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 군정기 교육관련 전문 잡지의 내용분석을 통해 본 민주주의 교육의 실천에 관한 연구 -『조선교육』을 중심으로

        이진석 ( Jin Seok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1

        미 군정기는 우리나라가 신생 민주국가로서 새로운 교육제도를 도입하고 현대 교육의 기틀을 마련한 중요한 시기였으므로 미 군정기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는 의미 있다고 할 것이다. 그동안 선행 연구가 주로 거시적 관점에서 치우쳐, 당시 민주주의 교육과 관련하여 일선교사나 교육현장의 목소리와 구체적인 실천이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 군정기의 교육이 자료의 발굴로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부분들을 보완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미 군정기 민주주의 교육의 구체적인 실천을 당시의 교육관련 전문 잡지의 분석을 통해 구명하고자 한다. 그런데 당시 간행된 교육관련 전문 잡지 가운데 『조선교육』을 제외한 다른 잡지들은 창간호로만 그치거나 계속 간행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선교육』을 중심으로 내용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 질적 방법을 활용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으로서는 민주주의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교사의 자세의 4개 분석 유목을 두고, 각 분석 유목에 따른 분석 단위는 문맥 단위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분석 틀에 따른 분석 내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교육』의 내용 분석에서 미 군정기 대표적 교육이념은 민주주의 교육이며, 민주주의 교육에 의한 민주적 인간 양성과 민주적 인간 양성을 통한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민주주의 교육을 위해서는 전통적인 획일적·주입식교육 방법에서 벗어나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하고, 개성과 적성을 존중하며 비판을 허용하는 교육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셋째, 미 군정기 민주주의 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사의 자세로서 체험 활동과 솔선수범을 통한 민주주의의 구체화, 민주주의 가치 내면화 지도, 학생들의 인권 및 개성 존중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조선교육』잡지의 내용분석 결과로부터 당시 사회적 혼돈과 제도적 미비, 일선 현장의 전통적 교육에 대한 회귀, 민주주의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 민주주의 교육을 실천하기위한 노력이 경주되었음을 알 수 있다. U. 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was a critical period, because Korea was introduced a new education system and was laid foundation of modern education as a new independent na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on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in U. 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tents analysis of education-related professional magazines, especially 『Chosun Kyoyuk(Korea`s Education)』 to explain issues and practices of democratic education in U. 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content analysis of 『Chosun Kyoyuk(Korea`s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main educational ideology in U. 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was democratic education and Korea aimed to build a new democratic nation through democratic citizenship by democratic education. Second, it is required to apply educational method which respect for personality and aptitude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Many teachers in U. 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conformist and coaming educational method for development of democratic human being. Third, it had been emphasized that teachers` attitude have to respect human right and personality of children for practice of democratic education in U. 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In conclusion, we can confirm that many teachers had tried to apply and develop of democratic education, despite of many difficulties and troubles in social chaos of U. S. Military Government Period of Korea.

      • KCI등재

        한국 부패사 연구: 해방 후 미군정 시기 통치기구 형성과 경찰 활동의 功 過를 중심

        김택(Kim Taek) 한국부패학회 2014 한국부패학회보 Vol.1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후 미군정기 한국정부의 형성과정과 경찰활동의 부패사와 공과를 고찰한 논문이다. 우리나라는 45년 해방과 더불어 제국주의적 일제 경찰제도를 벗어나는 계기를 맞이하는 시대였지만 미군정이 실시되면서 일제경찰의 잔재가 그대로 계수되었고 그 후 남북분단의 고착화, 냉전체제 등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그 잔재가 투영되고 있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미군정이 시작됨과 동시에 한국경찰은 국민을 위해 봉사하고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역할을 하여야 함에도 이러한 경찰이념의 전통은 사라 지고 또다시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이미지가 형성됐다는 사실이 경찰사의 오점으로 남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군정기 시 한국통치 기구의 성립과정을 고찰하고자 하며 또한 경찰의 성립과 활동상황을 살펴볼 것이다. 이와 함께 미군정기 경찰부패사 활동을 통해 바른 경찰사 정립을 위한 역사적 사실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i) 미군정기 정부성립과 활동을 고증하고 ii) 미군정시기 경찰의 부정적 활동이 무엇인지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며, iii) 경찰의 치안활동 및 정치적 예속화 문제점을 평가하고, iv) 오늘 날 국립경찰, 민주경찰로서의 한국경찰의 좌표가 무엇인지를 도출한다. 본 논문은 해방 후 정국상황에서 한국정부형성과정과 경찰활동의 사실과 행위 등을 살펴보고 연구함으로써 한국경찰 부패사의 역사적 평가를 조명하고 인식하는 단초가 된다고 본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police function, roles, and activities under U.S Military regimes in 1945-1948. This study explores police merits and demerits,corruption during the Military Governor system. This Paper cast lights on the Effects of the korean police activities under u.s. army that have influences and powers. In 1945, korean peninsula was liberated by the u.s and soviet. But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two countries due to the great powers. South korea governed by U.S Military and North korea had ruled by the Soviet Communist. This study analyses structures and function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theoretical the factors and secondary analysis. And that analyzes historical theory. This paper contents and research data were analyzed by the historical and empirical data. Key points the author emphasizes are as follows: First, to introduce the cases of establishing korean government formation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or regimes, Second, to analyze each rol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Police System and roles, Third, to understand the current historical evaluation, in other words function and eufunction and remaining effect of police negative activitiess. This paper contributed to solve a problem limitation that have negative and positive focus factors. And this paper proposed appropriate suggestion policy to the korean police future and strategies of development related to historical righteousness. As a result, This paper improves Korean Government and police system, so it must overcome negative image and difficulties through scrutinizing analysis.

      • KCI등재

        미군정기 전통음악 방송의 현황과 의미 재고찰

        송소라 ( Song So-ra ) 한국음악사학회 2019 한국음악사학보 Vol.63 No.-

        본고는 해방 이후 미군정기 전통음악 방송의 현황을 정리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작성되었다. 미군정기는 해방 이후 새로운 민족국가 수립의 열망이 그 어느 때보다 강렬했던 때임에도 미군정의 문화정책 아래 방송 역시 미국식 개편은 물론 내용의 통제와 규제를 받던 시기였다. 그럼에도 연예오락프로그램으로서 전통음악 프로그램은 이시기에도 꾸준하게 방송의 영역을 차지해왔다. 일제강점기 새로운 음악의 장르들이 음반과 방송을 통해 유입됨에 따라 전통음악이 점차 해당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었던 것을 생각할 때, 미군정기 전통음악이 다시 활발하게 방송되고 꾸준히 유지되는 과정은 주목하여 볼 필요가 있다. 본고는 1945년 11월부터 1948년 12월까지의 전통음악 방송 목록을 당대 간행되었던 다양한 신문 지면을 통해 확인하여 정리하였다. 이는 그간 동아 일보, 조선일보 등의 일부 신문만을 통해 정리해서 제시되었던 자료를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여 수정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일차적 의미를 갖는다. 정리한 자료를 토대로 본고는 다음의 세 시기로 나누어 미군정기 전통음악 방송의 현황을 검토하였다.① 전통음악 방송이 부활하고 일제강점기의 그것에 비해 나름의 변모를 보이는 1945년, ② 전통음악 방송이 꾸준히 송출되며 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새로운 면모를 보이는 1946~47년, ③ 전통음악방송의 부흥과 지속이 이어지는 1948년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미군정기의 전통음악 방송이 당대 연예 오락의 주요프로그램으로 기능을 하였다는 점, 해방 전후 침체 일변도를 걸어왔던 국악이 재건할 수 있었던 수요 수단으로 기능한 점을 통해 미군정기 전통음악방송의 의미를 말하였다. 본고는 그간 전통음악 방송(국악방송)의 침체기이자 이후 그것의 쇠락 시작점으로 평가되어 온 미군정기 전통음악 방송에 대한 평가는 다시 이루어져야 하며, 더불어 우리 전통음악 방송을 바라보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시각이 확립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in the U.S. military era after liberation and to examine its implications. Although the U.S. military era was more intense than ever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broadcasting was also controlled and regulated by the U.S. under the cultural policy of U.S. military justice. Nevertheless, traditional Korean music programs as entertainment programs have consistently occupied the realm of broadcasting during this period.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gradually decreased in the area as new music genres were introduced through records and broadcast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rocess in which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U.S. military era was broadcasted and maintained steadily was noticed. There is a need. In this paper, a lis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s from November 1945 to December 1948 was identified and compiled through various newspapers.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e existing data, which was presented only through some newspapers such as Tong-A Ilbo 『東亞日報』(Tong-A daily newspaper) and Choson Ilbo 『朝鮮日報』 (Choson daily newspaper), were reviewed in full and revi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in the U.S. military era. ① In 1945, when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was revived and its appearance was changed compared to that of Japanese colonial rule. ② In 1946~47, when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was continuously sent out and new educational programs were established. ③ Revival and continu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This is followed by 1948. Lastly, this paper shows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 in the U.S. military era regularly functioned as the main program of entertainment in the contemporary period, and that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s that had played a major role in reconstruct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that had been in the recessi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said the meaning.

      • KCI등재

        미군정기 오키나와에서의 점령지역구제자금(GARIOA) 유학의 사회적 의미-귀국 유학생의 금문클럽 활동에 주목하여-

        최민경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90 No.-

        The study abroad program to the United States, which was conducted from 1949 to 1970, with the aid of the GARIOA, is one of the important windows to look at Okinawa under the U.S. military occupation, given the duratio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heir social status and activities.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the Golden Gate Club, a social organization organized by GARIOA students after their returning, social meaning of GAIORA study abroad program in Okinawa under the U.S. military occupation which was complicated under the ‘triangle relationship (Okinawa-US-Japan) is analyzed. The Golden Gate Club is an organization voluntarily founded by GARIOA students who returned home, and USCAR did not intervene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However,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Golden Gate Club, exchanges with USCAR officials were made, and USCAR wanted to actively use it for governance, so the Golden Gate Club was a special existence and subject of criticism in general in Okinawa. In the midst of this situation, the way the Golden Gate Club faced the gaze of ‘pro-military elite’ and ‘bodyguards to US Army’ was to emphasize its apolitical nature and to confirm external flexibility and internal diversity. And the existence of the Golden Gate Club tells us that the dichotomy of ‘pro-American versus anti-American’ that engulfed the entire Okinawa society at the time of the U.S. military occupation is by no means absolute. In other words, the Golden Gate Club existed as a group of subjects that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big story’ that is premised when talking about Okinawa under the U.S. military occupation generally.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understand Okinawa under the U.S. military occupation as a society in which ‘people’ lived with various anguishes and actions intertwined. 1949년부터 1970년에 걸쳐 점령지역구제자금(GARIOA) 원조로 진행된 도미(渡美)유학은 제도의 지속기간, 배출 유학생 수 및 그들의 사회적 지위와 활동 등을 보았을 때 미군정기 오키나와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창(窓)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유학생들이 귀국 후 조직한 친목단체인 금문클럽(金門クラブ, Golden Gate Club)의 활동에 주목하여 오키나와-미국-일본 본토라는 ‘삼각관계’ 속에 착종하던 미군정기 오키나와에서 GARIOA 유학이 지녔던 사회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금문클럽은 어디까지나 귀국한 GARIOA 유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조직으로 설립 과정에 류큐열도 미국 민정부(USCAR) 등의 요청이 개입한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실제 금문클럽의 활동을 통해 USCAR 관계자와의 교류가 이뤄졌고, USCAR에서는 이를 통치에 적극 활용하고자 했기 때문에 미군정기 오키나와 일반에서 보았을 때 금문클럽은 특수한 존재이자 비판의 대상이었다. 그러한 가운데 금문클럽이 ‘친미엘리트’, ‘미군친위대’라는 ‘시선’과 마주한 방법은 스스로의 비정치성을 강조하고 외부적 유연성과 내부적 다양성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을 지닌 금문클럽의 존재는 미군정기 오키나와에서 당시 사회 전체를 집어 삼켰던 ‘친미 대 반미’라는 이분법적인 구도가 결코 절대적이지 않음을 말해준다. 즉, 일반적으로 미군정기 오키나와를 이야기할 때 전제로 하는 ‘큰 이야기’로는 설명되지 않는 주체들의 집단으로서 금문클럽은 존재했던 것이며, 이를 통해 다양한 고뇌와 행동이 뒤얽힌 ‘사람’이 살아간 사회로서 미군정기 오키나와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美軍政期 綿紡織産業의 發展

        서문석(Moon-Seok Seo) 한국경영사학회 2021 經營史學 Vol.97 No.-

        본 연구는 해방 직후 미군정기 면방직산업의 발전 상황을 검토하여 식민지경제체제가 와해된 직후 미군정의 산업정책과 업계의 활동이 산업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1945년 8월 15일 식민지경제체제가 와해되면서 남한에서는 원료와 부품의 수입이 단절되었고, 공장의 가동이 중단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군정은 시장경제질서를 중심으로 하는 미국식자본주의경제체제를 구축하여 경제적인 안정을 달성하려고 했다. 미군정은 면방직산업을 관리할 조직으로 공업국 방직과를 설치하고 섬유관련업무 전반을 관장하도록 했다. 그리고 면제품의 공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부품 및 기료품과 원료를 수입했다. 또한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가격 및 생산을 통제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면방업계에서는 생산의 재개를 위해서 노력했다. 수입된 원면으로 원료 부족문제를 해결하였고, 일본에서 수입된 부품과 기료품으로 설비를 정비하여 설비규모를 늘리고 가동률도 높였다. 원면과 부품, 석탄과 전력 등의 반복되는 부족에도 불구하고 불구하고 생산을 늘리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였다. 이렇듯 미군정기 면방직산업은 미군정의 관리조직 구성과 면제품시장 형성에 힘입어 재건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설비를 정비하여 생산을 확대하려는 업계의 노력에 의해 발전의 기반을 구축했다. 물론 미군정의 정책은 점령지역의 원활한 통치를 위해 단기적으로 경제적 안정을 추구한 정책이었으며, 면방직업계의 노력은 미군정의 정책을 활용하여 자본을 축적하고자 하는 민간의 대응에 불과했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미군정과 업계의 대응과정에서 면방직산업은 일정수준의 재건을 할 수 있었고 한국전쟁 이후 시기 발전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situation of the cotton textile industry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regim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o understand how the industrial policie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nd activitie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fluenced industrial development. The U.S. military government imported parts and raw cotton to supply more cotton products. In addition, the U.S. military-controlled prices and quantities to stabilize the market. Cotton textile industries also made efforts to effectively utilize raw cotton and parts. As such, the U.S. Military Government’s cotton fabric industry laid the foundation for reconstruction thanks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s organiz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cotton fabric market. In addition, the cotton textile industry laid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attempting to resume production through facility reorganization. Of course,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a policy that pursued economic stability for smooth governance, and the cotton textile industry’s efforts were merely private efforts to utilize the U.S. military government’s policies. However,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such government and industry, the cotton textile industry was able to rebuild to a certain level and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ment after the Korean War.

      • KCI등재

        미군정기 초등교원 양성과정에 관한 연구 -사범학교 ‘교육’과 과목을 중심으로-

        우현정,박영미,민진경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연구논총 Vol.44 No.1

        This study intended to confirm how the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as operated in each U.S. military regular teacher school and to review the existing evaluation that the curriculum at that time was an American ideology add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s subj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ducation" and subject operation status of 10 U.S. military regular schools, in 1946, it generally follows the normal school curriculum table, but some subjects have been integrated and operated since 1947; the scope of subjects has been reduced or not operated at all in 1949. Second, it was generally impressive that the detailed areas of the U.S. Military Regular Education and Subjects were presented from the 1st to the 4th Joseon Education Decree of Japanese colonial era. Third, limited to the "education" department,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integrating and reorganizing the detailed scope of the "education" and subjects operated at each normal school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rough this, it is difficult to deny the fact that education at the school of education was still implemented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t that time.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such an appearance remains in the ”education”, which is evaluated as the main specificity of teacher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미군정기 각 사범학교에서 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이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는가를 확인하고, 당시 사범학교의 교육과정이 일제강점기의 교과목에 미국식 이념을 더한 것이라는 기존의 평가를 재검토하기 위한 기초작업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이에 1950년 이전에 설립되어 현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10개 사범학교(현 교육대학)의 ‘교육’과 과목의 세부 범위를 미군정기 교수요목을 기준으로 정리하고, 일제강점기와 1954년 교육법 이후의 교수 내용과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군정기(1946년 9월) 10개 사범학교의 ‘교육’과 과목 운영현황을 살펴본 결과, 1946년에는 대체로 사범학교 과정표를 따르고 있으나 1947년부터 일부 교과목이 통합되어 운영되고, 1949년에는 교과목의 범위가 축소되거나 아예 운영되지 않았다. 둘째, ‘교육’과에 한정하여 미군정기 사범학교의 교수요목을 일제강점기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대체로 미군정기 ‘교육’과 과목의 세부 영역이 일제강점기의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부터 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까지 나타난 ‘교육’과의 교수범위를 총망라하여 제시되었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에 한정하여 1954년 이후 사범학교의 교육과정과 미군정기 사범학교의 교수요목을 비교하면, 1954년 이후 사범학교 교육과정은 해방 직후 각 사범학교에서 운영되었던 ‘교육’과 과목의 세부 범위를 통합하고 정비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당시에도 여전히 일제강점기의 교육내용을 토대로 사범학교의 교육이 시행되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부정하기 힘들다. 특히, 사범교육의 주요한 특수성으로 평가되는 ‘교육’과에도 그러한 모습이 남아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 수도경찰청장 장택상(張澤相) 연구

        최선우,박진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0 경찰학논총 Vol.5 No.1

        해방 후 한국 근현대사에 있어서 장택상은 정치인으로서 많은 활동을 하였는데, 미군정기에는 다소 의외라 할 수 있는 수도의 치안업무를 담당하는 수도경찰청장으로서 활동하였다. 장택상의 성장배경 및 사상적 형성과정을 보면 치안과는 다소 무관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한 그가 미군정기 수도경찰청장으로써 치안업무를 담당하계 된 결정적인 계기는 송진우 암살사건과 관련된다고 본다. 그의 정치적 동지이자 리더였던 송진우가 좌익세력에 의해 암살당함으로써 그의 치안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었고, 이를 계기로 미군정기간 동안 수도경찰청장으로서 많은 경찰활동을 수행하게 되었던 것이다. 미군정기에 장택상은 남한의 치안혼란을 기도하는 좌익에 대한 통제에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특히, ‘학병동맹사건’(1945.9)과 ‘조선정판사 위조지폐사건’(1946.5)에 대해 많은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 두 사건을 계기로 남한에서 활동하는 좌익세력이 근거를 잃게 되었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런데, 장택상은 치안유지 및 좌익세력 통제를 위하여 친일경찰을 중용하게 된다. 해방 후 일제시대 식민통치의 앞잡이 노릇을 한 친일경찰은 사실상 설 자리가 없었다. 그러나 당시의 혼란한 치안상황과 정치적 역학관계 속에서 일제시대에 활동한 많은 친일경찰들은 다시 미군정경찰로 임용되었다. 장택상의 좌익에 대한 지나친 통제와 친일경찰 중용 문제는 그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이후 논란의 대상이 되어 왔다. 미군정기 장택상이 수도경찰청장으로서 수행한 활동은 다소 환경종속적인 면이 없지 않다고 본다. 즉, 그가 취한 좌익에 대한 태도와 친일경찰 중용 문제는 미군정의 기본 방침과도 그 맥을 같이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상황 속에서 장택상은 주체적이고 독자적인 한국경찰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더 나아가 극도로 혼란한 수도치안 상황에서 보여준 노력은 한국경찰사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 KCI우수등재

        미군정기 검인정 중등 문법 교과서의 품사 설정과 분류 문제 연구(1)

        오현아(Oh, Hyeon-ah)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5

        이 논문에서는 통일 문법 이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의 미군정기 당시의 검인정 문법 교과서들을 대상으로 하여 문법 지식의 체계 구조화 측면에서 개별 문법교과서의 문법 기술 방식 특성을 거시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개별 문법 교과서의 품사 설정과 분류 문제를 그 논의 대상으로 삼고자 하였다. 품사론 논의는 전통 국어학 연구의 주요 대상이었으나, 최근 국어학 연구에서 그리 많은 주목을 받는 연구 주제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품사 분류는 개별 문법가들의 언어관과 문법관이 집약적으로 드러난 결과물이기에 개별 문법 범주 분석에 들어가기에 앞서 품사 관련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는 201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심화 선택 과목으로서의 ‘독서․문법’ 검정 교과서가 현장에 적용되고 ‘언어와 매체’ 검정 교과서 개발을 앞둔 현재의 시점에서, 현대 교육과정기의 마지막 국정 교과서라는 점에서 비교의 대상으로 선택하였다. 실제 분석 과정에서는 1) 품사 분류 차원과 2) 개별 품사 기술 차원, 3) 부가적인 차원으로 나누어, 품사 분류 문제는 다시 ‘조사 설정 문제, 지정사 설정 문제, 존재사 설정 문제, 접속사 설정 문제, 조용사 설정 문제’로, 개별 품사 기술 문제는 ‘동사, 형용사, 조사, 지정사, 존재사, 접속사, 조용사’ 문제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지면의 한계 상 이 논문에서는 ‘동사’의 품사 기술 문제를 1) 동사의 활용에 따른 형태 변화 문제, 2) 종지법에 따른 형태 변화 문제, 3) 자격법에 따른 형태 변화 문제, 4) 접속법에 따른 형태 변화 문제, 5) 변격 활용에 따른 동사 활용 정보 문제, 6) 동사의 보조어간 문제, 7) 보조 동사 문제, 8) 자동사와 타동사 문제, 9) 시간 표시 문제, 10) 사동․피동 형태 문제, 11) 높임과 낮춤 문제로 상세화하여 다루었다. 광복 이후 우리말과 우리 문법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게 높았으며 미군정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검인정으로 문법 기술 방식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던 미군정기의 중등 문법 교과서의 품사 설정과 분류 문제 연구는 효과적인 품사 관련 문법 지식체계 구조 탐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전체 품사설정 방식과 개별 품사 기술 방식의 역사적 변천을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urposed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and classification of parts of speech in individual grammar textbooks as an effort to get a macroscopic 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description methods in individual grammar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ing of the grammar knowledge system using authorized grammar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before the Unitary Grammar and the foundation of the government the Republic of Korea. The theory on parts of speech was one of main research themes of the Korean language in the past, but it is not spotlighted much in recent Korean language studies. Becaus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is outcome representing individual grammarians’ view of language and grammar, however, it is essential to make thorough discussions on parts of speech for starting analysis on individual grammatical categorie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at is more, authorized textbooks of ‘reading/grammar’ ar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an advanced optional subject based on the 2011 and 2015 revised curriculums, and authorized textbooks of ‘language and media’ are about to be developed.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chose grammar textbooks because they are the last national textbooks in the modern curriculum period. The process of actual analysis was divided into: 1) the level of part‐ofspeech classification; and 2) the level of individual part‐of‐speech description. Part‐of‐speech classification was again divided into postposition establishment, i‐predicative particle establishment, existential predicate establishment, conjunction establishment, and predicative particle establishment, and individual part‐of‐speech description into verb, adjective, postposition, i‐predicative particle, existential predicate, conjunction, and predicative particle problems. Due to the limit of space, this thesis was limited to problems in the part‐of‐speech description of ‘verb’ as follows: 1)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use of verbs; 2) morp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ending; 3) morp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predicative; 4) morp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subjunctive; 5) information on verb use according to the use of irregular conjugation; 6) stem supplements of verbs; 7) auxiliary verbs; 8) intransitive and transitive verbs; 9) time indication; 10) causative/passive forms; and 11) honorific and humble words. Since the Liberation,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grammar was raised high, and in the special situation under the rule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grammar was described in various ways in authorized textbooks. Thus, research on part‐of‐speech establishment and classification in secondary grammar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exploration of the grammar knowledge system related to parts of speech. Specifically, furthermore, we expect from this study to underst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ethod of part‐of‐speech establishment and the description of individual parts of speech.

      • KCI등재

        미군정기 자치적 소방제도의 도입과 역할

        김상욱 한국행정사학회 2020 韓國行政史學誌 Vol.48 No.-

        When korea was liberated in 1945, military rule by the U.S. military was implemented until 1948. The implementation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served as a transitional stepping stone to the new Republic of Korea from Japanese colonial era. Thus, the fire-fighting system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has also become connection to the next period. Along with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ization, fire outbreaks sharply increased in the large cities including Seoul and Busan. As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nsidered that the existing fire-fighting system was outdated and inefficient to deal with frequent fire outbreaks, it started a full-fledged reform of the existing fire-fighting system. In the process of reorganizing government organization, fire-fighting service was transferred to th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Local fire-fighting committees were organized under province governors. Also fire-fighting offices as executive bodie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About 50 extra fire-fighting services were established nationwide although there were only 8 during the Japanese Colonialization Period. As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tended to graft American-style self-governing fire-fighting system into Korean system, fire-fighting organizations were established and fire-fighting services were enlarged eve to small districts. As most of the Japanese influential men who had been officials of fire-fighting services returned home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 leadership of fire-fighting services was vacant. Therefore, ex-police officials or common people who was related with the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were appointed as new fire-fighting officers and executives. For those who did not have sense of duty conformed to reduction of fire-fighting organizations. Despite of those problems, introduction of fire-fighting committees, establishment of fire-fighting offices and enlargement of fire-fighting stations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were developmental efforts of the civil engineering department that was in charge of fire-fighting service. Introduction of the self-governing and autonomous system became a basis for the present establishment of fire-fighting offices and self-governing fire-fighting system. 1945년 해방이 되면서 1948년까지 미군에 의한 군정이 실시되었다. 미군정의 실시는 일제강점기에 신생 대한민국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 마련된 소방제도 또한 어떤 형태로든 다음 시기로 연결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단초가 되었다. 해방과 함께 서울・부산 등 대도시에는 화재가 급증하였다. 다발하는 화재를 대처하기 위하여 미군정기간 동안 소방활동 및 소방제도는 많은 변화를 경험하였다. 일제강점기부터 시행된 소방제도가 비효율적이라고 여겼던 미군정은 소방체제의 전면적인 개혁에 착수하였다. 정부기구 개편에서 소방업무를 토목부에 이관하고 중앙과 지방에 소방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소방청도 만들어지면서 전국에 걸쳐 50여개의 소방서가 증설되었다. 이것은 미국식의 자치소방을 한국에 접목하려는 미군정의 의도였다. 신설된 소방서 간부들은 일제강점기 경찰 간부나 미군정과 친교가 있는 우익인물들이 취임하였다. 소방에 대한 사명감이 부족한 이들은 정부의 조직개편에서 소방기구 축소에 순응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미군정기에 추진된 소방위원회 도입 소방청의 설립, 소방서의 증가 등은 매우 긍정적인 시도였다. 이러한 자치적인 소방제도의 도입은 오늘날 소방청의 설립과 자치소방 정착의 토양이 되었다.

      • KCI등재

        친일 청산에 대한 미군정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보도 태도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이 연구는 미군정기 <동아일보>와 <조선일보>의 친일 청산 문제에 대한 보도 태도를 분석하였다. 친일관련 6개의 키워드 검색을 통해 총 266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전반적 보도 현황을 양적 분석하였다. 키워드로는 친일이 9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민족반역, 간상배, 일제잔재, 부일협력, 반민족의 순이었다. 두 신문은 관련 기사를 대부분 비중있게 다루어 전체의 43.2%가 면톱이나 부톱으로 보도되었다. <동아일보>의 정보원은 우익과 군정 당국에 치우쳤으나 <조선일보>는 중도와 좌익의 정보원도 사용하였다. 이 시기에 친일 문제가 쟁점이 되었던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하여 두 신문 논조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두 신문은 친일 청산 문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극적이었다. 과거의 친일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반민족이 더 중대하며 친일을 청산하려면 그 대상 설정도 매우 어렵고 인재의 공백이 우려되어 당면 목표인 독립 국가 건설에 장애가 될 터이니 정부 수립 이후로 연기하자는 것이 두 신문의 주된 논지였다. 신탁 통치나 미소 공위 등 주요 사안에서 <동아일보>는 우익의 입장을 전적으로 대변하였으며 반면 <조선일보>는 더 중립적인 태도를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verage on the settlement of pro-Japanese Koreans by Dongailbo and Chosunilbo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266 related articles of two newspapers searched by 6 keyword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overage of related issues were supplemented. Generally two newspapers can be evaluated as passive on the pro-Japanese issues. They said that anti-national activities of that time which might be an obstacle to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nation even more critical than the pro-Japanese activities in the past. In addition they suggested to suspend the settlement of pro-Japanese Koreans afte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Government, because the settlement might cause a big confusion and a vacuum of personnel. On some issues the distinction between two newspapers derived from their political orientation were revealed. Dongailbo represented the standpoint of the rightists fully and Chosunilbo revealed relatively balanced cove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