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실패두려움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창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희(Young Hee Kim),양동우(Dong Woo Yang)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4

        창업 상황에서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일반적으로 창업 의도에 부정적 역할을 한다. 하지만, 어떤 선행연구에 의하면 창업실패두려움이 하위요인에 따라, 또는 자기효능감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패부담을 안고 있는 불확실한 창업환경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실패두려움의 하위요인들이 창업의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창업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창업실패두려움의 하위요인들이 창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가설과 연구모형을 수립하였으며, 20-50대 성인 중에서 현재 창업 중이 아닌 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SPSS 22.0과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업실패두려움 중 재무적 손실 두려움만이 창업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고, 기업가정신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창업 자기효능감을 매개로한 매개효과 분석에서 창업실패두려움 중 재무적 손실 두려움은 창업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준 반면, 심리적 손실 두려움은 창업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가정신에서는 위험감수성만이 창업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창업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창업실패두려움의 속성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증진하였다는 점과 창업 교육 시 창업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창업실패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 실무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아직까지 창업실패두려움의 창업의도에 대한 긍정적 역할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향후 창업실패두려움의 어떤 하위요인들이 어떠한 창업상황에서 창업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 다양하게 연구될 필요가 있다. Fear of failure in entrepreneurial situations generally negatively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s. Howev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can vary depending on sub-factors or through self-efficac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 sub-factors of entrepreneurship and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each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 an uncertain start-up environment. In particular, by using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we investigated how the sub-factors of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only the fear of financial loss among the fears of entrepreneurial failur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mediated by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ear of financial loss among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had a nega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whereas fear of psychological loss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only risk-ta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The implications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to improv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and that policy makers should develop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reduce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in what direction the sub-factors of the fear of entrepreneurial failure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ny start-up situation.

      • KCI등재

        범죄 두려움의 개념정의와 척도에 대한 검토

        노성호,신소라 한국범죄심리학회 2020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concept of fear of crime. The study examines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 fear of crime concept, which was considered relatively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analysis of data.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 measure of general fear of crime represents vague fear and concern, not fear of crime. The measurement of fear also requires specific questions that can be linked to situations in which one may be harmed, and the concepts included in the question are abstract. Second, it is more appropriate to measure specific fears than general fears when measuring fear of crime. As mentioned earlier, general fears tend to represent concerns in daily life, not in specific crime, and are less correlated with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m. The ultimate goal of the study of fear of crime is to lower fear of cr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t is a study that must be done that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the concept should be more specific and clea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이 연구는 기존의 범죄 두려움의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겨졌던 범죄두려움 개념의 측정과 분석에 대해서 선행연구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서 점검하고 가장 적절한 범죄두려움의 개념을 만들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로 일반적 두려움의 측정은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아닌 막연한 공포와 걱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개념적으로도 잘못 정의되어 있으며 측정에도 당사자의 상황과 연결 시킬수 있는 구체적 문항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로, 범죄 두려움을 측정할때는 일반적 두려움보다 구체적 두려움을 측정하는 것이 더욱 적절하다. 이는 첫 번째에서 언급하였듯이 일반적 두려움은 범죄가 아닌 일상 전반의 염려를 나타내는 경향이 강하여 범죄두려움의 원인요인들과의 설명력도 낮게 나타난다. 범죄 두려움에 대한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범죄 두려움을 낮추어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개념의 정의와 측정이 좀 더 구체화, 명확화 되어야 하는 것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연구과제라고 할 수 있다.

      • 범죄두려움의 지역적 차이에 대한 연구 -수준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박정선 ( Oteong Sun Park ) 한국범죄비행학회 2011 범죄와 비행 Vol.1 No.-

        범죄의 원인분석과 마찬가지로 범죄의 두려움 역시 개인의 특성 이외에 지역의 구조적, 문화적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 나아가 개인의 생활양식이나 일상활동 유형에 따라 차별화되며 따라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 역시 범죄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수준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범죄두려움이 갖는 다양한 양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두려움이 지역적으로 차별화되는 원인을 분석하였다.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크게 일상적 두려움, 주변인물두려움, 개별범죄피해두려움으로 삼분된다. 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보면, 먼저 개인적 수준에서는 여자, 기혼, 높은 교육수준, 높은 가구수입, 중대형아파트거주자, 전세입자 등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적 수준에서는 짧은 거주기간, 적은 이사경험, 높은 무질서, 잦은 인사교제 등이 두려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일부 이론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기도 하였다.HLM을 통한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ANOVA 모델은 수준별 변량의 정도를 보여주는데, 전국을 425개 읍면동으로 구분하였을 경우엔 지역별 차이가 전체변량의 16-17% 정도를 설명한 반면, 16개 광역시도로 구분하였을 때에는 지역별 차이가 2.24% 정도의 변량을 설명하였다. 먼저 지역수준에서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거주년도가 짧을수록, 이사경험이 없는 경우,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정도가 클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특성과 관련해서는 남자보다는 여자가,나이가 적을수록,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위세가 높을수록, 가구수입이 높을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범죄에 대한 일반적 두려움을 더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다음으로 교육수준의 수준간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기간이 긴 지역일수록 거주기간이 한 단계 높아질 때마다 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력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려움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와 같이 볼 때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것은 다만 개인적인 수준의 특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 수준의 변수에 의해서도 유의미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변량의 정도도 일반적인 다수준연구에서의 정도보다 상당히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범죄두려움과 관련된 정부정책의 입안시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As with the causes of crime, fear of crime also tend to be differentiated not only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but also by community factors such as social structure, culture, and environmental elements.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types and causes fear of crime. The factors that have effects on the fear of crime turned out to be that female, the married, the highly-educated, the highly-incomed, the residents in large apartment, and the renters tend to have high fear of crime at the individual level, while short period of residence, rare experience of moving, high level of disorder, and frequent association among residents tend to increase the fear of crime at the community level. Some of these findings are against the common findings of other research. The results from HLM analysis showed that, according to the basic ANOV A model analysis, the community level variance appeared to be around 16-17% when the number of level-2 cases were 425 small dongs(the smallest administrative unit), while it was only 2.24% when the number of level-2 cases were only 16 cities. Continuously, at the community level, short-periods of residence, rare experience of moving, and high-level of social disorder tend to make the fear of crime high while, at the individual level, the female, the lower-aged, the highly-educated, the high-prestige job holders, the highly-incomed, and the lower-credit on police then to have high level of fear of crime. The cross-level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nd education. In case of gender, male than female basically tends to feel less fear of crime, but in the area of high level of moving, the level of fear for male tends to have a lot less fear of crime than male in the area of low moving level. In case of education, those with high-levels of education tend to have less fear of crime. But, in the area of long residence, the education effect on the fear of crime tends to grow faster with the unit increase of educational level. In conclusion, the fear of crime is influenced not only by individual-level characteristics but also by community-level factors as well. Thus, it is quite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munity environment when we make policy-strategies to reduce the fear of crime in the neighborhood.

      • KCI등재

        범죄두려움의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노성호 ( Noh Sun Gho ),신소라 ( Shin So Ra ) 한국경찰학회 2021 한국경찰학회보 Vol.23 No.6

        이 연구에서는 범죄두려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존재하며, 남성과 여성의 범죄두려움에 나타내는 특성들이 어떻게 다른지를 기본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실제적으로 이러한 작업이 선행되어야 이후에 두려움 차이를 설명하는 모델을 검증하는 것이 의미를 가질 것이며, 어떻게 모델을 검증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연구분석에서는 범죄두려움을 일반적 두려움과 구체적 두려움으로 구분하고, 구체적 두려움은 다시 세부적으로 각각의 범죄유형에 대한 두려움으로 구분하였고, 일반적 두려움은 그 대상을 본인, 배우자 및 자녀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세분화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남녀의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여성의 범죄두려움이 남성보다 높은 것은 선행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이지만 실제로 여성이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자신과 자신의 자녀에 대해서 나타나고 있으며, 자신이 방어할 수 없는 범죄의 유형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여성의 경우에도 괴롭힘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같은 경우에는 방어능력과 유일하게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범죄로 생각하는 결과를 보였다. 범죄두려움을 낮추는 것은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것과 연관되므로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asically analyze what differences exist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fear of crime and how th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the fear of crime differ. It will be meaningful to verify a model that explains the difference in fear of crime between men and women only when these tasks are precede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discuss how it is appropriate to verify the model. Looking at the analysis process, crime fear was divided into general fear and specific fear. In addition, specific fear was further divided into fear of each type of crime in detail, and general fear was divided into oneself, spouse, and children. It was analyzed how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crime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 that women have a higher fear of crime than men shows similar results as in previous studies. However, in fact, the high women's fear of crimes was found in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and in the types of crimes they could not defend agains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bullying crimes, defense ability was the only factor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Women also showed the result of thinking of bullying as a crime they can control. Lowering the fear of crime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because it ultimately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범죄대처 행동에 대한 범죄두려움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고찰

        노성호,신소라 한국경찰학회 2023 한국경찰학회보 Vol.25 No.2

        범죄두려움이 만연해있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범죄두려움으로부터 자유로울수 없다면 적절한 수준의 범죄두려움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지 않을까 하는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런 의문을 가지고 범죄두려움이 가지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경험적 검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범죄유발요인과 범죄대처 행동의 관계에서 범죄두려움과 성별이 어떤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한다. 연구결과를 범죄두려움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범죄대처 행동에 대한 범죄두려움과 독립변수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집합효율성이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다. 자기 두려움, 파트너 두려움, 자녀 두려움 모두에서 두려움 수준이 보통인 집단과, 높은 집단이 유의미한 기울기의 차이를 보였으며, 두려움이 높은 집단이 보통인 집단보다 범죄대처행동을 적극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각각의 개인이 가진 다른 수준의 범죄두려움을 활용하는 정책을 실시하는 것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투자할 수 있는 예산과 에너지가 한정적임을 고려한다면 이처럼 좀 더 높은 효과를 산출할 수 있는 대상을 목표로 한다면 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터넷 미디어 노출과 범죄 두려움과의 관계

        조제성,조윤오 한국치안행정학회 2017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3 No.4

        이 연구는 개인 각각의 취약성과 인터넷 매체 노출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디어 노출이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함으로 인해서 삶의 질과 관련 깊은 범죄에 대한 시민의 두려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때문에 범죄에 대한 두려움 개념을 온라인 범죄 두려움과 오프라인 범죄 두려움으로 구분하였으며, 신체적 취약성(성별, 연령)과 사회적 취약성(교육수준, 경제적수준)을 포함한 취약성 이론의 기본 요소를 통해 미디어 노출과 범죄두려움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범죄의 두려움에 대한 점화이론의 매체 노출 영향을 확인 하기 위해 인터넷 매체 노출을 두 범주로 분류했는데, 첫 번째 요소는 담론적 미디어 노출(영화, TV, 뉴스)이고 두 번째 요소는 대화식 미디어 노출(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다. 연구는 범죄 두려움 수준과 매체의 노출 수준 측면에서 조사 되었다. 1,300개의 샘플 데이터를 사용 했다. 그 결과 신체적 취약성에서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이었으며, 사회적 취약성에서는 온라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과 오프라인 범죄에 대한 두려움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점화이론의 검증을 위해 담론적 매체 노출과 대화식 매체 노출은 범죄의 두려움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또한 어떤 방식의 매체 노출되느냐에 따라 남성 참가자와 여성 참가자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인터넷 매체에 대한 노출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했으며, 이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 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individual vulnerability and internet media exposure affect fear of crime.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dividing the concepts of fear of crime into online crime fear and offline crime fear. It is crucial to consider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in order to seek to the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fear of crime. The present study highlighted the fundamental elements of vulnerability theory which include physical vulnerability (sex, age) and social vulnerability (education level, economic level)] Furthermore, the effect of media exposure In the verification of ignition theory was examined. This study categorized internet media exposure into two categories. First factor was discursive media exposure (movies, TV, news) and second factors was interactive media exposure (social network service). This study employed the data of 1,300 samples show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urvey participants in terms of level of fear of crime and level of exposure of media.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fear of crime was gender. However, social vulnerability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both fear of crime on online and that fear of crime on offline. In the verification of ignition theory, it was confirmed that both discourse media exposure and interactive media exposure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fear of crim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erms of extent of media exposure. This study verified that exposure to internet media has an effect on increasing fear of crime. Policy implication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필리핀 체류 한국인들의 남녀 성별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 연구

        조윤오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최근 한국인을 대상으로 총기 살인 및 납치 강도 등의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필리핀 지역에서 성별(gender)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범죄 피해 경험은 실제 여자보다 남자가 더 많이 갖고 있으나, 주관적인 범죄피해 두려움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이 느낀다는 “범죄두려움 역설(paradox of fear)”을 가지고 실제 필리핀 내 한국인에게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남녀 성별의 차이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초점을 두고, “범죄두려움”을 감정적인 차원과 인지적 측면, 그리고 행동적 차원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7월부터 약 보름 동안 필리핀 앙헬레스 지역에서 한국인 체류자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남녀 성별 차이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카이스퀘어 검정,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다. 현지 필리핀 앙헬레스 지역 내 중부 루손 한인회 관계자와 코리안 데스크 파견 현지 경찰의 도움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 총 114개의 설문지를 획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범죄두려움 점수(raw score)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녀 집단 별 평균 점수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범죄피해 경험 평균 횟수에 있어서는 오히려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70>2.47).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범죄두려움 총점을 모델의 종속변수로 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했을 때는 “성별(여성)”이 범죄두려움과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른 관련 변수들을 모두 통제했을 때 필리핀 지역에서 여성 응답자가 남자보다 더 증가된 수준의 범죄두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범죄두려움 점수를 정서적인 차원과 인지적 차원, 행동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는, 남녀 성별 차이가 범죄두려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범죄두려움을 측정하는데 있어, 결국 해외 체류자들을 상대로 한 경우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범죄두려움을 유형별로 세분화시켰을 때 성별 이외에 다른 요인들이 더 유의미하게 작용함을 확인했다고 하겠다. 이하 범죄두려움과 관련 요인들에 대해 본문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This study has a goal of identifying the impact of gender on the level of fear of crime toward Korean people who stay in Angeles, Philippines. There is a paucity of study that concatenates on the fear of crime of Korean immigrant people in Philippin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s at finding the link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fear of crime by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associations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the level of fear crime by considering the measuring issue of fear of crime. Specifically, the current study concentrates on classifying the fear of crime into three sub-dimension concepts in order to capture the true pictures of fear of crime and understand the impact of gender difference on fear of crime more thoughtfully. The present study utilized the data of 114 Korean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Angeles, Philippines with the support of Korean policemen(Korean Desk) who were assigned to Philippines from July, 2016 for about 15 days. Data were drawn from survey questionnaires, which had multiple levels of fear of crime. Moreover, this study employed SPSS statistics package program in display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chi-squared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gender difference and fear of crime. Result revealed that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mean differences between male group and female group in terms of the number of prio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 level of fear of crime. Howev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gende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omposit score of fear of crime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In this aspect, the current study outcome showed that females are more likely to have increased level of fear of crime when other variables, such as trust toward local police, prior crime victimization and relevant demographic variables are controlled, compared to male participants. Nonetheles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f gender difference on the fear of crime in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sub-dimensional fear of crime models, which include emotional model, cognitive model, and behavioral model. The concept of fear of crime is necessary to be measured in a more comprehensive way in order to find clear picture of the fear of crime. Futhermore, the result showed that gender-specific crime prevention strategies are required toward Korean females who live in Philippines. Due to the fact that females have a increased level of fear of crime, regardless of prior criminal victimization experience, scholars and practitioners should encompass the individualized needs of females in terms of their fear of crime.

      • 해석된 두려움 : 감성학을 중심으로

        신다인 ( Dain Shin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9 陶藝硏究 Vol.- No.28

        본고는 필자의 일상에서 큰 영역을 차지하던 두려움의 감정을 해석해 나가기 위한 여정을 담은 것이다. 두려움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지니고 있는 감정이다. 일반인들에게는 아주 자연스러운 감정이 필자에게 적 당함을 넘어 지나치고 거대하게 다가오면서 나의 하루는 아주 극단적인 두려움을 느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상태로 나뉘게 되었다. 이유도 정확한 시작점도 알 수 없는 두려움이라는 감정은 걷잡을 수 없이 거대해져 나의 일상 속에 위협적으로 다가왔고, 그로부터 더 이상 도망칠 수 있는 곳이 없었다. 결국, 나는 두려움을 치료하기 위해 그로부터 도망치는 방법이 아닌 직면을 택했다. 본고는 두려움을 마주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두려움을 마주하고 그 근원을 찾아가던 중 감성학이라는 학문과 만나게 되었다. 감성학은 넓은 범위의 일반적인 지각, 그리고 감성적 지각을 다룬다. 또한, 우리가 느끼는 모든 것들은 분석의 대상이 되고 그 대상에 대한 주관적인 힘에 주목하고 아주 사소한 사물까지도 지각하고 분석한다. 이 학문에 따르면 우리의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주변 사물을 문득 예민하게 느끼고 파악하려하는 행위는 사물에 대한 ‘감성적 지각행위’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지각행위는 대상과의 교감으로 이어진다. 발터 벤야민은 대상과의 교감을 아우라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아우라는 주체와 대상이 시선을 주고받음으로서 경험하게 되는 감성적 지각개념이다. 대상과의 아우라, 즉 서로의 교감을 통해 느끼게 되는 기운은 필자에게 두려움이 시작되는 기점이 되었다. 두려움을 직면하는 방법은 여러 형태로 나타났다. 그림을 그리고, 글을 쓰고 그것을 흙으로 빚어내는 과정이 이루어지면서 두려움이 서서히 희석되어져가는 것을 느꼈다. 작품은 두려움을 극복해가는 여정을 담아낸 한 편의 시나리오 방식으로 진행된다. 두려움을 직면하기 시작할 때의 어두운 분위기는 장면이 전환되면서 밝게 변화하기 시작한다. 두려움이라는 감정의 근원을 조금이나마 파악하기 시작하면서 작업의 분위기는 두려움을 능동적으로 대하는 연구자의 태도로 이어진다. 본고를 통해 필자가 두려움이라고 생각하고 두려워해왔던 낯설고 기묘한 기운들이 사물과의 시선교환에서부터 시작되는 지각작용일 수 있다는 해석을 하게 되었다. 즉, 감성학을 통한 두려움의 극복은 그 감정의 시작점을 파악하고 스스로 위로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했다. 따라서 필자는 이제 더 이상 이 감정으로부터 도망치지 않고 두려움을 이해하고 마주하기 위한 태도를 취했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journey to understand the feeling of fear that has taken a big part of my life. Every human has a basic feeling of fear. Fear, which is perfectly normal to others, came to me and took over my life. My life had 2 different states, one when I felt extreme fear, and the other when I did not. I did not know where it came from, or why it came. Fear became more and more strong to take over my daily life, I had no place to run away from it. Finally, I decided to face the feeling, instead of trying to run away. This paper begins where I face the feeling of fear. That was when I met esthetics, as I was trying to find the root of fear. Esthetics deals with a wide range of general and emotional perception. Also, everything we feel becomes the subject of analysis, it pays attention to the subjective power of the objects, and perceives and analyzes even little things. According to the study, the act of trying to feel and understand the surrounding objects in our daily life can be regarded as ‘emotional perception’. The perception leads to communion with the object. Walter Benjamin explains this communion with the object as a concept of aura. Aura is an emotional perception that the subject and the object experience by exchanging gaze. The aura with the object or the energy felt through mutual communion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fear for me. Facing fear has different forms. As the procedure of drawing, writing, and creating it with soil, I felt the fear gradually diluted. The work proceeds in a way of a scenario of the journey to overcome fear. The dark atmosphere at the beginning starts to change brightly as the scene changes. As I begin to understand the root of fear, the atmosphere leads to the attitude of the researcher who actively treats fear. Through this paper, I have learned that the strange energy that I used to consider as fear, can be a perceptual action starting from the exchange of gaze within things. Overcoming fear through the study of esthetics has provided me a reason to underst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feeling, as well as to comfort myself. Thus, it is noticeable that I no longer tried to run away from the feeling, but took an attitude to understand and face the fear.

      • KCI등재

        죽어가는 환자가 경험하는 두려움의 본질과 목회 돌봄 :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On Death and Dying 사례를 중심으로

        윤득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3

        본 논문은 죽음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환자들의 두려움을 고찰한다. 최근 코로나19 로 인해 사람들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 속에 살아가고 있다. 죽음에 대한 불안, 두려 움, 부정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가운데 널리 퍼져있다. 죽음을 회 피하고자 하는 문화는 한국사회에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죽음은 누구나 두렵다. 특별히 죽어가는 과정에 있는 말기환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죽음에 대한 공포를 느낀 다. 그렇다면 죽음이 두려운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에서는 죽음과 관련된 연구가 그 리 활발하지 않다. 구체적으로 죽음불안이나 두려움에 대한 연구가 더러 있지만, 대부 분은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즉, 실제 말기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 한 형편이다. 그러기에 본 연구자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가 1969년에 기록한 On Death and Dying에 나온 환자들과의 인터뷰를 자세히 살펴보면서, 그 가운데 두려움이 두드러진 환자의 사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다. 그 가운데 두 환자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죽어가는 환자들의 두려움은 외 로움, 존엄감 상실, 절망, 무가치함 등이 원인이었다. 하지만, 이 모든 두려움은 본질 적으로 삶에서 맺어왔던 관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삶과 죽음 이 통합되지 못한 데서 오는 두려움이다. 이에, 연구자는 목회적 실천으로 퀴블러 로 스의 ‘죽어가는 환자의 5단계’를 활용한 말기환자 돌봄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basis of fear of death and dying. Nobody can escape from death, and everybody knows that they will die someday. However, talking about death is taboo in both Western and Eastern cultures. People live their present lives as if they will never die. They only face up to the reality of death when death stares them in the face. If people think of death as a part of life, human beings would accept their death naturally as they accept their birth. Nonetheless, they tend to deny the fact that they are going to dying. Therefore, this study concerns what people are afraid when they face death and dying based on some cases of the dying. In order to find the basis of fear of the dying, I revisit Elisabeth Kubler Ross’ On Death and Dying, and look into interview with terminally ill patients that Kübler Ross conducted. Recently, there are few death related studies in Korea, specifically about the fear of death and dying. Thus, On Death and Dying provides abundant sources of how terminally ill patents experience the process of dying. The result shows that they fear being alone, losing their dignity, and feeling worthless and hopeless, and this study found that these fears relate to personal relationships to which have been connected in life. The cases are examined from socio-cultural and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s on death and dying, and the result of analysis is applied to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Death is inevitable; also, fear of death and dying is natural emotion. The one thing people have to recognize is that people need to live their lives thinking of death. It will help them reduce their fear of death. If people think of their lives separate from death, the fear of death and dying becomes bigger. Thus, it is important for people to integrate life into death when the time comes for the wholeness of their lives. In addition, I suggest that pastors provide with death education, which will support meaning of life and death according to Christian faith.

      • KCI등재

        범죄피해에 대한 이타적 두려움: 배우자피해 두려움과 자녀피해 두려움의 비교

        양승돈,오봉욱 한국테러학회 2016 한국테러학회보 Vol.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influential factors of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fear of crime for spouse and child victimization and search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used the raw data of Korean Crime Victim Survey(Kim Eun-gyeong et al., 2014) conducted as part of National Survey on the Safety of People's Lives and included the data of 7,877 in analysis after excluding the ones containing missing values about the variables employed in the study from those of total 13,317. Collected data were analysis with SAS 9.4 and HLM 6.0 for multilevel model analysis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ear of crime level was the highest in fear of crime for child victimization(3.58 points), which was followed by altruistic fear of crime(3.25) and fear of crime for spouse victimization(2.92) in the order. Second, common significant influential factors of fear of crime for acquaintance, spouse and child victimization were age, disabilities, educational background,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crime victimiz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social disorder at the community level. That is, fear of crime was higher among the non-elderly(under 65) than the elderly(over 65) and among people with no disabilities than people with disabilities. Fear of crime tended to rise according to the higher degree of educational backgrounds,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and social disorder, th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and the more indirect experiences with crime victimiz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level of fear of crime for acquaintance victimization according to gender, duration of stay, and community ties. That is, it was higher among men than women and according to the lower community ties and shorter duration of stay. Fear of crime for spouse victimiza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and community ties, and that for child victimization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experiences of moving and duration of stay. Fourth, the study examined indirectly the altruistic fear of crime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cluding women(gender), the elderly(age), and the disabled(disabilities)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of "man in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variables based on multilevel mode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d intervention plans to reduce altruistic(acquaintance victimization) fear of crime including reinforcing the capabilities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vulner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o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offering social welfare service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providing counseling and treatment service to people with indirect crime victim experiences, and running mobile counseling and shelter service for adolescents that were wandering around, ran away from home, or were delinquent and homeless people on the street to reduce social disorder. There is also a need to make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for social integration including a movement of community and village building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and increase the community ties. Based on those findings and implications, the study propose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s to reduce altruistic fear of crime and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members. 본 연구는 이타적 범죄두려움과 배우자 및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의 영향 요인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로 조사된『전국범죄피해조사』의 원자료(raw data)를 활용하였으며, 연구자가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결측값이 있는 응답자는 제외되어 총 13,317명 중 7,87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리고 연구목적에 필요한 자료분석에 SAS 9.4와 다층모형 분석을 위한 HLM 6.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두려움의 수준은 자녀피해 범죄두려움(3.58점)이 가장 높게 나타냈고, 이타적 범죄두려움(3.25점), 배우자피해 범죄두려움(2.92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적, 배우자피해,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에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요인은 개인수준변인 중 연령, 장애유무, 학력, 취약성인식, 일상생활만족, 간접범죄피해경험여부, 지역수준변인 중 사회적 무질서로 나타났다. 즉, 노인(65세 이상)보다 비노인이(65세 미만), 장애인보다 비장애인, 학력과 취약성인식 그리고 사회적 무질서가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이 낮을수록, 간접범죄피해경험이 있으면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그 외에도 이타적 범죄두려움은 성별, 거주기간, 지역유대가 유의미하였다. 즉, 여성보다 남성, 지역유대가 낮을수록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이타적 범죄두려움이 높게 나타났고 배우자피해 범죄두려움은 성별, 지역유대, 자녀피해 범죄두려움은 이사경험유무와 거주기간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 중 사회적 약자인 여성(성별), 노인(연령), 장애인(장애유무)의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고 다층모형분석에 의해 개인수준과 지역수준변인으로 구분하여 사회복지적 관점인 ‘환경 속의 인간’에서 살펴보았고, 그에 따라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방안으로 취약성인식을 높이기 위한 역량강화와 범죄예방활동에 대한 정보제공 및 교육, 일상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간접범죄피해경험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상담 및 치료서비스 제공, 사회적 무질서를 감소시키기 위한 배회 및 가출, 비행 청소년과 거리 노숙인에 대한 이동 상담 및 쉼터운영 등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과 지역유대를 높이기 위한 지역공동체와 마을만들기 운동 등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 및 함의를 근거로 이타적 범죄두려움을 감소시켜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적 측면의 개입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