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자인 지식경영의 이론적 프레임웍에 관한 기초연구

        서홍석 한국기초조형학회 2003 기초조형학연구 Vol.4 No.1

        세계는 지금 IT(Information Technology)혁명에 의한 과도기적 정보화사회를 넘어 지식을 중심으로 한 고도의 지적 창의력과 아이디어, 상상력 등이 결합된 소프트적 노하우로 고부가가치의 무형자산을 창출하는 지식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는 기업 및 조직의 경영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식을 중심으로 한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분야에서는 지식경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실무적인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자인적 맥락에서 지식경영의 이론체계를 마련하고, 고부가가치의 지식창출을 위한 지식기반 디자인 경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디자인 조직이 지식사회에서 오피니언 리더 그룹으로서 지속적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솔루션(Solution)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디자인 경영의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는 지식경영에 대한 개념을 디자인적 맥락에서 재해석·재정립하고, 디자인에 적합한 지식경영과 지식경영시스템의 이론적 프레임웍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로서 지식경영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디자인에 적합한 지식경영 구축 방안과 디자인 지식경영시스템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디자인 지식경영시스템의 지식의 종류를 크게 전략적 지식, 관리활동지식, 문제해결지식으로 구성하였으며, 디자인 지식경영시스템의 기술적 특성을 정보기술측면에서 분석하였다. This is for building knowledge-based design paradigm to correspond to the knowledge society through the knowledge management for desig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ramework of knowledge management for design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framework of knowledge-based design management developed in this paper is based on six components :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nowledge designer, leadership of CDO, strategy, culture, evaluation and reward system.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can be divided into four factors : design infra system,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decision making support system and knowledge competency system. The knowledge for management system for design should store three types of knowledge : knowledge for management activity, knowledge for strategic analysis and knowledge for problem solving. Finally, The technical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lso examined in terms of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디자인경영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이진렬 ( Jin Ryoel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디자인경영수준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일부 기존 연구에서 기업의 디자인개발이 미시적인 관점에서 매출액에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고 있다고는 하나 포괄적인 관점에서 디자인경영이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기존 연구고찰을 통해 기업의 디자인경영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 가능한 31개의 요소를 선정하였으며, 디자인경영성과를 분석하기 위한 척도로 유동자산증가율, 자산증가율, 순이익증가율, 투자수익율, 매출액증가율의 8개 지표가 선정되었다. 아울러 실제 50개 기업의 실증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해 기업의 디자인경영수준이 유동자산증가율, 자산증가율, 순이익증가율, 투자수익율, 매출액증가율 등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디자인경영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동자산증가율, 자산증가율, 순이익증가율, 투자수익율, 매출액증가율와 같은 기업경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낮은 디자인경영수준의 기업보다 높은 디자인경영수준의 기업에서 디자인경영이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디자인경영이 매출액과 유동자산을 증가시키고 궁극적으로 기업의 순이익증가율과 수자수익율 및 자산증가율을 확대시키는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기업들에게 디자인경영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향후 기업의 디자인경영도입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he level of design management of SMEs affects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Even 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on the effects on sales of design development of corporations, few study has proved the comprehensive effect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of design management. Based on vast range of existing researches regarding design management, total 31 factors regarding the measurement of design management level were selected. And 8 measurements of corporate performance were developed; rate of current asset increase, rate of asset, rate of profit increase, ROI, rate of sales increase.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after the questionnaire was made. Total 50 Korea-based manufacturing companies participated in data collection process and they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sign management. Then analysis was done for proving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design management and corporate`s managem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design management of SMEs has positive effects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such as rate of current asset increase, rate of asset, rate of profit increase, ROI, rate of sales increase. Especially, analysis results shows higher level of design management has stronger effects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 level of design management of SMEs increases sales and current asset and they increase rate of profit increase, ROI and asset of corporations.

      • KCI등재

        경영적 관점에서의 성공적인 디자인 경영 전략에 관한 연구 - 애경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

        김정래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7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1 No.-

        경쟁의 강도가 높아지고 기술의 진부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제품과 기업의 수명주기는 짧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생존을 넘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디자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시장을 선도해나가는 디자인 경영 전략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디자인 경영 연구는 디자인과 경영의 융합적특성으로 연구자의 관심사항에 따라 디자인적 접근과경영적 접근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다양한 사례를 통해 조직의 실질적인 디자인 경영 도입 및 구체적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례별 연구는제한적이다. 특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디자인의 역할이 기업과 제품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고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는 기업 수준의 전략적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지만 경영적 관점에서 심도 있게분석한 사례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디자인 경영의 성과를꾸준히 인정받고 있는 애경산업의 성공적인 디자인경영 전략 사례를 경영적 관점에서 구성주의 근거이론방법론을 이용하여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고 경영자의 기업수준 전략과제 채택, 디자인중심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 디자인 경영 인재교육이핵심성공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디자인 경영은 치열한 경쟁 환경 속에서 기업이 반드시 습득해야 할 전략이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볼때 디자인 경영 도입과 구체적 전략 수립에 관심이높은 기업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Product and company life cycles are becoming shorter as competition becomes more intense and technology becomes more obsolet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that leads the market with the design competitive advantage to grow continuously beyond the survival is increasing. Although many research relating to design management, which is a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 of design and management is in progress with design approach and management approach according to interests but, Case study that can help out companies to establish concrete and practical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introduced through a variety of cases is limited. In particular, it is evident that the role of design emphasizes the strategic role of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and product brands and leading change and innovation with the passage of time, Case studies from management perspective are limi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ccess case of Aekyung Industry which has been steadily recognized the achievement of design management in korea and abroad by using the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from the management point of view. As a result, CEO's company-level design strategy, Design-oriented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Design management talent education helped to drive successful design management strategy. Design management is a strategy that companies must master in a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mpanies that are interested in starting design management and establishing concrete strategy.

      • KCI등재

        기업의 다양한 디자인경영 모델 사례 연구

        조은환 ( Eun Haun Ch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2

        기업은 어려운 경영환경에서 생존과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음으로 기업의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디자인경영이 필요 한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의 디자인경영은 지금까지의 획일화된 대기업 디자인경영에 있어서의 인력, 조직, 환경 중심의 체계와 다른 비용과 인력 수급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은 비즈니스 모델과 성장과정, 기업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경영이념의 체계화를 통한 경영목표를 달성하는 전술, 전략이 변화함을 논하고, 제조업 중심의 디자인경영은 확연히 다를 수밖에 없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디자인경영의 영역과 요인의 구성, 중요도가 다름을 확인 하였다. 외부의 경영환경과 내부의 경영이념 체계화와 비즈니스 모델의 발전 변화 속도를 고려한 디자인경영모델을 제시하고 기업의 독창적인 특징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경영, 브랜드, 소비자, 디자인, 기술의 영역과 세부요인에 구성과 중요도를 기준으로 기업의 다양한 디자인경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디자인경영 모델은 초기 단계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중심으로 가장 필요한 디자인경영 요소만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발전단계는 경영이념의 체계화를 중심으로 내부의 변화 방향과 속도를 고려하여 디자인경영 체계를 보완한다. 성숙단계에서 기업의 경영활동의 성장과 함께 디자인경영의 보완적 체계도 성숙하게 되는데, 기업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디자인경영의 모델을 보여준다. 디자인경영의 성숙형 모델 사례 증명을 위하여 디자인경영 현황진단을 통한 디자인경영 성과유형을 파악하고, 체계 분석표를 기준으로 하는 독창적 디자인경영 모델을 사례로 제시하였는데, 한국쓰리엠과 죠이포라이프, 테오리이다. 결론으로 기업의 디자인경영은 비즈니스 모델과 성장과정, 기업환경의 변화를 중심으로 경영, 브랜드, 소비자, 디자인, 기술의 영역과 세부요인에 구성과 중요도를 기준으로 다양한 디자인경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기업의 독창성과 일관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디자인경영의 독창적 모델을 보여준다. This paper discusses that companies` tactics and strategy change in achieving management target according to systemization centered on business mode, growth path and change in corporate environment, and that design management centered in manufacturing industry cannot but have definite difference. Also, this paper discusses that scope, composition of factors and importance of design management may vary. This paper presents possible model of various design management for achieving management ideology and target, arguing that 100 models may be available to 100 companies. By establishing design management model in consideration of external managerial environment, systemized internal management ideology and speed of change in business model, companies can have creative characteristics. Especially companies acquire various design management composition model by composing importance in management, brand, consumers, design, scope of technology and detailed factors. At early stage, the most required design management factors exist centered on business model. At developing stage, design management system is co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direction and speed of internal change centered on systemization of management ideology. This system of design management shows the various design management system reflecting companies` originality. At mature stage, complimentary system of design management come to maturity together with growth of company`s management activities, showing various mature-type model of design management with originality and consistency.

      • KCI등재

        국내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분석에 따른 신개념 CPI 전략구축 연구

        홍성수(Sung Soo Hong),홍경민(Kyung Min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4

        최근 한국기업들의 위상이 선진국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대등하고 앞서가는 기업들이 늘고 있으며 국제적인 기업으로 급속히 성장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국제화 되는 과정에서 디자인경영의 역할이 크게 기여하였다. 국제적인 경쟁력을 위하여 기업들이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기 시작한 것이 20년 정도밖에 안되고 그것도 실질적으로 기업경영의 도입된 것은 10년 정도 일 것이다. 그렇다 보니 기업에서의 디자인 경영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업경영을 체계적으로 적용한 기업은 그리 많지가 않아서 국가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 제도를 도입하여 장려 차원에서 평가에 따른 포상을 하고, 그에 따른 지원과 혜택을 함으로서 국가 디자인 위상을 높이는 정책을 하여왔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현황은 아직도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확립하여 이를 적극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내 기업들 중에서 디자인브랜드경영대상에 선정된 후 계속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기업경영에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을 선정하여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의 활용 및 현황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같은 맥락에서 디자인경영관리 기본이 되는 CI (Corporate Identity), BI (Brand Identity), CPI (Corporate Product Identity)에 대한 시스템을 잘 활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보다 체계적인 활용 방안도 연구 하고자 한다. 그동안 선진국에서는 오래전부터 디자인경영전략의 일환으로 CPI 전략시스템을 적극 활용하여 왔으며 그로 인하여 기업이미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CPI 전략 시스템은 초기 단계이며 현재 진행 중이라고 할 수 있으며 CPI 전략시스템 구축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며, 그 전략 체계도 확립되고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기본 목적은 국내 기업들의 디자인경영 전략을 분석함으로서 공통적인 전략, 우수하고 훌륭한 전략, 개선되어야 할 전략, 새로운 개념의 전략들을 발췌 정리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신개념의 CPI 전략체계를 구축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경영전략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CPI전략 구축을 위한 새로운 구축체계를 확립하고자 신개념의 CPI 전략 시스템을 체계화하도록 하는 연구내용이다. 또한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국내 기업의 디자인경영전략 시스템에 관하여 분석하고 그에 따른 CPI 전략 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개념의 CPI 전략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의 객관화를 위하여 선행 연구와 기존의 통계자료의 분석, 관련 기관을 통한 정보자료의 입수를 통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하여 연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신개념의 CPI 전략은 기존의 국내 기업들이 설정한 CPI 전략들이 심히 개념적이거나 실행 불가능한 비현실적인 전략들을 분석하여 더욱더 실질적이고 모든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실행가능 한 실제적인 CPI 전략의 새로운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국내의 많은 기업들이 향후 신개념의 CPI 전략을 도입 활용함으로서, 자신들만의 기업 특성화 이미지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Recently, more ``Korean-Corporations`` are expanding their businesses into other(oversea) countries and they are equal or getting better in their competition with advanced country as an international company is going to grow rapidly. Without a doubt, such a process of internationalization the role of design management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nations`s economic success. The companies started to introduce a design management system for a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at will be only about 20 years, and it has been used actually about 10 years to introduce the real corporate management. Thus, the companies that apply a systematic corporate management with design management in the companies did not have too much design management system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 terms of encouraging and national policy has been improved for the design`s status by the supports and benefits. But the situations of domestic companies are not still actively using and establishing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well. Therefore, in order to find more systematic and useful application method, it needs to do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find the companies are utilizing their company management by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fter selected ``The Design Brand Management Award`` in the domestic companies. In addition, this research studied more systematic utilization methods with an analysis of good using CI(Corporate Identity), BI(Brand Identity),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system or not in the same context of the basic design management. In the meantime, developed countries actively utilized CPI strategy system that is a part of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from a long time ago, it is improved company images and it is given great contribution by using that. But CPI strategy systems of the domestic companies are basic stages and the works are now in progress, the structure of CPI strategy system was not properly installed. That strategy structure also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he reality. The basic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studying the extract and organization of the common strategy, the excellent and outstanding strategy, the improved strategy, the new concept of strategy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lso this is studying and building the new concept of CPI strategy structure. Therefore, the basic content of this studying is an analysis with present conditions of the domestic companies`s design management strategy and establishing a new construct system for the CPI strategy structure that is the core of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with this results, and the studying is a new concept of the CPI strategy`s systematization. In addition, a study of methods is building of a new CPI strategy system and understanding the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s by analysis of the domestic company`s design management strategy system and research of the CPI strategy system`s present condition.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statistical data, the obtainments of information data by the related organization for the objective study with the disinterested and quantitative method. For such a reason,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is new structure system of practical CPI strategy for the more practical and all company can use in common by analysis of the existing domestic companies, impractical set CPI strategies up, are quite conceptual or impossible to do. Therefore, this result of the study will help the improvement strategy of own specialized company images after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y use and institute the new concept CPI strategy system.

      • KCI등재후보

        환경디자인 관련 회사의 디자인경영 현황과 요인별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최우영(Choi, Woo-Young),이용신(Lee, Yong-Shin),박부미(Park, Boo-Me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0 No.2

        본 논문은 환경디자인과 관련된 회사를 대상으로 업종별로 디자인경영 도입의 필요성과 활용도 그리고 기업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디자인 경영은 기업 경영에 있어 디자인을 전략적 자원으로 활용하여 기업성과를 높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업종별로 디자인 경영요인을 인력, 조직, 투자, 전략, 정책, 평가, 개발, 경영시스템 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과정에서 논의 또는 파악된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환경디자인 관련 회사는 업무상 필요한 인력 보유의 필요성은 느끼고 있으나 디자인 경영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환경 디자인 관련 회사는 디자인 정책에 관한 업무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자인 활동을 함에 있어서 업무지침이나 규정에 의해서 활동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우리나라 환경디자인 회사 중, 일반건설회사는 디자인 투자를 기업이미지나 기업의 정체성확립을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리나라 환경디자인 회사의 디자인 개발과 평가는 소비자 욕구 가치관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품을 개발하며, 디자인 평가 기준은 실제 디자인 결과물 자체를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부분 우리나라 환경디자인 관련회사의 디자인 경영시스템 구축은 CEO체제로 구축, 운영되고 있으며 일반건설회사에서 대기업, 중견기업은 CDO를 정점으로 구축, CEO와 외부 디자인관련 회사의 인프라 구축, 관련 부서장 산하 디자인인력과 기타 인프라 요소로 운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디자인 경영요인이 기업경영성과에 대해 미치는 영향은 대부분 환경디자인 관련회사가 비재무적 성과인 고객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경디자인 회사의 디자인경영 요인 중, 디자인 조직, 투자, 전략, 평가, 개발에서 매출액 증가로 나타났으며, 일반건설회사에서는 디자인 경영 요인 전체가 고객만족도 향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거시설이라는 상품의 특성상 고객에 대한 전략인 비재무적 기업성과인 고객만족 향상을 통해 기업이미지를 향상시켜 매출액 증가 등, 재무적 성과를 달성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environment design-related companies in order to look into the need to introduce design management and its utilization and its effect on corporate management performance by type of business. The objective of design management is to enhance business performance by applying design as strategic resources in business management. For this, design management factors were analyzed by its industry-specific classifications into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investment, strategy, policy, assessment,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The following contain what were discussed or figured out in the course of study. First, Korean businesses involved in environmental design feel the necessity of retaining human resources for business purposes but they showed a lack of interest in design management. Second, Korean businesses involved in environmental design turned out to have had business guidelines to design policies. This means they do design activities based on business guidelines or regulations. Third, of environmental design companies in Korea,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made investments in design to establish a corporate image or identity. Fourth, regarding the design development and assessments of environmental design companies in Korea, they worked on product development so as to respond to consumer’s desire and values. As for design assessment standards, their evaluation criteria was focused on actual design-concerning end products themselves. Fifth, design management systems of environmental design companies in Korea mostly constructed and operated CEO systems. Of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large companies and mid-sized companies placed CDO at the height, built up the infrastructure of CEO and external design-concerning businesses, and operated it as design manpower under the relevant section chief and other infrastructure factors. Sixth, with respect to impacts of design management factors on business management performances, it turned out that most of the environmental design companies have contributed to improvement in customer satisfaction, a non-financial performance. Of design management factors of environmental design companies, design organization, investment, strategy, assessment and development represented a rise in sales volume, while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overall design management factors resulted in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This means that they achieved financial performance like sales growth by improving their corporate images through the increase of customer satisfaction, which is a strategy toward customer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due to the nature of their products as residential facilities.

      • KCI등재

        중소기업의 융합 디자인경영 사례 연구

        조은환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8 No.-

        General design management emphasizes consistency of management philosophy and design management. It is to clarify the existence of the company and the reasons for purchasing the goods to the consumers. And SMEs need a variety of design management vision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management environment. Design management processes and systems applicable to various situations of SMEs are needed. As a solution, SMEs in manufacturing centered on creating a positive image of the company and creating a positive story in the community and consumer relationship. Consumers understand and trust corporate goals, values, and processes through corporate stories. This basis is explained by Arthur Koestler's Holon's dual structural value system. For successful corporate design management, we form expert advisory groups in the fields of management philosophy, brand, marketing, consumer, technology, and style. We establish a design management system at the center of the strategy to effectively complement the representatives, and present a convergent design management model. Case enterprises have two or three of the main factors for success in the diagnosis of the present situation. JoiPoLife, which promotes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rough company-wide exchanges and convergence, through maturation at the center of the institute of traditional bamboo craft technology and design college, TEORI Co., Ltd., which has a systematic structure of company-wide collaboration and product development process of its employees, is a new study stand business of Korea 3M company similar to existing venture business with global brand business. Based on the fusion design management as a new case, KM was a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KM. Based on a responsible spirit of partnership with the CEO, the inside of planning, marketing, technology production, consumer and design. We have introduced a mid- to long-term vision by converging the knowledge of external experts. This paper presents the process and system of product development and the model that can be done sustainably by export market trend and distribution center of the target company. The key outcome of design management is the process of integrating companies and product images to sell online products. Consumer opinions were examined and a Check List was presented. In particular, design elements have been assigned to the image of the product. In conclusion, we will understand the original status of manufacturing SMEs and establish a story. Focusing on CEO, planning, marketing, technology production, consumer, interior design. We have introduced a mid- to long-term vision by fusing the knowledge of external experts. Therefore, we presented the process, system and successful model for design management. 일반적인 디자인경영은 경영이념과 디자인경영의 일관성을 강조한다. 기업이 소비자에게 기업의 존재와 상품 구매 이유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중소기업은 경영 환경의 특수성을 이유로 다양한 디자인경영 비전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의 다양한 상황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경영 과정과 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해결의 방법으로 제조업 중심에 중소기업은 지역사 회와 소비자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긍정적인 스토리를 기업의 이미지로 만들어가는 것이다. 소비자는 기업의 스토리를 통한 기업의 목적과 가치, 과정을 이해하고 신뢰를 하게 된다. 이러한 근거는 아더 쾌슬러(Arthur Koestler)의 홀론(Holon)의 이 중 구조적 가치체계를 통하여 설명한다. 성공적인 기업 디자인경영을 위하여 경영이념, 브랜드, 마케팅, 소비자, 기술, 스타 일 분야로 전문가 조언 집단을 구성한다. 효율적으로 대표를 보완하기 위한 전략 중심에 디자인경영 체계를 정립하고, 융합 디자인경영 모형을 제시한다. 또한, 제조업 중심에 중소기업의 융합 디자인경영 전략을 통한 성공적인 디자인경영을 소개 한다. 사례 기업은 현황 진단에서 성공을 위한 주요 요인 중에 2-3가지에 디자인경영 요소를 가지고 있다. 디자인 개발 과 정을 전사적 의견 교환과 수렴으로 진행하는 죠이포라이프, 전통 죽공예 기술과 디자인 대학의 연구소 중심에서 성숙을 통 하여, 직원들의 전사적인 협업과 제품 개발 과정의 체계화를 가지게 된 유한회사 테오리(TEORI), 기존 글로벌 브랜드 사 업과 다른 디자인 중요도가 높은 벤처 사업과 유사한 한국3M사의 신규 학습용 스탠드 사업이다. 그리고 새로운 사례로 융 합 디자인경영을 기본으로 (주)KM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책임감 있는 공동체 정신을 기반으로 기획, 마케팅, 기술생산, 소비자, 디자인의 내부. 외부 전문가들의 지식을 융합으로 중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였다. 대상 기업의 수출 시장 동향과 유통 중심의 지속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상품 개발 과정(Process)과 체계(System) 그리고 성공적인 사례 (Model)를 제시한 것이다. 디자인 경영의 핵심 결과물은 온라인 제품 판매를 위한 기업과 제품 이미지지 통합 과정이다. 소비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Check List를 제시하였다. 특히, 제품의 이미지가 될 수 있도록 디자인 요소를 부여하였다. 결 론적으로 제조업 중소기업의 독창적 현황을 이해하고 스토리를 정립한다. 대표이사를 중심으로 기획, 마케팅, 기술생산, 소 비자, 디자인의 내부. 외부 전문가들의 지식을 융합하여 중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디자인경영에 필요한 과 정(Process)과 체계(System) 그리고 성공적인 사례(Model)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닛산, 현대자동차의 경영이념과 세계화를 위한 브랜드 디자인전략 -고급화 브랜드 인피니티와 제너시스를 중심으로-

        조은환 ( Cho Eun Haun ),박정순 ( Park Jeong S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6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6 No.-

        기업은 장기적인 비전을 마련하기 위하여, 소비자에게 기업의 존재 이유를 명확하게 전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기업의 경영이념 체계화는 내부적으로 존재 이유를 명확하게 하고, 체계적인 경영 활동과 외부에 적극적인 홍보를 위하여 절실하다. 닛산자동차는 국내 시장에서 벗어나 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회사 창립부터 만들어진 경영이념 체계에서‘고객 만족 제일주의’ 중심에 새로운 경영이념 체계로 변화하였다. 일반적으로 대기업이 경영이념 체계를 변화시키는 사례는 매우특별하다. 닛산자동차의 경영이념 체계의 변화는 필요성 분석과 새로운 제품철학을 중심으로 체계화하는 과정을 논의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닛산자동차 제품철학의 핵심인 ‘사람과 자동차 문화로 주, 미, 쾌 디자인전략’을 연구하고, 넓어지는 디자이너의 활동 영역과 역할의 확대를 논의한다. 세계화를 위한 차별화된 브랜드 ‘인피니티’의 디자인 전략을 논의한다. 현대자동차 브랜드전략에서 고객의 자동차 문화를 위한 품질과 서비스, 그리고 관련된 다양한 활동을 논의한다. 특히, 일본시장에서 ‘진화에서 진가로’ 전략 실패 요인과 북미시장 진출에서 고급화 브랜드 전략 ‘The Dynamic Luxury``를 논의한다. 함께 현대자동차의 고급화 브랜드 전략에 관한 현대까지의 고민을 논의한다. 또한, 닛산자동차의 인피니티와 현대자동차의 제너시스 디자인경영 전략 분석을 위한 사토야마 야스히코의 기업 경영에 대한 일관성 있는 연역적 체계의 필요성과 구체화를 위하여 조은환의 ‘융합형 디자인 전략화를 위한 디자인경영 성공 요인’표로 경영이념과 브랜드전략과 소비자 의견 중심에 마케팅. 기술전략, 디자인경영 요인을 세부, 실행, 실천 요인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소비자 의견 중심에 디자인경영의 중요성과 현대자동차의 고급화 브랜드 개발의 보완을 위한 디자인경영 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Enterprises to provide a long-term vision, should be clear why its presence to the consumer. Philosophy of this company is organized and clearly the raison Internally,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public relations to the outside world. Philosophy of a common enterprise has a system in corporate philosophy, products, philosophy, management objectives step. Nissan, through the globalization process, the system was changed to a new management philosophy of "customer satisfaction first policy `management philosophy centered on the existing system. In general, cases of large changes in management philosophy is very special. If you have a large enterprise because of deductive systematization made to the initial project. Enterprises to provide a long-term vision, should be clear why its presence to the consumer. Philosophy of this company is organized and clearly the raison Internally,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public relations to the outside world. Philosophy of a common enterprise has a system in corporate philosophy, products, philosophy, management objectives step. Nissan, through the globalization process, the system was changed to a new management philosophy of "customer satisfaction first policy `management philosophy centered on the existing system. In general, cases of large changes in management philosophy is very special. If you have a large enterprise because of deductive systematization made to the initial project. If you have a large enterprise because of deductive systematization made to the initial project.

      • KCI등재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의 이동에 따른 융합적 디자인경영 전략과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관한 고찰

        윤재우 ( Yoon Jae Wo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3 No.-

        산업혁명 이후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는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과 함께 서비스업 중심의 구조로 급격하게 진화되었다. 이성적, 합리적, 물리적 제품이나 서비스의 창출을 넘어서 감성적, 창조적, 경험적 가치 창출의 시대로 접어든 것이다. 이에 기업의 디자인 영역에 있어서도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적 혁신을 넘어서 수요자들의 감성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경험디자인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경영전략에 관한 연구에서 경험디자인 분야 또한 디자인경영의 확장의 측면에서 논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경험디자인이라는 영역은 디자인경영을 벗어난 개별적 영역으로 인식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결정이론을 기반으로 제조업 중심의 디자인경영 전략과 서비스업 중심의 디자인 경영 전략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현 시대에 맞는 융합적 디자인경영 전략 과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고찰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조업 중심의 디자인경영 전략은 기업 전략을 통한 ‘전략형성’, 사업 전략을 통한 ‘전략선택’, 기능전략을 통한 ‘전략실행’의 3단계의 ‘분석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정형적 의사결정 단계를 통하여 디자인을 창출함으로써 기업 전략이 소비자들에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하여 전달되는 수직적, 계층적 경향을 보인다. 반면에 서비스업 중심의 디자인경영 전략은 사용자 경험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새로운 요구를 발견하는 ‘창조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전략탐색’의 과정이 중요하며 모든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비정형적, 수평적, 정성적 의사결정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적 사고’와 ‘창조적 사고’, 정형적, 비정형적 의사결정 단계가 융합되어질 때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를 통한 융합적 디자인경영 전략과 의사결정 프로세스가 구축될 수 있다. 디자인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새로운 비즈니스의 창출이 중요해진 현 시점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융합적 디자인경영 전략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며 학계나 산업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 나아가야할 주제임이 틀림없다. 본 연구는 융합적 디자인경영 전략 프로세스에 관한 초기 연구로써 이론적인 고찰로써의 한계를 가지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실제 기업 조사를 통한 더욱더 세밀하고 실제 적용 가능한 융합적 디자인경영 전략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rapidly changed from manufacturing industry to service industry with developing internet and ICT(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Therefore, in design industry, the experience design that satisfied consumers' emotion has been receiving a deep attention beyond functional innovation value. However, despite the experience design filed has to be discussed on design management field as an aspect of expansion, the experience design tends to be recognized as a independent design area that get out of design management.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strategy and a decision making process that is suitable for the current time by comparison analysis both design management strategies that centered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y based on a theory of decision making. The design management strategy for manufacturing industry is focused on 'analytical thinking' regarding market trends and it creates design via formal and hierarchical decision mak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strategy for service industry is centered on 'creative thinking' through observation of consumers' experiences and it creates design via informal, qualitative decision making process. The integrated design management strategy via 'design thinking' can be built by integration 'analy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formal and informal decision making process'. It is sure that the study for integration design management process has to be continued at the fields of academia and industry because the importance of design is increased and the creation of new business is a significant issue for today.

      • KCI등재

        시장지향적인 디자인경영활동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진(Hwa Jin Lee),홍성수(Sung Soo H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기업 경영에서 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디자인의 가치가 강조되고, 많은 산업 분야에서 디자인의 활용성이 높아질수록 디자인 경영이 내포하는 의미 또한 확장될 것이며, 디자인 경영의 역할이 커질 수밖에 없다. 기업들은 장기적인 경쟁우위와 수익을 누리기 위해 시장요구에 경쟁자보다 더 잘 대응해야 하며, 시장요구변화를 예측하는데, 이는 디자인경영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결국 보다 시장지향적인 디자인경영활동을 전개할 필요성이 부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경영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디자인경영전략과 활동이 소비자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연구방법은 연구의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 분석의 절차를 제시하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범위는 시장지향적인 디자인경영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새로 적립하고 이 디자인경영활동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서 심미적, 추상적 관점에서 시작된 디자인과 합리적, 이성적범주의 경영이 결합된 디자인 경영은 상당히 많은 분야에서 역동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견된다. 디자인경영활동에서 제품디자인이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촉매제라는 차원에서 기업과 신제품 개발을 담당하는 기업디자이너, 그리고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The utilization of design are getting higher in many industrial divisions as the values of design are emphasized. As a result, a meaning of the design management is expected to be expanded further when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design management. Companies have to closely deal with the demand of the market in order for them to gain profits and outstand among competitors in the long run. Predicting changes in the demand of the market is necessary, which is not exception to design management. As a result market-oriented design management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strategy and action of design management influence customers` purchasing behavior. Evidences are come from previous design management-related researches. A method of the study is to set thesis and research model, then direct ways of analyzing the research, and finally deduct conclusion from it. A range of research is to set a new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alyze the design management activities` influence on customers` purchasing behaviors. From this study`s contents and results, the design and the design management are dynamically applied in many fields of the marketplace. This tendency seems to be continued. Design of product in the field of design management is a catalyzer that brings companies and customers together; in addition, it is helpful to companies, designers who have to propose new product, and custo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