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로서의 몸과 비환원적 물질성

        이현재(Lee, Hyun-jae)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0 No.-

        여성주의 연구들은 20세기 후반에 이분법을 넘어서 몸을 다시 이론화하고 재고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투입해 왔다. 보부아르가 제시한 바 있듯이 여성은 몸과 마음, 자연과 문화의 이분법적이고 위계적인 사고방식 안에서 몸이자 자연으로 규정되었고 따라서 열등한 것으로 취급되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여성의 몸을 만회하고 재현할 수 있는 육체성 개념을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재정립하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본 논문에서 몸을 사회적 관계들과 물질적 과정들이 교차하는 어느 정도 단단한 그러나 유동적인 “장소(place)”로 볼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몸에 대한 공간적 접근은 이미 몸을 사회적 관계를 각인하고 있는 “표면”으로 상정하고 있는 푸코 논의 속에서 잘 나타난다. 그러나 푸코는 몸을 법/제도/담론의 효과로 환원하는 가운데 사회적인 관계에 반응하고 저항하는 몸의 물질적 “힘”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명하지 않았다. 이와 달리 엘리자베스 그로츠는 몸을 뫼비우스의 띠에 비유하면서 사회적 관계나 의미작용의 결과이면서도 이것들로 환원되지 않는 물질성의 심급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그로츠는 몸이 다층적인 사회관계들이 중첩되고 상호 교차하는 개별적인 위치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몸이 어떻게 자신과 사회관계들을 생산적으로 변화하는가를 설명한다. 그로츠는 몸을 다양한 차원의 물질성과 사회적 관계들이 상호침투하는 지점으로 파악함으로써 이분법과 일원론 모두를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필자는 몸의 비환원적 물질성과 개별적 위치성 그리고 다양한 관계들 속에서의 유동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몸을 “장소”로 개념화하는 것이 유용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몸을 “장소”로 개념화한다는 것은 몸의 비환원적 물질성을 인정한다는 것이며 몸을 여러 스케일의 다층적 사회관계들이 중첩되는 개별적 위치로 파악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개념화에 따르면 몸은 각기 다른 스케일의 장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현현되고 변화하는 지점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렇게 몸을 장소로 이해할 때 여성주의자들은 몸을 자발적인 물질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여성을 수동적 물질성으로 정의하고 이성 혹은 정신의 지배하에 두려했던 이분법적 사고방식을 비판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여성의 몸은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접면이자 교차지점이기에 더 이상 수동적이거나 고정적인 물질이 아니며 오히려 자발적이고 유동적이며 생산적인 상호작용의 힘으로 이해될 수 있다. Feminist scholarship has been particularly influential in rethinking and retheorizing the body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decontruction of centrality of the opposition between the mind and the body established in Enlightenment thought has been a key element of this work. Recent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suggest a non-binary concept of corporealit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So, in this paper I'll suggest to rethink the body as a "place" in which the irreducible materiality and the sets of social relationships are intersecting. The spatial approach to the body can be seen in the Foucault's works. In oder to overcome the dichotomy He theorized the body as a surface to be inscribed by social practices, suggesting that bodies are acted upon in discursively constructed institutional settings. But he seems to suggest that there are bodies and pleasures that exist outside of power/knowledge discourses, without specifying what these are or their origins. In contrast Elisabeth Grosz introduce the metaphor "Mobius strip" to explain a range of voluntary practices of the body. According to Grosz the body provides a point of mediation between what is perceived as purely internal and accessible only to the subject and what is external and publicly observable. And in process of the explanation of what is internal, she premises the dimension of the irreducible materiality such as th sexual drive or the biological process. But it is not a fixed or passive substance outside the signifying processes, but an open materiality which can be founded and developed in and with them. In addition Grosz argues that the body can provide a unique position, on which the multiple social relations interlock and intersect. Finally I'd like to argue that the body needs to be conceptualized as a "place" to explain the irreducible materiality, the unique position and the mutuality of the variety of social relations of body more coherently. To conceptualize the body as a "place" means to acknowledge the irreducible materiality of the body, to regard it as a unoque combination of the multiple social relations and to recognize that the body is differently represented in relation to what scale of place it is located in. When feminist scholarship receives this concept of the body, they also can reach the feminist concept of the voluntary body that overcomes the binary concept of the body.

      • 몸학, 화이트헤드 철학의 몸삶 적용 이론 탐구 -전인적이고 통전적인 몸 이해 모색-

        정강길 ( Kang Gil Jeong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3 화이트헤드 연구 Vol.26 No.-

        ‘몸학’이란 몸에 대한 연구를 일컫는 신조어이다. 몸학에서 말하는 몸은 신체와 동의어가 아니며, 신체를 포함해서 온우주와 맺고 있는 모든 관계들의 결합체를 몸으로서 이해한다. 몸이 있고서 관계를 맺는 게 아니라 오히려 관계 자체가 몸을 구성한다고 보는 것이다. ‘몸’이라는 단어는 우리말이지만, 본래 뜻은 신체와 정신이 결합된 통일체를 뜻한다. 신체와 정신을 분리시켜 이해하는 이원론적인 의미가 아니다. 그리고 몸학은 관계와 과정을 중요시한 화이트헤드의 유기체 철학을 사유의 가장 궁극적인 기초 배경으로 삼고 있다. 몸학에서 말하는 몸은 온우주와 맺고 있는 모든 관계들의 결합체로서 크게 5가지 유형의 관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그것은 신체형성의 관계층, 생활형성의 관계층, 세계사회형성의 관계층, 형이상학형성의 관계층, 한울(신)과의 관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는 각각 약어로 B층, L층, W층, M층, G층으로 표현된다. 우리의 몸은 이러한 5가지 주요 관계층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몸학은 몸의 통할적인 중추 작용을 담당하는 <몸얼>Momm-eol을 언급한다. 몸얼은 기존 담론의 자아, 마음, 의식, 영혼, 인격, 영 등등 이러한 개념들과도 그 뜻이 중첩될 수 있는 흡사한 점이 있다. 하지만 이원론적 의미는 결코 아니다. 몸얼은 몸의 수렴점이자 발산점으로서 몸 전체에 기반된 채로 매순간마다 창발하는 몸의 정점에 속한다. 그리고 몸학은 통섭이 아닌 <몸섭>Momm-sub을 추구한다. 우리가 몸으로 배우고 익히는 학문 역시 우리 자신의 몸을 구성하는 그 어떤 관계층에 관한 연구로 보는 것이다. 몸섭은 모든 학문과 연구들이 결국은 <몸에 의한, 몸을 위한, 몸의 연구>라는 통합적 전망 하에서 수행된다는 점을 의미해준다. 이러한 몸학은 화이트헤드 철학의 통합사상적 성격을 몸과 관련해서 적용해본 하나의 응용 시도로서 제안된, 사유의 실험적 모험에 지나지 않는다. ‘Mommics’ is neologism that means study of Momm. Momm is the nexus of all the relations existing in the Kosmos. What underlies the ontology of Mommics is the assumption that existence does not precede relation (between what exist) but existence itself is relation. ‘Momm’ is a Korean word, which can best be translated as ‘a human body’ in English. However, the tw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Momm includes both the physical and the mental aspects of human being, directly denying the dualistic understanding of existence. Mommics bases its theoretical framework on Whitehead`s organismic view of the world, in which relation and process play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the world. Momm consists of five different types of relational tiers: the body tier, the life tier, the world tier, the metaphysics tier, and the tier of God. Each tier is referred to B, L, W, M, and G tiers. In addition, Kosmommics refers to Momm-eol which plays a presiding central role of Momm. The meaning of Momm-eol overlaps with that of concepts like self, mind, consciousness, soul, personality, and spirit to a certain extent, but it is not dualistic in nature. It is the converging point and the diverging point of Momm at the same time. Also, it forms the substance of Momm, showing the property of emergence every moment. Through Mommics, every subfield of science (e.g. psychology, philosophy, politics, sociology, anthropology) can be naturally integrated into one in that all of them are about a certain tier of Momm. In this sense, the notion of consilience can be replaced by the notion of Momm-sub, which is the view that sees all the academic fields from the perspective of Mommics.

      • 동양학은 어떤 인간을 말하였나?

        김시천(Kim Si-Cheon) 예문동양사상연구원 2009 오늘의 동양사상 Vol.- No.20

        동아시아의 전통적 인간관, 특히 그 가운데 ‘몸’은 어떻게 이해되었을까? 우리는 그간 이러한 물음에 대해 주로 서구 혹은 근대적 인간 이해와 대조시키는 방식으로 논의해 왔다. 게다가 이러한 전통적 몸 이해를 구성하는 언어는 사실상 서구적 개념을 통해 논의되었다. 그래서 ‘몸’은 이성과 감성의 통일체이고, 정신과 육체가 합일된 나눌 수 없는 존재라고 이해되었다. 이것은 마치 ‘기氣’가 물질도 정신도 아니면서 물질이기도 하고 정신이기도 한 것이라고 말하는 논법과 닮았다. 이 글은 이러한 ‘몸’의 언어관에서 벗어나 전통적 용어를 다시 부활시키고자 하는 시도이다. 정신과 신체, 주관과 객관, 감성과 이성 등의 서구적 용어로부터 벗어나 문헌을 살펴보면, 그곳에는 인간을 표현하는 ‘칠규七竅’나 ‘구규九竅’와 같은 말과 만나고, 그 옆에서 우리는 ‘기’와 ‘정情’과 같은 말을 다시 살피게 된다. 유가나 도가라는 철학적 제약을 벗어나 공유되는 이러한 용어들은 우리의 몸과 우리 몸의 체험, 그리고 우리의 삶과 느낌이 담겨 있는 중요한 것들이다. 우리가 오늘날 전통적 ‘몸’ 이해를 시도한다는 것은 전통적 개념들을 근대적 용어로 번역하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말들이 담아내고자 했던 그 ‘체험’과 느낌을 회복하는 것이다. 천지와 천하라는 자연적 사회적 공간 속에서 식물처럼 유비되는 인간의 몸은 일곱 개의 구멍, 아홉 개의 구멍을 지닌 존재이다. 이 구멍을 따라 왕래하는 자연의 기운은 곧 우리몸의 기운이 되어 다시 몸 밖의 세계와 감응하는데 그것은 바로 ‘정情’이 된다. 우리가 철학에서 말하는 ‘칠정’이나 한의학에서 말하는 ‘구기九氣’는 우리 몸이 세계와 감응하는 양태를 표현하는 말들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보면 ‘기’는 우리 몸의 감응의 장에서 일어나는 ‘느낌의 언어’이며, ‘정’은 우리가 살아있음의 표현이다. 그리고 이러한 말들은 비록 우리가 잊었으나 우리 몸은 아직 그렇게 느끼고 살아가고 있다. 잃어버린 언어를 우리의 몸의 느낌과 연결시키는 작업, 그것이 곧 전통적 ‘몸’ 이해로 가는 가장 손쉬운 지름길은 아닐까 하고 이 글은 조용히 묻고자 한다.

      • KCI등재

        앙리의 몸 철학과 후기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과 키아슴

        이은정 ( Lee Eun Jeong )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문화 Vol.0 No.13

        이 논문은 앙리의 몸 철학이 갖는 철학적 의의를 조명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앙리는 우리 몸을 주체의 몸(살), 기관의 몸(고유한 몸), 초월의 몸(대상의 몸)으로 나눠 볼 것을 제안한다. 주체의 몸이나 초월의 몸은 이미 어느 정도 익숙한 용어이다. 그러나 그 밖에 기관의 몸을 두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 셋은 서로 어떻게 갈리고 나뉘는가? 주체의 몸이란 용어는 아주 새롭지만은 않다. 우리는 그 용어를 메를로-퐁티에게서도 만난다. 그러나 메를로-퐁티는 앙리와 달리 주체의 몸을 그 자체로서 생각하고 철학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지 않았다. 우리는 이 논문에서 앙리의 몸 철학과 메를로-퐁티의 몸 철학 사이 근본적으로 존재하는 다른 점을 철저히 규명하고자 하지 않았다. 앙리의 관점에서 후기 메를로-퐁티의 살 개념이나 키아슴이 갖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비판하는데 이 논문은 그친다. Cette thèse vise à rendre compte de la portée philosophique que peut avoir la pensée de Henry sur le corps. Henry propose à distinguer notre corps en trois, à savoir corps subjectif(chair), corps organique(corps propre), corps transcendant(corps objecif). Corps subjectif et corps trqnscendant sont des termes plus ou moins rendus familiers. Or pourquoi ce corps organique? Comment ces trois crops se distinguent-ils et se diversent-ils les uns des autres? Corps subjectif n'est pas tout à fait nouveau. Nous rencontrons le terme chez Merleau-Ponty aussi. Mais ce dernier à la différence de Henry ne considère pas le corps subjectif en tant que tel et ne tente pas de l'éclaircir philosophiqument. Nous n'avons pas tenté dans cette thèse de rendre lumière systèmatiquement à la différence qui existe fondamentalement entre la philosophie du corps chez Henry et celle chez Merleau-Ponty. De la perspective henryenne, notre thèse s'est contentée de rendre manifestes des problèmes que peuvent avoir le concept de la chair et le chiasme chez le dernier Merleau-Ponty.

      • KCI등재후보

        ‘몸의 정치학’ 패러다임의 탐색

        정복철(Bok-Cheol Jeo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08 OUGHTOPIA Vol.23 No.2

        이 글은 최근 정치학 분야에서 전개되고 있는 ‘몸의 정치학’ 관점에서 유학과 한의학이 착종된 유의(儒醫) 전통의 몸 담론을 살펴보고 조선 후기 이제마의 사상(四象)철학의 위상을 조명하고자 한다. 윤리와 인성 그리고 몸에 관한 이론들은 모두가 인간의 삶과 생활에 관한 담론이라는 측면에서 동일한 토대를 점유하고 있다. 특히 인간-몸-에 관한 정치담론으로서의 윤리론은 인성론과의 관계를 통하여 몸의 외면적 경향과 내면적 성향이 상호보족, 통일됨으로써 현실적 인간으로 현상화된다는 측면에서 ‘몸의 정치학’적 의미를 지니게 된다. 따라서 동아시아 전통의 유의 및 조선조 최후의 유의였던 이제마의 사상론에서 몸의 정치학을 추리해내어 윤리공동체적 함의를 발견한다는 것은 장구했던 동아시아 학문전통에 있어서 한의학과 유학 등의 몸에 관한 사유들의 변화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독특한 담론적 위상과 의의를 드러내는 것을 뜻한다. 이제마는 위계적인 예치공동체에서 상징화된 리(理) ? 기(氣) 담론으로부터 본원적인 유학정신으로 선회하여, 일상적 인간이라면 누구든지 각각 그 성품의 장단(長短)과 선악의 호오(好惡)의 가능성을 필연적으로 타고난다는 상호평등의 수평적 인간관에 입각한 체질[몸-질서]로서의 생활공동체, 즉 생활세계의 새로운 윤리공동체 담론으로서 사상학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Rui-Yi(儒醫) Confucian medicine as a new political philosophy. Especially it is considering the Philosophy of Body-Politics, the notion of which was formulated quite uniquely according to the Confucianism and Oriental medicine. The Thought found in the Rui-Yi(儒醫) is the Ren(仁). In the tradition of Rui-Yi the human existence was understood not only medically but also as medical objection. This became the basic idea of East Asian medical science. This article discusse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idea of ethics, humanity, and body. Theories on ethics, humanity, or body all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e sense that they all deal with the question of human life. This historical significance is then applied to the philosophy of Four-Constitution(四象) of Lee Je-ma as the last scholar of Sung-Confucianism( 性理學) and a physician of oriental medicine in Chosun dynasty, for its potential as the politics of body to be verified as to its politicophilosophical meaning. Lee Je-ma appears to have thought that if the aspect of daily life is determined ultimately by the structural form of discourse, it is more important to displace an unequal social class structure to an equal structure in terms of discourse theory than to consider the contemporary condition of an equal feudal class structure forced as the ground of daily life in general.

      • KCI등재

        현상학적 관점을 통해 바라본 '몸'의 존재론적 지위와 체육교육

        함명환,유지은,류태호 한국체육교육학회 202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6

        목적: 체육에서 ‘몸’이 가지고 있는 존재론적 지위를 현상학적 입장에서 철학적으로 탐색함으로써 체육의 목표를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형으로 나누는 목표설정에 대하여 재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현상학과 존재론에 대한 철학적 입장에 대한 이론적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된 주요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해당 철학적 관점에서의 ‘몸’의 지위와 현 체육교육에서 가질 수 있는 의의를 논증하였다. 결과: 체육에서의 ‘몸’ 의 지위를 샤르트르의 현상학적 입장과 존재론으로 바라보았을 때 본질로서의 ‘몸’은창조되어야 하는 주체이자 객체이다. 이러한 철학적 시각에서 피투(彼投)된 ‘몸’은 사실성과 현재성을 의미하고 기투(企投)된 ‘몸’은 존재론적인 인식을 가능하게 해준다. 피투와 기투 사이에서의 ‘몸’의 인식은 ‘몸’을 다차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시한다. 창조되어야 하는 주체이자 객체로서의 ‘몸’과 기투와 피투사이에서의 ‘몸’에 대한 인식은 모두 ‘’ 교육으로 수렴될 수 있으며 현재의 체육교육에서 ‘몸’의 지위를 철학적으로 탐색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결론: ‘몸’에 대한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인식은 체육의 단순한 영역형 목표에서 확장되는 새로운 ‘몸’의 지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다차원적인 체육교육의 가능성을 가지고 올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hilosophically explore the status of the 'body' in physical education from a phenomenological ontological perspective, thereby reevaluating the traditional division of physical education objectives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 types. Method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phenomenology and ontology,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he 'body' in physical education from these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applies this understanding to argue for the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Results: When viewed through Sartre's phenomenological ontology, the 'body' as an essence in physical education emerges as both a subject that needs to be created and an object. From this philosophical viewpoint, the 'Geworfenheit' (彼投) 'body' signifies facticity and presentness, while the 'Entwurf' (企投) 'body' enables ontological recogn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body' between 'Geworfenheit' and 'projectedness' offers an expanded perspective for a multidimensional comprehension of the 'body.' The recognition of the 'body' as a subject to be created and as an object between 'Geworfenheit' and 'Entwurf' can converge into 'body' education and will provide critical insights for exploring the philosophical status of the 'body' in current physical education. Conclusion: The perception of the 'body' from a phenomenological ontological standpoint can extend beyond the simplistic domain-specific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offering a new status for the 'body' and the potential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몸, 춤 그리고 춤 만들기에 대한 일 고찰

        한혜주,조기숙 한국연기예술학회 2022 연기예술연구 Vol.27 No.3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n exploration of what Soma is, what dance is, and what it is to make dance. The starting point was looking at how existing dichotomy influences our understanding of Soma and limits our knowledge of dance. The main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e Based Research(PB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oma is not a sub-concept of the mind, it is not passive. The researcher considered Soma to be a holistic subject that permeates intelligence, emotion, spirituality and continuity. Secondly, we must break free from trying to consciously reproduce what we think dance is. Through the process of dance, we must empty ourselves of emotions, thoughts, desires etc to be able to solely focus on the dancer's Soma and the viewer's Soma. Through belief in one's Soma and life, Soma's becomes one in subjectivity and creativity and thus the body's movement becomes a way for creative life. Finally, in dance making, the priority is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For this, we explored communication with the earth and vitality creation. In this sense, the dancing Soma can bring about cosmic enlightenment at the same time as the emergence of vitality. If this process takes place, you will learn to love others by looking back on your life in dance making and dancing. Dance, through efficient movement, is a path to reach sincere emotions, deep sentiments and energetic vitality. If dance can understand the providence of the universe, heal mankind, and help gain enlightenment,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dance has the power to save humanity. As holistic beings, our understanding of Soma, dancing and dance helps our appreciation of both the "here and now" and vitality. I hope this study will be a small reference in terms of expanding understanding of Soma and dance. 본 연구는 몸이란 무엇이고 춤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춤을 만드는 것은 어떤 것인지를 탐구한 결과이다. 이는 기존의 이분법의 영향으로 인해 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과 춤에 대한 제한적 이해에 대한 문제 제기로 시작되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체험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몸은 정신의 하위 개념이 아니고 수동적이지도 않으며 몸이 바로 인간이라는 총체적 관점을 고찰하였다. 몸은 지성, 감성, 영성이 스며들어 있는 총체적(holistic)인 주체라는 것과 몸은 생명의 몸으로 존재하며 생명이 있는 한 움직인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둘째, 춤이란 무엇인가를 의식적으로 재현하려는 노력을 벗어 버려야 한다는 점이다. 춤추는 과정에서 자신의 감정, 생각, 욕망 등을 없애야 춤추는 스스로의 몸과 춤을 감상하는 관람자의 몸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몸과 생명을 믿음으로써, 그 몸이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하나의 인격이 되어 결과적으로 몸의 움직임이 생기를 창출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셋째, 춤 만들기에서는 우선적으로 중요한 것은 시·공간에서 춤 만들기의 개념이다. 이를 위해 지구적 소통과 생기 창출의 중요성을 탐구하였고, 이런 측면에서는 춤추는 몸은 생기를 창발시키는 동시에 이 과정에서 우주적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이런 과정이 진행된다면 춤 만들기, 춤추기를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게 되고 타인을 이해하는 길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춤은 효율적인 움직임을 통해 진실된 감정, 깊은 정서, 힘찬 생기를 창출해내는 길이다. 춤으로 우주의 섭리를 이해하고, 인류를 치유하고, 삶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면 춤에는 인류를 구원할 힘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총체적 생명체로서 몸에 대한 이해, 춤추기, 춤 만들기는 ‘지금여기’의 소중함을 깨닫고 생기를 통하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몸과 춤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측면에서 자그마한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기반한 안무자의 작품분석: 무용작품 < Walk >를 중심으로<sup>+</sup>

        조정희 ( Jo Junghee ),조기숙 ( Cho Kis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5 No.-

        이 논문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에 의거하여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자의 박사학위 졸업 작품인 < Walk >를 분석한 것이다. 춤을 추는 무용수들이 자신의 춤추는 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무용수들이 자신의 몸을 자각하면서 동작을 할 경우에 몸의 주체성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혔다. 본 논문의 연구법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과 `무용분석법`을 통합해서 사용하였다. `실기기반연구법`을 기반으로 무용작품 < Walk >를 구상부터 연습과정을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구축한 연습노트와 몸의 체험 자료(Somatic data)를 기반으로 작품에 참여한 무용수의 `몸 주체성`에 관한 인식을 탐구하였다. 작품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애드쉐드(Janet Adshead-Lansdale)의 무용분석법을 토대로 작품의 여러 가지 요인들의 연결과 맥락 속에서 무용수의 `몸 주체성`에 관한 인식을 추출 해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수가 안무자가 제시하는 동작을 수동적으로 수행할 때와 무용수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몸을 자각하면서 움직일 때 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현격하게 드러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무용수가 주체적으로 동작을 실행했을 때 몸에 대한 감각이 풍부해지고 무용에 대한 자신감도 생겼다. < Walk >의 무용수들은 `몸 주체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몸을 느끼는 속도의 개인차는 있었지만 6명의 무용수 모두 그 작품에 참여하며 몸 주체성을 체험하였다. `몸 주체성` 이라는 새로운 인식과 감각의 체험은 무용수들에게 무용예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였고 보다 창조적인 동작을 구사하게 하는 성장도 이루게 했다. 본 연구가 구체적인 무용창작 현장에 적용되어 무용수들이 안무자가 가르치는 동작을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차원에서 머무르지 말고 그들 스스로 행하는 춤의 주인이 되게 하는데 유용한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analyzes my dance work, Walk. It is crucial that dancers, as the main agent of dance art, embody their dancing as real experience and recognize their dancing bodies. This research questions if dancers, when becoming the principal agents of their bodies, experience bodily subjectivity differently from what they feel when they passively dance. The methodology used for this study includes practice based research and dance analysis. In terms of literature research, we examined 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discourse of body in order to understand dancers` bodily subjectivity. Practice based research refers to a particular type of inquiry that interrogates the whol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from the conception to the performance. For this, we analyzed somatic data that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my dance work Walk in order to illuminate the changing recognition of bodily subjectivity. When it comes to dance analysis methodology, we adopted Janet Adshead-Lansdale`s dance analysis model. The research`s findings are as follows. dance works Walk adopted bodily exploration early in the stage of practice, dancers could move their bodies with more integrity. Dancers in Walk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depth of recognizing bodily subjectivity as well as of the speed of experiencing their bodies. However, as they gradually experienced their own bodies, they became more confident and showed progress in performing creative movements. These analyses indicate that dancers as well as artists can recognize their bodies as active and subjective when an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builds on. The dance field in Korea has shown little interest in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bodily subjectivity. we hope this research would stimulate further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 KCI등재

        몸의 기억과 자기 정체성

        공병혜(Byung-Hye Kon) 한국현상학회 2018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78 No.-

        몸의 기억은 일종의 암묵적 기억으로서 삶의 과정동안 형성된 지각습관과 운동 감각, 상황과 공간 경험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신체적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된 행위구조 속에 침전되어 평생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몸의 기억은 언제나 삶의 세계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개인이 살아온 삶의 역사가 담긴 자기 정체성의 근원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인격의 지속성은 주체가 스스로 기술한 자기 서사에서 확인되는 것이 아니라, 암묵적으로 침전된 개인의 역사가 현재화되는 몸의 기억에서 근본적으로 확인되는 것이다. 그래서 몸의 기억은 우리가 항상 되돌아가는 전반성적인 자기 신뢰의 지점이며 자기정체성의 기반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몸의 기억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는 특히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에게 세상에 대한 신뢰와 자기 자신에 대한 안정감을 되찾을 수 있는 돌봄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뇌졸중 환자의 회복 체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들은 몸의 회복이란 삶의 환경과 엮여 있는 생활습관, 가치관, 관심 등이 통합적으로 육화된 몸의 기억을 회복하는 데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몸의 기억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는 뇌졸중환자, 치매환자에서 뿐만이 아니라 몸의 회복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의료 실천현장에서 신체적 자기 정체성의 회복을 위한 돌봄의 실천 방향을 제시해준다고 여겨진다. Body memory comprise as implicit memory the acquired dispositions, skills, and habits that implicitly influence one’s present experience and behavior. This implicit memory is based on the habitual structure of the lived body, which connects us to the world through its operative intentionality. The body memory appears in different forms, which are classified as procedural, situational, intercorporeal, incorporative, pain, and traumatic memory. The structures accrued in body memory are an essential basis of our experience of self-identity. Body memory is the underlying carrier of our life history, and eventually of our whole being in the world. This unfolding or explication of body memory is particular importance for therapeutic approaches working with bodily experience. And even when dementia deprives a person of all of her explicit recollections, she still retains her bodily memory; The history of her life remains present in the memory of body. The health care giver are to provide her the suitable circumstances, under which her senses become the carriers of personal continuity, enduring memory of the body. Recovery for stroke survivors is not only recovery of the physical body but also recovery of the bodily habit. If health care giver are to assist and mobilize people to recover, they must know their past life history and provide them the familiar circumstances for the unfolding of the body memory (bodily habit) of the people they are caring for.

      • KCI등재

        몸인 세계, 세계인 몸 : 사르트르의 몸의 존재론

        이성환(Lee Sung-Hwan) 새한철학회 2008 哲學論叢 Vol.4 No.54

        이 논문의 목적은 사르트르의 몸의 존재론이 갖는 창의성을 밝혀 보여주는데 있다. 사르트르 이론이 갖는 창의성은 몸과 세계를 몸=세계, 세계=몸으로 해석하는데 있다. 그동안 몸은 단순히 하나의 육체로서 해석되어 왔다. 이 해석은 몸을 다른 사물들과 동일 선상에서 파악하게 하거나, 아니면 인식론의 출발점인 감각의 담지체로 이해하게 하였다. 그러나 몸에 관한 사르트르의 해석은 이와 같은 전통적인 관점에 정면으로 배치된다. 우리는 사르트르의 몸의 존재론를 알기 위해 사르트르의 의식의 존재론을 먼저 해명하면서, 의식과 몸의 상호관계가 인식론적 대립관계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한 존재의 두 얼굴인 것을 보여주고자 한다. 우리는 이로써 몸이 세계이고, 세계가 몸인 존재론의 토대를 얻게 된다. 사르트르는 의식의 존재론을 발판으로 몸이 단순히 물체로서의 육체이거나, 심리적인 담지체인 신체임을 부정한다. 몸은 의식이 도구사물 속에 확장되어 하나의 세계를 구축할 때, 그 세계를 구축하는 행위로서 나타난다. 그래서 몸은 실천 속에서만 드러날 뿐 인식론적 관점에서는 파악할 수 없다. 우리가 인식론적으로 파악하는 몸은 일상적으로 포착하는 육체로서의 몸과 심리적인 담지체인 몸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사르트르의 관점이 갖는 창의성을 이해하는 데 장애가 되는 상식적 인 관점이나 인식론적인 관점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음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자너의 사르트르의 몸에 관한 비판을 재 비판함으로써 이를 보여주고자 한다. 자너의 기본적인 관점이 인식론적이라는 것은 즉자존재에 관한 비판과 몸에 관한 이해가 사르트르가 부정하는 신체의 관점에 묶여 있다는 데서 확연히 드러난다. 자너는 사르트르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관점이 사르트르가 비판했던 인식론적인 태도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사르트르를 오해하고 말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