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선교사를 위한 문화인류학에 대한 통합적 시각 연구의 필요성

        민장배,이수환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본 논문은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위한 문화인류학의 통합적 관점에 관한 연구이다. 그동안 선교사역의 사명과 선교사의 현지 부적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왔다. 그러므로 선교사들은 문화인류학을 통해 구체적인 선교사역과 관련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선교학 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타문화 선교사에게 기본적인 문화인류학의 개념이해로 시작하여 문화인류학의 역사, 문화 인류학과 선교, 그리고 선교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문화인류학 통합 적 관점은 찰스 크래프트, 폴 히버트와 강승삼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였다. 선교사가 사역에서 문화인류학을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인간 이해를 지향해야 한다. 그것은 인간이 복합적인 존재로서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영적, 사회적, 도덕적인 측면 등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문화인류학의 목표는 인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실천적인 학문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for effective missionary work. Until now,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mission of the missionary and the local maladjustment of the missionary. Therefore, missionaries need to understand specific missionary work through cultural anthropology. This study bega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basic cultural anthropology for other cultural missionaries, not choices that form the basis of modern missionary science, and examined the history of cultural anthrop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missionary science.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was centered on the theories of Charles Kraft, Paul Hiebert, and Kang Seung-sam.

      • 문화인류학의 발전과 교육에 미친 영향

        정옥희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8 지식과 교양 Vol.- No.2

        본 연구는 문화와 개인의 관계에 둘러싼 논쟁으로 이루어진 인류학의 발전을 탐구한다. 문화와 개인의 관계를 초점으로 문화와 퍼스넬리티론이 심리 인류학으로 발전되고, 신진화 주의와 문화유물론을 주장한 마르크스 철학의 영향은 문화인류학의 토대가 되어 문화상대주의 관점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 이론에 미친 영향을 발견할 수 있다. 문화인류학은 교육학의 발전과 함께 문화 상대 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에 대한 이해를 문화 속에서 들여다보게 함으로써 교육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탐구하고자 한 교육인류학의 태동을 가져왔음을 알게 해준다. 문화인류학의 발전이 교육에 미친 영향 관계를 탐색하는 것은 그동안 문화에 관한 당연한 믿음 속에서 선택된 지식과 정보가 교육으로 이행되는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개인과 문화의 관계 속에서 그동안 당연시 여겼던 문화적 믿음을 낯설게 함으로써 교육의 방향을 인류학적 관점에서 거시적으로 바라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개별화된 문화실증주의: 보아스(F. Boas)의 문화 개념과 인류학 방법론에 대한 일고찰

        김동주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2

        Franz Uri Boas(1858-1942), the founder of modern American anthropology, received his doctoral degree in physics at the University of Kiel in Germany. Working in the German tradition of Naturphilosophie, he expanded his academic interest to comparative geography and further into ethnology. Previous studies in the history of anthropology view this trajectory from a viewpoint emphasizing the influence of nineteenth–century German historicism. However, locating Boas exclusively in this tradition is misleading not least because the very term historicism is too broad to signify specifically meaningful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argues that Eric Wolf’ s “particularistic cultural positivism” is a better designation of Boas’ s position than the still widely used “historical particularism” after Marvin Harris. Specifically, I examine Boas’ s definition of culture and his view of anthropology as a field in his writings over time, focusing on The Mind of Primitive Man. Boas tried to show that there is no viable evidence supporting unilinear evolution and emphasizes that race, language, and culture do not coincide in historical processes or geographic distribution. He defined culture as being plural, without referring to universal history or any hierarchy among cultures, therefore objecting to certain versions of historicism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Neo–Kantian ideas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and the distinction between a priori and a posteriori knowledge provided the basis for his developing ideas. Based on these reflections, he argued that mankind shares the same kind of thought process and intellectual abilities. Furthermore, the impossibility to reconstruct local histories prompted Boas to focus on the present, which already provided a genealogy of secondary explanations in cultures. And since Boas viewed these as philosophy or science in their own right, it is my contention that he was a forerunner of cosmography, which was started by Alexander von Humboldt and was revived after the ontological turn in anthropology. 프란츠 보아스(1858~1942)는 독일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마친 후, 독일의 자연철학전통을 이어받아 비교지리학에 기반을 둔 인류학 연구를 통해 미국 인류학 전통, 특히 4분과 인류학의 기반을 마련한 학자이다. 현재까지의 인류학사 연구에서는 독일 역사주의에 입각한 보아스의 문화 개념과 역사적 접근 방법을 강조하여, 보아스의 자연과학적 접근과 신칸트주의 배경을 상대적으로 간과한 경향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보아스가 독일 자연철학및 신칸트주의 전통에서 받은 영향을 살펴보고 그것이 가진 함의를 분석하여, 보아스의 인류학을 역사적 특수주의로 지칭하기보다는 개별화된 문화실증주의로 파악하는 것이 더 적절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보아스의 문화 개념과 학문관이 인류학사의 맥락 안에서 가지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보아스의 문화 개념은 기존의 문화 개념들이 전제하던 보편사적 시간 차원을 없애면서, 문화의 복수성을 당연하게 포함하고 개인의 사회적 역할을 포함하는 등의새로운 요소들을 포함하였다. 즉, 문화를 사회적 관계 안에서 개인이 보이는 정신적, 육체적반응과 활동의 총체로 규정한 보아스는 이미 신칸트주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선험성의 경계와 경험의 범위를 탐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원시인이라고 알려져 있는 부족사회의 원주민들이 현대 문명인들과 지적인 능력의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관찰도 선험성과 실제경험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서 나온 것이다. 또한 보아스는 특정한 지역의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절감하여, 이차적 설명들이 전승되는 현재에 초점을 맞춰 인류학이 물질과 상징, 정신과 문화에 걸쳐 폭넓은 접근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러한 이차적 설명들이 체계화된 형태가 철학이나 과학과 같은 위상을 가진다는 보아스의 시각은 분명히 코스모그래피의 계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 인류학의 시초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로컬리티 연구를 위한 접근방식으로서의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연구

        홍석준(Hong Seok-J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이 논문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포스트모더니티와 포스트모더니티에 대한 문화연구의 특성과 의미를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 작업은 로컬리티(locality) 연구를 이론화하는 하나의 중요한 접근방식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상황을 제시하고, 이러한 상황을 대중문화와 관련시켜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티의 상황을 맥락의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문화인류학이라는 학문과의 관련성에 주목하여, 포스트모더니티와 문화인류학에서의 문화연구와의 관계 또는 상호작용의 특성과 그 의미를 이론적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최근 포스트모더니티의 문화인류학은 민족지나 문화인류학적 글쓰기의 여타 장르뿐만 아니라 로컬리티 연구와 관련된 사회이론, 문화이론, 심리학이론 등의 모든 수준에 수많은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글에서는 포스트모더니티의 문화인류학이 로컬리티 연구의 접근 방식으로서 의미를 지니며, 이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문화연구의 연구 성과와 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다양한 포스트모더니티 현상에 대한 로컬리티 문화연구의 특성과 의미를 맥락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ostmodernity and cultural studies on postmodern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an approach to theorize studies on locality. In this paper, I propose the approach and method to theorize studies on locality. In doing so, I examine the postmodern conditions 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popular cul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localit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nthropology,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ty and anthropological cultural studie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which is focused on studies on the local and locality. Furthermore, I emphasize that anthropology and cultural studies would contribute to pursue and develop the theorization of studies on locality in the contextual point of view. In this sense, I investigate that the postmodern conditions close relation to popular culture and both anthropology and cultural studies have various academic fields and areas, which have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popular culture in postmodern conditions and postmodernities.

      • KCI등재

        음악교육학 연구의 외연 확장을 위한 시론적 고찰: 국내 교육인류학 내에서의 문화 개념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윤혜경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music education research by seeking an educational anthropological approach which has not been tried in music education. For this, it examines the cultural theories of Anthropology such as Primitive culture, cultural idealism and the change of cultural concepts in Anthropology of Education. Such as culture as content, culture as a process, culture as a form of life and culture as a form of meta-life. And also, I have examined how the scope and method of research expanded in this filed according to culture concepts. Based on this cultural concepts, I suggested the following implication for the concept of music culture. First, there is no music culture defined as one. The music culture is constantly changing, creating and disappearing.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concept of various musical cultures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s in understanding various cultural concepts. Second, music culture is an area of repeated order of human life a s a process and a way of becoming a musical human being. Third, music culture has a duality. It can be a process of domesticate the musician. Conversely musician discipline to the particular music culture. Thus, music culture create an identity as a member of a musical group. But may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with other groups of music.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quiry into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 of the concept of educational anthropological culture can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ubject, methods, theme. And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본고는 그동안 음악교육학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교육인류학적 접근을 모색하여 음악교육학 연구의 외연 확 장의 가능성을 검토한 연구이다. 먼저 우리나라 교육인류학계가 초기에 채용한 문화인류학의 문화개념을 복합 총체론과 관념론을 중심으로 개괄하고, 교육인류학계 내에서 변화해 온 문화개념을 내용으로서의 문화, 과정으 로서의 문화, 삶의 형식으로서의 문화, 메타적 삶의 형식으로서의 문화를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문화개념에 따 라 해당 분야의 연구의 외연과 방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화개념에 대한 국내 교육인류학계의 학문적 논의와 변화가 음악문화 개념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째, 음악문화는 하나로 규정될 수 없다는 점에서 개방성을 가진다. 둘째, 음악문화는 음악을 하는 인간으로 되 어가는 과정과 방식으로서 역동성을 가진다. 셋째, 음악문화는 음악을 할 수 있는 사람으로 길들이는 과정으 로, 이로써 한 집단의 정체성을 형성하면서도 동시에 그 집단을 특정 음악문화로 길들여 다른 음악집단과의 소 통을 방해하는 이중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위와 같은 논의에 기초하여 교육인류학적 문화개념의 지속적인 변화 과정에 대한 탐구와 음악교육과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연구의 대상, 방법, 주제의 확장을 견인 하여 음악교육학 연구의 외연을 총체적으로 확대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의 인류학 개론 교육: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변화

        여중철 ( Joong Chul Ye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0 韓國文化人類學 Vol.43 No.2

        강의실강의, 다시 말해서 오프라인강의는 그 공간이 넓든 좁든 간에 하나의 공동공간에서 대면적 관계를 가지고 강의 내용을 공유한다. 그에 비해서, 온라인 강의는 서로 다른 공간에서 일방적으로 강의를 하고 일방적으로 강의를 듣는다. 이 글에서는 `인류학 개론` 강의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강의로 전환한 이후에 발생하는 문제점과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고 앞으로의 변화를 전망하고자 하였다. 인류학 개론 관련 강의를 인터넷을 통하여 할 때의 긍정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은 것이 발견되었다. 다른 문화와 다문화사회에 대한 이해도의 증대, 각종 시각효과가 높은 보조자료를 이용하여 수업의 질 향상,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강이 가능하여 수강생에게 편의 제공, 일정 시간에 객관식 5지선다형의 평가(온라인)로 평가에 소요되는 시간 절약 등이 그것이다. 이에 비해,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다. 수강생의 학업 성취도 파악의 어려움-즉각적으로 수업의 이해력을 측정할 수 없어 피드백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수업 내용에 최신의 자료를 제공하기 어려운 점(보충자료는 제외), 수강생과 실제 학습자의 불일치 가능성으로 인한 학습 효과의 감소, 온라인 평가로 말미암아 평가의 공정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그것이다. 여기서 얻은 결론은 하나의 공간을 공유하며 face-to-face 강의를 하는 오프라인에 비해, 온라인강의가 가진 단점도 있고 장점도 있으나 요즘 같은 세계화 시대와 다문화사회에서는 인류학의 대중화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여기에는 온라인강의가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인류학 강의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공간 이동을 함으로써 인류학의 대중 가까이 다가가기를 실천하고 있는 셈이다. 세계화와 외국인 100만 명 시대를 맞아 인류학이라는 학문의 저변 확대에 작은 기여를 하였다면 그것은 하나의 성과라 할 수 있다. In lectures conducted in classrooms (off-line lectures), professors and students share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nd come face to face with one another in a shared space regardless of its size. In contrast, on-line classes make it possible for lecturers and students to occupy different kinds of space. Hence, lecturers teach classes onesidedly and students also attend the classes in a one-sided way.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and changes that arise from the shift from an off-line lecture of `Introduction to Anthropology` to an on-line lecture and to make predictions about the changes to come. The positive aspects of on-line lectures for anthropology-related classes are as follows: an increase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foreign cultures and multicultural societies,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lectures with the help of supplementary materials with diverse visual effects, students` convenience in taking classes without regard to time and space, and the time-saving effects in evaluating students owing to the multiple-choice tests taken on-line at a fixed time. 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are the negative aspects of on-line lectures: the difficulty of assessing students` performance in the absence of feedback becaus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lass materials cannot be estimated on the spot, the difficulties of providing the latest materials in the coursework (except for supplementary materials), the decrease in learning effects owing to the possible difference in the students and the actual learners of the course, and finally, the possibility of diminished fairness in student evaluation because of tests being conducted on-line. On-line lectures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comparison to offline lectures. But we should bear in mind that the popularization of anthropology is imperative to meet the challenges of the ages of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and on-line lectures are more effective for this purpose. So I Have shifted the space of my lectures from off-line to on-line as a way of practising the popularization of anthropology. If this contributes in any way to expanding the base of anthropolog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with one million foreigners in Korea, then I think that it has been a productive change.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 문화연구의 동향과 쟁점

        야마 요시유키(山泰幸)(YAMA Yoshiyuki),전성곤(Jun, Sung-Kon)(번역)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1

        본 논고는 일본의 문화연구 동향의 전반적인 개관을 기술하는 것이다. 1990년대 중반 일본에 도입된 ‘컬츄럴 스터디즈’(이하, CS)로 아카데미즘의 제 분야를 월경하는 문화연구가 유행하게 되었다. CS는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비판이나 푸코의 권력분석 이론들과 연동하면서 새로운 사상적 조류를 만들어 내고, 학지(學知)와 권력 관계에 대한 자아비판을 요구했다. 연구자들도 포지션 문제가 아주 강도 높게 힐문 당했다. 그러나 일본에서의 CS가 독립된 분야로 확립되지는 못했고, 문학이나 미술사, 영화 연구, 인류학이나 사회학 분야 등등, 기존의 인문사회과학 분야에 속하는 연구자들이 CS연구자라는 실정이다. 일본에서는 ‘문화연구’라고 할 경우 ‘문화사회학’ 혹은‘문화의 사회학’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대부분이다. 그 이유는 일본에서 문화연구가 사회학을 기반으로 발달했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에서의 문화연구 동향에서 중요한 것은 문화인류학이다. 문화인류학이 현지인의 주체성을 중시한다는 의미에서 실시한 문화개념 갱신은 CS와 연결되면서 기존의 인류학이 가진 정치성에 대한 비판과 반성, 발화(発話) 포지션 문제, 타자연구에서 자아연구로 전환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민족문화의 관광자원화나 자문화(自文化) 내부의 에스니스티 마이너리티 표상의 정치역학을 주요 연구테마로 상정하고 있다. 동시에 일본에서 문화연구의 또 하나의 쟁점은 다양성과 획일성 사이의 딜레마다. 다양한 문화형태 출현은 역설적으로 문화형태의 평면화(平面化)를 가져왔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give a description of the general overview of Japan’s trend of culture study. As the Cultural Studies (hereinafter, ‘CS’) which were introduced into Japan in the mid 1990s, the ones passing through the general fields of academism came into vogue. CS in line with Edward W. Said’s criticism of Orientalism or Michel Foucault’s power analysis theory, etc., created a new ideological tide and demanded the self-criticism about the power relations with Knowledge. Researchers were also under cross-examination about the issue of their position very intensely. However, CS in Japan failed to b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field and the realities are that the researchers, who belong to the exist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isciplines, such as literature, art history, film studies, anthropology or sociology, etc., are actually the ones of CS. When it comes to ‘Cultural Studies’ in Japan, its realm is dominated mostly by the researchers on ‘Cultural Sociology’ or ‘Sociology of Culture.’ It’s because the culture studies in Japan have developed on the base of sociology. In addition, what matters in the trend of CS in Japan is cultural anthropology. The renewal of the cultural concept, which was implemented as a meaning that cultural anthropology values independence of locals, created an impetus for the criticism and self-reflection of the politicity of the existing anthropology, an issue of telling position, and conversion from the research on others to the research on self as it was linked to CS. CS is bringing in the issue of turning the national culture into tourist resources, or the dynamics of ethnic minority emblem of the internal own culture as a major subject of study. In addition to this, another controversial issue of CS is a dilemma between diversity and conformity. Paradoxically speaking, the advent of diverse cultural forms has brought the complanation of a cultural form.

      • KCI등재

        강신표의 한국문화 이해와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

        송도영 ( Song Doyo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3 韓國文化人類學 Vol.56 No.1

        강신표는 1970년대 초중반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한국의 문화구조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이 주제를 평생의 과제로 삼아왔다. 그의 연구는 일제 강점기와 6.25 전쟁을 거치면서 새로운 민족국가 형성을 위한 한국의 탈식민을 지향하고 주체적 문화를 만들고자 노력했던 동시대 학계 일부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한다. 그는 일찍부터 레비 스트로스의 구조주의에서 영향을 받아 ‘한국문화의 심층구조’를 사고구조의 문화적 문법 차원에서 밝히고자 했다. 그가 정리한 한국문화의 심층구조는 중국의 고전철학에 담긴 언어 전개방식이라고 해석된 ‘음양(陰陽)의 논리(論理)’로 설명되었다. 강신표는 이 음양의 논리를 좀 더 발전시켜 대대문화문법(待對文化文法)이라는 형태로 정리했고, 부연설명으로 급수성(級數性), 집단성(集團性), 연극의례성(演劇儀禮性) 세 가지를 언급했다. 강신표의 대대문화문법과 그것을 부연하는 세 가지 개념들은 한국의 문화를 설명하기 위한 토착적 이론의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그 논리적 구조상의 타당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특수 지역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대한 범주 인식과 규정에 있어서도 논란의 소지가 많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한국 인류학계에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토론이 없었다는 것, 그리고 강신표가 평생 제시한 이론적 틀이 별다른 반향을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한국문화의 구조적 논리를 독자적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던 강신표와 같은 학자들의 학문의 탈식민화를 위해 기울인 노력들이 갖는 의미는 오늘날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론적 논쟁이 거의 부재하다시피 한 한국 인류학계는 학문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 깊은 반성과 함께 새로운 고민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Kang Shin-pyo started his study on the cognitive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since the 1970s. The cognitive structure of Korean culture became the main theme of study during most of his academic life. For Kang, the essential objective of cultural studies should be the inquiry to discover the ‘cultural map’ of societies, according to Claude Levi-Strauss’ structural anthropology. Kang mainly explains the cultural logic (map)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employing the concept of Yin-Yang as the basis of his theory of Dae-dae-mun-wha-mun-bop. Kang suggested that three main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logic are hierarchicalism, collectivism, and theatrical ritualism. I argue that the logic and language of Kang’s interpretations of the cultural logic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ve several serious defects. Confusion around the boundary of object cultures and the irregularity of logics are typical ones. Nevertheless, Kang Shin-pyo was a sincere academic of Korea’s post-colonial epoch who strove passionately to develop a kind of ‘indigenous academic knowledge’ which ensures a place for indigenous society (Korean society, in his case) in the discovery, interpretation, and benefits from decision making about its’ own culture and heritage. Korean anthropological society, still lacking sufficient diligence for theoretical debates, should learn the lessons from his legacy.

      • KCI등재

        문화개념에 관한 신약성경의 어원적 접근

        배춘섭 ( Bae Choon-sup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0 성경과신학 Vol.93 No.-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인류학에서 발전된 문화개념을 살핀 후 ‘문화’에 상응하는 신약성경의 용어들을 어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복음이 제시하는 성경적 선교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먼저 시대적 흐름에 따른 문화개념의 역사-인류학적 발전은 다음과 같다: 1) 18세기 후반의 문화고전주의(Classicism), 2) 19세기 중반의 문화진화론주의(Evolutionism), 3) 19세기 중반의 문화결정주의(Determinism), 4) 20세기 초중반의 기능주의(Functionalism)와 구조주의(Structuralism), 5) 20세기 후반의 문화상징주의(Symbolism). 이런 인류학의 문화개념은 신약성경에서 나타난 세 용어에 집중한다. 그것은 □θνο□ (ethnos), □ναστρ□φη(anastrophe), κ□σμο□(Kosmos)이다. 이 용어들은 기본적으로 인류학이 제시하는 문화의 개념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약성경은 그 용어들 안에 함축적으로 복음이 제시되었음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같은 인류학과 신약성경의 문화이해에 관한 차이는 다음과 같은 선교적 적용을 가능케 한다. 첫째, 선교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식하면서도 복음의 절대성을 유의해야 한다. 둘째, 복음은 민족들(□θνη)로 하여금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 나라를 위해 살도록 이끈다. 셋째, 세속문화와 달리 기독교의 문화는 하나님의 거룩함을 추구한다. 넷째, 복음은 문화 속에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적 방식으로 전해져야 한다. 그러므로 선교는 문화가 복음보다 우위에 설 수 없으며, 복음은 문화변혁을 위해 성육신적으로 문화에 전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thropologically study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cept in the history and to etymologically investigate the terms that correspond to the ‘culture’ in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s for the future biblical mission works as presented by the Gospel. Firstly, the historical-anthropological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cepts by the chronological changes is as follows: 1) Classicism in the late 18<sup>th</sup> century, 2) Evolutionism in the mid 19<sup>th</sup> century, 3) Determinism in the mid 19<sup>th</sup> century, 4) Functionalism in the early/mid 20<sup>th</sup> century and 5) Symbolism in the late 20<sup>th</sup> century. Such anthropological concepts of the culture is represented by the three key terms in the New Testaments of the Bible: □θνο□ (ethnos), □ναστρ□φη(anastrophe) and κ□σμο□(kosmos). The three terms reflect the basic cultural concepts presented in the anthropology. Meanwhile, in the New Testament of the Bible, these words connotatively convey the Gospel.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anthropological and biblical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allows possibilities of missionary applications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note the absoluteness of the Gospel while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culture on missionary works. Second, the Gospel allows the people(□θνη) to repent their sin and lead them to live for the reign of God. Third, the Christian culture is different from the secular culture in that it seeks for the Holiness of God. Fourth, the Gospel must be spread in accordance with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in the culture. Therefore, in the missionary scene, culture must not be superior to the Gospel, which must be transferred to the culture along with the belief of incarnation of Jesus Chr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