의 공간의 성격을 밝혔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하여 가능한 미학교육을 제시하고 나아가 미학 교육의 중요성과 의의도 아울러 강조하고자 하였다. 먼저, 명제로서 미적 가정을 생각해 볼 때, 미적 가정들은 하나의 고정된 사실을 알려 준다기보다는, 우리의 의견들이 내어놓고 발전시키고, 세계에 대해서 논의를 이끌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지도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미적 가정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세계에 대해서 우리가 자칫 간과할 수도 있는 통찰을 제공해 준다. 한편, 명제로서의 예술작품의 경우, 예술작품은 과거, 현재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한 역사성을 가지는 동시에 그러한 역사성을 뛰어넘을 수 있는 자율성을 가진다. 예술작품 속에 창조되어진 이미지들은 비물질적이고 비역사적이다. 예술작품은 명제로서 무엇인가를 말하고 우리에게 말을 걸지만, 그것은 은폐, 혹은 부재 혹은 드러남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볼 때, 명제로서 예술작품이 세계에서 대해서 은유, 상징, 환유 등을 통하여 말하여질 수 있는 것이라고 한다면, 미적 가정은 말하여진 것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말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하지만, 양자 모두, 절대적 보편적 진리를 말하거나 내포한다기보다는 열려진 개념으로서 다양한 입장들과 시각들을 내포하는 동시에 그러한 것들이 논의되어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는 데 공통점을 가진다. 이러한 공간은 제 3의 공간으로서 일상생활 속에서 당연하게 여겨졌거나 친숙하게 보였던 것을 낯설게 보게 함으로써 우리들의 고정되어진 시각과 사고를 일깨우고 간과했던 사실들을 의식하고 드러나게 해 준다. 미학교육을 정의함에 있어서, 미학교육은 세계를 보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눈으로 세상을 보는 교육이라고 할 때 미적 가정과 예술작품의 변증법적 관계에 의해서 창출되는 제 3의 공간은 세계를 반성하고 비판적으로 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미학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미학교육은 이러한 공간을 통하여 우리로 하여금 의미를 끊임없이 만들어가는 삶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이러한 공간은 다양한 해석이 공존하는 포스트모던에서의 현대 작품을 통한 미학교육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Aesthetic assumptions and artwork are closely related to one another in that we appreciate, interpret, and criticize artworksin art education practice. Moreover, artwork is discussed in terms of aesthetic assumptions while aesthetic assumptions are recreated and established through artwork. In such a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assumptions and artworks, each component is supposed to play a proposition, meaning that each of them as a proposition can be considered as providing the truth. Here, the term proposition refers to the content included in a declarative sentence or the pattern emerging from symbols that comprise a meaningful declarative sentence. Consequently, when we think of aesthetic assumptions and artworks as propositions, the truth that aesthetic assumptions and artworks reveal is regarded as an open-ended concept that establishes a space whereby we can open our opinions, think reflectively, and discuss ideas with one another. Based on this no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assumtions and artworks as proposi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esthetic assumptions and artwork as proposit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order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Third Space,” which is made by creating the dialectical juxtaposition between aesthetic assumptions and artworks. Through this space, aesthetic education enables students to see the familiar world from new perspectives, thereby breaking through what they have previously taken for granted and living in the world as a subject, making meaning continuously without being anchored to routine.

      • KCI등재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을 위한 편지』가 함의하는 미적 교육의 목적 연구

        이화식(Lee, Hwa-Si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3

        본 연구는 쉴러의 『미적 편지』에 나타난 미적 교육의 목적을 현대 우리 미술과 교육과정(2011 년 개정)에 적용하여 교육적 함의를 찾아내는 연구이다. 『미적 편지』에서 전인적 인간상을 제시하고 미적 활동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가 추구한 ‘인간인 .이상적 인간상 (der ideale Mensch)' ,‘전인적 인간 (der ganze Mensch) ’은 감성과 이성, 자연성과 문화성, 삶과 꼴이 모순 없이 통일 (das Ganze der Menschheit)된 인간이며‘인간성의 이상(Humani tätsi deal)’‘아름다운 성격 (schöner Charakter)’을 가진 인간이다. 그의 이와 같은 미적 활동을 통한 인간 교육의 사상은 현재 우리 미적 교과인 미술 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특히 “왜 미술 교육을 하는가? "라는 물음에 답을 제시해 준다. 미술 교육은 여러 가지 목적이 있다. 가령 창의성 계발이나 산업사회에 기여하는 측면, 개성의 신장, 자신의 정서 표현, 표현 능력의 계발, 사회나 문화를 이해하는 수단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인간 교육의 커다란 측면에서 본다면 교육의 역할은 지적 교육과 정서 교육이 중요한 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교육의 역할도 인간 교육이 큰 축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This study is a study that applies the purpose of aesthetic education expressed in Schiller's 『Aesthetic Letters』 to our art of today and educational curriculum(revised in 2011) and finds its educational implication. A holistic human being was offered from Schiller's 『Aesthetic Letters』. and its realization was tried through aesthetic activity. 'The ideal human', 'holistic human being' pursued by Schiller was a human being in which sense and sensibility, nature and culture, and life and look are unified without any contradiction, and it is also a human being with ideal humanity, or beautiful characters. This Schiller's thought on human education through aesthetic activity provides lessons for our art education which is our aesthetic curriculum of today. In particular, it offers an answer to the question, "why is aesthetic education needed?" Art education has several purposes. They, for instance, include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creativity or industrial societies, development of individuality, expression of one's emotions,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express oneself, and serving as tools to better understand society or culture. However, in a bigger picture of human education, intellectual education and emotional education are important pillars of the role of education. Thus, the role of art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s an important pillar of emotional education. As 『Aesthetic Letters』 argues, art activity can serve as an important medium to naturally complete their goal character. Therefore. the goal of art education should be character education. and its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accordingly. However. educational curriculum at national level or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that are implemented at schools tend to focus on microscopic goals. As a result, character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role of art education seems to be excluded from the process. The rigidity of today’s art education can be overcome if the true purpose of art education is found.

      • KCI등재

        미적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R 프로그램의 Bibliometrix 패키지를 활용한 상세 서지분석을 중심으로-

        배경석,오준영,최재혁,문예진,손연아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5

        본 연구는 ‘미적 과학교육 연구’를 서지분석을 통해 그 동향을 파악한 후,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Clarivate Analytics에서 제공하는 Web of Science 웹데이터베이스의 검색기능을 활용하여 미적 과학교육 연구 100편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R 프로그램의 Bibliometrix 패키지를 이용하여 상세 서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993년부터 2022년까지 평균적으로 논문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관련 논문이 출판되는 학술지는 지역적으로 균등히 분포되어 있는 양상을 보였다. 키워드 분석, 상위 인용수를 가지고 있는 논문, 저자 협력 네트워크, 문헌공동 인용 네트워크 등을 통해 살펴본 결과, 과학교육에서 미적 측면은 과학교육에서 예술을 통합하여 미적 경험을 유도하는 범주, 과학의 미적 측면에서 ‘형태의 미’와 ‘정서적 반응’을 활용한 범주로 구분 지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 과학교육에서 강조하는 행위주체성과 능동적 학습을 실현하기 위해 미적 과학교육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과학의 ‘형태의 미’를 과학교육에 좀 더 활용하여 과학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과학의 미적 측면은 교사, 예비교사, 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다. 넷째, 과학의 미적 측면에 대한 교사, 학생, 예비교사 등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인식조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미적 측면을 활용하는데 있어 시사점을 도출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미적 과학교육 연구의 전체적인 분석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미적체험’예술교육이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창의예술 중점운영학교’를 중심으로

        하수연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2 문화예술경영 Vol.2 No.-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이 단순한 장르통합의 수준을 넘어, 심미적 사고를 지닌 다차원적 문화예술향유자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참여자의 ‘미적체험(Aesthetic Experience)’을 극대화하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그와 연계된 ‘미적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문화예술향유를 일상으로 여기고 예술을 옹호하는 적극적인 미래의 문화소비자를 양성하는 목표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관람・교육・활동’이라는 ‘미적체험활동’에 대한 문화예술 향유인식의 관계를 지적, 정서적, 실천적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가 청소년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예술교육’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적체험예술교육에서의 심화된 문화예술 ‘체험’에 대한 향유인식 확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더불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체험’활동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와 ‘인식’에 따라서 문화예술 ‘관람’ 위주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화예술참여에 대한 욕구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술교육 각각의 효과를 측정한 것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과 연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를 위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루브릭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각각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 분야를 연계하여,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 가능한 미적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제도적 지원과 관심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 which the flow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hich is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in various fields needs i) to exceed the level of simple integration of genres, and ii) to be converted in the direction of training the multi-dimensional cultural and art enjoyers who have aesthetic thinking.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art education that maxim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erience’, suggested the direction in terms of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s the daily life as well as training the active cultural consumers of future who support the arts. In this paper, the focus was made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aesthetic experienc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n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cultural art watching-education-activities’. The hypothesi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on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of cultural art enjoyment of the adolesc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clusion that wa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intellectu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maximize the cultural art ‘viewing’ and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expanded.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 ‘recognition’ increased, the expansion of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intensified cultural art ‘experience’ in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was affected as well. Secon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art ‘experience’ activities that allows them to directly participate in along with viewing the cultural arts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being expanded. Thir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practical educational effects, the cultural art ‘viewing’ - oriented cultural art enjoy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sire’ and ‘recognition’ was being expand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bout the desir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and develop systematic and phased cultural art enjoyment progra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ach of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and relate it to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For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s by utilizing the Rubric Model that measures the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and to have social, cultural, and systematic supports and interests about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influence the recognition expansion to be realized.

      • KCI등재

        무용교육에서의 미적 발달의 개념과 범주

        김경미,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oncept and category of aesthetic development for dance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how dance education develops humans?' To this end, the theory of dance was reviewed based on research in the fields of philosophy, psychology, and art education on aesthetic development. Based on this,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aesthetic development were summarized, focusing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d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aesthetic development in dance education is an aesthetic education through dance experience, and is a balanced and qualitative change process in which senses, thoughts, and actions are connected and integrated through harmony of body, movement, and emotions. The category of aesthetic development for dance education is based on three basic elements of ‘body, movement, and emotion' that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and was divided into ‘aesthetic senses and perception, aesthetic thinking and judgment, and aesthetic behavior and expression'. The ‘sense' of seeing and feeling aesthetically structured body movements leads to an ‘thinking' that distinguishes and judges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along with an emotional feeling. When this is implemented as a specific movement, it becomes an ‘behavior'. Therefore, dance education is a useful methodology that can harmonize body, emotion, and movement and integrate senses, thoughts, and actions. This is significant as a basic study that can present one educational standard for the creation,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of dance education. 본 연구는 ‘무용교육은 인간을 어떻게 발달시키는가?’에 주목하여 무용교육에 있어서의 미적 발달의 개념과 범주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미적 발달에 대한 철학적·심리학적·예술교육학적 연구를 토대로 무용의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 후 무용의 미적 특성과 요소를 중심으로 미적 발달의 개념과 범주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무용교육에서의 미적 발달은 무용 경험을 통한 미적 차원의 교육이며 신체, 움직임, 감정의 조화를 통해 감각, 사고, 행위가 연결되고 통합되는 균형적이고 질적인 변화과정이다. 무용교육을 위한 미적 발달의 범주는 무용의 특성을 드러내는 ‘신체, 움직임, 감정’의 세 가지 기본요소를 토대로 하며 ‘미적 감각·지각, 미적 사고·판단, 미적 행위·표현’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미적 감각·지각은 무용을 보고 느끼는 ‘감각의 차원’이고, 미적 사고·판단은 이를 구별하고 분석하여 판단하는 ‘사고의 차원’이며, 미적 행위·표현은 감정과 생각과 의미를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행위의 차원’이다. 미적으로 구조화된 신체의 움직임을 보고 느끼는 감각은 감정적인 느낌과 함께 움직임의 특성을 구분하고 판단하는 사고로 연결된다. 이것이 구체적인 움직임으로 구현될 때 미적 행위가 된다. 그러므로 무용교육은 신체와 감정과 움직임의 조화를 이루고 감각과 사고와 행위를 통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론이다.

      • KCI등재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 : ‘미적 인간’의 교육론으로서의 가능성과 한계

        김상섭(Sang-Sup Kim) 한국도덕교육학회 2016 道德敎育硏究 Vol.28 No.3

        이 논문은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 즉 미적 경험을 통한 인간의 도덕화와는 구별되는 ‘미적 인간’의 교육이라는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쉴러는 아름다움을 ‘현상으로 드러난 자유’라고 해석함으로써 미적 경험에 들어 있는 또 하나의 도덕화의 가능성을 성공적으로 드러냈다고 평가받는다. 그러한 연장선에서 쉴러는 또한 미적 경험의 ‘총체성’에 주목함으로써, 미적 경험을 통한 인간의 도덕화와는 구별되는 미적 인간의 인간화라는 또 하나의 교육적 이상을 제안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바로 그러한 제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이성적 존재 일반, 즉 도덕적 ‘존재’에 주목하는 칸트로부터 도덕적 ‘인간’으로 전환하는 쉴러 입장이 지닌 교육적 의미를 밝히고, 쉴러의 ‘미적 경험’ 개념에서 미적 통합주의를 도출해내며, 그것이 다시금 미적 정초주의와 미적 완성주의로 해석될 때 초래되는 미적 교육의 형태와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적 경험은 인간의 도덕화를 위한 최적의 수단이라는 해석과는 구별되는 경험, 즉 총체적이고 조화로운 인간을 형성하는 교육적 경험이라는 또 하나의 해석을 제안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Schiller s treatise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is mostly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theory of moralization via aesthetic experiences. However it is also permitted or recommended, to interpret it as a text about the education of aesthetic man, because Schiller deals not only with ‘aesthetics in education’, but also with ‘education in aesthetics’. First of all, a new interpretation of Schiller’s text is here to begin with clarifying Schiller s noticeable transposition from Kant’s moral beings into moral man. Compared with the one, the other is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totality of sense and reason, which seems to be represented or vitalized in the aesthetic experience. Secondly, aesthetic experience is examined throughly because it plays a key role in Schiller’s text, in the sense, that it covers a wide range from aesthetic fundamentalism to aesthetic perfectionism. Thirdly, Schiller’s text is to interpret and to reconstruct as an attempt to theorize an education of aesthetic man. In this paper, Schiller is interpreted as an author who advocates aesthetic education of man, namely who speaks for an aesthetic humanizing in the sense of totalizing and perfecting of humanity. Such an aesthetic education can also reach its realm to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lationship and aesthetic state. That is only to hope, insofar as man forms himself as a total character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In that sense, education is fundamentally defined as an aesthetic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aesthetic person is only to expect through an aesthet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