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권기남,박성혜,임수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Business for the Elderly and find the measures to improve the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welve people in total were selected including eight participants of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Business for the Elderly, an aquarobics instructor, an administrator and two dong office staffs.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tex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turned out that the problems of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Business for the Elderly are worries about the cost, limited exercise programs, a lack of publicity and also a lack of continuation in participation after the service was terminated. Secondly, it was presented that the measures to improve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Business for the Elderly are differential support for the cost according to the income, introduction of various exercise programs, systematic publicity and service linkage for continued particip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참가자 8명과 아쿠아로빅 강사 1명, 행정담당 1 명, 동사무소 담당직원 2명으로 총 12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그리고 관련 자료 등을 수 집하여 이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텍스트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문제점은 참가회비의 부담감, 제한된 운동프로그램, 부족한 홍 보, 서비스 종료 후 지속적인 참여의 단절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형편에 있는 소 외계층 노인들이기에, 서비스 종료 후 참가회비로 인해 지속적인 서비스 참가에 부담을 느꼈으며, 운동프로그램 도 제한되어 있어 자신에게 맞는 운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 부족한 홍보로 인해 수혜자의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혜택 제공이 제한되고, 서비스 종료 후의 지속적인 운동 참가서비스가 마련되어있지 않아 운동이 단 절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었다. 둘째, 노인맞춤형 운동서비스 사업의 개선방안으로는 참가자들이 회비에 대한 부담이 감소될 수 있도록 대상자 소득수준별로 회비를 차등 지원하고,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참가자 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더 많은 소외계층의 노인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홍보가 제시되었다.

      • KCI우수등재

        맞춤운동과 키성장

        장호중(JangHo-jung),신현규(ShinHyun-gyu),김영수(KimYoung-soo)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으로 고민하는 학생들 및 학부모들을 위하여 바른 키성장을 위한 운동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고찰하여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시사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운동이 키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기존의 연구 및 보고서 등을 토대로 문헌을 고찰하여 종합적으로 논증하고 기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키성장에 있어서 성장호르몬 분비가 높아져야 키가 잘 자라는데 성장호르몬 및 성숙지연제 투여 주사, 키크기 수술(일리자로프 수술) 등의 인공적인 방법보다 운동이 자연적인 성장호르몬 분비를 높여주고 동시에 성장판을 자극하여 뼈의 길이 성장과 함께 근육의 단백질 합성을 촉진해서 뼈와 근육을 동시에 길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운동 중에서도 줄넘기, 농구 등의 특정한 어떤 종목이 아니라 과학적인 운동정밀검사를 통해서 운동의 강도, 시간, 방법, 시기를 그 사람에게 알맞게 결정한 맞춤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맞춤운동을 하게 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안정시보다 25~45배까지 증가하여 성장기의 학생들의 키성장을 더욱 촉진하게 된다. 맞춤운동은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유연성 운동을 기능적으로 조율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키성장 운동은 자신의 체력 수준에 따른 맞춤운동을 해야 스트레스와 상해를 방지하고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키성장과 함께 유산소 운동능력의 향상으로 빠른 피로회복과 면역력이 증가되어 몸을 싱싱하고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 바로 맞춤운동으로 운동을 자신의 몸에 최적화 한다면 운동이 곧 성장호르몬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d imply the information about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xercise accurately and upright for correct growth of height in short stature students and parents. This result was as follows; natural exercise was effects for production of growth hormone more than injection of growth hormones and ripening delay system, ilizarov method etc. Especially customized exercise through scientific exercise careful inspe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specific sports of jump rope and basketball etc. Customized exercise is the adapted to individually in strength, time, method, period of exercise. It was increase to 25~45 times production of growth hormone more than stability. Also it was to resolve aerobic exercise, muscles exercise, and flexibility exercise functionalize. In conclusion, growth of height exercise need to customized exercise as own physical fitness levels. Therefore short stature students can be fresh and health their body by customized exercise that to prevent of stress and injury, to promote of growth hormone for growth of height, to improve of 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to increase of fatigue recovery and immunity. Finally customized exercise is the growth hormone exactly.

      • KCI등재

        초경 이후 맞춤운동이 최종 키에 미치는 영향

        김영수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nal height growth on customized exercise after menarche of woman. Subjects were 13 who came to Growth and Health KINESS after menarche of woman for 2 years. They wer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Date were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one-way ANOV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As a results, after 1 year and 2 years, improvement of flexibility, knee joint extensor and flexor muscles function, trunk joint extensor muscles function, capacity for aerobic exercise, and height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improvement of trunk joint flexor muscles function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customized exercise and final height growth were correlation. In conclusion, although height growth after menarche was 5∼7cm generally until final height, results of this study was 9cm on height growth after customized exercise for 2 years. If the student who after menarche could customized exercise for improvement of flexibility, knee and trunk muscles function, capacity for aerobic exercise, etc, they can do 10cm or more final height after menarche. 이 연구의 목적은 초경 이후의 초등학교 및 중학교 여학생 13명을 2년간의 맞춤 운동을 실시하여 유연성, 다리 및 허리 근기능, 유산소운동능력 등의 변화가 최종 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사전, 1년 후, 2년 후 총 3번 측정하여 얻어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일원 반복측정 분산분석(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을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키 성장과 함께 허리 굴곡, 즉 복근을 제외한 유연성, 다리 신전 및 굴곡 근기능, 허리 신전 근기능, 유산소운동능력 등은 2년의 맞춤운동 후 증가 및 향상되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유연성, 다리 및 허리 근기능, 유산소운동능력 등의 맞춤운동은 키 성장에 영향을 미쳤고 최종 키에 유의한 효과를 미친 것으로 규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여학생들이 초경 이후 최종 키 성장 표준치는 약 5~7cm 인데, 이 연구 결과에서는 2년간 맞춤운동 후 약 9cm 내외의 성장 패턴을 보였다. 따라서 초경 이후 유연성, 다리 및 허리 근기능, 유산소운동능력 등의 맞춤운동을 실시한다면 최종 키를 초경 이후에도 10cm 내외 키울 수 있다고 결론하였다.

      • KCI우수등재

        무성장판기(NECP) 중고등학생들의 12개월간 맞춤운동이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장호중,신현규,김영수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성장판이 닫혀가거나 닫혔다고 진단받은 중고등학교 남학생 18명, 여학생 12명 총 30명을 12개월간의 맞춤 운동을 실시하여 유산소운동능력, 다리 및 허리 근기능, 유연성 등의 변화가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사전, 6개월 후, 12개월 후 총 3번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일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유연성, 다리 및 허리 신전 및 굴곡 근기능, 유산소운동능력, 키 성장 등은 12개월의 맞춤운동 실시 후에 증가 및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맞춤운동인 유산소운동능력, 다리 대퇴사두 및 대퇴이두 근기능, 허리 등근육 및 복근 근기능, 유연성 등은 키 성장에 영향을 미쳤고 키 성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성장판이 닫혀가거나 닫혔다고 진단받으면 최종 키는 1cm 내외 성장으로 예측되는데, 이 연구 결과에서는 12개월간 맞춤운동 후 약 2.2cm 내외의 성장 패턴을 보였다. 따라서 성장판이 닫혀가거나 닫혔다고 진단받은 중고등학생들은 성장판이 완전히 닫히지만 않았다면 유산소운동능력, 다리 및 허리 근기능, 유연성 등의 맞춤운동을 실시한다면 1년에 2cm 내외로 약 2년 동안 최종 키가 3cm 내외로 성장 가능하다고 결론하였다.

      • KCI등재

        맞춤형 놀이운동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들의 대근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재원,황민철,안나영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코칭능력개발지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 장애인들의 대근운동능력을 향상시키고자 개인별 맞춤형 놀이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이동기술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있다. 지적 장애인(n=13)을 대상으로 개인별 맞춤형 놀이운동프로그램군(MRE)과 일반 주간보호센터에서 운동시킨 그룹 통제군(MRC)으로 구분하여 주 1회 60분씩 12주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그룹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측정변인들에 대한 시기 간 검정하기 위하여 2-way ANOVA를 적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대응표본 t-test 및 독립 t-test 방법을 적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 .05를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운동수행능력의 변화는 이동운동능력과 물체조작능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맞춤형 놀이운동프로그램은 지적 장애인의 기본적인 스포츠 도구 활용 및 운동 기술에서 중요한영역인 물체조작능력은 개개인의 장애 정도와 유형에 맞춰 다양한 도구들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능력을 길러줌으로써 물체 조작기술이 많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동운동기술은 갤롭, 홉, 립을 제외한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슬라이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볼링, 빌리보, 스틱 놀이, 풍선 띄우기, 바운스 볼 등 다양한 하체의 움직임을 통해 참여자의 이동기술 능력을 촉진한 결과로 보인다. 그러므로 맞춤형 놀이운동프로그램 학습의 참가 집단은 비 참가 집단에 비해 이동운동기술과 물체 조작기술이 향상되었으며, 지적 장애인의 개별화 프로그램은 대근운동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맞춤형 신체매뉴얼 프로그램이 성인발달장애인의 지각-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전미현,김영숙 한국발달장애학회 2022 발달장애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의 기초적인 움직임과 신체운동 발달 그리고 개인별 지각능력과 운동능력을 고려한 맞춤형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지각-운동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맞춤형 신체매뉴얼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지각-운동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단일대상연구법 중 AB 연구 설계를 기초로 ‘기초선(2주) - 중재(12주) - 유지(2주)’ 단계 구성하여 총 16주 기간에 걸쳐 연구하였다. 발달장애인 맞춤형 신체매뉴얼 프로그램을 성인발달장애인 3명에게 개별 지도한 후 PaMA(perceptual and motor ability)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발달장애인의 지각-운동능력 향상 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성인발달장애인 A, B, C 3명 모두 신체지각능력, 공간지각능력, 방향지각능력, 시간지각능력 향상에서 ±2표준편차보다 월등히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이로써 발달장애인 맞춤형 신체매뉴얼 프로그램은 성인발달장애인의 지각-운동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움직임을 통한 신체기능 향상은 발달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과 자기적응력을 향상시켜 일상생활에서의 자신감과 자존감을 가질 수 있게 도와주고 인지능력 향상과 신체활동 치료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방문요양보호사를 활용한 재가 치매노인대상 방문 맞춤형 움직임 프로그램 구성요소

        홍미성(HongMisung)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5

        본 연구는 방문요양보호사를 활용한 치매노인을 위한 방문 맞춤형 움직임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델파이 방법을 이용하여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치매노인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고찰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치료전문가 8명, 치매전공 의사 2명, 노인운동전문가 5명, 요양보호전문가 5명 총 20명의 전문가 패널을 선정하였다. 1차 델파이 설문지는 내용분석을 하였고, 2, 3차 델파이 설문지는 5점 Likert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EXCEL 프로그램으로 핵심요소 항목별 평균, 표준편차, 사분위수 범위, 수렴도, 합의도, 내용타당도 비율(CVR)를 산출하였다. 전문가 패널들이 재가 치매노인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 구성 시 적합하다고 합의한 필요한 요소는 고려요소 6개, 필요요소 7개, 빈도 주 3회 1개, 시간 30분 1개, 운영방식 1개, 리듬표현운동 5개, 유산소 운동 4개, 근력운동 4개, 스트레칭 5개, 파트너운동 3개, 마사지 4개, 소도구 5개 등 총 46개 요소가 채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composition of the m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develop visit-customized movement program. For the study, 20 experts were selected including 8 dance therapists, 2 dementiaspecialized doctors, 5 physical education leaders of the elderly, and 5 geriatric care helpers. First Delphi data, which listed items, was used to analyze content. Second and third Delphi questionnaires, which evaluated importance in Likert scale, was used to calculate content validity rate, average, standard deviation, quartile, convergence degree, and concurrence degree of each composition. 46 core composition of m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which were selected and highlighted by the experts, were departmentalized into 6 considered compositions of movement program. 7 required composition of movement program, 1 Appropriate frequency of 3 times in a week and 1 30 minutes for each exercise, 1 operation method, 5 appropriate exercise of rhythm expression, 4 appropriate aerobic exercise, 4 appropriate muscle exercises, 5 appropriate stretches, 3 appropriate partner exercises 4 Appropriate massages, 5 appropriate tools

      • 중년 여성 대상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맞춤 운동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 운동 습관 형성을 위한 HCI 적 디자인 제안

        주미니나(Minina Ju),박채은(Chaieun Park),오창근(Chang-geun Oh),서석교(Seokko Seo),전용관(Justin Y Jeon),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남성에 비해 중년 여성에게서 발병 위험율이 20%나 높은 근감소증(Sarcopenia)은 예방과 신체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의료 기관 방문을 필수적으로 요한다. 이뿐만 아니라, 근감소증 비약물적 치료방식을 위한 맞춤형 운동 프로세스를 구상하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전문가의 개입이 필요하다. 이는 환자의 신체 능력을 판단하기에 많은 방해요소가 존재하며 의료 비용에 대한 부담도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중년 여성대상의 근감소증 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Re-Bone v2.0 을 제안한다. 나아가 근감소증은 완치가 되기 어려운 만성질환에 속하며 장기적인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자기 효능감과 운동 수행에 대한 동기(motivation)를 높이기 위한 HCI 와 디지털 헬스 분야의 융복합적 관점을 적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의료비용 부담을 줄이고 일상 생활 속에서 연속적인 데이터인 디지털 바이오마커를 수집하여 맞춤형 운동 프로세스를 구성하며 운동 동기 및 자기 효능감을 상승시킨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연구의 방향성을 확충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사용자 맞춤형 체간 재활 운동용 고정장치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이유진(Eugene Lee),박현주(Hyunju Park),구도훈(Dohoon Koo),이민영(Minyoung Lee),김은주(Eun Joo Kim),장영민(Young-min Jang),호승희(Seung Hee Ho),은선덕(Seon-deok Eun)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뇌졸중 장애인들은 사지뿐만 아니라 체간 근육의 편측 마비로 비대칭적인 자세를 만드는 등 일상생활의 기본이 되는 자세 조절에 심각한 장애를 가진다. 이들의 체간 재활을 위해 다양한 체간 재활운동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표준체형을 기반으로 디자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장애인들의 신체 기능과 요구사항을 반영한 맞춤형 체간 재활 운동용 고정장치 개발을 위해 포커스 그룹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필요한 요구사항을 수집 및 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 체간 고정장치, 좌석시트, 하지고정장치, 손잡이 부분에서 주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체간재활 운동기기를 개발할 때는 사용자별 다양한 신체조건과 장애로 인한 신체 기능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전병주(Jeon, Byeong Joo)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S시 등의 4개 지역에서 2012년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 24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서비스를 실시하기 전ㆍ후의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서비스의 참여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민성길 외(2000)가 개발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가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후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20.599, p<.001). 삶의 질에 대한 각 하위요인 중에서 '사회적 관계'영역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체적 건강'영역과 '환경'영역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신ㆍ심리적 건강'영역은 다소 상승하였으나, 서비스 참여 전ㆍ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서비스가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년층을 위한 사회서비스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지자체의 자율성을 강화하여 지역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내지는 영양 및 운동 등 복합적인 관리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하는 등의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242 old people over 65 years who continued to participate in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for Elderly' conducted as part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4 cities including S cit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tion by comparing their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In order to measure quality of life, it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QOL-BREF. The data assessment was made by SPSS 18.0 Ver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urned out as follow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turned out significantly improved as whole(p<.001). Looking into the sub-variables, we saw that 'social relationship' increased by 0.52, which showed greatest improvement among all the sub-factors. 'Physical health' and 'environment' were also see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by 0.46 and 0.09, respectively. Only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domain was increased slightly, it didn't turn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original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