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동해 국제관계의 역사와 지정학적 맥락

        배규성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동해의 역사는 지정학 이론과 결합되어 전개되어 왔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지정학 이전 의 시기인 고대에서 중세까지 동해는 환동해 연안지역 농어민들의 생활(어업과 채집)의 터 전이자 무역 및 문물교류의 ‘열린 바닷길’이었다. 근대기, 일본과 조선의 개항기 동안 동해는 제국주의의 식민지 쟁탈의 바다였다. 미국의 페리제독에 의해 개항된 일본은 청일전쟁(1894-1895)과 러일전쟁(1904-1905)의 승리 를 통해 조선과 동해의 제해권을 장악했고 북방으로 진출했다. 미국과 일본의 환동해를 둘러싼 이러한 제국주의 팽창은 마한의 ‘해양세력론’에 기초해 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일본은 독일 제국에 대한 전쟁을 선포하고 거의 저항 없이 서태평양에 있는 독일 식민지(북마리아나군도, 캐롤라인군도 및 마샬군도)를 재빨리 장악했다. 전쟁이 끝난 후 국제연맹은 일본에 이들 지역에 대한 위임통치권을 주었지 만, 일본은 인종주의와 문화적 차이 때문에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을 구축했다. 그러나 결국 일본의 태평양 전쟁 패전으 로 일본이 강점했던 식민지와 점령지가 해방되었다. 이렇게 1차 세계대전에서부터 태평양 전쟁의 시기까지는 주축지역의 세력인 독일과 중국이 안쪽초생달지역과 바깥쪽초생달지역 으로, 즉 해양으로 진출하지 못하도록 안쪽초생달지역인 일본과 바깥쪽초생달지역인 미국 이 협력하였으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서구세력의 인종주의적 정책과 문화적 차이에 실망 한 일본이 하우스호퍼의 생활권이론을 도입하여 대동아공영권을 추진하자 미국과 대립했 고, 결국 미국에 패배했다. 이 시기동안 동해는 일본의 제국주의가 지배하는 바다였다. 맥킨더의 심장지역이론과 더불어 스파이크만의 주변지역이론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소 련 공산주의의 팽창을 막기 위한 미국의 봉쇄정책에 이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중 미국은 일본에 의해 림랜드가 통합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륙세력인 소련과 협력하였지만, 2차 대전이 끝난 후, 다시 대륙세력인 소련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패전국인 일본을 해양세력으로서 다시 동맹국으로 끌어들여 대륙세력 소련에 의한 림랜드의 통합을 막았다. 따라서 2차 대전 이후-냉전기 동안 동해는, 특히 냉전의 전환점이 된 한국전쟁 (1950) 이후 남북한이 대치하고 미국과 일본 그리고 소련과 중국이 지원하는 냉전의 바다 가 되었다. G2 중국의 등장으로 탈냉전 이후 오늘날의 지정학은 냉전기 소련의 자리를 중국이 대체 한 형세를 이룬다. 즉, 미국은 대륙세력인 중국이 림랜드를 통합하는 것을 막기 위해 해양세 력으로서 일본과 동맹하여 중국을 포위한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동아시아에서의 새로운 미중 신냉전 체제의 핵심이다. 따라서 동해는 북한의 나진항과 두만강 유역 도시 훈춘을 통해 동해로의 출구를 마련한 중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남북한과 일본, 러시아가 개입하는 신냉전의 바다가 될 것이다. 해양의 핵심적 의미는 “연결”과 “소통”에 있다. 그러나 동시에 “경쟁과 갈등의 장”, “대 립의 장”, “팽창/침략의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오늘날까지도 동해는 역사적으로 동해를 중심으로 펼쳐져 온 환동해 연안국들 간의 지정학적 맥락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연결”, “소통”, “협력”보다 “경쟁”, “갈등”, “분쟁”이 동해를 지배하고 있다. The history of the East Sea has been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geopolitical theories.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pre-geopolitics), the East Sea was open to trade and cultural exchanges as well as a living space for the people living in the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Rim. In modern times, during the opening period of Japan and Korea, the East Sea was a sea of imperialist contests for colony. Japan, which was forcibly opened by Admiral Perry of the United States, took control of Chosun and the East Sea through the victories of the Sino-Japanese War(1894-1895) and the Russo-Japanese War(1904-1905), and expanded to the north. The imperialist expansions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round the East Sea is based on Mahan's theory of Sea Power. When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in 1914, Japan declared war on the German empire and quickly gained control of the German colonies(the Northern Mariana Islands, the Caroline Islands and the Marshall Islands) in the western Pacific with little resistance. After the war, the League of Nations gave Japan mandate over these regions. While from World War I to the Pacific War, the United States in outer crescent area together with Japan in inner crescent area have prevented pivot(continental) forces such as Germany and China from expanding into inner crescent and outer crescent, ie, the ocean,after World War I, Japan disappointed with the racist policies and cultural differences of the Western powers constructed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大東亞共榮圈) by introducing Karl Haushofer's living space theory(Lebensraum), but failed by being defeated in the Pacific war. During this period, the East Sea was dominated by Japanese imperialism. In addition to Mackinder's Heartland theory, Spykman's Rimland theory have been used in the US containment policy to prevent the expansion of Soviet communism after World War II. During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cooperated with the Soviet Union, a continental force, to prevent the unification of the Rimland by Japan, but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the United States brought back Japan as a sea power to its allies to prevent the integration of rimland by the Soviet Union, a continental force. Therefore, from the end of Second World War to the end of Cold War, the East Sea became a sea of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long with South Korea, Japan and the Soviet Union with North Korea, China. With the advent of China as G2 in the post-Cold War era, today's geopolitics around the East Sea is similar to that of the Cold War era, but with China replacing the Soviet Union. In other words, the United States allied with Japan as a sea power surrounds China in order to prevent China, a continental power from integrating Rimland. This is the essence of the new Cold War system in East Asia today. Thus, the East Sea will become a sea of a new cold war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ith a North Korean sea port Nazin and Tumen river city Hunchun as a exit to East Sea. The core meaning of the sea lies in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t may also be a "Field of Competition, Conflict and Confrontation" or "Path of Expansion/Invasion." Up to now, the East Sea still contains the geopolitical context among the East Sea coastal nations, Therefore, "competition", "conflict" and "conflict" rather than "connection","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ppear to dominate the East Sea.

      • KCI등재

        환동해 문화와 문화연구방법의 역사적 고찰

        송완범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3

        In Korea, people call this sea ‘East Sea.’ We have not given much thought that calling it ‘East Sea’ might be strange to Japanese. Although it is a familiar name to Korean, for Japanese it would be hard to locate the sea. Considering the difference, the word ‘The studies of Hwandonghae,’ which might sound as a synthesis of researches of many areas, is very provocative. It is because ‘The studies of Hwandonghae’’ can be equipollent as The studies of Japan-Sea Rim (The Japan Sea Rim studies) for Japanese. From this kind of diametrical perspective, is it possible to expect same results for the same sea? Also doesn’t activity focusing on local government these days leave only structure for profit such as resources and development that speak for the country? Therefore, I believe that the researches of ‘the studies of Hwandonghae’ or ‘the studies of Japan-Sea Rim (The Japan Sea Rim studies)’ as multidisciplinary research based on scientific view for overcoming limitation that the research focusing on local government are open to question. As a result, I obtained several kinds of vision as the following. First, it is about a view of ocean history and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ic description and understanding until now were mostly focusing on the land. On the other hand, the understanding focusing on sea should stand from the open view of ocean history and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 believe that doing so can free us from dichotomic view of land or center and provinces. Second, it is a view from description of naturalized citizen, Doraein and ruined people. The understanding on people who travels between Korea and Japan was mostly evolved around domination and subject 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But it is proved that the people who traveled Korea, Japan and even China were actually working in interaction and view of coexistence. Third, whether East Sea, which is told in the studies of Hwandonghae, can be seen as separated sea or connected sea like seen as sea area, and it will decided the scale and content of research. On other words, the sea seen from the view of sea area history called Hwandonghae (the East Sea Rim) needs establishment of a wide view of understanding everything related to the sea instead of stories of specific sea. Finally, working on itemized discussion of the studies of Hwandonghae after establishing an overall research method will result in regular results. In order to do so, I think Japan’s research of ocean area history, which has already experienced trial and error, could function as a good model. 우리는 그 동안 ‘동해’라는 명칭이 일본인에게는 낯선 것이라는 생각을 거의 하지 않았다. ‘동해’는 우리에게는 익숙하지만 일본인들에게는 그렇지 않다. 그런 의미에서 ‘동해’를 둘러싼 종합적인 지역연구인 ‘환동해학’이란 용어는 도발적이다. 왜냐하면 일본인에게는 ‘환동해학’이라는 말은 그대로 ‘환일본해학’으로 등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대척적인 시점에서는 같은 바다를 두고 서로 확연히 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지자체 중심의 연구활동은 국가 중심의 자원 개발이라는 이익 구조만을 남길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지자체 중심의 연구가 갖는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학술적 시야에 바탕을 둔 학제적 연구로서 ‘환동해학’이나 ‘환일본해학’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해양사(海洋史), 국제교류사(國際交流史) 시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역사적 서술과 인식은 거의 육지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환동해지역 연구는 동해라는 바다를 주무대로 하는 개방된 해양사, 국제교류사적 시점에 설 때 올바로 정립된다. 해양사, 국제교류사적 시야는 육지와 해양, 중앙과 지방의 이분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돕는다. 두 번째로 귀화인(歸化人), 도래인(渡來人), 유민(遺民)의 서술에서 얻는 시야 또한 중요하다. 지금까지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를 왕래했던 사람들에 대한 인식은 지배와 피지배 혹은 상하관계 속에서만 인식되는 것이 주류였다. 하지만 실제로 한반도와 일본열도 더 나아가 중국대륙을 오가는 사람들은 교류와 공존의 시각 속에서 활동하고 있었음이 증명된다. 세 번째로 앞으로의 환동해학은 동해를 분리된 바다로 볼 것인지 아니면 해역(海域), 즉 연결된 바다로 볼 것인지가 중요하다. 이는 동해를 특정한 바다 이야기가 아니라 바다와 관련된 전체를 인식 대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환동해학의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전체적인 연구 방법론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본의 해역사 연구를 하나의 연구방법론적 사례로 고찰할 수 있다.

      • “동해” 명칭의 중국어 표기 방안 고찰

        이명희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7 한국고지도연구 Vol.9 No.2

        본고는 “동해” 홍보자료와 동영상에 쓰일 “동해” 명칭의 적절한 중국어 표기법 및 발음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현재 중국의 지도의 동해 표기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엔 중국의 역사문헌과 지도에는 동해가 어떻게 기록되어있는지 살펴 동해의 중국어 자막 표기의 적절한 답안을 찾고자 했다. 현재 중국에서 출판된 거의 모든 지도책은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도 역시 “일본해”가 쓰이고 있으며 이것에 대해 문제점을 느끼거나 이 문제에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중국인들은 소수의 관련 학자들 외에는 거의 없다. 하지만 중국에서 “일본해”가 동해 해역의 공식 명칭으로 사용된 것은 100여년 남짓 된 일이며 그 전에는 “낙랑해”, “해”, “대해”, “경해”, “경천해”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렀다는 것이 문헌에 전해지고 있다. “동해”는 위의 다른 이름들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다양한 문헌에 전해지는 명칭인데 주로 지금의 중국 동북부, 한반도의 서북지역에서 활동하며 동쪽으로 바다에 접하는 활동 영역을 갖고 있던 여진, 거란, 만주족들이 해당 해역을 부르던 이름이었다. 위에서 언급한 다른 이름들이 짧은 시간 혹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일반명사의 성격에 가까운 이름이었던 것에 반해 “동해”는 요, 금 시대를 거쳐 청 후기까지 사용되었던 명칭이었으며 오늘날의 동해 해역과 거의 일치하는 지역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의 성격이 강한 명칭이다. 따라서 “동해”는 그 동안 중국에서 사용되었던 다른 어떤 명칭과 비교해도 오늘날 동해를 지칭하는 중국어 명칭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중국 지도에서 외국 지명을 표기하는 방법을 고찰해 본 결과 육지 지명의 경우 지명이 원래의 한자를 갖고 있을 경우 그것을 그대로 표기하되 영문 표기는 해당 국가의 발음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하지만 국가와 국가 사이의 공해 명칭의 경우 한자는 원래의 것을 적되 영문의 경우 어느 한 국가의 발음을 표기하지 않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지명을 사용한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东海(East Sea)”를 동영상의 자막으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주장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내용이다. 또한 본 보고서를 통해 진행한 중국의 “동해” 사용 역사에 대한 조사는 해당 해역에 다른 어떤 지명보다도 “동해”가 어울린다는 것을 더 잘 설명해주고 있기도 하다.

      • KCI등재

        5세기 이전 신라의 동해안방면 진출과 ‘東海岸路’

        강봉룡(Kang, Bong-Yo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3

        일찍부터 동해안로는 고대의 여러 세력이 교류하던 통로로 기능하였다. 동해안에는 ‘嶺東濊’라 불리는 토착세력(동해안세력)이 분포해 있었는데, 이들은 한반도 서북한 지역의 정치세력이 ‘고조선→임둔군→현토군→낙랑군→고구려’로 변동되는 것에 따라 복속관계를 무상히 교대해갔다. 이들 서북한지역의 정치세력은 교대로 동해안세력을 복속시키면서 동해안로를 따라 남쪽의 신라와 직간접적인 교류를 하였다. 고조선과 秦, 그리고 낙랑의 유민들이 동해안로를 따라 내려와 신라의 구성원으로 합류하였고, 신라는 이로 인해 상당한 사회변동을 겪게 되었던 것이다. 고구려와 신라는, 처음엔 동해안로를 통해서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으나, 5세기 전반부터 갈등의 조짐이 나타났고, 5세기 중반에 동해안로에서 무력 충돌사건이 터지면서 파경을 맞게 되었다. 이 단계에 동해안의 주요 세력집단은 신라에 기울었고, 그럴수록 신라와 고구려의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었다. 신라는 2세기 초부터 국제 교역의 거점으로 추정되는 사도성(영덕)을 장악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4∼5세기를 거치면서 실직(삼척)과 하슬라(강릉), 그리고 비열홀 (안변)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동해안로를 장악해 갔다.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동해안으로 영향력을 확대해오고 있던 고구려와의 충돌이 불가피하였는바, 신라는 고구려의 침략을 저지하면서 동해안세력에 대한 지배의 강도를 높여갈 수 있었다. The east coastal route once had long serv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several ancient powers remained in contact with one another. The east coast was where Yeongdongye, an indigenous power, was widely distributed. As political power, in the northwest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passed from Gojoseon to Imdungun to Hyeontogun to Nakranggun to Goguryeo, Yeongdongye found itself in a position of subjugation to the dominant political power. The dominant political power in the region had direct and indirect contact with Silla in the south, along the east coastal route, while conquering the east coastal powers. People from Gojoseon, the Qin Dynasty of China and Nakrang traveled along the east coastal route to join Silla, which ultimately led to considerable social change in Silla. At first, Goguryeo and Silla maintained a peaceful relationship regarding the east coastal route. However, tensions began to ris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5thcentury, and a military confrontation brokeout between the two nations on the east coastal route in the mid-5thcentury. When the two nations eventually fell apart, the dominant political players in the east coastal area leaned towards Silla, further fueling antagonism between Silla and Goguryeo. With the conquest of Sadoseong(present-day Yeongdeok), it was assumed the region would become the stronghold of international trade as early as the 2ndcentury. Indeed, Silla gradually expanded its dominance to include Siljik(present-daySokcho), Haseulla(present-dayGangneung) and Biyeolhol(present-dayAnbyeon), thus seizing the east coastal route. Consequently, it was inevitable that Silla would collide with Goguryeo, which was also increasing its influence along the east coast. It was by keeping Goguryeo at bay that Silla succeeded in dominating the eastcoast.

      • KCI등재

        논문 :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 모색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No.3

        1992년부터 우리 정부가 동해(East Sea) 명칭의 세계 확산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여전히 적지 않은 동해 명칭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동해를 외국인이 쉽게 인지하고 우리 동해의 정체성을 제고하는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첫째, 동해(East Sea) 명칭이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배경에 관하여 살펴본다. 둘째, 기존 대한민국 동해의 국제표준 명칭이 중국 동지나해(東海, Donghai, East China Sea)와 베트남 동해(Bi^en D^ong, East Sea)의 명칭과 차별성이 없음을 밝히고, 북한(조선동해, East Sea of Korea) 명칭과의 단일화 논의 시작이 필요함을 비판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동해 명칭의 실행가능한 발전적 대안으로 한국해(Sea of Korea)나 한국동해(East Sea of Korea)의 명칭 사용을 제시한다. 향후, 남북 간 동해 명칭에 관한 협의는 남북통일을 위한 논의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Although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input much time and cost on global spread of labeling the East Sea since 1992, there are so many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naming on the East Sea of the Republic of Korea in domestic and overseas. It is time to raise the identity of the East Sea and make foreigners understood the name of the East Sea eas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ansive alternatives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naming of the East Sea of Republic of Korea. Firstly, it investigates the background established and labelled the East Sea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Secondly, it looks into a fact that the existing name of the East Sea is not different from the East China Sea(Donghai) and the East Sea of Vietnam(Bi^en D^ong) and critically argues the necessity of the start on the naming unification between the East Sea of Korea of North Korea and the East Sea of Korea. Thirdly, it suggests the usage of the Sea of Korea or the East Sea of Korea as the feasible expansive alternatives on the East Sea of Korea. In the near future, the consensus on the East Sea label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ill be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for reunification.

      • 금석문에 표기된 동해 명칭

        이상태 한국이사부학회 2013 이사부와 동해 Vol.5 No.-

        우리나라에서 동해(東海)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것은 상당히 오래 전인 고구 려 동명왕 건국기사에서 비롯된다. 이때가 B.C. 59년으로 동해라는 명칭은 삼국이 건국되기 이전인 B.C. 59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우리 민족이 2,000 여 년간 사용해 온 매우 오래된 바다 명칭이다. 동해를 우리 민족이 얼마나 오래 전부터 사용해왔는가를 말해주는 다른 사례를 찾아보면 고구려의 장수왕이 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5세기에 세운 광개토 대왕비를 들 수 있다. 이 비문 중 제3면에 능을 지키기 위하여 동해 해변 가에 사는 주민 3명을 차출한다고 적혀 있다. 이와 같이 오랜 역사를 가진 동해 바다 명칭은 현존하는 금석문에도 많이 등장 하는데 언제, 어떻게, 어떤 금석문에 표기되었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에는 현존하는 금석문은 수천 종인데, 그 중에 동해 명칭이 표기된 금석문 은 122종이다. 이 중에도 공개를 꺼리는 금석문이 있으므로 공개 열람이 가능한 비문은 43종이다. 시대별로 살펴 본 동해 명칭 금석문 5세기에 제작된 광개토대 왕릉비가 있다. 8세기에는 4종의 금석문에서 동해 바다 명칭을 찾을 수 있고, 9세 기에도 3종, 10세기에는 6종의 금석문에서 동해 명칭을 볼 수 있다. 14세기에는 6종의 금석문이, 16세기에는 2종의 금석문이, 17세기에는 6종의 금석문이 18세기에는 7종의 금석문이 19세기에도 7종의 금석문이 20세기에도 1 종의 금석문에서 동해 바다 명칭을 찾을 수 있다. 43종의 금석문을 형태별로 분류하면 사람들의 공덕을 찬양하는 왕릉비가 3종, 왕자비가 1종, 장군비가 2종, 문신비가 11종, 승려비가 8종 등으로 도합 25종인데 금석문의 반을 차지한다. 불교에 관한 금석문 중에는 범종기가 1종인데 성덕대왕신종기 기문이 있으며, 불상을 만들면서 적은 금석문인 감산사 석조 미륵보살입상 기문과 감산사 석조 아미타불입상 기문이 있다. 사원 건축 내력을 적은 백련사 석비, 광법사 사적비, 신흥사 사적비, 숭복사비 등이 있다. 금석문 중에는 성을 건축하고 그 내력을 적은 금석문도 있는데 영변 철옹성의 축성비에서 동해 명칭을 찾을 수 있다. 이외에도 전쟁에서 승전한 사실을 적고 있 는 비문도 있는데 임진왜란 때의 승전을 기록한 조조암실기와 삼충사묘정비가 있다. 동해 바다는 우리민족의 숭배 대상으로 고려 시대부터 동해신을 모신 사당을 짓고 국가에서 제사 지냈다. 양양에는 지금도 동해 신을 모신 사당이 있는데 그 곳에 동해 용왕을 모신 동해 용왕 묘비가 있고, 삼척에는 동해 바다를 찬양하는 동해비가 현존한다. 동해는 우리민족과 매우 밀접하고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바다였으므로 많은 금석문에서 동해 바다 명칭을 찾을 수 있다. The name of the East Sea was first appeared in Korea a long time ago in the historical document on the founding story of King Dongmyeong in Koguryeo in 59 B.C. The name of the East Sea started to be used long before 59 B.C. before the three countries of Koguryeo, Paekjae and Shilla were established and has been used for over 2,000 years by Koreans. Another evidence to show how long Koreans have used the name of the East Sea is in the tombstone of the Great King Gwanggyeto built in the 5th century by his son, King Jangsu of Koguryeo to celebrate his father s achievements. In the third side of the tombstone, it writes that 3 residents living in the coast of the East Sea were recruited to guard the tomb. The East Sea as the name of the sea with such a long history appears in many stone epigraphs that remain until the present time and the details on when, how and which epigraphs are as follows. There are thousands of historical epigraphs on the stone in Korea and 122 stone epigraphs include the name of the East Sea. Among these, excluding the stone epigraphs that are not open to the public, 43 epigraphs are available to the public. Historically, there is the tomb stone of the Great King Gwanggyeto in the 5th century. The name of the East Sea was found in 4 epigraphs of the 8th century, 3 epigraphs of the 9th century and 6 epigraphs of the 10th century. The East Sea appeared in 6 epigraphs of the 14th century, 2 epigraphs of the 16th century, 6 epigraphs of the 17th century, 7 epigraphs of the 18th century, 7 epigraphs of the 19th century and 1 epigraph of the 20th century. When categorizing 43 epigraphs into types, there are 3 tombstones that glorify good deeds of kings, 1 for a wife of a prince, 2 for generals, 11 for civil officials and 8 for Buddhist monks and the total is 25 epigraphs, which are the half of the available epigraphs. The Buddhist epigraphs include one epigraph on the Buddhist bell for Great King Sungduk, and the epigraphs written during the making of Buddhist statues, which were the stone standing Mireuk Bosal in Gamsan Temple and the stone standing Amitabul in Gamsan Temple. There are stone epigraphs on the building history of temples for Baeryeon Temple, Gwangbup Temple, Shinheung Temple, Sungbuk Temple, etc. Some epigraphs are about building a castle and the celebrating stone for building Cheolong Castle in Yeongbeon includes the name of the East Sea. In addition, there are epigraphs to celebrate the victory of wars such as celebrating stones of Jojoamsil and Myojeong in Samchung Temple that recorded the victory of the war against Japanese in the year Imjin. The East Sea has been worshiped by Koreans and from Koryeo Dynasty, temples worshiping the god of the East Sea were built and the national ceremonies were held. In Yangyang, there is still a temple to worship the god of the East Sea which has the tombstone for the dragon king of the East Sea and in Samcheok, there is a stone for the East Sea to glorify the East Sea. Since the East Sea has been deeply related to our people, the name has appeared in many epigraphs.

      • 동해신사(東海神祠) 고찰 -명칭을 중심으로-

        양언석(Yang On Seok)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0 아시아강원민속 Vol.33 No.-

        양양은 영동지방의 중심으로 바다를 접하면서 삶을 영위해 왔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동해신사이다. 동해신사는 예부터 동해용왕에게 나라의 태평성대와 풍농과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유서 깊은 신사이다. 동해신사는 역사적 상황에 따라 동해신묘, 동해묘 등 다양하게 명칭을 부여해 왔다. 하지만 왕조실록이나 초기 역사서의 기록대로 동해신사로 바로잡아야 한다. 그 동안 동해신사의 이전설이 연구자들에 의해 꾸준히 제기되었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이전설을 제기하였다. 하지만 왕이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지만 그 이후 실록에서 이전설을 찾아볼 수 없다. 성리학의 이념에 의해 동해신사의 명칭이 동해신묘, 동해묘, 동해신단 등 다양하게 변이되어 왔다. 그러므로 고증으로 통해 신사의 명칭과 원형을 복원하여 양양문화의 기틀을 마련해야 한다. Yangyang is in contact with sea and located in the center of Yeongdong area. This historical fact is truly the shrine of East sea. From remote time, the shrine of East sea is the historic place where people prayed for peace and good harvest to the East Sea God. The shrine of East Sea has been called with different names based o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However, the Donghaesinmyo needs to be corrected as the shrine of East Sea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 Meanwhile, the transfer of the shrine of East sea had been constantly suggested by many researchers.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Choson Dynasty, the King denied the transfer of the shrine of East Sea that was insisted by many researchers, but there was no historical record for this insist. The shrine of East Sea was assigned to various names such as Donghaesinmyo and Donghaesindan by the Neo-Confucianism, which could not be reconstructed. In the future, the original form of this needs to be restored to prepare the groundwork for the Yangyang culture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 KCI등재

        동해 지명의 의미‘들’과 영역‘들’의 변화

        김순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3 문화 역사 지리 Vol.25 No.3

        본 연구는 동해 지명에 간직된 다양한 의미‘들’을 유형화하고 각 지명이 지칭하는 영역‘들’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동해 지명의 의미들에는 네 가지 층위, 즉 보통명사로서의 동해, 국명, 해명, 민족 해명이라는 유형들로 구분되며, 시대별, 유형별로 각 지명 의미들이 지칭하는 지명 영역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고 꾸준히 변천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체로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를 거쳐 꾸준히 나타나다가 구한말 시기에 크게 증가한 후 해방이후 현대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삼국시대 이래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기록되다가 구한말 시기에 이르러 보이지 않고 있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전 시기에 걸쳐 다수의 형태로 존속하였다. 민족 해명의 경우는 조선시대까지 발견되지 않다가 구한말에 등장하기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 명맥을 유지하다 해방 이후 현대에 크게 증가하였다. 네 가지 지명 의미들은 시대를 거치면서 각기 다양한 지명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 보통명사로서의 동해는 그것이 쓰인 용례에 따라 신라의 동쪽 바다, 조선 울진현의 동쪽 바다, 또는 구한말에는 아프리카의 동쪽 바다 등으로 각기 다른 지리적 범위를 지칭하였다. 국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시대에 따라 신라국 강역을 지칭하기도 하였고, 이후 고려국 혹은 조선국 영토를 가리키기도 하였다. 해명으로서의 동해 영역은 삼국시대 이래 현대로 오면서 다양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현대로 오면서 점차 영역의 크기가 확대되었다. 특히 심국시대 초기 고구려의 동해 영역은 두만강 하구 혹은 함경도 해안이었으며, 신라의 경우 대종천 하구의 ‘동해구’, 즉 경북 경주시 양북면-감포읍 해안을 ‘동해’라 지칭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민족 해명으로서의 동해 지명 영역은 일반적으로 당대의 해명이 지칭하는 물리적인 영역과 일치하며 그 영역에 일정한 민족 정체성의 의미가 부여된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meanings of the Name East Sea (Dong-hae) and analyse the each toponymic territories of the meanings of East Sea. Consequently, the meanings of East Sea are divided into four layers, such as common noun, the name of a country, sea name, and sea name with national identity. I identify that the toponymic territories designated by each its meanings have been constantly changed so far. In general, the record 'dong-hae'(東海) as a common noun had been steadily found in the old literatures, ancient documents, and old maps throughout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Goryeo Dynasty (918-1392), and Joseon Dynasty (1392-1897), and then shown on the largest rise at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1897-1910).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45), its record has been disappeared in the present-day. The Name East Sea as country's name had not been shown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fter constantly recording throughout Joseon Dynasty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is the most general type, it has been recorded and called throughout all historical periods. In particular, The Name East Sea as a reflection of national identity had not been discovered to Joseon Dynasty, and then started to used and recorded in the Late Period of Korean Empire, and barely remained in existence in Japanese colonial period, finally it has largely increased nowadays since the National Liberation. The four meanings of East Sea have had the each diverse toponymic territories throughout historical periods. Especially, the territory of the Name East Sea as sea name has diversely shown us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general, its territory has been gradually enlarged until now. Particularly, The East Sea territory of Goguryeo Kingdom in the early Three Kingdom Period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uman River or the seashore of Hamgyeong-do province, and early Silla Kingdom's East Sea territory corresponded to the mouth of Daejong Stream, 'Donghae-gu' (the mouth of East Sea, 東海口) located on the boundary between today's Yangbuk-myeon and Gampo-eup. Since then, according to the whole territory's change of two Kingdoms, the sea area named as East Sea had gradually expanded to southward or northward.

      • KCI등재후보

        문학공간으로서의 동해

        조규익(Cho, Kyu-Ic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4 한국문학과 예술 Vol.14 No.-

        동해는 인간 실존의 경험적 공간이자 상상적 공간, 혹은 치열한 삶의 공간이었다. ‘동해’라는 명칭의 이면에는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삶을 이어 온 주민들의 의식이 함축되어 있고, 그 집단의식은 이들이 공유해온 각종 설화나 문학에 끊임없이 표출되어 왔다. 본고에서 필자는 동해에 관한 설화 두 편, 가사 두 편, 다수의 현대시들을 분석하여 동해에 대한 지역민들의 인문학적 의식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설화들[?識丹邱劉郞漂海???대세와 구칠?]에서는 실존 공간의 한계에 대한 인식과 그 대안공간을 모색하고자 하는 욕망이 그려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설화의 주체는 표류하다가 ‘선계’를 만났고, 동해 너머에 자신들이 살고 있는 시공과 다른 세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점은 제2설화인 ?대세와 구칠?에서 좀 더 적극적이고 현실적으로 표현된다. ‘더 넓은 세계’를 찾아 떠나간 두 사람의 모험적 개척정신은 근원적으로 동해라는 공간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런 시기를 지나 중세에 들어오면 동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은 정서적이면서도 현실적이라는, 상반되는 두 측면을 보여주게 된다. 이념을 중시하던 중세의 시대적 특성 상 바다에 대한 정서적 묘사나 해석은 이념을 바탕으로 할 수밖에 없었다. 말하자면 ‘동해의 이념적 패러프레이즈’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사 속의 동해’는 다른 말로 ‘당위와 존재의 해석적 공간’ 그 자체였다. 이념은 당위의 영역이나 현실은 존재의 영역, 즉 이념에는 그와 다른 모습의 현실이 동반되기 마련이다. 이념으로 덮어버릴 수 없는 현실이 엄연히 존재했는데, 하나의 개념으로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이념과 달리 현실은 다양하고 구체적이다. 송강의 <관동별곡>에서 그려낸 동해는 송강이 갖고 있던 ‘중세적 정치이념’을 현시하고자 한 도구나 대용물이었다. 말하자면 송강에게 동해는 자신의 이념을 보여주기 위한 보조물일 뿐 ‘절실한 삶의 공간’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정처사술회가>에서의 동해는 절망적 현실에 대한 대안공간이었다. 육지에서 극한상황을 경험한 정처사가 갱생을 위해 찾아간 공간이 바로 동해였다. 그에게 동해는 대안 없는, 유일한 출구였다. 아무리 중세라 해도 이념을 담당하던 상층부 지식인들과 달리 하층부 민초들은 절실한 현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현대시에 들어오면, 사람들에게 인식된 동해의 공간성은 보다 다양해진다. 시인들이 동해로부터 다양한 공간성을 해석해낸 것은,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 결과였다. 동해는 ‘노동의 공간’이자 ‘생태 공간’이었으며, 다양한 개별 세계관을 드러내기 위한 효율적 공간이었다. 예로부터 변함없이 대물림해 오는 ‘노동의 공간’도, 근원적 생명성의 소중함을 노래하는 ‘생태 공간’도, 근원성과 보편성을 함께 언급하는 단순 이미지로서의 동해도, 모두 삶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을 바탕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음은 물론이다. East Sea was an existential space as well as an imaginative space, or a fierce life space. The name ‘East Sea’ has connotations of people’s consciousness in this area in the past for a long time, and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had been constantly expressed in various tales or literary works. I searched for how the people’s humanistic consciousness has been developed through analysis of two tales, two Kasa works, and several modern poems. I made sure that their wish to describe the limit of existential space and seeking the alternative space are imaged in the tales. Main character of the 1st tale ‘Sikdan’guyurangpyohae’ met an immortal world after drift in the sea. And, he realized that an immortal world is beyond East Sea. The existence of immortal world means that they imagined a new space beyond the actual ‘East Sea’. This is expressed positively and realistically in the 2nd tale ‘Daese and Guchil’. The adventurous pioneer spirit of the two persons, Daese and Guchil was fundamentally possible because of the space ‘East Sea’. People’s consciousness about East Sea in the Middle Age of Korean history became to show an emotional but realistic dimensions. Emotional description or interpretation in the Middle Age when they regarded ideology important could not help being based on ideology. As it were, it can be told as ‘ideological paraphrase of East Sea’. In other words, East Sea in Kasa works was an interpretative space of Sein and Sollen. The East Sea described by Jeong, Cheol in Gwandongbyeolgok was a sort of instrument or substitute that he wished to show his medieval political belief. So to speak, East Sea to Jeong, Cheol was not an urgent life space but an aids to show his own ideology. However, East Sea was an alternative space to a hopeless reality in Jeongcheosasulhoega. In this work, the space that Jeongcheosa confined in a desperate situation searched for new life was just East Sea. To him, East Sea was only an exit without alternative. Even in the Middle Age, people in the lower class could hardly free from the desperate reality. In the step of modern poetry, the spatiality of East Sea recognized to people became more diverse. Poets’ interpretation about the diverse spatiality is from a result based on realization. East Sea was a space of labor, ecology, and effective usage to show poet’s own world view. East Sea as a labor space passing down from ancestors, ecology space describing preciousness of original life, and simply imaginative space are commonly based on understanding about essence of life.

      • KCI등재

        동해안 지역의 초중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과 인재상

        심정보(Jeongbo Sh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3

        한일 간에 동해와 일본해 표기를 둘러싼 논쟁이 지속되는 가운데, 연구자들은 고문헌, 고지도, 지리 교과서 등을 중심으로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의 바다 명칭을 연구해 왔다. 그러나 노래 가사에 나오는 동해 지명을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해안에 위치한 초·중등학교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과 기대하는 인재상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는 동해 바다와 같이 맑고 푸르고 넓은 마음의 인간, 둘째는 동해 일출을 맞이하는 부지런한 역군, 셋째는 동해의 거센 파도와 같은 역경을 극복하는 한국인, 넷째는 동해의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한 애교심의 육성이다. 이처럼 교가에 나오는 동해 지명에는 오랫동안 학교 현장에서 불려 한국인의 정서가 녹아 있다. 한국인의 정체성이 담겨 있는 동해 지명은 우리의 문화유산으로 보존해야 할 대상이다. While debates over the names of the East Sea and the Sea of Japan continue between Korea and Japan, researchers have studie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seas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focusing on old documents, old maps, and geography textbooks. However, no research has has analyzed the geographical names of the East Sea in the lyrics of school songs.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East Sea and the expected concepts of talent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ongs in the east coast region of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include: first, a human being with a clear, blue and wide mind like the East Sea, second, a hard worker who greets the sunrise on the East Sea, third, Koreans who overcome a fierce wave of the East Sea and fourth, fostering school spirit based on the beautiful scenery of the East Sea. In this way, the East Sea geographical name has been used in the school songs for a long time, and Korean sentiment is melted in it. The geographical name of the East Sea which contains Korean identity should be preserved as a cultur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