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은경,김종남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6 다문화교육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acculturation stresses and psycho-social adjustments. Acculturation stress scale items are designed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previous studies are reviewed to examine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on stres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social adjustm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ego-identit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reveals that ego-identity h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reveals that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h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mentioned.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고, 그 관계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각 변인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Baron과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에 따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정체감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iken과 West(1991)의 절차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즉,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적응과 긴밀한 관계가 있었고,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사회적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따라서 심리사회적 적응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건강한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 KCI등재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유치연,박영수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5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류하고,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어 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이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것이라는 가설과 문화적응 유 형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검증을 위해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에 근무 중인 현지 매니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 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 적응 유형은 네 가지 유형(통합, 동화, 분리, 비주류)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네 가지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 유형에 속한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 고, 현지 매니저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다르게 나타남을 실증분석한 연구로서 학문적 시사점을 가진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내 다국적기업 해외 자회사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identifying acculturation types of host country managers (HCMs) working at MNC subsidiaries in Korea. Second, this study examine the difference of HCMs’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their acculturation types. For this purpose, we set the hypothesis as follows. First, we suggest the four types of HCMs’ acculturation is partitioned between themaintenance of heritage culture and identity and the relationship sought among group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Second, we suggest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of HCMs are different according to four types of their acculturation. To verify these hypothesis, we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on the data from 643 HCMs belonging to 60 MNC subsidiaries in Korea originate from11 countri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rist, the HCMs’ acculturation is categorized four types as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Second, the HCMs’ acculturative stress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their acculturation, especially the HCMs that is belonging to the integration type shows the lowest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identifying four types of HCMs’ acculturation and examine the difference of HCMs’ acculturative stress according to four types of their acculturation.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useful information for the manager ofMNC subsidiaries in Korea.

      • KCI등재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조성희 ( Cho Sunghui ),박소영 ( Park Soyo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0 청소년복지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청소년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확인하고,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청소년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에 종단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1차부터 6 차까지의 자료를 모두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주요변수에 모두 응답한 1,241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 청소년 과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모두 전체적인 경향에 있어서 모두 감소했다. 둘째,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연구결과 중 하나로,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는 청소년의 문화적 응 스트레스 초기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율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초기치가 높았고,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속도는 느렸다. 셋째,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의 속도 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속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 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지원은 가족을 단위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과 다문화가족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초기부터 감소시키기 위해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의 활성화 등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multicultural family. We examined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on adolescents and the change rate of acculturative stress. For doing this, data from the first wave to the 6th wav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1,241 responses) were analyze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lturative stress of both mothers and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decreased gradually. The important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in the initial phase had a positive effect on adolescents’ in the initial phase,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the acculturative stress of adolescents. The speed of the change of mothers’ acculturative stress positively affected that of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to lower the acculturative stress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Plus, ways of invigorating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decrease the acculturative stres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initial phase was discussed.

      • KCI등재

        문화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미디어 이용 효과

        구교태(Ku, Gyota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의 미디어 이용 정도가 이들의 문화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유학생활 만족도의 관계도 분석되었다. 영남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문화적응, 문화적응스트레스, 미디어 이용, 생활만족도 등이 조사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호스트 미디어(host media)는 유학생들의 문화적응에 상당부분 영향을 미치는 반면, 문화적응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나아가 미디어 이용은 문화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변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중국 유학생들의 생활 만족도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인 학업수행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대책이 이들의 유학 생활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host and ethnic media on cultural adap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This research also tir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level. Based on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173 Chinese students in Daegu,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adaption, acculturative stress, media us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host medi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tional students’ cultural adaptation, but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cculturative stress. In addition, the media use of the students was not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cultural adap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might imply the social concern and support should be given to the international students for increasing the life satisfaction by lowering their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궤적 유형화: 유형 예측요인과 유형별 심리 · 사회적응

        은선민(Eun, Sunmin),이수현(Lee, Suhyun),이강이(Lee, Kangy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2

        국내 다문화 청소년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에 있으며, 이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적응을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서 통합적인 탐색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유형화하고, 이를 예측하는 스트레스 조절 자원으로서 이중문화 수용태도, 사회적 지지, 자존감의 역할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우울,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이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 2, 3, 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중학교 1학년 시기 다문화 청소년 1,376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먼저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 궤적을 유형화하였으며,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조절 자원의 유형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결과 요인이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은 증가형, 감소형, 하위유지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 스트레스 조절 자원 중 가족지지, 친구지지, 자존감이 증가형 및 감소형에 비해 하위유지형을 예측하였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 변화 유형에 따라 중학교 1학년 시기 우울, 삶의 만족도, 학교적응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발달적 특성과 개인차를 바탕으로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때,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number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have been constantly increasing, and studies have shown that their acculturative stress highly affects their psychosoci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tap into the individual differences and find the relevant patterns in developing acculturative stress during early adolescence.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we explored the influence of moderating resources including bicultural acceptanc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the pattern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We also examined the difference in stress outcomes includ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identified patterns. The participants were 1,376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Korea who participated in the MAP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2, 3, 4th wav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patterns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The impact of stress moderating resources were examined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variance followed to prove the difference in stress outcom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ree distinct classes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increasing, decreasing, and constant-low.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friends and self-esteem predicted the constant-low pattern of acculturative stress develop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dolescent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the stress patterns. Policy support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psychosocial development and social integration were all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al properties of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acculturative stress.

      •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옥희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3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생활적 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인천의 다문화가정지원센터, 지역아동센 터, 다문화가정지원사업단 등 총 30곳의 다문화가정 어머니와 아동 총 210쌍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부모스트레스, 자녀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스 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지각된 차별감이 높을수록, 두려움 지각수준이 높을 수록, 문화충격 정도가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 정도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 트레스가 높을수록, 경제적 문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수준 은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지각하는 문화적응스트레스,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으며, 어머니가 지각 한 문화적응스트레스, 부모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는 어려움이 있음 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최경란(Choi, Kyungran),홍지영(Hong, Ji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북도의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20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척도, 학교적응 척도, 문화적응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애착, 문화적응스트레스, 학교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부모애착과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학교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모애착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도 관계되며, 문화적응스트레스를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관계 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련하여 부모애착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부모애착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 상담과정에서 부모애착에 대한 고려와 더불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대한 청소년시기의 적절한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적응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20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ok part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and the AMOS 22.0 programs. The study found that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school adaptation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parents attachment and culture adjustment stress, culture adjustment stress, and that school adaptation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Seco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played the role of a partially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at cultural adaptation stress can act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중국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만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9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들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중국 유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상관관계분석과 다변인 회 귀분석으로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은 개방성, 배려, 친밀감, 믿음의 하부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적 지지는 정보적, 정서적, 평가적, 물질 적 지지로 되어 있다. 문화적응유형은 통합유형, 동화유형, 분리유형, 주변화유형의 하위요소로 범주화하였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적대감, 대 인관계 스트레스, 문화충격,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5개 하위요소로 되어 있다.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신뢰감 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감 중 개방성 요인은 지각된 차별성, 지각된 적대감, 대인관계 스트레스, 문화충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배려 요인은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이 지각한 한국인의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적 지지는 지각된 적대감과 대학생 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또한 정보적 지지는 지각된 차별감에, 정서적 지지는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평가적 지지는 문화 충격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셋째,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유형이 문화적 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화 적응유형은 대인관계 스트레 스, 문화충격, 대학생활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동화유형은 지각된 차 별감에, 분리유형은 지각된 적대감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trust, peceived social support, and cultural adaptation types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me significant effects of Korean trust among Chines student respondents in Korea on acculturative stress. Specially, the higher level groups in the score of Korea trust, care, intimacy, and reliance have less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 lower level groups. Second, Som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eceived social support on their acculturative stress are founded. Specially, the higher level groups in the score of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tend to experience less acculturative stress than the lower level groups. Third, the effects of cultural adaptation types on acculturative stress among them are analyzed. The marginalization type and the separation type have tendency to get higher acculturative stress, but on the other hand the integration type and the assimilation type have tendency to get less acculturative stres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화(Jiang, Hua),배은경(Bae, Eun-Ky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 · 전남 지역 거주에 거주하는 9-20세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종교가 없는 경우, 한국어능력을 낮게 인식할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적응유연성 수준이 낮을수록 심리적 부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이 완만하게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지만, 적응유연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와 차별스트레스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차별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유연성 변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적응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role of resilience as a moderator.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6 adolescents aged 9 to 20 years o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d no religion, the lower the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they perceived, the higher their levels of acculturation stress, the lower their levels of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y reported. Secon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other words, in the group of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resilience, as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gradually increased. However, in the group with low levels of resilience, as the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ramatically increased. Thir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stress (a subcategory of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ilience can be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lower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ven in an environment with a high level of stress from discri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

        손한결,신나나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effects among adolescents’ perceived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1) through 3rd grade in middle school (T6) wave (2011~2016)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by the Panel Study 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longitudinal stability over six waves. Second, acculturative stress and self-esteem,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had longitudinal reciprocal effect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significant influence was found only school adjustment on acculturative stress at the next waves.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ources for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안정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상호 영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의 1차년도(T1, 2011년, 초등학교 4학년)부터 6차년도(T6, 2016, 중학교 3학년)까지 참여한 다문화가정 청소년 1,11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변인들의 종단적 안정성과 상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델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은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부터 중학교 시기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 영향과 관련하여,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종단적으로 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학교생활적응이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만 유의하였다. 셋째,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논의와 관련 정책 및 추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