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동화-초국적주의 지정학: 런던 한인타운 내 한국인과의 교류 속 탈북민의 일상과 담론에서 나타난 재영토화

        신혜란(HaeRan Shin)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 영토를 떠난 이주민들의 일상, 단체 활동, 담론 속에서 국가 탈영토화, 재영토화 과정을 보는 것이다. 이론적 틀로 제시된 ‘동화-초국적주의 지정학’ 개념은 비판지정학 관점에 이주민 연구 접근이 결합된 것이다. 본 논문은 그 개념에 기반하여, 한인타운 내 탈북민이 한국인 이주민들에게 동화되거나 자기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속에 출신 국가의 경계가 재협상되고 재영토화가 일어나는 것을 분석한다. 사례지역은 제 3의 장소인 영국 런던 교외지역인 뉴몰든(New Malden) 한인타운이다. 이 곳에서 민족, 언어가 같으면서 지정학적 긴장관계를 가진 출신국의 탈북민과 한국인 이주민들이 공생하는 가운데, 탈북민들의 동화와 초국적주의가 뒤엉켜 공존하고 상호발전하였다. 참여관찰, 심층면담 연구방법을 이용한 현장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민들이 고용관계와 단체활동을 통해 한국인에게 동화되면서 그들 출신국인 북한은 축소되고 권력이 약화되는 북한의 재영토화가 일어났다. 뉴몰든의 탈북민들은 생활방식에서 과거 한국체류 경험, 한국인의 앞선 이주, 한국인과의 사회경제적 격차와 고용-피고용 관계에 기반하여 영국인에게 동화되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에게 동화, 흡수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한국 이주민 단체는 탈북민들의 노동력, 높은 행사 참여율에 의지하게 되면서 통합 멤버십을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포용, 갈등, 실용적 협력의 다양한 모습이 나타났다. 둘째, 시간이 지나 탈북민들의 초국적주의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다소 새로운 버전의 북한이 강화, 발전하는 재영토화가 진행되었다. 동화에 대한 저항, 탈영토화의 형태로 북한인의 초국적주의가 나타나고 이를 둘러싼 통합, 독립의 담론과 갈등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북한인의 초국적주의는 한편으로 영국-한국-북한의 경계가 섞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북한 정체성을 형성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동과 정착, 밀집지역 만들기와 같은 공간전략 속에 나타난 탈북민들의 동화와 초국적주의는 서로 경쟁, 보완하며 정체성 재협상이 이루어지게 하며 그 과정에서 국가 탈영토화, 재영토화가 이루어진다. This paper looks at how different migrant group’s interactions in their daily lives constitute the territoriality of states. The research puts perspectives of critical geopolitics and migrant studies into conversation to suggest the geopolitics of assimilation and transnationalism as the conceptual framework. Based on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is research looks at North Korean refugees’ assimilation and transnationalism developed in encounters and interactions with South Korean migrants.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y are, first, that North Korean refugees have assimilated to South Korean through their living experiences in South Korea, their employments in South Korean ethnic businesses, and the benchmarking and increasing partnership with South Korean organisations. Second, as time went on, North Koreans’ transnationalism was developed. By establishing a Korean language school for North Korean second generation, they attempted to maintain and develop new North Koreanness. It caused conflicting discourses on how North Koreans should be identified among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North Koreans also often went through renegotiating their identities in responding to outside interests in North Korea as a mysterious, miserable, and threatening country.

      • KCI등재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이기쁨 ( Gi-ppeum Lee ),정기천 ( Ki-chon Jeong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시에 소재한 A센터를 이용하는 6세-7세의 발달장애유아 3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를 적용하였고, 매 회기마다 20분을 녹화하여 관찰자와 함께 대상 유아의 주의력 행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중재의 종결 2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상황에서 관찰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관찰을 통한 주의산만행동 및 주의집중행동 발생률의 평균 및 범위를 단계별로 제시하고 그래프 작성을 통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산만행동이 감소되었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집중행동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주의산만행동이 감소되었고 주의집중행동이 증가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실시한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psychomotor exercise programs using fairy tale stories on the attentiveness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find out the effects of psychomotor exercise programs using fairy tale stories on the attentiveness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ree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ge range of 6 to 7 years old and they were utilizing A center at C city were selected. The blueprint of this research was a 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 In every session, 20 minutes of recording was applied and observe attentiveness behaviors of participating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 other observers. In addition, more observations were applied at the same situation as the baseline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program was ended. The data analysis was done with drawing up graphs and providing means and ranges of occurrence rate of attentiveness behaviors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s based on each level.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sychomotor exercise programs using fairy tale stories decreased attention deficit behaviors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econd, psychomotor exercise programs using fairy tale stories increased attentiveness behaviors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summary, attention deficit behaviors were decreased and attentiveness behaviors were increased. Therefore, psychomotor exercise programs using fairy tale stories had positive effects on attentiveness behaviors of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케네디 동화주의의 양면성과 1965년 개정이민법의 한계

        임현식(Lim, Hyunsik) 이주사학회 2016 Homo Migrans Vol.15 No.-

        본 논문은 1965년 개정 이민법의 의의와 한계를 케네디 대통령의 동화주의적인 관점에서 고찰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케네디 대통령의 주장하였던 동화주의를 분석하였으며, 그의 동화주의가 1965년 개정 이민법에 관한 미국 의회 내의 토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는데 집중하였다. 1965년 개정 이민법은 북서유럽 국가들에게 대부분의 이민 기회를 제공하였던 국적기원법의 쿼터 원칙을 폐기하고, 이민의 문호를 모든 국가에 개방하였던 법안이다. 개정 이민법안은 미국에 입국할 수 있는 연간 이민 쿼터를 서반구에 12만명, 동반구에 17만명을 부여함으로써, 유럽 외 대다수 지역에 이민 쿼터를 부여하지 않았던 국적기원법의 원칙을 폐기하였다. 따라서 이 법안은 국적기원법의 인종차별주의적인 요소를 철폐하고, 모든 국가에 이민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진보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민 문호의 확장은 1970년대 이후 미국 다문화주의가 형성되는 실질적인 전환점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1965년 개정 이민법의 구체적인 내용 속에는 보수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 법안이 서반구와 동반구에 이민쿼터를 동등하게 부여함으로써, 이민의 문호를 모든 국가에 확장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다만 이민 개정안은 ‘가족초청이민’을 이민의 우선순위로 배정함으로써, 미국 시민권을 가지고 있는 유럽 이민자들의 가족들에게 보다 많은 혜택이 주어졌다. 이러한 1965년 개정 이민법의 양면성은 이 법안을 ‘의도하지 않은 개혁’이라고 평가하는 결정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케네디는 1965년 개정 이민법의 양면성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는 1958년 메사추세츠 주의 상원의원으로 재직하며 국적기원법의 원칙을 정치인 가운데 최초로 비판하였으며, 대통령 임기 기간 동안 1965년 개정 이민법의 청사진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개정 이민법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위치에 있는 인물이다. 또한 그가 주장하였던 ‘새로운 동화주의’는 1965년 개정 이민법의 양면성, 즉 이민의 쿼터를 모든 국가에게 확장한 진보성과 이민의 우선순위를 유럽출신의 이민자들에게 부여하였던 보수성을 분석하는 데에도 대단히 유용하다. 케네디의 동화주의는 이민의 문호를 모든 국가에게 확장해야할 당위성을 설명하고 있는 진보적인 성격과 미국 이민사를 ‘하나의 문화’로 동화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 보수적인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케네디의 동화주의가 가지고 있는 양면성과 1965년 개정 이민법의 양면성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은 1965년 개정 이민법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주제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1965 Immigration Act through President Kennedy’s New Assimilation. In order to analyze this view point, this study examine President Kennedy’s New Assimilation with its influence of United State Congress’ debate on 1965 Immigration Act. 1965 Immigration Act repealed the principle of National Origins Act which provided most of immigration opportunities to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Nordic Countries. especially Nordic Countries. Morever, 1965 Immigration Act provided annual Immigration Quota both to Western Hemisphere Countries and Eastern Hemisphere Countries: 120,000 annual quota to the Western and 170,000 to the Eastern. This act consisted with liberal characteristics of repealing racial discrimination elements of National Origin Act, and extended immigration opportunities to all country. Therefore, 1965 Immigration Act provided practical turning point of racial and cultural changes in United States after 1970s. However, 1965 Immigration Act was consisted with conservative articles as well in closer analysis. Although 1965 Immigration Act expanded immigration to all nation by providing equal opportunities to Western Hemisphere Countries and Eastern Hemisphere Countries, this Act also gave immigration priorities to ‘family reunification immigration’ which provided better immigration opportunities to families of European Immigrants who possessed United States Citizenships. This ambilaterality of 1965 Immigration is primary reason why this Act is considered as ‘unintended reform’. President Kennedy is an fundamental agent on understanding ambilaterality of 1965 Immigration. When he was a Senate in Massachusettes in 1958, he was a first politician who criticized National Origin Act. He also provided blueprint of 1965 Immigration Act when he served as president. His ‘New Assimilation’ is primary factor to analyze ambilaterality of 1965 Immigration which consisted with liberal characteristics of expanding immigration quota to all nation and conservative characteristics of giving better immigration opportunities to European Immigration. Kennedy’s New Assimilation includes both liberal characteristic and conservative characteristic. It justifies the reason to expand immigration to all country but also explain U.S immigration history as an process of assimilating into ‘singular culture’. Therefore, analyzing interrelation between ambilaterality of Kennedy’s New Assimilation and ambilaterality of 1965 Immigration Act is a crucial subject on understanding 1965 Immigration Act.

      • KCI등재

        프랑스 제국적 페미니즘과 공화적 동화주의:오클레르와 NPNS 비교 연구

        한명숙(Myung-Sook Han)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0

        위베르틴 오클레르의 여성참정권 운동과 프랑스 내 북아프리카계 이민자 가정의 2, 3세대 여성들이 벌인 NPNS 운동은 각각 19세기 말, 20세기 말 시대 코드에 저항했던 운동이다. 약 한 세기의 시간적 간격을 갖는 이 두 운동은 프랑스의 국시라 할 수 있는 공화주의 이념의 현실적 구현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 두 운동을 프랑스 고유의 공화주의에 내재한 보편주의와 동화주의 이념과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프랑스 공화주의에 깊은 신뢰를 보내던 오클레르는 제3공화정의 문명화 사명 명분과 공화주의적 보편주의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프랑스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는 데 이론적으로 성공하였다. 오클레르의 여성참정권 운동의 본질은 성차를 인종차로 대체한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한편으로 한 세기 후 탈식민의 북아프리카계 이민자 가정 여성이 벌이는 NPNS 운동은 자신들에게 쏠리는 의심의 시선에 저항하면서 현실의 문제는 동화라는 관념적 장치가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되어 게토화한 방리유에 스며든 마초이즘과 이슬람 근본주의라고 경고하였다. 이 여성들도 동질성과 평등, 보편의 언어로 공화주의를 지지하면서, 성차뿐 아니라 인종차까지도 초월하는 공화주의적 보편을 방리유에 적극 도입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프랑스의 공화주의적 보편주의나 동화주의는 18세기 말 혁명 이래 프랑스 페미니스트들에게 걱정스럽고도 모호한 유산을 남겨주었다. 모든 담론은 주어진 시대의 산물로 변화할 수 있고 비판받을 수 있다. 이 두 운동을 비교, 탐구하는 것은 시대의 갈등과 딜레마를 드러내면서 억압의 신발 끈을 슬쩍 풀어 제 발로 넘어지게 만드는 작은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Hubertine Auclert’s work for the acquisition of French women’s suffrage, and the NPNS movement which was launched by the North African immigrant young women in France, are woman s movements that resisted the age code of the late 19th and the late 20th century. These two movements, which have a time gap of one century, are connected to the practical realization problem of the French Republicanism. This study analyzes the two campaigns, linking with universalism and assimilation inherent in France s unique republicanism. Auclert, who has a deep trust in the French republicanism, succeeded in claiming the suffrage right of French women in a range that does not undermine the civilization mission of the third Republic and the frame of republican universalism. It would be appreciated that the essence of Auclert’s women suffrage campaign is a substitution of racial difference for sexual difference. About one century later, the North African immigrant young women’s NPNS movement is a warning that the real problem is not a conceptual device of assimilation but machoism and Islamic fundamentalism that has been permeating in the ghettoized Banlieue. These women supporting French republicanism in the words of sameness, equality and universality, dem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aggressively introduce the policies of republicanism universalism which transcends ethnic and religious differences to the banlieus. The republican universalism and assimilation of France have indeed left an ambiguous and worrying legacies for French feminists since the era of French Revolution. All discourse is the product of a given era. Exposing discords and dilemmas of the two women’s movements, this study secretly unties the shoelaces of oppression to make it trip over its shoes.

      • KCI등재

        헌팅턴의 `미국 히스패닉 앰퍼샌드 정체성과 동화주의 명제`에 대한 실증적 비판

        남궁곤 ( Gon Namkung ),유은경 ( Eun Kyung Yoo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0 담론 201 Vol.13 No.3

        이 글은 미국 정체성 위기를 이민문제, 특히 히스패닉의 대량 유입에서 찾고자 하는 헌팅톤의 논리와 동화주의 접근법 갖는 문제점을 재검토하여 비판한다. 이 글은 헌팅톤의 히스패닉 앰퍼샌드 정체성 주장이 기반하고 있는 동화주의 접근법이 갖는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추적해 그 논리적 문제점을 추출해 낸다. 그런 다음 헌팅톤이 히스패닉 이민자들이 앰퍼샌드 정체성을 형성하는 근거로 주장하는 바를 6개의 명제로 유형화하여 타당성을 검토, 비판한다. 헌팅톤의 비동화설이 제기한 명제들은 히스패닉 이민자가 미국사회에 동화되지 않고 자신들만의 뚜렷한 하부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미국 사회를 해체시키고 각종 사회 문제를 낳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들은 히스패닉 이민자들의 이민을 철저히 통제하고, 미국의 동화주의를 더욱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경험적 자료를 통해 히스패닉 비동화 설이 주장하고 있는 핵심 내용을 검토해 본 결과 이는 매우 과장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동화주의라는 용어 자체에는 수많은 은폐와 인종 차별적 요소가 함의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동화주의자들이 주장하는 미국으로 이민 온 이민자들이 앵글로-개신교도인 미국의 주류 사회에 적응해야 한다는 개념은 미국 사회가 시작되었던 초기의 미국 건국의 개념들을 모두 없애 버리며, 현재까지 이민자들과 함께 만들어 온 역사까지 부인해 버린다. 뿐만 아니라 과거 미국의 라틴아메리카로의 침략의 역사와, 미국의 필요에 의해 유입이 장려 되었던 이민의 역사까지 은폐하고 있다. 미국의 보수주의자들에 의해서 주장되고 있는 비동화 위기설은 매우 과장되고 왜곡된 것이며, 동화주의라는 개념 자체에 많은 은폐와 차별이 함축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Huntington`s six propositions on the assimilation model for the Hispanic immigrants and the recent U.S. immigration policy. This research aims to criticize the assimilation model through demographical, normative, and political approach. This study shows that Huntington`s non-assimilation argument is exaggerated and distorted. The concept of assimilation model itself includes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by studying the immigration policy for Hispanics, this research critically offers the opportunity to prove that the U.S.`s assimilation model has caused numerous discriminations so far. Also it criticizes the feasibility of Hispanic immigrant`s non-assimilation model.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larifies how the U.S. has discriminated diverse races and groups. Moreover, this research would contribute to help people in finding the ways of achieving national integration.

      • KCI등재

        개발농정(開發農政)의 선전(宣傳)과 "동화주의(同化主義)" -전북(全北) 이리(裡里)발행 『조선지산업(朝鮮之産業)』(1929~1936)의 분석

        ( Seung Jin Ch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7 No.-

        1920년대 ‘內鮮融和’(=內地延長主義)에서 1930년대 ‘內鮮一體’로 동화주의정책이 선회하고, 이후 일본 제국주의는 ‘皇國臣民化’를 통해 동화정책을 극한치까지 심화해 식민지 지배방침 나아가 ‘제국’의 통치방침으로 선전·고양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정책 전환의 중간 단계로서 동화주의가 어떠한 물적·인적 토대 위에서 수립되었는가를 ① 다각적 영농, ② 이민문제 및 농촌조직화라는 양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이는 1930년대 일제의 성격변화(전체주의, ‘農本主義’로의 전환) 즉, 더 이상 자유주의(개인주의)나 자본주의(시장메카니즘) 만으로는 ‘제국’의 안정과 식민지의 ‘발전’을 도모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일본인의 이민과 이를 기초로 한 식민지지주제 및 농촌조직화는 ‘民族同化’를 위한 최소한의 필요조건으로 기능하였다. 그러나 이민(=필요조건)이라는 동화주의의 인적 토대는 지역‘개발’(=충분조건)이라는 물적 토대와 결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개발을 통한 동화’라는 ‘일본적’ 동화주의정책, 나아가 직접 식민통치라는 일본적 제국주의의 지배 방침이 도출되었다. 이 글은 현재 다양한 의미로 이해되고 있는 일제의 ‘동화주의’에 대해 식민지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개발을 통한 동화’를 어떠한 방식으로 도출하고 해석할 것인가에 관한, ‘植民政策學’(=제국주의 정치경제학)의 새로운 문제제기를 위한 것이다. This writing is aimed at clarifying the character of Gwangmu Yangjeon by doing analytical comparison between Yangan(land register based on land survey) and land investigation sheet of Geumsan-ri, Namil-myon, Juksan-gun, Gyeonggi-do(the present Geumsan-ri, Iljuk-myon, Sanseong-si). For this purpose, this writing compared the contents of these two documents by interlinking the land register and individual pieces of land of the land investigation shee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landowners at Geumsan-ri raked up lots of land through instrumentality of a government post. On the other hand, poor farmers augmented their arable acreage when their living expenses increased while reducing the area of arable acreage in case living expenses decreased. Like this, at Geumsan-ri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t``s rare to find the landowners who obtained wealth by more aggressively managing their land. So is it rare to find the farmers who tried to accumulate a lot more wealth than the cost of living in preparation for unexpected spending. In other words, the consciousness of the landowners and poor farmers at Geumsan-ri in the early 20th centur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traditional era. The land survey officials in charge of Gwangmu Yangjeon of Geumsan-ri, and the same official-post holders in the Joseon Dynasty were found to be similar in their consciousness. As a result, Gwangmu Yangan (land register) became the documents that differed from the land register (cadastral book included) in its system. Gwangmu Yangan listed the real picture through the fictional process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needs while listing the land-survey-businessrelated documents as it actually was. Gwangmu Yangjeon was subject to a land survey official``s judgment instead of arranging working rules (detailed rules) with regard to the starting point of Yangjeon, judgment of Yangjeon direction, grasp of its model, ratings determination, and area calculation, etc. As a result, the standards related to individual work differed from each and every land survey official. Like this, Yangjeon officials took charge of working process while the result of the working process was seized by the State. By comparison, land survey business tri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officials`` subjective judgment in the process of survey business by arranging working rules(detailed rules) having to do with the starting point of investigation, grasp of its model, ratings determination, and area calculation, etc. In short, in modern times, a State seized both Yangjeon process its result.

      • KCI등재

        중국 민간전설『백사전』의 전래동화화에 관한 고찰

        두전하 ( Quan Xia Dou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5 No.-

        한국과 중국의 교류가 나날이 활발해짐에 따라, 곧 한국에서도 중국의 다양한 전래동화를 접할 수 있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한국에서의 중국 전래동화 수용은 중국을 대표하는 전래동화부터 수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텐데, 중국을 대표하는 전래동화로 손꼽을 수 있는 작품이 바로 『백사전』이다. 「백사전」은 중국 4대 민간전설 가운데 하나로, 중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이다. 「백사전」은 전래동화 고전소설ㆍ경극ㆍ연극ㆍ드라마ㆍ영화 등으로 다양하게 재화될 만큼, 중국인들로부터 널리 사랑받고 있는 대표적인 민간전설이다.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중국 민간전설 「백사전」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수용되고 변모해 왔는지를 고찰해본 뒤, 중국과 한국에서 출간된 전래동화 『백사전』의 양상을 각각 살펴보고자 한다. 「백사전」의 주인공 백낭자는 예전에 악한 뱀 요괴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으나, 점차 선한 여성의 이미지로 변모하였다. 백낭자는 시간이 흐르면서 아름답고 온화한 여인의 이미지로 바뀌게 되었고, 점차 남성 중심적 봉건제도에 맞서는 강인한 여성상으로 형상화되었다. 특히 당대(當代)에 이르러서는 소청·허선 등과 조직적으로 봉건제도에 맞서 투쟁하는 무산계급 여성의 모습으로 형상화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는 중국에 널리 알려져 있는 전래동화 『백사전』 가운데 재구성의 타당성과 자체적인 작품성을 고려하여 지식출판사에서 출간된 장문(張文)의 그림책 『백사전』을 기본 검토 대상으로 선정하여, 중국에서 출간된 전래동화 『백사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국과 한국에서 출간된 전래동화 『백사전』의 양상을 각각 살펴본 결과, 중국에서 출간된 전래동화 『백사전』은 민간전설 「백사전」의 장점을 잘 살리면서도 여성주의 및 반봉건이라는 새로운 시대의 가치관을 잘 녹여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한국에서 출간된 전래동화 『백사전』은 명나라 시대 혹은 그 이전 시대의 판본과 유사한 내용을 택함으로써, 시대의 흐름에 따른 새로운 가치관을 수용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민간전설 「백사전」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가치관을 수용하며 변화해 왔고, 그로 인하여 오늘날까지도 다양한 장르로 재화되면서 인민들로부터 널리 사랑받는 작품이 될 수 있었다. 따라서 중국 민간전설 「백사전」을 전래동화화함에 있어서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린이 독자들이 살고 있는 시대의 가치관을 잘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민간전설 「백사전」의 전래동화화는 민간전설 「백사전」의 장점을 잘 살리면서도, 어린이 독자들이 살고 있는 시대의 가치관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옛이야기에는 계승해야 할 점과 수정을 요하는 점이 모두 존재한다. 중국 민간전설 「백사전」의 전래동화화에 있어서도 계승해야 할 점과 수정을 요하는 점을 명확하게 구분하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historical change of the folk tales of The white snake in China. It study also focused on the same and different situation of the fairy tales of The white snake which is being published in China and also in Korea. The heroine of 『The white snake』 was a vicious snake monster (in before,) but with the passage of time, she was becoming tender, beautiful and strong who struggled against the feudalism in The white snake. Especially in the contemporary, she and Xiao-qing as the female symbol who struggled against feudalism together. Through these cases, we can know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 that The white snake is constantly in change. This paper also studied how The white snake folk tales progressing to fairy tales. In many versions, by considering the rationality and the content of the works constitute, the authors have chosen Zhangwen`s fairy tales of The white snake and Sen-yong` the fairy tales of The white snake. From these, we concluded that the situation of the fairy tales of The white snake which is being published in both China and Korea.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white snake was accepting the new values and being change ceaselessly. So it was always popular among the people. and when The white snake folk tales progressing to fairy tales, reflected the value of the child reader`s life.

      • KCI등재

        마키모토 구스로(槇本楠郞)의 필리핀동화집 『야자열매와 어린이』(1943) 연구 -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광기와 아시아옛이야기 출판

        권혁래 ( Kwon Hyeokrae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마키모토 구스로(槇本楠郞)는 근대 일본의 동요와 동화 작가이자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의 선도자로 평가된 인물로, 그의 프롤레타리아 아동문학과 문학이론은 일본뿐 아니라 한국, 중국에서도 주목받아 왔다. 그는 1930년대 후반 이후 일본 전역에 불어 닥친 아시아태평양전쟁의 광기에 휘말려 1943년 필리핀동화집 『야자열매와 어린이』(대동아권동화총서 제4권)를 집필했다. 마키모토는 일본제국의 식민지 문화통치의 의도에 따라 문화인류학적 내용이 드러나는 작품을 주로 선집하고, 일본과 필리핀 간 동화 및 문화의 친연성을 강조하며 대동아공영권 의식을 옹호하였다. 천지창조 및 왕국의 기원, 정령에 관한 관념을 전하는 10편의 작품들에는 대체로 필리핀의 문화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인류학적 관심사가 표현되었다. 한편으로 이 작품집에는 필리핀의 대중적인 작품, 민족적 캐릭터를 다루거나 해학적 작품이 적다. 『야자열매와 어린이』는 일본의 패전 이후 완전히 망각되었다. 이 동화집을 21세기 설화·옛이야기 학계에 다시 소환하면서, 제국이 주도하는 전쟁의 광기 속에서 아동문학이 맞은 위기가 어떤 것인지 생각하고,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지향하며 참된 문학정신이 담긴 새로운 아시아동화집을 어떻게 편찬할 수 있을지에 대해 성찰하는 사례로 삼고자 한다. Kusuro Makimoto is a contemporary Japanese author of children's literature, who is evaluated as a leader in proletarian children's literature. In addition, his works and literary theory have garnered attention not only in Japan, but also in Korea and China. However, he was caught up in the madness of the Asian-Pacific War that blew across Japan after the late 1930s, and wrote Philippine Fairy Tale Collection, Palm Fruits and Children. This collection, comprising 13 works, shows a bias based on imperialistic intentions and cultural anthropological interests rather than children's literary tendencies. Ten works conveying the idea of the creation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origin of the kingdom, and the spirits generally show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Philippines. In this collec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few works dealing with popular Filipino and ethnic characters. Palm Fruits and Children was completely forgotten after the defeat of Japan in 1945. Through this collection, I will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nd children's literature, and conceive how to compile a new Asian fairy tale collection containing peace and true literary spirit.

      • KCI등재

        중심-탈중심주의의 문화정치학

        김은실(Eun Sil Kim) 한국정치사상학회 2013 정치사상연구 Vol.19 No.2

        국제정치는 중심주의와 탈중심주의의 중첩된 이해관계 속에서 중심문명과 주변국가 간에 포섭과 배제, 균형과 편승 전략을 통해 권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자국의 정치적 명분과 실리를 유지하려 한다. 주변부 국가들은 중심부 문화의 이상화된 세계관이나 가치 및 제도 등을 보편적이고 우월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이후 중심부의 문화는 주변국의 보편적인 세계관으로 내면화되고 주변부국가들은 모방과 동화를 통해 자국의 정체성을 중심부문화에 일치, 통합시키려는 태도를 갖게 된다. 지배문화 혹은 중심부 문화는 이런 방식을 통해 언제나 강자의 무기로 활용되었다. 반면 중심문명이 몰락할 경우 그동안 중심문명에 동화되었던 주변부 국가들은 문화정체성의 위기에 봉착해 혼란을 겪게 된다. 최근 탈냉전, 탈이데올로기, 탈중심적 국제질서로 인한 중심성 해체와 문화정체성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서적 동질감과 역사적 공감대의 형성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명)과 비잔틴의 붕괴 과정에서 중심문명에 대한 주변부 국가의 문화정체성 회복의 사례로 조선중화주의와 모스크바-제3로마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조선중화주의와 제3로마 사상은 17세기 동아시아와 15세기 동유럽에서 시간과 공간을 달리하여 발생한 사건과 이념이다. 당대 중심부문명의 붕괴라는 공통된 국제정치적 배경을 갖고 있는 조선중화주의와 제3로마사상에 대한 연구는 중심주의 해체로 인한 문화정체성 위기 극복을 위한 역사적 교훈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중국과 비잔틴제국의 주변부였던 조선과 러시아가 건국초기에는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중심문명을 수용하고 동화되었다. 특히 문명의 중심축을 상실했을 때에 양국은 탈중심주의를 표방함으로써 문화적 주변성을 극복하고 나아가 국가발전을 모색하는 유사성을 보임과 동시에 조선은 탈주변화를 목표로, 러시아는 재중심화를 추구했던 차이점에 주목하였다. International politics would secure power through the strategy of inclusion and exclusion, and balance and bandwagon between central civilization and surrounding nation in the interest of centralism strategy and Post-centralism overlapped and further, maintain her political cause and benefit. Surrounding countries accepts idealized view of the world or value and institution as universal and superior. Afterwards, central culture is internalized into universal view of the world of surrounding countries, and the countries have the attitude to match and integrate their entity with central culture through imitation and assimilation. Governing or central culture was always used as the strong’s weap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entral civilization’s collapse, surrounding countries assimilated with central civilization in the meanwhile were in the crisis of cultural entity and sometimes suffers disorder. Recently, for the conquest of centrality break-up and cultural entity crisis by post-cold war, post-ideology, and post-centralism international order, emotional sense of homogeneity and historical consensus need formation. This study would analyze Chosun-Sinocentrism and Moscow-The Third Rome as a case of cultural entity recovery in surrounding countries in China(Ming) and Byzantine. Chosun-Sinocentrism and The Third Rome are event and ideology that appeared in East North Asia of the 17th century and in Eastern Europe of the 15th century in different time and space. Then, Chosun and Russia around China and the Byzantine Empire were deeply assimilated with central civilization. Sudden collapse of surrounding countries shook basis of cultural legitimacy and entity in Chosun and Russia. Chosun-Sinocentrism and Moscow-The Third Rome are political ideology presented while Chosun and Russian that lost civilization’s central axis overcame cultural circumambiency and sought national development. Study on Chosun-Sinocentrism and Moscow-The Third Rome with common international and political background, collapse of central civilization will provide historical lessons against cultural entity crisis by centralism break-up.

      • KCI등재

        미국의 동화주의적 이민자 정책과 다문화주의

        김호연(Kim Ho-Ye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다문화주의의 이름으로 진행되는 한국 사회의 동화주의적 이민자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위한 기획의 일부로 쓰인 것이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동화주의적 이민자 정책을 살펴본 뒤, 미국에서의 다문화 담론의 역사적 전개와 난맥상을 살펴볼 것이다. 이민의 나라인 미국은 다양한 이민자 정책을 현재까지 진행해왔으나, 그 기저에는 동화주의가 뿌리 깊이 내재해있으며, 이는 미국의 이민자 정책이 선택과 배제라는 우생학적 논리와 친연성을 맺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문화주의는 기본적으로 차별이 아닌 차이를 존중하고, 이에 기초하여 평등성을 지향하는 탈근대적 기획의 성격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화주의적 이민자 정책이 전개되는 양상은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에게 커다란 교훈을 준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주의의 안티테제라 할 수 있는 동화주의가 미국이 이민자와 소수 인종을 다루는 주요한 방식이자 이념이었음을 검토하는 것은 ‘다문화’라는 용어가 빈번해지고, 무분별한 다문화 정책이 회자되고 있는 우리 사회의 이민자 정책과 다문화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기초적인 인식을 제공해줄 것이다. This essay was written as a part of planning for critical review of assimilative immigrant policy which is progressed under the name of multiculturalism in Korean society. For this, after looking into the assimilative immigrant policy of the US, we will look into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os of multicultural discourse in the US. The United States which is the country of immigrants has progressed various immigrant policies so far, but on its foundation the ideology of assimilative doctrine is deep-rootedly inherent, and it means that the immigrant policy of the US has close relation with eugenics logic of choice and exclusion. Multiculturalism basically respects the difference but not differentiation and in spite of the fact that based on this it has character of postmodern planning which aims for equality, the aspect of assimilative immigrant policy development gives great instruction to us who enter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ly, showing that assimilative doctrine which can be called antithesis of multiculturalism is an important method and ideology for the US to treat immigrants and minority races will provide us with basic recognition. This enables us to review critically the immigrant policy and multicultural discourse of our society, where the term 'multi-culture' becomes frequent and inconsiderate multicultural policy is on everybody's m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