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신입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주원식,변은경,이경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identity the influencing factor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freshmen’s. Data were collected from 2088 college freshmen’s in B city and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2.0.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college freshman was 3.75±0.7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life adaptation with respect to gender(t=3.947, p<.001), age(F=3.445, p=.032), major(F=5.539, p=.001), family type(F=6.958, p<.001).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perceived stress(r=-.696, p<.001), depression(r=-.507, p<.001), positive correlation were found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r=.567, p<.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the study subjects were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ge, major, family type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0.4%. In conclusion, to enhanc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ollege freshme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dopt various program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정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대학 신입생 20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3.75±0.73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t=3.947, p<.001), 연령(F=3.445, p=.032), 전공(F=5.539, p=.001), 가족형태(F=6.958,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지각된 스트레스(r=-.696, p<.001), 우울(r=-.507, p<.001)과는 부적상관관계,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r=.567, p<.001)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연령, 전공, 가족형태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0.4%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활적응 능력을 함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부적응과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대건(Dae Geon Shin),박은영(Eun young Park)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대학생활부적응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대학생활부적응이 매개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대학생활부적응과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상북도 소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척도, 우울 척도, 대학생활부적응 척도와 그릿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고, 282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 PROCESS macro Model 1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부적응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학생활부적응과 그릿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가 대학생활부적응을 매개하여 우울에 미치는 정적영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대학생들에게 그릿향상을 목적으로 한 개인심리치료, 집단심리치료 등을 실시하여 대학생활에 적절히 적응 할 수 있도록하고 더 나아가 진로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대학생활과 그 이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and grit on the path to depression mediated by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University students in D, K Province completed the survey composed of career stress scale, depression scale (CES-D), maladjustment on college scale, and Grit scale. Data from 282 student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Model 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was verified in the process of college student career stress affecting depression. Second, Grit showed moderated mediating effect when career stress, mediated by maladjustment on college, affected de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grit, the less the positive effect of career stress on depression by mediating maladjustment in college life. This is expected to improve college life and subsequent life satisfaction by providing personal psychotherapy and group psychotherapy for grit improvement so that college students can adapt appropriately to college life and further reduce stress on their careers.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Sung, So-Yeon),김은영(Kim,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을 선정하고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 충청도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내생변인으로서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변인을 선정하고, 설정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 검증 실시 및 적합도 지수(CFI, TLI, RMSEA)를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인과관계파악을 위해 SPSS 25.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첫째, 세 개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변인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양호한 수준의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의 직⋅간접효과 분석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심리자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401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llege life adjus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good. Third, a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positive psy chological capital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has a di rect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mediator between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t suggested the intervention as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uccessful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지은(Lee Ji Eu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본 연구는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G, H대학의 간호대학생 159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생활 스트레스(r=-.533, p<.001), 심리적 안녕감(r=.649,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은 생활 스트레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467, p<.001).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학 전공 만족도(β=-218, p<.001), 대학생활 만족도(β=-.195, p=.001), 생활 스트레스(β=-.259, p<.001), 심리적 안녕감(β=.355, p<.001)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8%로 나타났다(F=37.366, p<.001). 본 연구결과는 비대면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by grasping the degree of lif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1 to 31, 2021 for 159 nursing students at G, H University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tress (r=-.533,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r=.649, p<.001).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re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β=-218, p<.001), college life satisfaction (β=-.195, p=.001), living stress (β=-.259, p<.001), psychological well-being (β=.355, p<.001). The explanation power of the model was 58%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37.366,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on-face-to-face situations.

      • KCI등재

        신입생 적응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영주(Jee Young-Ju),양승경(Yang Seung-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C시 소재 일개대학 간호학과 신입생으로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이며 최종 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은 신입생 세미나 시간을 활용하여 확장된 오리엔테이션, 전공세미나, 진로세미나 3가지 범주로 구성되었으며 총 12주 동안 운영하였다.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참여 전후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9년 3월 12일 사전설문조사와 2019년 6월 4일 사후설문조사가 시행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WIN 23.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 참여 후 자기효능감(t=-2.41, p=.018)과 대학생활적응(t=-5.33, p<.001)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진로정체감(t=-0.21, p=.833)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적응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간호대학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llege adjustment program on self efficacy, career ident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r freshmen of nursing students. Methods 84 first-year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C city participated in the college adjustment program. This program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extended orientation, major seminar, and career seminar, using freshman seminar hours, and was operated for a total of 12 weeks. A survey was conducted on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self efficacy (t=-2.41, p=.018), adaptation to college life (t=-5.33,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identity (t=-0.21 and p=.833).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 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nd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successful college adaptatio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서명자(MyeongJa Seo),오진주(Jinjoo O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사회적지지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4개 간호대학의 248명이다. 자료는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부트스트랩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학업스트레스 2.68점, 사회적지지 4.11점, 대학생활적응 3.5점이었다. 학업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정도가 낮아지며,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는 것이다. 매개효과 검증 모형 모델 4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부적 영향이 유의하게 낮아졌고,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적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academic stress,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248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field practice at 4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SPSS 24.0 a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ction, and Bootstrapping. Results: The study found 2.68 points for academic stress, 4.11 points for social support, and 3.5 points for college life adjustment. Academic stress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social support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applying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odel 4, first, academic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second, academic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 the analysis of th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they were all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social support has a partially controlled mediating effect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신방방(FangFang Shen),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37 No.-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적극적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G광역시에 소재한 C대학교에 2014년 4월부터 8월까지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400명에게 자기효능감 척도, 스트레스 대처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의 설문을 실시하여 3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가지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고 경로계수의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먼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예언변수로 한 모형 중에 예언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와 예언변수가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직접경로를 모두 가정한 부분매개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판단을 위해 설정한 경합모형은 예언변수가 매개변수를 거쳐 결과변수에 영향을 주는 간접경로만을 지정한 완전매개모형이다. 그리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예언변수로 한 연구모형은 부분매개모형으로, 경합모형은 완전매개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수준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고,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았다. 넷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요인 소망적인 사고가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높고,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일부 측정변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았다. 셋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일부 측정변수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낮고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낮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의 수준이 낮았다. 넷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자기효능감을 경험할 때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을 잘 못하는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 성향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하는지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Four hundred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to August 2014 at C University of G city. The data of 362 students were collected by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scale,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adaptations to college life scale. Simple correlations between measured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appli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for each typ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i.e., the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The results of the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was fit better.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nd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wa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Forth,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was fit better.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and the low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lower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adaptations to college life. Forth,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daptations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pending o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Chinese students experience self-efficacy, and are likely to show adaptations to college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students who has adaptations to college life problems with interventions designed to raise their level of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 KCI등재후보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기인식 및 타인인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지영 대한치과위생학회 2023 대한치위생과학회지 Vol.6 No.2

        연구배경: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아인식과 타인인식,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알아보고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 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치위생과 재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동의를 구하고 G*power 3.1.9.4 program으로 효과 크 기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인식, 타인인식, 대학생활적응의 차이와 상관관계 및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 표본 t-test 및 일원 배치 분산분석, 사후분석 scheffe,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 적응은 자기인식(r=.301)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하위 요인과의 관련성 은 사회적 적응과 사적 자기인식(r=.340), 공적 자기인식(r=.331)에서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p<0.01). 타인인식(r=-.051)은 대학생활 적응과 부(-)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학생활 적응 요인으로는 사적 자기인식(β=.232)과 공적 자기인식(β=.254)이 정(+)의 영향을 주었고, 내 적 타인인식(β=-.205)이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치위생과 학생들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은 원만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요인으로 대학 생활의 적응력과 전공 직무와 연계한 핵심 역량 배양을 위해 향상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egree of self-awareness, recognition of other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Methods: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the G*power 3.1.9.4 program, based on the data of 191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Post HOC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difference and correlation between self-awareness, perception of others,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self-awareness (r=.301).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with social adjustment in both private (r=.340) and public self-awareness (r=.331) (p<0.01). Recognition of others (r=-.051)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justment,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actors for adapting to college life, private self-awareness (β=.232) and public self-awareness (β=.254) had a positive (+) effect, and internal self-awareness (β=-.205)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effect (p<0.01) Conclusion: The self-awareness and recognition of other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fluence their smooth adjustment to college life. Improvement measures are recommended to enhance adaptability to college life and develop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their major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서형은(Seo, Hyung-Eun),김혜진(Kim, H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the link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ould be mediated by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in a non-face to face learning environment during COVID-19.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22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in February 2021. College life adaptation was assessed by the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subdomains were soci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an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cademic achievement was measured with an academic achievement scal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s test were performed. Results In the correlations among college life adapt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ocial adaptation in college life adaptation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daptation (ρ=.42,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ρ=.29, p=.001); academic adaptation in college life adaptation indic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elf-efficacy (ρ=.66, p<.001) and academic achievement (ρ=.58, p<.001).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display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ρ=.41, p<.001).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showed significantly full mediating effects by college life adaptation in the Sobel s test (z=5.86, p<.001). Conclusions Social adaptation in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high academic self-efficacy, and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 are very likely to have a tremendous impact on their career or future after grad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adap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비대면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로 2021년 2월 25일부터 2월 26일까지 수집된 자료로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122명이었다.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생활적응 도구로 측정하였고, 하위영역은 사회적응과 학업적응이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학업성취도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학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간의 상관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중 사회적응은 학업적응(ρ=.42, p<.001), 학업성취도(ρ=.29, p=.001)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대학생활적응 중 학업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ρ=.66, p<.001), 학업성취도(ρ=.58, p<.001)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은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ρ=.41,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중 학업적응은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다(Z=5.86, p<.001). 결론 간호대학생의 원만한 대학생활의 적응과 높은 자기효능감, 그리고 우수한 학업성취도는 졸업 후의 자신의 진로나 미래에 큰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비대면학습환경에서는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연구

        윤지원(Yoon, Jiwon),김상욱(Kim, Sangwook)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7 중국과 중국학 Vol.- No.32

        본 논문은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는 학업적 적응, 정서적 적응, 문화적 적응, 그리고 사회적 적응으로 구성된다. 배재대학교의 유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국인이 아닌 유학생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중국인 유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둘째, 중국인 여학생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남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셋째, 학년별로 보면 1학년이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가장 높으며 2학년과 3학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낮아지다가 4학년이 되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넷째, 유학기간별로 보면 2년-3년 기간의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가장 높으며 유학기간이 길어질수록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는 낮아지고 있다. 다섯째, 거주형태별로는 학교기숙사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학교 밖에서 혼자 자취하는 경우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발견은 향후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교육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학년별로 나타나는 유학생대학생활적응지수의 U자 형태는 전공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includes the academical adaptation, the emotional adaptation, the cultural adaptation, and the social adaptation. We research the foreign student in PaiChai university.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non-Chinese foreign student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Chinese foreign student. Second,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female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male. Third,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first year class is highest, the second year class and the third year class more and more low, and the fourth year class higher than the third year class. Fourth,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second-third year is highest by the study abroad period, the study abroad period more longer,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more low. Fifth, the foreign student college life adaptation index of the school dormitory respectively higher than the outside residence by the residenc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