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중, 주말의 쇼핑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들에 관한 비교 연구: 복합쇼핑몰, 단독 입지형 백화점, 빅-박스 리테일러를 중심으로

        정광철(Kwang-Chol Jung),조성찬(Seong-Chan Jo),이훈영(Hoon-Young Lee) 한국유통학회 2019 流通硏究 Vol.24 No.3

        현재의 쇼핑목적지는 다양한 속성들이 공존하며 경쟁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적, 제도적, 쇼핑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주중과 주말의 쇼핑목적지가 교차 선택되는 구매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중과 주말의 복합쇼핑몰 및 단독 입지형 백화점(이하 백화점), 빅-박스 리테일러(Big-box retailers)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세대와 쇼핑목적지 특성 속성들을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중의 쇼핑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세대는 시니어 세대가 빅-박스 리테일러를 선택하는데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주중의 쇼핑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목적지 특성 속성들은 복합쇼핑몰이 즐길 거리의 다양성과 엔터테인먼트 시설의 구성정도 속성들에서, 백화점이 상품의 품질과 엔터테인먼트 시설의 구성정도 속성들에서, 빅-박스 리테일러는 고객 편의 시설 구성의 우수성과 편안한 휴게 공간 속성들에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주말의 쇼핑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세대는 밀레니얼 세대가 복합쇼핑몰을, X세대와 시니어 세대가 빅-박스 리테일러를 선택하는데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주말의 쇼핑목적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쇼핑목적지 특성 속성들은 복합 쇼핑몰이 즐길거리의 다양성과 엔터테인먼트 시설의 구성정도 속성들이, 백화점은 상품의 품질과 접근하기 편리한 입지 속성들이, 빅-박스 리테일러는 식음료 메뉴의 다양성 및 옴니채널 쇼핑 환경과 편안한 휴게 공간 속성들에서 주말 쇼핑목적지 선택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쇼핑목적지별 주중과 주말의 전략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한 농촌관광지 선택속성에 따른 선호도 비교 :

        김정헌(Kim Jung hun),손호기(Son Ho gi),김상범(Kim Song bum),조록환(Jo Lock hwa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7

        본 연구는 6차 산업화로 많은 농촌관광마을이 생겨남에 따라 도시민들은 본인의 요구에 맞으면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농촌관광마을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이에 선택속성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선택속성들을 독립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민들은 방문할 농촌관광지를 결정할 때 선택속성들을 하나하나 독립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선택속성들을 복합적으로 함께 고려하기 때문에 선택속성을 독립적으로 접근했을 경우와 복합적으로 접근했을 경우 선호 농촌관광지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더 효율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출발지 및 선택속성과 도시민들의 실제 방문지 간의 관계를 토대로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7년 도시민 농촌관광 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였고 속성들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사회 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선택속성을 독립적으로 접근했을 경우와 복합적으로 접근했을 경우 선호 농촌관광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시민들은 방문의사결정시 다양한 선택속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함을 반영하여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는 선택속성들을 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합한 방법임을 제시했다. 둘째, 출발지에 따라 실제방문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출발지의 도시민들의 방문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마케팅을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셋째, 선택속성에 따라 실제 방문지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지역의 특색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도시민들에게 결정적 속성을 제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As the 6th industrializat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many rural village tourism, there has been a wider choice of rural tourism that can meet the demands of the urban residents and satisfy their various needs. Studies on the selection attributes have been going on,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assessed the attributes independently. Since urban residents consider various selection attributes in a complex way, a more efficient approach has suggested in this study. It has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preferential rural tourism destination when the selection attributes are assessed independently or complex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re derived based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departure places, the selection attributes and the actual visitors places of urban residents. In order for this, the data of Survey on actual condition of urban residents rural tourism in 2016 has been used, and the social network that can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ributes has been analyzed.

      • KCI등재

        베트남 잠재 관광객의 한국 선택 영향요인 분석

        윤지환,정효숙,이영진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2

        Analysing tourists’ selective attributes about their travel destination in an international tourism field was essential for marketers in the destination marketing. According to the trend of strong Korean wave and the government policy of attracting tourists in East As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elective attributes influencing on behavioral intention of Vietnamese tourists in choosing their preferred tourist destination. For achieving goal of this,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selective attributes in tourism industry, types of selective attributes influencing on tourist behavioral intention were reviewed.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ies, most selective attributes have influenced touris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 on. By reviewing available studies, selective attributes as the influential factors to choose Korea were identified. In this paper, we dealt with 2 problems: These are ‘How to constitute Vietnamese selective attribute to choose Korea?’ and ‘What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ive attributes and th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 into Korea of Vietnamese?’. The questionnaire suggested in this study was constructed with 22 indicates of selective attributes to choose Korea, one indicated of tourist behavioral intention, and five indicated of demographic statistic characteristics. This survey studied 402 participants among 450 people who live in Hanoi and Ho Chi Minh in Vietnam.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mmon underlying dimension of the selective attributes of Korea. The result of Bartlett’s test of sphericity was significant, which showed non-zero correlation existed. The overall degree of reliability was above 0.900, which was well above the recommended threshold of sampling adequacy at the minimum of 0.50. These two tests suggested that the data was suitable for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t an analysis of causality, sinc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 was measured by bivariate variable, a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Vietnamese’ behavioral intention to choose Korea.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 selective attributes of Vietnamese latent tourists to choose Korea and correlation of selective attributes and behavioral intention. First, factors of selective attribute can be categori zed into four main constructs: the advanced technology experience, the attraction for resources of Korean tourism, the experience of shopping and Korean wave, the convenience of tourist attraction. Second, among them two factors-the advanced technology experiences and the attraction for resources of tourism-influence Vietnames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 of Korea in less than a year.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especially for the tourism industry suppliers of Korea to attract Vietnamese latent tourist into Korea. It is expected that industrial tourism which shows superiority of Korean enterprises will be getting popular to Vietnamese tourists. Also, climatic condition of Korea can attract them to visit Korea due to the fact that Vietnam is tropic region but Korea has four seasons. Especially, in Autumn, we can recommend them a colorful mountain, in winter, we can suggest them to go skiing. 국제관광에서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을 파악하는 것은 관광객 유치를 위해 효과적이다. 관광목적지 선택 시 고려요인 등의 파악은 관광 마케터들에게는 수익과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아시아국가의 방한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고 정부도 동남아 관광객 유치를 위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본 연구는 베트남 국민이 관광목적지로서 한국을 선택할 때 어떠한 선택속성의 영향을 받아 한국을 관광하고자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는 베트남 현지에서 호치민과 하노이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통해 베트남 잠재 관광객의 선택속성을 도출하였고 도출된 선택속성과 한국관광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로 베트남 국민의 한국 선택속성은 ‘선진기술체험’(기업 및 정부주관 박람회, IT 등 선진기술 체험관, 한국의 의료관광), ‘관광자원매력성’(아름다운 자연경관, 뚜렷한 사계절, 축제 및 이벤트, 역사적 유물 및 유적지, 스포츠 등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한류/쇼핑체험’(한류, 쇼핑의다양성), ‘관광지편의성’(숙박시설의 편의성, 여행비용, 관광지의 안전성, 관광지의 물가)의 4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선택속성과 한국 관광의도 인과관계에서 1년 이내에 한국 관광을 희망하는 집단은 선진기술체험과 관광자원매력성을 한국 선택의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베트남 관광객 유치를위해 마케팅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이 이미지,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 미국인 쿠바 잠재관광객을 중심으로 -

        장동석,Stanley Suboleski,이승훈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7 지역산업연구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influence of tourist attributes to perceived destination image and visit intention.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image and visit intention is assumed and also examined. Respondents from America (n = 307) completed tourism surveys on the perceptions of Cuba as a destination. Utilizing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s, study hypotheses were analyzed. Foremost,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xperiencing culture” factor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stination image. Additionally, the factors of “experiencing culture,” “attractions of aqua leisure,” and “language” have a notable impact on American tourists' intentions to visit Cuba. Finally, it was discovered that destination image has a measurable influence on visit intention as well. All hypotheses established in this study were either partially or fully supported. Future tourism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further explore the emergent tourism market in Cuba, as well as to further examine American tourist attitudes towards travel. It was determined that few Americans have enough knowledge about, or personal experiences involving Cuba as a tourist destination at the time of this study. Direct experiential studies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if the current United States political administration does not alter or revoke current Cuba travel policies.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이 이미지와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미국인을 대상으로 탐구한 것이다. 지금 미국과 쿠바는 지난 수십 년간의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우호관계로의 새로운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아직 미국인들의 쿠바관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지만 양국 간의 관계가 좀 더 진전된다면, 지리적인 접근성과 미국에서 가장 가까운 사회주의 국가라는 특이점과 함께 시가와 럼주 그리고 사계절 휴양이 가능한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가진 쿠바는 머지않은 장래에많은 미국인이 즐겨 찾는 인기 관광목적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관광지 선택속성의 측정을 통해 미국인들이 쿠바 방문을 고려할 때 어떤 요인들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고 주요 관광지 선택속성들이 쿠바 이미지 및 방문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관광지 선택속성 중 문화체험성 요인이 이미지에, 문화체험성과 해양관광매력 그리고 언어문제 요인이 방문의사에, 또한 이미지가 방문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래 북한의 관광 개방 상황을 준비하는 우리나라 관광 업계 및 정책당국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가 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 관광객만족의 구조적관계 연구

        김도훈 ( Do Hoon Kim ),김지흔 ( Ji Heun Kim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3

        본 연구는 관광객의 관광목적지 국가이미지와 선택속성에 따른 만족, 그리고 구전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관광객 모두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한쪽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양 국가의 관광객을 비교분석하여 관광객의 행동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관광목적지 국가이미지와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관련된 이론을 정리함으로서 연구의 흐름과 체계를 설정하고 측정항목을 개발하였으며, 아울러관련 연구 분야의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연구의 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고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대학생과 중국을 방문한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질문하는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국가이미지와 선택속성에 따른 만족과 구전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광객들의 만족 및 구전효과 향상에 필요한 개선방안 및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our destination image and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ts on the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emphasized on either side of Korea or China but this study analys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ourists from both countries by means of comparing their pattern. To achieve the study result, firstly, literature review on tour destination, country image and selection attributes were carried out to sort out theory and build a structural background of this study. Secondly, research model and relevant hypothesis were drawn from the structural background. Then empir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se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of tourists of both countries. Thirdly, suggestion and comments are to be offered based on the drawn fact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proved that a nation``s image becomes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evel of tourists`` satisfaction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This finding provides a valuable information to tour companies in establishing a promotional strategy to upgrade the overall image by offering a various information on the nation``s culture, history and tourist sites as well as offering information on the tour package and relevant company information.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해양관광목적지로서 섬 관광의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김병직,양위주 동북아관광학회 2020 동북아관광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ifestyle type on the island's selection attribute as coastal and marine tourism destin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causal model related to the lifestyle type and the attributes of the island tourist attraction was verified for tourists who have visited Jeju Island and Tsusima Island, which are representative island tourism destinations. For the empirical survey, this survey was conducted after a preliminary survey from September 1st to September 30th, 2018, and 500 samples were used as empirical analysis data for experienced visitor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The findings of the study resulted the lifestyle was divided into 4 types, such as leisure pursuit, pleasure pursuit, practical pursuit, and experience pursuit, and the island tourist attraction selection attributes consisted of cultural attractiveness, uniqueness, rationality/functionality, and eco-friendliness. In addition, there wa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ors. As a result of hypothesis verification, all of the lifestyle types and island tourism selection attributes showe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tailed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arine tourism promotion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ith islands from the viewpoint of convergence of urban tourism in the future as well as raising awareness of island tourism. 본 연구의 목적은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해양관광목적지인 섬 관광의 선택속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섬 관광목적지인 제주도와 대마도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섬 관광지 속성에 관한 인과모형을 검증하였다. 실증조사를 위해 2018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예비조사를 거쳐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방문 유경험자를대상으로 500부의 표본을 실증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3.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라이프스타일은 여가추구, 쾌락추구, 실용추구, 체험추구 등 4가지 유형으로 차원이 구분되었으며, 섬 관광지 선택속성은 문화매력성, 고유성, 합리성/기능성, 친환경성의 4가지차원으로 구성되었고, 또한 두 요인간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검증 결과,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섬 관광 선택속성 중 세부가설에서 모두 부분적으로 유의한영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섬 관광에 대한 인식제고와 아울러 향후 도시관광의 융합적 관점에서 중앙정부와 섬을 지닌 지방자치정부의 해양관광진흥정책 수립에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관광객의 해외여행 목적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현호 ( Lee Hyun-ho ),이훈영 ( Lee Hoon-young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9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국내 관광객들의 최근 해외여행 목적지 빈도를 분석 후 주요 6개 국가(지역)를 선정하고 관광객들의 여행목적에 따라 목적지 국가(지역)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관련 요인들 또한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를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본 모형의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관광목적지 빈도는 전체적인 수준에서 유럽(23.8%)을 선택한 관광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관광객들은 관광 현지시설 및 편의성, 쾌적성, 접근성에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국적 이미지를 추구하는 관광객들은 유럽(34.9%)을 선택한 관광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국적 이미지를 추구하는 관광객들은 접근성, 볼거리에 매력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의 관광지 평가도 참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연경관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은 북미(26.0%)를 선택한 관광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경관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은 접근성이나 시설 및 편의성이 불편하더라도 어느 정도 불편을 용인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화탐방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은 유럽(19.8%)을 선택한 관광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탐방을 추구하는 관광객들은 볼거리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관광지에 대한 타인의 평가, 교통의 편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휴양/휴식 추구형의 경우 한곳에 머물며 휴식을 취하기 때문에 관광의 요소보다는 좋은 자연환경을 배경으로 맛있는 음식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관광관련 많은 연구들은 관광지 선택속성, 만족도, 재방문의도, 구전의도, 이미지 결정인자 모형 등의 영향관계를 주로 분석하는 이론중심 연구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관광객들이 실질적인 관광 목적지를 선택하는 행동분석을 통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보다 정확하고, 현상에 맞는 세부적인 내용을 추출 후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6 major countries(region) after analyzing the frequency of recent overseas travel destination of domestic tourists, and analyzed how destination countries are affected by the travel purpose of tourists and characteristics of related factors using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First, most tourists selected Europe(23.8%) at the overall level for frequency of tourism destination that corresponds to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model. It was identified that tourists consider facilities, convenience, comfort, and accessibility important among destination attractiveness. Secondly, for instances of pursuing exotic image, most tourists selected Europe(34.9%) for frequency of tourism destination that corresponds to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model. It was identified that tourists consider accessibility and charm of attractions importantly among destination attractiveness and they refer to evaluation of tourist attractions of other people to a certain degree. Thirdly, for pursuit of natural landscape, most tourists selected North America(26.0%) for frequency of tourism destination that corresponds to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model. For natural landscape seeking type, it was identified that they tolerate a certain amount of inconvenience when they choose a good natural scenery even if accessibility is inconvenient and facility and convenience are somewhat poor.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y get affected by valuation of others for the destination. Fourthly, for pursuit of exploration of culture, most tourists selected Europe(19.8%) for frequency of tourism destination that corresponds to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model. For seeking type of exploration of culture, it was identified that tourists consider the charm of attractions most importantly and consider valuation of others for destination, flight time, and convenience of local traffic importantly as well. Fifthly, for rest/recreation pursuing type, most tourists selected Southeast Asia(26.1%) that corresponds to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model. For rest/recreation pursuing type, it was identified that they consider cleanliness and comfort most importantly followed by cheap travel expense, accessibility, facility, convenience, and charm of attractions. Also, rest/recreation pursuing type, it was identified that they consider delicious food with good natural environment more importantly than elements of tourism because they take a rest in one place. For individual tour(free individual tour), tourists considered valuation of others for the destination most importantly followed by the charm of local attractions. Many existing studies on tourism were theoretical research that mainly analyzed a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atisfaction level, intention to revisit, mouth-to-mouth intention, and a model of decision determination factor.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provided implications by extracting more accurate and detailed contents by progressing an empirical study through behavior analysis of tourists selecting actual tourism destination.

      • KCI등재
      • KCI등재

        여행업 종사자의 관광목적지 선택속성과 인식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정소영,박희정,장희정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최근 새로운 체험과 매력을 갈망하는 오늘날의 관광객들에게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새로운 컨셉의 관광목적지는 주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슬로시티는 그 자체가 색다른 관광목적지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그 효과 또한 검증되고 있다. 여행상품을 기획하고 정보제공 및 추천을 담당하는 여행업 관련 종사자들의 역할이 여행수요자들에게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슬로시티가 관광목적지로서 충분히 그 가치와 가능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 많은 여행업체 종사자들 대상의 슬로시티관련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행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관광목적지로서의 슬로시티 선택속성과 인식, 추천의도간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향후 슬로시티가 관광목적지로서 가지는 가능성과 적극적인 관광행동을 유발하기 위한 차별화된 상품개발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새로운 욕구를 추구하는 현대 관광객들을 위한 관광콘텐츠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A tourist destination where nature and people coexist is needed for today's tourists who crave for various new experiences and attractions. In this respect, Slow city has its attractiveness as a good tourist destination and its potentials are being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election attributes of slow city which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ourism professionals and finally to figure out its growth potential as a tourism destination. This study approaches and considers tourism industry worker's perception about slow city which previous studies have not been discussed. We examined that travel and tourism employees working on the tourism industry frontline, planning travel goods, providing information on tourist destinations, are less aware than the general public about slow city as a tourism dest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