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법 지식의 층위와 성격 - 원리 중심 문법 교육의 설계를 위한 토대

        구본관(Koo, Bon-Kwan),신명선(Shin, Myung-Su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6

        ‘문법 지식’은 문법교육학의 핵심 논제임에도 그간 깊이 있게 논의되지 못했다. 본고는 ‘문법 지식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 물음으로부터 시작하여 문법교육관을 정립하고 그에 근거하여 문법 지식의 층위를 세 가지로 제안한 뒤 원리 중심 문법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문법교육관을 ‘객관주의 문법교육관, 인지적 구성주의 문법교육관, 사회적 구성주의 문법교육관’으로 나누어 그 특징을 탐색한 뒤 본질론적, 국어교육적, 구성주의적 관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어 문법 지식의 층위를 개인적 문법 지식(IGK), 일반적 문법 지식(CGK), 추상적 문법 지식(AGK)으로 나누고 각 문법 지식층위의 성격과 이들 간의 관계를 명료화하였다. 개인적 문법 지식(IGK)은 교육의 시작점이면서 동시에 도착점으로, 일반적 문법 지식(CGK)은 IGK와 AGK의 매개체로서 IGK 성찰을 위한 기준점으로 작용한다. 추상적 문법 지식(AGK)은 언어 공동체의 실천과 지향을 드러내는 논리적 실체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세 층위 문법 지식들을 중심으로 하는 문법 교육의 구도를 ‘원리 중심 문법 교육’으로 설계한 뒤 그 교육 방향을 ‘연철과 분철’을 예로 들어 구체화하였다. Grammar knowledge’ has not been discussed in depth even though it is a key topic in grammar education. This paper started with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at is grammar knowledge?’ and established a view of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is, three levels of grammar knowledge were proposed, and then the direction of principle-based grammar education wa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viewpoint of grammar knowledge was divided into ‘a objective viewpoint, a cognitive constructivism viewpoint, and social constructionism viewpoint’, and after exploring its characteristics, the necessity of grammar education from constructivism was discussed. Next, the level of grammar knowledge was divided into Individual Grammar Knowledge (IGK), Common Grammar Knowledge(CGK), and Abstract Grammar Knowledge(AGK),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mmatical knowledge lev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re clarified. IGK serves as a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point for education, and CGK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IGK reflection as a medium between IGK and AGK. AGK is a logical entity that reveals the practice and orientation of the language community. In this paper, the design of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these three levels of grammar knowledge was designed as ‘Principle-centered Grammar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was embodied by taking ‘Yeoncheol (sound based spelling) and Buncheo (separating spelling)’ as an example.

      • KCI등재후보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

        安載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1 No.-

        이 논문은 미군정시대의 교수요목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사적 변천과정을 연구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Ⅰ장에서는 논문의 집필동기, Ⅱ장에서는 중·고등학교 한물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Ⅲ장에서는 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중 ·고등학교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耐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결론 으로 삼았고, 앞으로 한문문법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중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변천과정, 각 시기별증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지도 내용,지도 방법 및 평가 항목 속에 나타나고 있는 한문문법의 내용 비교·분석·검토 등의 연구이다, 이 논문의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교육과정기의 일정한 싸이클이 중 고등학교에 똑같이 형성된 것 같다. 대체로 교수요목기와 제1·2차 교육과정기는 한문 문법 교육의 '맹아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고, 제3차 교육과정기는 우리 한문과가 독립되어 한문문법 교육이 실시되는 터전을 마련하여 웅비하고자 하는 '개화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문문법 교육이 체계화·조직화되고 펼쳐져 나아가는 '발전기'로 여겨진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더욱 문법교육이 정비되고 다져져서 가장 발전되고 심화된 '융성기'로 볼 수 있으며, 제6차시기는 한문교과가 필수에서 선택 과목(재량과목)으로 되어, 5차보다는 문법교육이 좀약화되었지 만, '난숙기'라 생각된다. 7차 교육과정기는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에 한문과목이 필수 과목에서 제외되고, 문법교육도 6차보다 더욱 약화된 내용일 수밖에 없어, '노쇠기'에 해당한다 하겠다. 2.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중 고등학교 공히 제3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교육과정의 각 영역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한다.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지도 내용' '지도 방법' '평가' 등의 영역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제4차·5차 교육과정기에서는 '내용'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교수·학습 요소들이 상세하게 제시되고 있고,제6차·7차 교육과정기에서는 '지도 방법'과 '평가' 등의 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사항들이 자세하게 진술되고 있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 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 한다. 좀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축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제4차 5차 교육과정기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한문문법에 준하는 정도의 내용구성은 되어야 한다. 즉,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영역 속에,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문법용어' 사용에 관한 진술은 한문교육과 유관한 학회나 단체가 마련한 '한문문법 통일안'에 근거한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조항이, '지도사항 및 유의점' 속에 반드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한문문법은 문장 독해를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범위 내에서 예를 통하여 지도하되, 이에 필요한 문법 용어는 '한문문법통일안'에 제시된 용어에 따르도록 한다.'정도의 내용은 제시되어야 한다. 제8차 교육과정기에는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위에서 논의되었던, 바람직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 구성되었으면 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This thesis consisted of 4 chapters. In Chapter 1 writing motive was presented. Transi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which appeared in each National curriculum period for middle·high school were explained in Chapter 2. Each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period comparative analyzed in Chapter 3. Finally conclusion was made by arranging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and proposal for Chinese grammar education's ideal direc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4. In this thesis, I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and characteristics, goals, instructive methods, contents in Chinese grammar etc. The important matters are summarized below. 1. Transition of grammar education in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s subject It seems to be formed constant cycle of the curriculum similarly in middle·high school. The period of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s' and the 1st·2nd National curriculum corresponded with the 'beginning age'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generally. The period of 3rd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enlightened age' from preparing opera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through separation. The period of 4th National curriculum is considered as 'growing age' for being systematic and expanded. The period of 5th National curriculum is seems to be more improved and most developed so it regarded as 'flourishing age. In the period of 6th National curriculum this subject changed from required to elective therefore grammar education had weaken than before but it considered as 'high time'. Therefore, in the period of 7th National curriculum subject was excepted from 'national common fundamental curriculum' due to be an elective subject and then it is took as 'senile age'. 2. Comparative analysis on grammar contents of each curricula period Each area of curriculum concretized on the 3rd National curriculum generally. Contents about grammar appeared in 'instruction substance' 'instruction method' 'evaluation' area mostly.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teaching/study items were presented fully on 'contents' area. Items about grammar were explained in full on 'instruction method' and 'evaluation' area in the 6th·7th National curriculum. Chinese grammar is a important axis to construct methods and instruction contents in Chinese classics curriculum. For making more ideal curriculum, contents structure should be accord with the one which suggested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t least. That is contents on grammar should be presented in curricula area of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methods' 'evaluation'. In notes for instruction and attention Grammar terms usage should be presented as an article that terms based on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by organization or society concerned with Chinese education by all means. e.g. it should be presented at least that instruct the Chinese grammar with examples for comprehension in helpful range, however grammar terms had better to comply with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I hope that the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i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ill reflect the above points for the effective grammar education certainly.

      • KCI등재후보

        문법교육론 자리매김의 두 방향- 문법교육 담론의 생산적 읽기를 바탕으로

        남가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국어교육연구 Vol.19 No.-

        There are lots of studies on grammar education. Some are theoretical and some are practical. One of main theoretical issues has been an epistemological one, such as ‘what is the phenomenon of ‘the grammar education’ anyway?’, ‘what is its educational value?’. Recently, there are two meaningful discourses which draws our attentions;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and the Neo-Independent Grammar Education. Usually, these two discourses seem to be mutually exclusive and incompatible. Through re-reading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mainly around concepts(function, integration, practicality),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se two discourses have an essential aim in common. It is just their focus that is differentiated. For exploring the nature and value of grammar education, we should think much of ‘language as an object’ and ‘language subject which deals with language as an object’. More especially, we should closely pay attention to their(language/ human) two-way interactions both. The one is to pay attention to ‘the activity to examine language closely’, and then to discuss its educational value(human→language). The other is to pay attention to ‘the activity to explore human and world though language’, and then to redescribe language in functionally-motivated mode(language→human) for it. The Neo-Independent Grammar Education comes under the former, and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falls on the latter. Therefore, both of these two discourse could be considered as meaningful attempts to enrich epistemology of grammar education. This is the productive way for grammar education. 소통되지 못하고 그 실현체를 내 놓지 못하였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법교육의 실재와 현상에 대한 끈질긴 물음은 지속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문법교육의 최근 두 담론, 통합적 문법교육 담론과 신독자론이 서로 상반적인 논리로서 소통되고 논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담론이 모두 본질적인 문법교육론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통합적 문법교육 담론은 흔히 처방적이고 도구적인 관점에서 문법교육의 문제를 외재적으로 정당화한 논리로 이해되고 소통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담론의 중심 개념, 즉 ‘통합’, ‘기능’, ‘실용’ 등을 면밀히 살피고 그 논리를 맥을 구체화해 보면, 그 안에는 본질적 문법교육론을 지향하는 문법 교육 담론으로서 의미 있게 포착해야 하는 지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생산적 읽기를 통해, 해당 담론의 지향과 토대를 재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문법교육론 정립의 두 가지 방향을 제안하였다. 문법교육은 언어-인간-교육이 얽혀 있는 총체적 활동으로서, 이때 언어 주체는 언어를 대상으로서 다루고 사고한다. 그러므로 문법교육론의 정립을 위해서는 ‘대상으로서의 언어’와 이를 다루는 ‘언어 주체’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문법교육론 정립의 기본적인 두 방향으로 ‘언어 주체의 언어 들여다보기’와 ‘언어를 통해 인간 들여다보기’를 설정하였다. 전자는 언어 주체가 언어를 들여다보는 활동의 교육적 의미화를 추구하는 방향이며, 후자는 언어를 통해 의미를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의미 생산의 주체이자 산물인 인간과 세계를 의미화할 수 있다고 보고, 이것이 가능하도록 언어의 양태를 조율, 재기술하는 방향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에서의 교육문법

        이금희 ( Lee Keum-hee ) 반교어문학회 2018 泮橋語文硏究 Vol.0 No.49

        본고는 한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에서의 문법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각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표준적인 문법이 어떤 것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에서는 학문문법을 기반으로 하여 국어교육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의 체계가 동일해야 한다는 견해와 달라야 한다는 견해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후자와 견해를 같이하며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교육해야 할 교육 문법의 주요 범주와 구성이 달라야 한다고 기술하였다. 그리고 각 교육문법은 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표준문법>이 필요하고 이는 한국어문법 전체 체계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각 교육 과정에서 교육목적에 따라 채택된 문법 내용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런 <표준문법>만으로는 교육 현장에서 올바른 문법 교육을 하기 어렵다. 교사는 추상적인 지식 체계와 함께 학습자가 사용에서 혼란을 겪을 수 있는 유사 문법 표현과의 비교 내용이나 효율적인 설명 방식 등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문법 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상세한 백과사전식의 정보가 필요한데 이런 내용들로 구성된 교사문법이 필요하다. <표준문법>과 달리 <교사문법>은 체계성보다는 각 학습 단계에 맞는 위계성이 중요하고 어떤 문법 내용이 어느 학습 단계에, 어떻게 설명되어야 할지가 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 수준에 맞게 간략화하고 단순화되어 제시된 <학습자문법>이 필요한데 이는 학습자들이 실제 보게 될 교재가 될 것이다. 현재 한국어교재나 참고 서적에는 <표준문법>의 내용과 <교사문법>의 내용, <학습자문법>의 내용이 섞여 있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각 문법의 내용이 구분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에서 문법은 각각의 학습 목적에 맞게 <표준문법>을 구성하고, 이런 <표준문법>에서 변환을 거쳐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사용될 수 있는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objectiv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s grammar education. The current studies share the perspective of either supporting or differing from the identical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s Pedagogical Grammar system based on scholarly grammar. This paper agrees with the latter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objectives, hence requiring the category and composition of teaching the core scholarly grammar to be different. Each scholarly grammar needs a < standard grammar > for education, which completely encompasses the Korean grammar, selected appropriately from the education process that suits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 However, the < standard grammar > on its own can limit the teaching of grammar. Teachers need to be equipped with compositions of abstract knowledge and efficient explanations that compare similar grammar expressions that learners may find confusing. Therefore, it is paramount to equip teachers with a < teacher grammar > that has specific, detailed encyclopedia level of information. The < teacher grammar > differs from < standard grammar > because the < teacher grammar > stresses the importance of hierarchy that suits each educational level more than the system itself. Furthermore, the < teacher grammar > has to convey what grammar content needs to be placed in which level of education suited for learners, and how they will be explained. Depending on the learner’s level, < learner grammar > needs to be simplified and summarized because it will be actually used by the learner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current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reference books seldom have a mixture of < standard grammar >, < teacher grammar >, and < learner grammar >, which need to be categorized. Thus, the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each needs to set up a < standard grammar >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 first. The < standard grammar > should then be converted to < teacher grammar > and < learner grammar >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교육문법으로서의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유해준(Yoo, Haejun)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기존의 한국어 교육 문법 연구를 보면 한국어 교육 문법에 대한 논의는 크게 두 논의로 정리가 된다. 첫째,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교문법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문법을 같은 체계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와 둘째, 모국어를 설명하는 학교문법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문법의 체계는 달라야 한다는 견해다. 본고에서는 후자의 견해를 따르고자 하며 교육 대상과 교육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교육해야 할 교육문법의 주요 범주와 체계도 달라야 한다는 측면에서 유사 문법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고에서는 각 교육문법은 교육에 필요한 표준이 되는 체계를 가진 표준문법이 필요하고 이는 한국어 문법 전체 체계를 제시하는 교사문법이 되어야 하며 교육 목적에 따른 문법 내용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표준문법이 있다고 해서 교육 현장에서 문법 교육으로 바로 연결이 되지는 않는다. 교사는 추상적인 지식 체계와 함께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문법으로 문법의 내용이나 설명 방식 등을 교수 방법과 연결하여 알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나의 표준문법 안에서도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의 구분이 필요하다. 교육문법 안에서 표준문법은 정리된 체계가 중요하다면 학습자문법은 체계도 중요하지만 각 학습 단계에 맞는 위계성이 더 중요하다. 즉, 어떤 문법 내용에 대해 가르칠 시기와 교수방법에 따른 설명 방식이 함께 제시되어야 학습자문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자문법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제시가 필요하다. 현재 출간된 한국어 교재와 교사용 지도서를 보면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이 함께 제시된 경우가 많다.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한국어 교재와 교사용 지도서 등에서는 이미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국어교육문법과 한국어교육문법이 교육문법이라는 틀 안에서 같거나 달라야 한다는 논의는 많았지만 한국어교육문법 안에서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한국어교육용 교육문법의 중요성 때문에 논의가 미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유사 문법을 가지고 교사문법과 학습자문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Discuss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rgely follow two different opinions. According to the first opinion, school grammar targeting native speakers and the grammar for teaching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should follow the same grammar system. As per the second opinion, the school grammar system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grammar system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aims to elaborate on the latter view, that the major category and system of pedagogical grammar should be different between school grammar and grammar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s the subject and goals of education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Education requires standard Korean grammar. The teacher should teach the entire gamut of Korean language grammar, with contents based on the goals and needs of the particular education. However, standard Korean grammar is not always directly related to the needs of grammar edu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eachers should be aware of abstract knowledge system, grammatical contents, or explanation methods that could be used by learners in the connection with teaching methods. For this, the single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s to be divided into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Within the framework of pedagogical grammar, the system of grammar is important for the standard Korean grammar, while the hierarchy suitable for each learning stage is important for learner’s grammar. In other words, to transform into learner’s grammar, the explana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thod and period to teach a certain grammatical content should be presented simultaneously. For this, the learner’s grammar should be in a simplified form by considering the level of the learners. Most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resent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together. Even though terms like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are not used yet, they have been used separately.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n whether school grammar and grammar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hould be the same or different within the frame of pedagogical grammar. However, because of the focus on the necessity of standard Korean grammar for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discussions on how to present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within the grammar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have been delayed. Thus, this study discusses teacher’s grammar and learner’s grammar on the basis of similar gramma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한문 문법 교육의 회고와 전망

        이군선 ( Goon Seon Lee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8 No.-

        본고는 2011년 한국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이후에 나온 논문 중에서 문법 관련 논문을 중심으로 문법과 문법 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학교에서 다루어야 할 문법의 범주에 대하여 정리한 뒤 문법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생각해 본 것이다. 2011년 이후 한문 문법과 관련한 논문들은 한문문법교육과 학교 문법에 관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모두의 공통된 의견은 학교 문법이 쉬워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문법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내용을 영역별로 정리해 보았다. ``한자``영역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한자 한 자에 여러 가지 뜻이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자의 대표 훈을 알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표 훈에 더하여 많이 사용하는 뜻을 알려주어 한 글자가 여러 가지 뜻으로 활용된다는 점을 알게 해야 한다. 또한 ``어휘``영역의 교육에서는 한문의 품사는 문장 안에서 어디에 쓰였는가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품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인지시키고 단어의 짜임은 가능하면 문장 안에서 익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문장``영역의 지도는 ``사자성어``를 통하여 문장의 기본구조를 익힌 다음 점차 단문으로 확장시켜 나간다면 처음부터 구조가 복잡한 문장을 익히는 것보다 공부하는데 그래도 덜 어렵게 여길 것이다. 문법 교육의 목표는 문장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기본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학생들의 문법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문법 교육을 강조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임을 감안하여 문법적으로 접근하는 것보다는 풀이 위주로 한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sed to review dissertations on grammar and grammar education published after the 2011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o define categories of grammar to be covered at school,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grammar education. Dissertations on classical Chinese grammar published since 2011 are largely divided into those about classical Chinese grammar education and those about school grammar. A common opinion of these studies is that school grammar must be eas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ategorized the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into a few areas. What is most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that students should learn that each Chinese character has multiple meanings. It is important for the students to know the representative meaning of each Chinese character, but in addition to the representative meanings, frequently used meanings should also be taught so that students may recognize the fact that a character is utilized in multiple senses. In the education of ‘vocabulary,’ what is more, it is believed desirable for students to know that parts of speech in classical Chinese can be varied depending on where they are used in a sentence and to learn the structure of words within a sentence. In the education of ‘sentence,’ moreover, students may learn the basic structure of sentence using four-character idioms and then expand learning to short sentences, and this will be easier than learning sentences of complex structure from the beginning. The goal of grammar education is to lay the base fo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sentences correctly.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that grammar education cannot be emphasized due to the difficulty of grammar to students, it is suggested to approach classical Chinese not grammatically but mainly through interpretation.

      • KCI등재

        언어관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정체성

        고춘화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Grammar education has explored various answers on how to look at language and with what language to be looked at. In the process, unit of language dealt with in grammar expanded from sentence to unit of text. Accordingly, grammar education became interested in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human society - in the past, grammar education dealt with language as autonomous system. Change in perspective about language led to expansion of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and improved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grammar education and other domains. In this writing, identity of grammar education is being sought in exploring natural meaning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hapter 3, nature of grammar education was explored in grammar education as philosoph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essential ques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hat is Korean language?’ can be solved in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reserve classical value by making content of existing grammar education firm in the core content while expanding and reproducing educational content where other areas can be integrated. This writing divide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s natural content,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language and formation of spirit. And th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content in content aspect of Korean language be strengthened. And as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integrated with other areas, functional grammar and expressional grammar were suggested. 문법에서 다루는 언어의 단위는 문장에서 텍스트 단위로 확장되었고, 문법 교육은 언어를 자율적인 체계로만 다루던 데에서 언어와 인간․사회의 관련성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언어관의 변화는 문법 교육의 내용 확장으로 이어지고, 문법 교육과 다른 영역과의 통합 가능성을 높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문법 교육의 정체성을 밝히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 되었다. 문법 교육의 정체성은 문법 교육이 국어교육철학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데서 찾을 수 있다. 문법 교육은 국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철학의 근본적 토대를 이루는 영역이다. 문법 교육의 내용은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 국어 사용의 규범과 국어 사용의 바른 수행, 국어의식과 얼의 형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문법 교육의 본질적 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질, 국어의식과 얼의 형성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살필 수 있다. 그리고 국어의 내용 측면의 교육내용을 강화하고 다른 영역과 통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으로 기능 문법과 표현 문법과 관련된 내용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모국어교육으로서의 국어교육, 그 내부 기반으로서의 문법 교육은 재해석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문화어학습>으로 본 북한의 문법 교육

        최영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0 국어교육연구 Vol.25 No.-

        In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grammar education is investigated by classifying the theses, which have been published in the section of ‘Culture Language Education at school’ of the 『Culture Language Learning』 from 1970s to the recent 2000s, into the related parts of grammar education, functional education, teaching method, teacher education, literature educati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 The importance of grammar education sorted by each grammatical section is also investigated by classifying the theses into the related parts of general grammar education, writing education, pronunciation education, word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sentence education, normative grammar education,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onclusion, the grammar education turned out to be most important par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and vocabulary education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part in grammar education. Finally, with reference to the typical theses dealing wi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orted by grammatical sections, some materials about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such as teaching method and wall map are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on the point that it has investigated the aspects of Grammar Education of North Korea by different periods and grammatical factors. not just by using textbooks of North Korea. 본고에서는 70년대에서부터 2000년대 최근까지의 『문화어학습』의 ‘학교에서의 문화어교육’란에 게재된 국어교육 관련 논문들을 문법교육 관련, 기능교육 관련, 교수법 관련, 교사교육 관련, 문학교육 관련, 외국어교육 관련, 기타 교육 관련 논문으로 분류하여 문법교육의 비중을 살폈으며 문법교육 관련 논문을 다시 문법교육 전반 관련, 글씨쓰기 교육 관련, 발음 교육 관련, 단어 교육 관련, 어휘 교육 관련, 문장 교육 관련, 규범 교육 관련, 한자 교육 관련 논문으로 나누어 각 문법 영역별 교육 비중을 살폈다. 결론적으로 북한의 국어 교육에서 문법교육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법교육 중에서는 어휘 교육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문법 영역별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로 게재된 논문들 중 대표적인 논문을 참고하여 지도 방법, 걸그림 등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안 자료를 제시했다. 따라서 본 논의는 북한의 교과서가 아닌 또 다른 측면에서 북한의 문법 교육 양상을 시대별로, 문법요소별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문과 문법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군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stimulated people’s interest not only in research on the contents of Sino-Korean but also in Sino-Korean education itself. With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Sino-Korean education that had been neglected took its first step of research. The organization has grown into an academic society leading Sino-Korean education both in name and reality, and made rich achievements in diverse areas of Sino-Korean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rends in the academic circle focusing on ‘trends in research on grammar,’ ‘trends in research on grammar education’ and ‘research on general grammar,’ using theses on Sino-Korean grammar reported in the academic circle. With regard to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ino-Korean school grammar,’ the academic circle has raised problems continuously and conducted tasks for the standardization of Sino-Korean school grammar and the proposal was adopted by the 2007 Revised Sino-Korean Curriculum. In addition, Sino-Korean grammar carried in the 2007 Revised Sino-Korean Curriculum was absorbed in the textbook screening and settled as school grammar. Still there are various different opinions on Sino‐Korean school grammar, and thus we cannot say that Sino-Korean school grammar is complete. If it is refined continuously by reflecting practical needs, we may be able to establish more complete ‘Sino‐Korean school gramma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o develop strategies for teaching Sino-Korean grammar in school more effectively so that Sino-Korean may be taught and learned more effectively and interestingly. 한문교육학회의 창립은 한문의 내용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한문교육에 자체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켰다. 학회의 창립으로 인하여 그동안 소외되었던 한문 교육에 대한 연구가 첫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 지금은 명실공히 한문교육을 주도하는 학회로 성장하여 한문 교육 방면의 연구에 있어 다양한 방면으로 풍부한 성과를 거두었다. 본고는 한문 문법과 관련하여 그간 학계에 보고되었던 논문을 중심으로 ‘학교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 연구’, ‘일반 문법 연구’로 나누어 학계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한문 학교 문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학계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여 한문 학교 문법 통일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였고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이 안을 수용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정리한 한문 문법은 이후 교과서 검정에서 그 내용을 흡수하여 학교문법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아직 한문 학교 문법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이견이 있고 완정한 상태라고 할 수는 없다. 앞으로 현실에 맞게 지속적으로 수정해 나간다면 보다 완정된 ‘한문 학교 문법’의 체계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다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학교 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문법을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 한문을 보다 효율적이고 재미있게 교수ㆍ학습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사고력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 방안 연구 -명사의 의미 기능과 교육 방안을 중심으로-

        고춘화 ( Chun Hwa Ko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5 No.-

        이 글은 문법 교육의 성격을 `언어`의 본질에서 찾고 학습자의 사고력 함양을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안을 명사를 중심으로 설계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는 문법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서 `사고하는 문법`, `잘 사고하는 인간`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문법 지식 자체에서 `사고의 방법`을 찾아 그 내용을 문법의 `사고적 기능`이라 정의한 후 문법 교육 방안을 구상해 보았다. 우선 `명사`의 의미 특성 자체에서 `범주화, 개념화, 추상화, 관계성`의 사고작용을 도출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구현하는 실행방법을 제시하였다. 보통명사, 고유명사, 추상명사, 형식명사 자체의 본질적 특성과 의미기능을 학습자의 사고과정과 연관시켜 교육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방안을 분류, 구별, 분석, 추상화, 해석 등과 관련시켜 제시하였다. 즉 의미와 기능, 사고를 통합하여 명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모색한 것이다. `명사`를 학습하는 자체가 사고하는 문법의 본질인 동시에 사고하는 문법의 교수학습방안이 될 수 있도록 일관된 설계를 추구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명사 교육 방안은 한국어의 특질을 제대로 살펴 교육문법의 내용으로 적극 도입하고자 하는 필자의 의도에서 출발한 것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문법 교육에서도 문법적 사고력의 신장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문법적 사고는 문법의 사고적 기능을 밝혀 재정립시키는 것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사고 문법으로서의 성격을 띤 교육문법의 구축을 위한 시발점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sign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focusing on nouns in order to develop students` thinking in perceiving the characteristics of grammar knowledge from the essence of language itself. This research set the goal of grammar education: `thinking grammar`-improving leaner`s thinking ability and `a human with logical thinking ability`. I draw thinking methods out of grammar knowledge itself and research teaching methods about them. First, I conduct thinking processes from speaker`s cognition about the world such as categorization, conceptualization, abstraction, and relation, and suggest some practical ways focusing on semantic functions of nouns to apply it to a real classroom. I make up the contents of teaching based on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nouns including common, proper, abstract, and form nouns. I also propose teaching methods related to classification, distinction, analysis, abstraction and interpretation to teach effectively the contents of teaching. In conclusion, I try to grope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noun education by integrating semantic functions with thinking. I intend to introduce the contents of pedagogical grammar to a real Korean class. If so, the contents of teaching must be designed for developing grammatical thinking in pedagogical grammar. Grammatical thinking should verify thinking function of grammar.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to construct pedagogical grammar as thinking gramm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