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댓글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염정윤(Jung-Yoon Yum),김류원(Ryuwon Kim),정세훈(Se-Hoon Je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0 언론정보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댓글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들에 대해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47개 연구의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댓글의 평균 효과 크기는 d = 0.85(95% CI [0.65, 1.06])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댓글의 효과는 다양한 조절 변인에 따라 강화 또는 약화, 심지어 소멸하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기사 속 예시에 비해 기사 밖 댓글이 더 강력한 효과가 있었으며, 기사와 일치하는 댓글의 비율이 높을수록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험 설계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댓글 노출 여부를 비교한 실험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찬성 댓글과 반대 댓글을 비교한 실험 설계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주제 및 형식 측면에서 마케팅 및 소비자 리뷰 댓글은, 정치 사회, 헬스 기사, 그리고 소셜미디어 댓글에 비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댓글의 작성자가 익명이거나 논거가 적은 경우 오히려 댓글의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표본에 비해 일반인 표본에서 댓글의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출판된 연구에서 효과의 크기가 오히려 작게 나타났다. Based on a meta-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 of user comments. An analysis of 47 studies showed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was d = 0.85(95% CI [0.65, 1.06]). However, this effect varied by several moderators. For example, user comments following news articles had greater effects compared to those within a news article, and the distribution of user comments that were more consistent with the news message had greater effects. Studies that compared positive vs. negative user comments had stronger effects than studies that compared user comments absent vs. present. In terms of topic and format, marketing/consumer reviews had greater effects compared to user comments in political, social, and health news and social media. Contrary to expectations, user comments had greater effects when the author was anonymous or had weak arguments. The effects of user comments were smaller among non-college adults and among published studies.

      • KCI등재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

        조윤용(Yoon Yong Cho),임영호(Yung Ho Im),허윤철(Yun Cheol Heo)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1 No.1

        이 연구는 온라인 포털 뉴스에 대한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뉴스 이용자의 성향에 따라 제3자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주민의 불법체류에 관련된 뉴스댓글을 혐오성 댓글과 이성적 논조의 댓글로 나누어 댓글 속성, 즉 표현방식에 따른 제3자 효과를 온라인 실험연구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과 이주민에 대한 차별적 성향에 따라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479명이 온라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실험참가자는 혐오성 댓글(실험집단)과 이성적 댓글(통제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연구 결과, 진보적 성향의 뉴스 이용자는 혐오 표현 유무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났지만, 보수적 성향의 이용자는 혐오성 댓글에서만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적으로 제3자 효과 연구는 주로 매스미디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연구는 이러한 효과 이론을 이용자의 댓글이라는 새로운 현상에 적용하고, 이 효과가 뉴스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 다문화에 대한 차별적 태도등 이슈와 밀접하게 관련된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불균등하게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ird-person effect(TPE) of hate comments on online news, and analyze how the issue-relevant audience facto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message have influence on the TPE.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hateful and logical comments regarding the issue of illegal immigration, the authors hav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that compares how the message-related features, i.e., ways of expressing the ideas, lead to the difference in TP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with regards to how politic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o immigrants among the audienc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TPE. The 479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exposed to hate comments) or control group(exposed to logical com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PE of hate comments is higher than that of logical message. The same messag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for news users with liber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at it has examined the effect of online hate comments in a rigorous experimental setting. Also the research further elaborated on the audience-related variables, for which the previous studies tended to focus those on the general psychological level rather than relate them more specifically to the issues.

      • KCI등재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 댓글의 속성과 이용자의 성향을 중심으로

        조윤용,임영호,허윤철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9 No.5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ird-person effect(TPE) of hate comments on online news, and analyze how the issue-relevant audience facto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message have influence on the TPE.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hateful and logical comments regarding the issue of illegal immigration, the authors hav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that compares how the message-related features, i.e., ways of expressing the ideas, lead to the difference in TP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with regards to how politic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o immigrants among the audienc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TPE. The 479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exposed to hate comments) or control group(exposed to logical com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PE of hate comments is higher than that of logical message. The same messag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for news users with liber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at it has examined the effect of online hate comments in a rigorous experimental setting. Also the research further elaborated on the audience-related variables, for which the previous studies tended to focus those on the general psychological level rather than relate them more specifically to the issues. 이 연구는 온라인 포털 뉴스에 대한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뉴스 이용자의 성향에 따라 제3자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주민의 불법체류에 관련된 뉴스 댓글을 혐오성 댓글과 이성적 논조의 댓글로 나누어 댓글 속성, 즉 표현방식에 따른 제3자 효과를 온라인 실험연구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과 이주민에 대한 차별적 성향에 따라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479명이 온라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실험참가자는 혐오성 댓글(실험집단)과 이성적 댓글(통제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연구 결과, 진보적 성향의 뉴스 이용자는 혐오 표현 유무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났지만, 보수적 성향의 이용자는 혐오성 댓글에서만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적으로 제3자 효과 연구는 주로 매스미디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연구는 이러한 효과 이론을 이용자의 댓글이라는 새로운 현상에 적용하고, 이 효과가 뉴스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 다문화에 대한 차별적 태도 등 이슈와 접하게 관련된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불균등하게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량, 댓글읽기, 미디어 신뢰도, 제1자 효과가 소셜미디어 뉴스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인숙 ( Kim Insook ),허진 ( Heo Jin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3 언론과학연구 Vol.23 No.4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량, 댓글읽기, 미디어 신뢰도와 제1자 효과가 공감표현, 댓글쓰기, 공유하기와 같은 소셜미디어 뉴스 관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한 <2021년 소셜미디어 이용자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세 가지 연구문제와 18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첫째, 공감표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본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량이 많을수록, 댓글읽기를 많이 할수록, 소셜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TV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수록 공감표현을 많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댓글쓰기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본 결과,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대가 높을수록,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량이 많을수록, 댓글읽기를 많이 할수록, 소셜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소셜미디어에 의한 제1자 효과가 클수록 댓글쓰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유하기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본 결과,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량이 많을수록, 댓글읽기를 많이 할수록, 소셜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TV에 의한 제1자 효과가 클수록 타인과 공유하기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에는 여성보다 남성이, 그리고 연령대가 높을수록 공감표현과 댓글쓰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공유하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 관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면, 뉴스 댓글읽기, 소셜미디어에 대한 신뢰도,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량의 순서대로 공감표현, 댓글쓰기, 공유하기와 같은 뉴스관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V에 대한 신뢰도가 낮을수록 공감표현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셜미디어에 의한 제1자 효과는 댓글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TV에 의한 제1자 효과는 공유하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use of social media news, reading comments, media credibility of TV and social media and the first-person effect of TV and social media on social media news engagement behaviors such as expressing feelings, writing comments and sharing information. The paper used data of social media user survey conducted by Korea press foundation in 2021. A survey of 3,000 people were used to explores three research questions and 18 hypothese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as whether the use of social media news, reading comments, media credibility of TV and social media and the first-person effect of TV and social media affected expressing feelings. The result showed that male, older people were more likely to express feeling. The use of social media news, reading comments, media crediblilty of social media were positively related to expressing feelings. But TV credib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express feeling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whether the use of social media news, reading comments, media credibility of TV and social media and the first-person effect of TV and social media affected writing comments. The result showed that male and older people were more likely to writing comments. The use of media, reading comments and social media credibil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writing comments. And the first person effect of social media was positively related to writing comments. The last research question was whether the use of social media news, reading comments, media credibility of TV and social media and the first-person effect of TV and social media affect sharing inform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use of media, reading comments and social media credibil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sharing information. And the first person effect of TV was positively related to sharing inform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male and older peoeple were more likely to expressing feelings and writing comments. Reading commnets, social media credibility and the use of social media news have influeces on the news engagement behaviors. However, TV credibility and the first person effect seperated the news engagement behaviors differently. TV credibility had an positive effect on expressing feelings. The first person effect of social media had an influence on writing comments. the first person effect of TV had an positive effect on sharing information.

      • KCI등재

        사회과 웹 기반 NIE의 효과 증진을 위한 댓글 활용 방안

        이윤정 ( Youn-jeong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사회과 웹 기반 신문활용교육(Web-based Newspapers In Education)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댓글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언론정보학, 교육공학, 사회과교육 영역의 문헌들을 통해 이용자의 뉴스 이용 양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댓글의 제시 유형에 따른 신문 이용 효과를 고찰하여, 효과적인 사회과 웹 기반 NIE를 위한 댓글 활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사회과 웹 기반 NIE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품질이 높고 기사 본문과 댓글의 견해가 일치하는 댓글을 활용하되, 신문 기사 본문과 댓글의 프레임을 서로 불일치하게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신문 기사의 보도 사진에서 나타나는 감정과 일치하는 감성적 댓글을 함께 제공해야 웹 기반 NIE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연구는 면대면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사회과 NIE의 연구 기반을 웹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으며 웹 기반 NIE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텍스트 구성 방식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킬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댓글에 대한 냉소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이를 유의미한 교육적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댓글 활용 방안을 사회과 NIE 사례로 적용하여 수업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보는 실증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a strategy for the utilization of replies to increase the effect of Web-based Newspapers In Education (NIE) class in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spects of the user`s use of news through literature in the fields of Communication Studies,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study then explored the effect of the types of the presentation of replies on their use of newspapers and suggested a strategy for the utilization of the replies for effective Web-based NIE class in Social Studies. To increase the effect of Web-based NIE class in Soci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high-quality replies in which the opin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body of the articles but to provide the newspaper articles in which the frame of the articles is inconsistent with the replies. In addition, the effect of Web-based NIE class can increase by providing emotional replies consistent with the emotions appearing in the news photographs of newspaper articl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research base of NIE in Social Studies, which has been focused on a face-to-face method, switched to a Web-based method. This change can trigger discussions on the method of text composition, which can increase the effect of Web-based NIE class. In addition, it has meaning in that it has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the utilization of it as a significant educational means, breaking from a cynical perspective on replie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the class can increase by applying the proposed strategy for the utilization of replies as a case of NIE class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악성 댓글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유홍식(Hong-Sik Yu) 한국방송학회 2010 한국방송학보 Vol.24 No.3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악성 댓글의 부정적 영향에 대해 제3자 효과 가설을 적용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자신보다는 일반 성인이, 일반 성인보다는 어린이·청소년이 악성 댓글의 부정적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이라고 편향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거리에 따른 제3자 효과가 확인되었다. 악성 댓글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제3자 편향적 지각, 댓글·인터넷 이용 특성 및 수용자 특성과 관련된 변인들이 악성 댓글 규제라는 행위적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제3자 편향적 지각보다는 자기 자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지각이 악성 댓글 규제에 대한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자 특성 변인 중에는 사회ㆍ경제적 이슈에 대한 이념 성향, 자기통제력, 자기 효능감과 같은 변인들이 제3자 효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악성 댓글 규제에 대한 지지 태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대학생들은 댓글 모니터링 강화와 악성 댓글 작성자에 대한 처벌 강화에는 다소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태도를 보인 반면, 인터넷 실명제에는 지지 태도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pplying the Third-person Hypothesis, this study explores negative effects of Internet reply called “Daet-Gul”, which has been a serious social problem. A total of 415 undergraduates partake in the survey as respon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hird-person effect increases in the perceived distance between self and comparison others, assuring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concept. The respondents perceive vicious Internet replies influence other average adults than self, and children and adolescents than other average adults. In addition, writing and reading of replies increase the magnitude of third-person perception. Support for censorship of replies is not predicted by third-person perception but by first-person effect. Ideological disposition on realistic social and economic issues,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variables for predicting the support for regulation of vicious replies. Respondents shows supportive attitudes toward the tightening of monitoring system on replies and punishment of transgressors who writes vicious relies. On the contrary, they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adoption of national identification verification system on all web sites.

      • KCI등재

        일본 방사능 유출 초기의 위험 기사와 댓글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민영(Min-Young Lee) SBS 2014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2 No.1

        온라인 환경에서 뉴스와 댓글이 융합적인 읽기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대중 매체인 뉴스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지니는 댓글의 상호작용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신문 기사와 댓글의 일치 여부와 댓글 작성자의 전문성으로 상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위험인식에서 낙관적 편향이 발견되는지, 실험에 사용된 독립변인들이 낙관적 편향과 위험에 대한 대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일본 방사능 위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기사-댓글 일치 여부와 작성자 전문성은 개인과 타인에 대한 위험인식에 모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방사능 위험에 대한 낙관적 편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개인과 타인의 위험인식은 대처 행동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기사와 댓글이 융합하여 만들어내는 이야기 구조가 위험인식에 영향을 주며 통제성이 낮은 환경 위험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기존의 일반적 위험의 경우와는 다르게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online news replies on risk perception of Japan Fukushiam radiation leak was examined. News-reply correspondence and reply writer expertnes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effects on individual-and societal-level risk judgments were tested with a survey experiment against 240 college students.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s between news-reply correspondence and reply writer expertness were significant for both individual-and societal-level risk judgments. However, optimistic bias was not discovered and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optimistic bias was not significant.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risk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인터넷 악성 댓글과 일반 댓글의 언어적, 심리적 특성 비교 연구

        김영준,김영일,김경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Most of studies on internet malicious comments explored differences between internet users who commented maliciously and who commented normally. This research, however, focused differences between malicious and normal comments of same one as analyzing of about 400 internet comments of individuals by using K-LIWC. Our results showed that malicious comments were higher in the noun-assuming category and were lower in the ratio of the clause per sentence, adjective, and ida-postposition. In psychological variables, malicious comments were more frequently used the emotional, the physical, and the slang words category, whereas were few frequently used the cognitive and the self-activity catego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net users replied maliciously by intuitively making decision without thinking such as labeling or stigmatizing. For future research, we suggested that assertive expressions of malicious comments were related to the yellow journalism in internet media. 인터넷 악성 댓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악성 댓글을 작성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심리적 특성을 연구하였거나 표집된 악성 댓글의 특성을 평범한 댓글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각 개인의 악성 댓글과 일반 댓글을 비교하여 악성 댓글을 쓸 때와 일반 댓글을 쓸 때 개인의 언어인지적인 처리와 심리적 차원의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언어적 특성을 보면 악성 댓글을 쓸 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명사 추정 범주를 많이 사용한다는 것이며, 문장 당 단어 비율이 낮고 용언인 형용사와 서술 기능 조사인 ‘이다’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심리적 차원에서는 부정적 정서의 빈도가 높은 반면 인지적 처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관심은 높지만, 개인의 활동에는 관심은 낮은 특징을 보였다. 아울러 신체적 관심이 높았고 비속어 사용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특징들을 명사 탐닉 현상, 즉 대상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설명이 아닌 범주적 정보로 신속히 판단하고 낙인찍는 심리 및 사회적 현상과 관련지어 논의하였으며, 악성 댓글이 보여주는 특성이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헤드라인의 노출과 같은 미디어 환경과 닮아 있다는 점을 주목하면서 후속 연구를 위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지각된 편향인가 편향된 지각인가? 댓글의 내용, 여론에 대한 인식과 이슈 관여도에 따른 기사의 논조 지각

        한국언론학회 2011 한국언론학보 Vol.55 No.3

        <P>본 연구는 인터넷 포탈의 기사에 달린 댓글 및 이로부터 유추되는 여론에 대한 인식이 기사의 논조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 요인의 영향이 이슈 관여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웹기반 실험(N=184)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디어 보도가 자신의 의견과 반대 방향으로 편향되었다고 믿는 ‘적대적 미디어 효과(hostile media effect)’에 대한 두 가지 설명-편향된 기준(biased standards)과 방어적 정보처리(defensive processing)의 타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동물 실험과 관련, 중립적인 내용의 기사를 읽거나 기사와 함께 동물 실험을 반대하는 댓글을 읽은 뒤 관련 질문에 답하였다. 연구 결과, 기사만 읽은 집단에 비해 댓글을 함께 읽은 집단은 댓글의 내용에 기반하여 여론을 유추했고, 여론이 자신의 의견과 반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여론이 호의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비해 적대적 미디어 지각을 보이는 경향이 더 높아 방어적 정보처리 설명을 지지했다. 또한 댓글과 같은 방향으로 기사가 편향되어 있다고 지각하는 동화현상(assimilation)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슈 관여도가 높은 사람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 동기화된 정보처리(motivated processing)가 지각적 편향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