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D 가상 패션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 개인맞춤형 백팩 디자인 중심으로 -

        조운선,최철용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3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3 No.4

        고도화되는 디지털 환경은 가방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쳐 새로운 프로세스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 의 목적은 3D 가상 패션디자인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가방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으로 디자인 프로세스 관련 문헌 연구와 디자인 실증을 혼합한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피오나 디펜바허의 프로세스는 개인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에 적합하고, 칼 에스펠룬드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팀워크의 디자인 정체성 확립, 데니스 앙투안의 디자인 프로세스는 맞춤형 디자인 솔루션에 적합 한 프로세스임을 분석하였다. 앙투안의 프로세스를 적용해 2D 가방 디자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를 수행함 으로써 개인맞춤형 백팩 디자인 프로세스로서의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우리는 3D 가상 시뮬레이션으 로 가방을 시각화함으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며,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3D 디자인 소프트 웨어의 활용은 디자인 개선 단계에서 효율적인 디자인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존 실무에서 실행되는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에 옵티텍스 3D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디자인 결정이 가능한 2D/3D를 활용한 가방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앞으로 가방 디자인의 가치를 높이는 연구 에 영향력을 주기 바라며 가방 디자인 시스템 구축에 기초가 되길 기대한다. The increasingly advanced digital environment is also affecting bag design, transforming it into a new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bag design process using 3D virtual fashion design software. We adopted a mixed method of design process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Fiona Defenbacher's process is suitable for creative design development by individual designers, Carl Espelund's design process establishes the design identity of teamwork, and Dennis Antoine’s process is suitable for customized design solutions. By applying Antoine's process to carry out a project to develop 2D bag design, it proved its efficiency as a personalized backpack design process. Second, we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s possible by visualizing the bag through 3D virtual simulation, and that the use of 3D design software in the bag design process is an efficient design tool in the design improvement stage. Third, we proposed a new bag design process using 2D/3D that enables fast and accurate design decisions by applying Optitex 3D software to the existing bag design process. The anticipated of impact of this research finding is to influence research that increases the value of bag design in the future, serving as the basis for building a bag design system.

      • KCI등재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의 형태 분석을 위한 디자인방법론 연구

        한상윤(Han, Sang Y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2

        장애인 용품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유니버설 디자인 (Universal Design)을 접목하여 디자인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사용자와 그 주위환경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는 사용자 중심 설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관점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기존의 프로세스와 선진 디자인 기업의 프로세스를 조사하여 분석방법을 강조한 장애인용품 특화 디자인프로세스를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뇌병변 손 장애인에 대한 고찰과 사용자 관점에서의 디자인 프로세스 체계화 구축을 위하여 논문, 기관의 보고서, 연구 자료 문헌들을 조사하였고, 기초 문헌 및 각종 연구 결과,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 프로세스 툴킷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사용자 중심의 심층적인 결과물이 도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 경험 디자인프로세스 연구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범위에는 뇌병변 손 장애의 정의 및 발생원인 분석, 사용자경험디자인 프로세스 사례조사, 사용자경험 중심의 디자인 전략 도출을 위한 방법론 조사와 디자인 프로세스 요소에 대한 설문자 및 분석, 그리고 손 장애인 신체 경험 중심의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이 포함되어진다. 디자인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현직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기존의 프로세스와 선진기업의 프로세스 요소들을 비교한 디자인특화 프로세스 관련 설문조사를 종합한 결과, 장애용품 디자인프로세스에서 리서치 및 문제점을 도출하는 단계에서의 각각 진단 및 분석이 63.7%, 사용자의 이해가 51%, 통찰포착이 57.3%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진 기업의 프로세스에서는 관찰 71% 지식과 상황에 대한 이해가 65%, 관찰 및 체험이 68%를 차지하고 있어 장애용품 디자인프로세스에서 이러한 단계들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체험사용자 중심 및 환경에 대하여 깊은 관찰과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이너 또는 엔지니어의 간접이 아닌 사용자와의 동일한 환경 및 조건에서 직접체험 단계로 구성하여 설정하였고, 이에 대한 단계별 평가 결과로 고객 저니 맵(Journey Map)에 대한 심도 있는 구성과 동일 환경 조건에 다양한 부류의 사용자 환경구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해야한다는 점이 분석되었다. 또 환경 조건에 대한 세분화된 체계의 필요성이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서 체험을 바탕으로 하는 프로세스의 활용은 관찰 또는 문헌자료에서 부족한 사용자와 제품 간의 인터랙션(Interaction)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발자에게 전달 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문제점을 제기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는 점이 분석 되어졌다. 이는 제품 개발 시 시너지 효과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개발된 프로세스를 적극 활용하여 시장에서 성공 가능한 사용자 중심의 특화된 선도형 디자인 프로세스로 발전 될 수 있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If we research the items for the disabled, its design process is combined with universal design but the in-depth research has not been well performed so the necessity of user centered design is suggested to satisfy the needs of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design process for the items of the disabled by researching the existing process and the process of advanced design company mainly with experience from the user’s view and emphasizing the analysis method. We considered the hand disabled with brain disorder, researched the thesis, the report by institutions and research data literature for the systematization of design process from the user’s view, performed the theological consideration for existing process tool kit based on basic data, various study results and development cases and analyzed the study cases of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to draw the user oriented intensive result. The range of study includes the definition of the hand disabled with brain disorder and its cause analysis, the case research of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the methodology research to draw the user experience centered design strategy, the survey and analysis about design process factors and the development of physical experience centered design process for the hand disabled. Targeting in-service designers who are actually involved in the design industry, we conducted the survey related to design specialization process in which the existing process and the process factors of advanced company and its results show that diagnosis and analysis takes up 63.7%, user’s understanding 51%, the insight capturing 57.3% at the stage which draws research and problems in the design process of items for the disabled. Also because the observation takes up 71%, the understanding for knowledge and situation 65% and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68%, we can know the importance of such a stage in the design process of items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in-depth observation and understanding for the user centered environment, we formed and set the direct experience stage under the same environment and conditions with users not by indirect way through designer or engineer, the stage specific evaluation results was analyzed that user environment forming for various groups should be figured out more accurately with the intensive configuration and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for customer journey map. Also the necessity for segmentalized system was represented fo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It was analyzed that the utilization of experience based process can effectively deliver the developer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products which can be not sufficient in the observation or literature, its structure can suggest another problem issue. It includes the implication that it can not only enhance the synergy effect during product development but also actively utilize the developed process so it can be advanced to the user centered specialized design process which can obtain the success in the market.

      • KCI등재

        IP DESIGN CONVERGENCE PROCESS 적용 컨설팅 유형 연구

        이민주(Lee, Min Ju),배순구(Bae, Sun Gu),정지나(Jeong, Ji Na)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디자인 및 지식재산권 융합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중소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증사례 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식재산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나 중소기업들은 인력, 비용 등의 여건으로 인해 지식재산권에 대한 분쟁에 노출되어 제품개발이 이뤄지는 현실이다. 이런 환경적 요인으로 디자인과 기술을 융합하는 선행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학제적 관점의 연구로 인한 실증적 컨설팅 적용에 한계점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 극복을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인 ‘디자인권 중심 지식재산권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를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에게 적용 가능한 "IP융합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를 적용한 중소기업컨설팅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IP 컨설팅의 유형 및 단계별 프로세스 유형을 분류,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특허융합 관련 사업 등에 IP 디자인 융합 프로세스를 적용하였으며, 44개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결과에 따라 선행 연구형, 성장형, 혁신형으로 유형을 분류하였다. 컨설팅 유형에 따른 적용 가능한 프로세스 유형을 디자인 특허동향 프로세스, 시나리오 도출 프로세스, 제품 문제해결 프로세스, 디자인 IP전략 도출 프로세스로 구분하였다. 적용 가능한 프로세스 유형에는 유형에 따라 적용되는 디자인융합 방법론을 통해 구성되었으며, 트리즈 융합방법론, 시나리오기반 특허도출방법론, 디자인 O/S 매트릭스 방법론 이 적용되었다. 연구 결과 사례를 통해 분석된 IP융합 컨설팅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유형별로 적용되는 프로세스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44개의 사례를 대상으로 한 분석 내용으로 향후 지속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IP융합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컨설팅 유형과 그에 따른 IP융합 프로세스, 융합 방법론 유형의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a positive research example of design process convergent with intellectual property (IP) for effective applying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with cognizing importance of this rising process. As the lawsuit between Apple Incorporated and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imited, recently, IP is rising critical factor for planning and developing new product,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fail frequently because they are not capable of sufficient advance verification of IP because they should make faster than major company can enough research and development(R&D) and managing IP. Although a bunch of research related with this situation is on progress, there is not suitable design consulting convergent with IP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and most of research is too academic and complicated to applying practical consulting.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advance research of process convergent with IP, type of ‘design process convergent with IP’ applicable for small and medium sized business is suggested and classified through case analysis of consulting. In conclusion, type of design process convergent with IP is classified advanced research, growth and innovation as business condition of company. Applicable type of process is confirmed as design IP trend process,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product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sign process convergent with IP.

      • KCI등재

        한국형 더블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이령(Lyoung Lee),최미경(Mi Kyung Cho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2

        제품 및 서비스 기업에서 자사 제품 혹은 서비스를 홍보하고 마케팅 하기 위한 수단으로 디자인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21세기 현재 디자인은 그 역할과 영역이 다양해졌다. 눈에 보이고 만져지는 유형의 제품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서비스, 경험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모든 환경에서 디자인의 역할이 요구된다. 디자인이 이러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서 기존의 유형화 된 제품 생산 만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 무형의 요소까지 디자인 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전체적인 관점의 디자인프로세스가 요구된다. 해외에서는 디자인의 영역이 이미 오래 전부터 창의적 디자인 사고를 중심으로 무형의 요소를 포함한 역할을 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디자인 영역이 아닌 총체적인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선형적으로 정리된 것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한다. 그러므로 좀 더 광범위한 디자인 영역을 아우르는 해외 선진 디자인 기업에서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인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프로세스``를 문헌 조사와 실제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그것을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지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함께 정리함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고와 사회, 문화 환경에 적합한 요인을 찾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디자인의 개념과 역할이 해외 선진국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해외 선진 디자인 기업들이 디자인의 좀 더 광범위한 역할인 사회문제를 해결하거나, 사람들의 유,무형의 경험을 디자인 할 때에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프로세스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무형의 경험이나 서비스 보다 유형의 결과물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프로세스인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 프로세스``의 효과성을 인정하고, 유무형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하도록 ``유형성`` 단계를 강화, 개선시킨 ``한국형 더블 다이아몬드 디자인프로세스``를 제시한다. 그러한 프로세스를 적용한 국내 성공 사례인 ``에너지절감 아파트관리비고지서 리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디자인 기업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임을 증명하였다. Products and services from companies marketing their products or services as a means to promote and design has been used. However. 21st century design that has become a variety of roles and areas. Palpable visible and invisible products of the type of service, experience, ranging from the human lives the role of design in all environments is required. Design in order to fulfill these roles, existing only for production of the typed portion of the design process are lacking include. Intangible elements that can be designed from a comprehensive, holistic view of the design process is required. In the design of offshore area has long been a center of creative thinking in design, including elements of intangible played a role. In this study, the overall design rather than a specific design area used in the project design process to be arranged linearly around the limited scope of the study. Therefore, more extensive international advanced design, corporate design, an area encompassing the design process, is used mainly in the ``double-diamond design process,`` a literature survey and practical case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in detail. In addition to its current design process in the country are used to wrap together the thinking of country people and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is to find the appropriate factors. The design concept and the role of our country abroad, and the difference is because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advanced international design firms design more extensive role, social problems, or people`s tangible and intangible experiences to design the time to use it effectively to the design process based on country appropriate for the environment as a process of transition is necessary. In Korea, more types of services and intangible experiences and tend to more important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design process, the services` double-diamond design process`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availability based on type of experience to design the environment to suit our country ``tangibles`` strengthening phase, led to improvements in Koreans` Double Diamond Design process` are presented. Applying such a process domestic success ``energy-saving apartments redesign expenses bill`` project design company based in Korea can be used effectively to prove that the design process.

      • KCI등재

        디자인프로세스를 활용한 공간 아이덴티티 개발 모델에 관한 연구

        이경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2

        This paper deals with a space identity development model using design process.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has defined the design process concept and studied various design process model. Second, the meaning of space design process was studied and concept definition was made. Third, it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of space design process for developing space identity. Finally, a conceptual model that can define space identity by applying design process to complex and various types of space is studied and presented. This study applied positivist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and various theoretical review to study design process and space identity. The research on space design process adopts indirect research method based on previous research data. 본 논고는 디자인프로세스를 활용한 공간 아이덴티티 개발 모델에 관한 것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프로세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외에 다양한 디자인프로세스 모델을 연구하였다. 둘째, 공간 디자인프로세스의 의미에 대해 연구하고 개념 정의를 하였다. 셋째, 공간 아이덴티티 개발을 위한 공간디자인프로세스 개념 모델을 연구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복합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공간에 디자인프로세스를 적용해 공간 아이덴티티를 정의할 수 있는 개념모델을 연구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프로세스와 공간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를 위해 관련 문헌 조사 및 다양한 이론적 고찰 등 실증주의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공간디자인프로세스에 대한 연구는 선행 연구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 간접적인 조사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프로세스의 다양한 모델들을 분석해 공간디자인 아이덴티티를 개발하는 방법과 적용 범위를 연구하는데 있다.

      • KCI등재

        창의적 디자인사고와 디자인 프로세스를 고려한 공간디자인 연구

        오미현 ( Oh Mi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 전공자의 창의적 교육 향상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창의적사고의 디자인방법이 공간디자인의 프로세스에서 어떠한 관계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창의적 디자인 사고방법이 고려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탐구하여 실행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창의적 사고와 디자인 방법론(프로세스)에 대한 이론 고찰을 시행하고 창의적 디자인사고를 고려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공간디자인 전공의 학생들에게 사용을 유도하고 척도법을 활용하여 수행능력을 살펴보았다. 시간적 범위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의 수행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6월까지 두 달에 걸쳐 학생들의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되었다. 피험자로는 46명의 공간디자인교육을 수행하는 학생들로 프로젝트의 종료 후 23명씩 이틀에 거쳐서 진행되었다. 피험자들에게 프로세스를 진행한 후 수행능력을 바탕으로 영역별 프로세스의 능력 정도를 평가한 후 피험자들이 어려운 과정을 살펴보고 대안방안을 모색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에서의 창의성은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무엇을 문제로 인식하느냐가 중요하며 이것을 우리는 디자인사고의 능력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디자인사고와 디자인 방법론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는 1단계로 공간 공감하기 2단계로 공간의 문제를 정의하기 3단계로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4단계는 공간을 표현하기 5단계는 디자인 결정 및 전달의 단계로 진행되었을 때 학생들의 수행 능력의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셋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공간을 정의, 즉 공간의 문제를 인지하는 능력이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정으로 창의적 능력향상이 요구된다. 이것은 디자인사고의 ‘문제 인식’의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공간의 문제 인식’ 에 해당하는 공간디자인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결과) 이를 위한 대안으로는 공간디자인커리큘럼의 기초과정에 학생들에게 ‘디자인사고’의 개념을 접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나 디자인사고의 방법인 ‘확산과 수렴’의 과정을 통하여 ‘문제 인식’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공간디자인 기획단계에서 ‘공간의 문제 인식’으로 연계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능력을 향상되게 할 것이다. 연구의 제한점은 피험자의 인원이 46명으로 한정되어 연구결과의 제시에 있어서 객관성이 다소 부족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약 2개월 이상이 소요되었다는 시간적 범위와 해당 과정이 정성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된 것을 고려하였을 때 본 연구의 방법과 결과는 공간디자인 교육의 기초토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적인 접근성을 유도하고 창의성이 기반이 된 디자인교육으로 공간디자인교육의 기초토대를 구축하는 연구의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creative education of those majoring in spatial design,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e creative thinking-based design methods with the spatial design process, and furthermore, explored the spatial design process that took the creative design thinking methods into consideration, and sought the implementation measures. (Methodology) For the scope of this study, theoretical examination of creative thinking and design methodology(process) was conducted, and the spatial design process that took the creative design thinking into consideration was proposed. (Results) The students majoring in spatial design were induced to use the proposed model, and their performance ability was evaluated by using the scaling method. For temporal scope, the spatial design process was carried out for 2 months from May to June, 2021 in parallel with students' pro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students partaking in the spatial design education which was performed for 2 days by each group comprised of 23 students after completion of project. After the process was implemented for the subjects, the ability of the subjects for the process by area was evaluated based on their performance ability. Then, the subjects examined difficult processes and explored alternative measure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recognized as problem in the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and resolution' takes on an importance for the creativity in the design, which can be considered the design thinking ability. Second, the spatial design processes, which took the design thinking and design methodology into consideration,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bility of students when those processes were carried out in 5 stages: the first stage involving the empathy with the space; the second stage for defining the problem of space; the third stage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space; the fourth stage for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 fifth stage for design decision and conveyance. Third, the ability to define the space, i.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problem of space, in the spatial design process, was found to present the greatest difficulty to students and required an improvement in the creative ability. As a solution to that, the basic course of spatial design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can be approached by students, and particularly, the 'problem recognition' ability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ivergence and convergence', a method for design thinking. Such results will be linked to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of space' in the spatial design planning stage, and ultimately,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spatial design process ability.

      • KCI등재

        데이터 의미 변화에 따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데이터 역할 및 활용 방향 제안

        이주연,정의철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2

        Background The design process is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user and suggesting a concept. In this process, various data are collected, analyzed, interpreted, and the design inspiration is obtained. In the traditional design process, data was regarded as a reference material, but as the design process gradually formed a view of viewing as a knowledge creation activity using data, attempts to utilize data as a material for design concept creation by utilizing various data collection technologie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role of data in the design proces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ts use. Methods Theoretical considerations such as the meaning of data in design and the concept of big data that played a big role in these semantic changes will be conducted as a literature study. Through a case study in data-driven design, we consider the process of using data as a creative material, and present a model that can conceptually explain the role of data in the design proces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data. Result The change in the direction in which data can be used in the design process due to changes in data roles and usage methods was proposed as the following two points. The process of data semantic evolution is reflected in the design process as it is, leading to a change in the design process, and this change in data utilization is leading to the evolution of user participation. Conclusion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changes in data utilization and its cases brought about by the evolution of the meaning of data in the design process, and redefined the changes in the design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basic study that can present a data utilization frame in future product and service projects. 연구배경 디자인 프로세스는 사용자를 이해하여 컨셉을 제안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해석하고 이를 통해 디자인 영감을 얻게 된다. 전통적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데이터는 참고자료로 간주가 되었으나, 점차 디자인 프로세스가 데이터를 활용한 지식 창조 활동으로 보는 관점이 형성되면서, 다양한 데이터 수집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디자인 컨셉 창작의 재료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데이터의 역할을 고찰하고 활용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디자인에서 데이터의 의미와 이러한 의미 변화에 큰 역할을 한 빅데이터의 개념 등의 이론적 고찰은 문헌 연구로 진행되며, 데이터 의미 변화에 따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데이터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4단계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데이터 기반 디자인에서의 사례 연구를 통해  데이터를 창작의 재료로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고찰하며 데이터 의미 변화에 따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데이터의 역할 변화를 개념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데이터 역할 및 활용 방법의 변화로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의 변화를 다음의 두 가지의 논점으로 제시하였다. 데이터 의미 진화 과정이 디자인 프로세스에 그대로 반영되어 디자인 프로세스의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 활용의 변화가 사용자 참여 형태의 진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프로세스에 있어서 데이터 의미의 진화가 가져온 데이터 활용의 변화와 그 사례를 살펴보고 디자인 프로세스의 변화를 데이터의 관점에서 재정의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제품, 서비스 프로젝트에서의 데이터 활용 프레임웤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위한 디지털 융합 디자인 프로세스 합리화 과정에 관한 연구

        최용혁(Choi, Yong Hyu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이용한 형상 표현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하여 새로운 조형 창작을 위한 기반을 넓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초기 단계부터 제품 제작을 고려한 통합적 디자인프로세스 체계를 세우기 위한 개념 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통합적 접근의 한 부분으로 합리화 개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제품 제작 공정에 디지털 패브이케이션 적용을 위한 통합적 프로세스 구축에 대한 실험적 연구로서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1) Generate – Explore - Fabricate 세 단계로 구성되는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단계별 기술적 특성을 살펴본다. 2) 디지털 제작을 위한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에 대해 알아보고 통합적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프로세스에 관해 알아본다. 3) 통합적 프로세스 구축을 위한 합리화 과정을 적용한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모형을 도출한다. 4) 연구모형을 디자인 과정에 적용한 문손잡이 사례를 제작하였다. 사례 연구에 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한 결과 생성-합리화-제작의 프로세스는 단방향의 일련 적인 흐름이 아닌 단계 간 공유와 소통의 과정이며 상호보완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합리화 과정은 의도된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해 제품 제작에 사용할 디지털 제작 도구의 특성을 이해하고, 입력 파일에 대한 요구사항의 정의와 이와 관련된 메타데이터의 표준화를 위한 상호 보완성을 바탕으로 한 순환 프로세스로 요약할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shapes using digital fabrication is purposed to make better efficiency and systematically applied to the design process to broaden the foundation for the creation of new shapes. To this end, the aim was to present a conceptual model for establishing an integrated design process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product production from the early stages of design, and rationalized concepts as part of an integrated approach.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on building an integrated process for applying digital fabrication to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looking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step-by-step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design process, which consists of 1)generate-Explore-Fabricate three phases. 2)Learn about digital fabrication for digital production and learn about the integrated digital fabrication process. 3)Derive a design process research model that applies a Optimization proces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rocess. 4)We produced a doorknob case that applied a research model to the design process. The process of producing results by applying the design process to case studies - optimization - the process of production is a process of shar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steps, not a serial flow of one-way, and can be called a complementary process. Thus, the Optimization process in the digital design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a circular process based on the reciprocal complementarity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production tools used in the product production to maintain the intended design, and the definition of requirements for the input file a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associated metadata.

      • KCI등재

        디자인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변천 과정 연구 (①산업 혁명, ②디지털 제품 등장, ③복잡한 환경 요소를 중심으로)

        송유미 ( Yoo Mee Song ),유현정(교신저자) ( Hyun Jung Yu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디자인 프로세스는 디자인사 연구로 진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디자인하는 과정을 문서상으로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분석한 자료가 많지 않으며 더욱이 디자인 프로세스의 전체적인 발전 과정을 소개하는 연구 자료도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 프로세스의 변천 과정을 사회현상학적 측면에서 디자인 패러다임과 결부시켜 시대별 특성과 발전 경향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프로세스를 산업 혁명 이전, 산업 혁명 이후, 디지털 제품 등장, 21세기 복잡한 환경 요소 출현 등 패러다임에 영향을 준 사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예를 중심으로 발전했던 산업 혁명 이전에는 디자인 문제가 복잡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렇다할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산업 혁명 이후 디자인과정도 과학화되어야 한다는 디자이너들의 자각에 의해 디자인 프로세스가 체계화되기 시작하였고, 1970년대 이후퍼스널 컴퓨터, 휴대폰, 웹 등의 등장으로 디자인 산출물, 사용자 성향이 급격하게 변화하면서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사용자 중심 방법론들이 지속적으로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21세기에 이르러 제품이 서비스, 플랫폼과 결합하면서, 프로세스는 통합적 차원에서의 경험을 고려하면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자이너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사고를 하면서도 제품과 제품 환경, 플랫폼과 생태계, 서비스 접점과 전체 시스템 동작 구조 등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통합적 사고 기반 방법론들을 꾸준히 연구해야 한다. 본 연구가 디자이너들이 디자인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향후 디자인 프로세스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esign process is difficult to proceed into the study of design history, due to its practical and tacit-intellectual characteristic. For design products, there are many historical resources. However, for the design process, there is not much documentary data that systematically records and analyzes design processes and methodologies. Moreo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data that introduces an overall development process of the design process.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ition of the overall design process from the socio-phenomenal aspect. First, I assumed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age-specific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trends of the design process by associating the transition of the design process with the design paradigm. I investigated what the social atmosphere of each era was and the nature of the processes that were attempted in the social atmosphere, and which major historical events influenced the design paradigm (the selected events: pre-Industrial Revolution, post-Industrial Revolution, emergence of digital products and emergence of the 21st century``s complex environmental factors), after that, I collected design process cases of each era, and analyzed a pattern in the chang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enrich the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design, design history and design process, and help designers choose a better design process and develop future design processes.

      • KCI등재

        공공 건축을 위한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박남용(Park, Nam Yong),이경형(Lee, Gyeong Hyeong),고인룡(Koh, In Ly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건축물은 이용자는 물론 그 건축물이 들어서는 지역과 공동체에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설계 과정에서 직⋅간접으로 다양한 지역 공동체(커뮤니티)들을 참여시키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 왔으나, 참여의 대상과 수단이 제한적이며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건축물의 설계과정에 커뮤니티의 참여를 전제로 체계적인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분야의 공적 가치와 참여 디자인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공공성’과 관련한 문헌(학위 및 학술 논문, 연구 보고서, 단행본)을 고찰 하였다. 둘째, 국내 건축분야에서 참여 디자인의 동향과 프로세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실제 적용 사례를 발표한 10년 이내의 관련 연구 문헌(국내 학위 및 학술 연구 문헌)을 수집(총 30개)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셋째, 국내 공공 건축을 위한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참여 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국외 모범적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국내 적용사례에서 분석된 보편적 경향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건축분야에서 참여 디자인의 적용이 특정 시설(교육연구시설)에 편중되어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공공성’에 부합되는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의 사례가 다양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둘째, 교육연구시설을 중심으로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와 참여 기법이 다양화되고는 있으나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는 프로세스의 진행 기준과 기법이 혼재(混在)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국내적용 사례의 분석내용을 종합하고 Henry Sanoff의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국내 공공건축을 위한 커뮤니티 참여 디자인 프로세스(10단계)와 단계별 참여 기법을 체계적으로 제안하였다. Users of the structure affects the local community that the buildings are subjected. Directly in the design process so far, been pushing for this plan came to engage indirectly in different communities, the destination and means of participation is limited and has been made into a pas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ystematic,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 pre-planning for community involvement in the design process of a public building. For research of the paper, the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accentuate value and necessity of public participation in the design, Architecture and related fields "publicness" literature(degrees and dissertation, research reports, edition) was investigated. Second, the domestic collecting relevant literature(domestic degree and academic literature) within 10 years presentation a practical application example to identify the issues of trends and processes of participatory design in architectural field(total of 30) and analyze the information, It was. Third, in order to present the processes and techniques involved in community participation designed for domestic public architecture analyzing the exemplary participation of foreign design process and compared with the general trend on the domestic application cas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design in the domestic architectural field is concentrated in specific facilities(education research facility) has been limited progress, the case of community involvement designs that meet the "public service" was the inability to find diverse. Second, education and research facilities focusing on participation and participatory design processes and techniques to diversify, but found that, except for some cases and the progress of the process, criteria and techniques are mixed. Thir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domestic cases, and apply the design process as compared to the participation of Henry Sanoff proposed a community participatory design process(step 10), and step-by-step participation scheme for the domestic public architecture systemat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