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통일 담론과 여성의 실천

        조영주 ( Young Ju Cho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2 북한학연구 Vol.8 No.2

        통일담론은 통일의 방식과 내용, 논의와 실천의 주체에 대한 것을 포괄하며, 한국 사회 내에서 통일문제에 대한 시각과 입장을 의미한다. 이 글은 통일담론과 여성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그동안의 통일담론에 대한 여성의 입장과 관점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존 통일담론에 포섭되어 있기도 하고 기존 통일담론을 비판하기도 하며, 새로운 통일담론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여성의 경험과 실천에 주목한다. 통일담론은 1980년대 이후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구성되고, 변화하고 있다. 여성 역시 통일담론을 만들어내고 실천하는 주요 주체이다. 여성들은 민간 교류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남북관계에서도 참여와 개입을 통해 통일의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여성들의 실천은 통일의 과정에서, 남한과 북한의 만남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한계를 드러내며, 통일담론 변화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통일담론은 그동안의 성과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반성의 지점들을 드러냄으로써 통일담론의 방향과 실천의 내용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우선, 민족동질성 회복이라는 패러다임을 전환시키고 새로운 문화와 패러다임을 창출해야 한다. 그리고 갈등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갈등의 내용, 갈등이 제기되는 맥락에 주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능력을 향상 시키는 것을 주요 과제로 삼아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통의 내용과 통일의 방법으로 경험에 대한 공감을 강조해야 한다. 이러한 통일담론의 방향 설정과 담론의 현실화를 이루는 데 있어 그동안 여성들의 실천은 중요한 경험적 근거가 될 것이다. 이는 이후 통일담론을 재구성하고 확장하면서 통일 과정에서 나타날수 있는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Discourse for unification comprehensively includes the method, contents and subjects of unification and means the viewpoint and position for the unification issue. This article examines discourse for unification through women`s standpoint. In particualr, I focus on women`s practices to create a new discourse for unification. Discourse for unification has been composed and changed by various subjects since the 1980s. Women are a main subject to make and put into practice discourse of unification. Wom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vention in the inter-Korean relations of the government level as well as non-governmental exchange. These women`s practice discloses changes and limi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a discourse change for unification. Discourse for unification needs to reflect on the past outcomes and limits. First of all, we have to change the dicourse about national homogeneity and to construct new paradigm for unification. Second, it needs to recognize the conflicts caused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and to consider the ability to solve a conflict an important content of discourse for unifi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communication of inter-Korean starts from the sympathy of women`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the inter-Korean exchange. These women`s practice will extend the future discourse for unification and become an empirical evidences to have strength to solve problems that may appear in the unification process.

      • KCI등재

        민속문화와 문화원형

        이윤선(Lee Yoon Sun)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1

        이제까지 논의되어 온 원형담론의 층위는 原形(originality), 元型(archetype), 原型(pattern)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들은 原本(archepattern) 등으로 심층화되어 이해되거나 논의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가변적일 뿐 아니라 중층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무형문화재의 원형적 접근은 대개 ‘고유소 ’ 혹은 ‘민속의 원형’ 등으로, 이들을 망라하거나 적어도 중첩적 개념으로 이해된다고 볼 수 있다. 〈문화원형사업〉의 원형적 접근들은 개념 자체는 민속의 원형이라는 접근 맥락과 유사한 듯 보이지만 실제 적용되는 사례들은 문화콘텐츠 혹은 산업화에 소요되는 소재주의적 의미로 이해되고 있다. ‘原形性’ 보다 ‘典型性’, ‘類型性’ 에 초점이 있음을 말한다. 콘진에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과 방향을 점검하는 프로토타입 (Prototype)도 각각의 목적과 방향에 따라 문화원형의 개념을 取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성격을 다시 세 가지의 목적과 의미에 따라 구분해보면, 첫째는 민족성 혹은 지역성이고 둘째는 원형성 혹은 목적성이며 셋째는 원본성 혹은 글로벌성이라고 나누어 볼 수 있다. 본문의 분석을 통하여 점검할 수 있는 것은 문화원형담론을 시대적 흐름속에서 조망하는 입장이 아닌가 생각한다. 곧, 심층적인 학술적 원형논의는 진행형으로 진단하는 것이 옳다는 뜻이다. 그러나 용어의 층위가 어떠했든 문화원형담론이 문화콘텐츠산업의 전제가 되어 있는 것이 불변의 현실이라는 점에서, 어떤 측면이든 문화원형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킬 의무는 우리에게 주어져 있는 셈이다. 따라서 무형문화재제도가 민족문화원형이라는 국가적 이데올로기 창출을 기반으로 하였지만 일정한 보존과 보호의 기능을 해왔듯이, 근자의 문화원형담론 또한 문화경제주의라는 국가의 산업적 전략을 기반으로 창출되었지만 또 어떤 기능을 할지, 향후의 전개과정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즉, 향후의 원형담론은 멀티유즈를 전제한 원소스로서의 문화원형이라는 소재주의적 관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삶의 본질에 천착하는 원형으로서의 의미를 회복하는 절차들을 밟아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hierarchy of prototype discourses that have ever been discussed could be classified by 'originality', 'archetype', 'pattern' and so on. These has been usually used as mid-concept as well as variable one even though these would more deeply be understood or discussed as 'arche-pattern' or so. Prototypal approaches to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generally 'indigenous elements' or 'folklore prototypes', which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comprising all things or, at least, in the duplicate concept of these things. The prototypal approaches on 'Cultural Prototype Project' seem to be similar with the approach contexts, folklore prototype, but their authentic applicative cases have been understood as the materialistic meaning which utilized in Culture-contents or industrialization. This means that it has its focus in 'typicality' and 'pattern' rather than in 'prototype". It also chooses the concept of cultural prototype according to each purpose and direction to the prototype of Korea Culture & Content Agency(KOCCA) to examine a development plan of culture-content and its direction. This feature can be re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 meaning; the first is a racial characteristic or a locality, the second is a pattern or a finality and the last is an originality or globality. It would be a point of view to look out over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in a periodical stream to be able to examine through analyzing the main text. That is, this means it is right that in-depth academic discussion on prototype would be diagnosed as a progressive pattern. Whatever the hierarchy of terms is, we should have an obligation to develope the discussion on cultural prototype in that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always becomes a premise of culture-contents industry. Therefore, the system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creation of national ideology, 'national cultural prototype', but the system had the function of a regular preservation and a protection. Recent cultural prototype discourses also were created in the base of Korean industrial strategy, 'cultural economism'.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how function it is and how about its further expanding process is. Conclusionally, future discourses on prototype would step on the stage to recover the meaning as the prototype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essence of human life, not would only stay in the materialistic point of view as the original source premised a multi-use.

      • KCI등재

        더러움을 무릅쓰는 담론

        김진석(Kim Jin-sok) 한국현상학회 200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2 No.-

        담론을 순수한 담론과 더럽거나 잡스러운 담론으로 구분하자면, 전자는 역사적 선험성을 담보한 담론, 후자는 그렇지 못한 비서구적 지역에서의 담론에 가깝다. 강한 권력담론을 소유하지 못한 곳에서는 담론이 그렇게 될 가능성이 많기 때 문이다. 그러나 후자의 내부에서도 다른 구분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변적인 공간에서도 진보적언 지식인이나 근본주의적 지식인은 자신이 훌륭한 보편적 지식인의 자격을 갖추고 있고, 자신의 담론 역시 진리의 담론이며 따라서 순수한 담론이라고 여기기 십상이다. 이들은, 실제 행동에서는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그들이 의미하는 담론의 차원에서는, 모든 권력이나 권력관계가 나쁜 것이라고 말한다. 그와 달리 여러 차원의 권력관계를 인정하는 사람은 자신의 담론이 순수함을 요구하지도 않고 보편적 진리를 추구한다고 생각하지도 않는다. 이런 점에서 그의 담론은 더럽고 잡스럽다. 이 더러움과 잡스러움은 홈도 아니고 결합도 아니다. 마찬가지로 지식인의 어떤 담론이 순수하다는 것도 칭찬이 아니다. 다만 그것은 자신이 순수하다고 여길 뿐이며, 권력이나 권력관계를 초월한다고 생각할 뿐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신문에 나타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담론

        최낙진(Nak-Jin Choi)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3

        본 연구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 신문들의 사설에 관한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은 ‘일본의 보통국가론’, ‘미국의 동아사아 회귀론’, ‘중국경계론’, ‘북한위협론’ 등 4가지 담론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보통국가론’은 평화헌법 개정이나 해석 개헌을 통해 일본이 국제공헌을 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의 동아시아 회귀론’ 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가 미국의 군사외교전략과 연계되어 있음을 가리킨다. ‘중국경계론’은 G2로 부상한 중국을 경계하기 위해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확보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북한핵무기위협론’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일본의 안보 위협에 대한 이야기이다. 이처럼 한국신문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관련한 다양한 층위의 담론들이 존재함에도 이 담론들은 크게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의 틀에 묶여 있다. ‘진정성’ 담론은 일본 보수우익 정치세력들을 향하고 있으며, 그들의 태도와 행동에서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비진정성’ 담론이다. 그러니만큼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는 어떠한 것이든 믿을 수 없으며 경계할 수밖에 없는 것이 된다. 한편 ‘안보’ 담론은 한국이 처한 특히 군사적 현실에 관한 것으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한국의 안보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한국의 안보가 ‘한 · 미 방위조약’을 기본 틀로 하고 있는 이상, ‘미 · 일’ 동맹 나아가 ‘한 · 미 · 일’ 3각 안보동맹 차원에서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논의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현실성’ 담론이다. 한마디로 ‘진정성’ 담론과 ‘안보’ 담론은 한국에서 집단자위권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의 근거로 작동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discussions on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of Japan are developed in Korean newspapers. Towards this end,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on editorials of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166 editorials as research targe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onservative, moderate and liberal newspapers was not found clearly in relation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This trend was maintained even in the period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tical power of Japan. It can be inferred that a discourse a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itself cannot be accommodated by a variety of perspectives in Korea, or it is tied to the frame of a particular discourse. In more detail, the discourse bout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appeared divided into five conceptual layers such as ‘Japan’s normal state theory’, ‘the United States’ ‘pivot to East Asia strategy’, ‘theory of caution against China’, ‘North Korea threat theory’ and ‘theory of conflicts in Northeast Asia’. Nevertheless, these discourses of various layers are specified by the two representative discourses. The one is discourse of ‘sincerity’, and the other is discourse of ‘security’.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is towards Japanese right-wing conservative political forces, and it suggests that there is no authenticity in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In this regard, the discussions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cannot be reliable, and there is no choice but to exercise precaution. The discourse of ‘security’ is especially about military reality with which Korea is faced, and it approaches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security. This suggests that since the basic framework for the security of Korea is based on the ROK-U.S. Mutual Defense Treaty’, the discussion on the Japan’s right to collective self-defense should be dealt with in terms of ‘the US-Japan Alliance’, and further, ‘the US-ROK-Japan Triangular Security Alliance. In short, the discourse of ‘authenticity’ and ‘security’ turned out to serve as the dominant discourse of various discourses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right of collective self-defense.

      • KCI등재

        북한의 도덕담론 교환구조와 사회적 관계의 변화 동학

        홍민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06 북한학연구 Vol.2 No.1

        Real socialist countries consider distribution justice as the most important of social aim. These countries must have moral responsibility for social distribution. These countrie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get through planned economy. The state is symbolized as the main body of distribution control and moral achievement. The people have to work in counter-gift dimension. It is that moral intermediate between gift (material redistribution) and count-gift(work). Just exactly, this moral was social motive and fundamental truth composing the society. But in the process of practice, real logics was concealed. The state was the core of all power as icon of moral. The moral served as logic dominating social relations. The bureaucracy met face to face with political and economic uncertainty in performing planned economy. Among bureaucracy, relationship of unofficial bargaining, consultation, conspiracy be formed in the composition of reciprocal relations. The people was developed the politics of everyday in their life. That is, in the relationship of gift and count-gift, concealed real logics was. In the same manner, North Korea is composed that relations. North Korea's leaders have been moralized the state-people relationship and the 'Suryong' take an active hand in symbolic dimension. Including distribution system, Social welfare policies have been symbolized the Suryong's charity. The material basis of the Suryong's charity was the plan-redistribution system. The plan-redistribution system be necessary for bureaucracy to execute very huge material redistribution. The material redistribution is worked together political redistribution. The material redistribution, political redistribution, and moral discourse have composed social relations in North Korea. In 1990's North Korea's economic hardship have an influence the exiting social relations. The state met face to face with the real collapsed the exchange logic of social welfare and work duty between the state and the people. Also, the concealed real logics reveal as positive attitudes in dimension of 'subsistence', such like illegal materials exchange network of bureaucracy, marketplace exchange of people. 본 논문은 1990년대 변화 된 경제 환경이 어떻게 도덕담론의 내용에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도덕담론은 이중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사회주의적 사회보장과 노동을 통합 보답이라는‘베풂’과 보답의 공식적인 도덕담론이다. 다른 하나는 국가, 관료, 인민 등이 자기보존과 생존을 위해 행하는 실천을 정당화하는 도덕담론이다. 이 둘은‘도덕을 매개로 결합되어 공적인 도덕적 정의로움과 사적인 도덕적 정의로움의 긴장을 완충하고 해소하면서 일정하게 사회적 관계를 재생산하는 담론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사회주의적 사회관계에서 비공식적 도덕담론은 다양한 계층의 집단과 개인들이 자신이 직면하는 현실을 해석하고 변호하기 위한 담론을 의미한다. 우선 국가는 물질적 재분배의 독점적 권한을 기초로 인민에 대한‘돌봄’을 명분으로 정치적 지배를 정당화 해 왔다. 관료들은 계획의 불확실한 조건을 명분으로 관료적 담합·공모를 정당화 해 왔다. 이는 다양한 관료적 호혜관계의 번성을 의미했다. 인민들은 노동과정에서의 어려움에 직면해 이것에 대응하는 다양한 저항의 도덕적 담론과 행동을 보여 왔다. 1990년대 경제난은 공식적 도덕담론이 기초하고 있던 물질적 재분배 체계의 위기를 의미했다. 국가, 관료, 인민 각 층위의 도덕담론이‘생존’의 담론으로 변화되었다. 과거 호혜적 도덕담론으로 포장되어 순응으로 위장되어 있던 집단과 개개인의 현실논리가 전면에 부상하게 되었다. 이로써 국가, 관료, 인민 각 층위에서는‘생계윤리’를 명분으로 자기보존의 비도덕적 가족주의화를 통해 공생하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적 담론공간 분석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본 연구는 사회적 담론의 형성, 발전 변화 과정을 공간적 모델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상이한 담론들 간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권력관계의 복합성과 유연성, 역동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적 담론 공간은 내부/외부라는 차별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개별담론이 사회적으로 지각, 인지, 통용되기 위해 공간 내부에 진입해야 하며, 권력 획득 정도에 따라 사회적 담론공간 내에 중심부/주변부라는 불균등한 위치성을 갖는다. 따라서 사회적 담론공간에서는 다차원적인 권력관계가 다방향적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후기 자본주의의 실제 정치과정에서 신자유주의적 정치권력과 신보수주의적 문화권력이 대두하면서, 사회적 담론공간이 개인주의적 소비주의나 획일적인 집단주의로 동질화되고 양분되는 경향을 보여왔다. 더불어 선택적이고 차별적인 문화적 시민권이 사회적 담론공간을 규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시권력과 거대권력 혹은 보수주의와 자유주의가 충돌하는 권력의 중첩지점, 즉 지배권력 대한 타자적 위치가 저항적인 개별담론들이 성장할 수 있는 대안적 공간으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타자의 담론이 사회적으로 생산되고 전달될 수 있는 민주적인 담론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analysing complexity, flexibility and dynamism of social discoursive spac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ocial discourse is analogous to that of a spatial structure of social discourse. Post-capitalist society has seen New-Liberalism and New-Conservatism have become dominant, resulting in the deterior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citizenship. It is argued that the position of otherness, in which those binary structures (inside/outside or centre/margin) collide and collapse, is where subversive discourse can emerge to dominant discursive power.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mocratize social discursive space, through which the Other becomes able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social discourse.

      • KCI등재

        IMF 경제위기 이후 초대형 교회 목회자들의 설교에 나타난 부(富) 담론 분석

        장형철 ( Hyung Chull J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1

        이 연구는 IMF 경제위기 이후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 한국사회에 종교 특히 개신교는 경제적인 부에 대한 어떤 이해를 제공하였는지 초대형 교회 목회자의 설교를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알아본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그들의 부에 대한 설교가 사회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고, 설교 안에서 어떠한 종교적 부(富) 담론이 만들어 졌으며, 그 담론이 어떠한 사회적 영향력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설교 안의부 담론이 한국사회의 지배적 담론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분석은 페어클로프의 비평적 담론분석이론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를 보면 초대형 교회 목회자들의 부 담론은 기독교인이 되면 부자가 된다는 확신과 부자가 되고 나서 해야 하는 행동을 제시하며 부자의 완전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부 담론 속에서 부는 하나님이 주신 축복으로 표상되며, 나아가서 부자가 되는 축복을 받는 가장 분명한 방법은 십일조를 포함한 헌금이라는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설교자들은 돈 대해서 부정적 진술을 하는 인식양태와 함께 십일조와 현금 등을 통해 완전하고 진정한 축복을 받은 부자가 된다는 의무양태를 사용하여 중산층 이상의 청중들이 자신을 부자 기독교인으로 자기동일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신교의 부 담론은 한국사회 전체에서 지배적으로 작동하는 신자유주의적 부 담론과 종속적으로 연결이 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 담론 안에서 중산층 이상의 신자는 자신을 부자로서 자기동일화 할 수 있지만 가난한 신자는 타자가 되어 배제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개신교 부 담론은 종교의 궁극적 가치인 보편적 사랑과 사회적 정의의 실천을 어렵게 하며 나아가서 이데올로기화된 종교 담론이 되어버릴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how the economic wealth is conceived in Korean Protestantism since the IMF economic crisis by means of analyzing the dicourse of wealth appeared in the sermons of ministers of Korean mega- churches.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s to reply some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ermons?``, ``in what way was the wealth discourse produced in those sermons?``, ``how can this wealth discourse have some effects on Korean society?``, and ``how can this religious discourse have an interaction with the dominant social discourse? By employ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ory of Fairclough, this article discusses that the wealth discourse in the ministers`` sermons leads the belief of which the blessed are the rich. Also it causes the rich to perform social behaviors in order to approach the perfection of the blessed. The discourse also represents that the economic wealth is the blessing of God. In tandem, there is an interpretation of which tithing and making financial contribution to the church can guarantee the blessing of wealth. And utilizing their own epistemic and deontic modality, the minsters lead their audience, the rich or upper middle class, to identify themselves as rich Christians. This wealth discourse of Korean Protestantism is subject to the dominant social discourse of wealth produce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neo liberalism after the IMF crisis in 1997. In this religious wealth discourse, the lower middleclass and the poor can be excluded and become the others. If so, the wealth discourse cannot imply the universal love and social justice for everyone and endangers to become a religious ideology.

      • KCI등재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이기형(Kee-Hyeung Lee)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6 언론과 사회 Vol.14 No.3

        지식생산 자체가 다변화되고 대중화되는 탈경계, 다매체, 탈전통화 그리고 세계화의 시대의 담론은 다양한 학문과 제도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지식과 상징의 영역을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힘이자, 이 시대의 대표적인 개념어다. 담론분석은 말과 사물, 문화와 권력작용, 그리고 제도적 실행이 결합되는 양상과 그러한 결합이 주는 효과를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을 통해서 규명하려는 방법론이며, 인간과학의 전 분야에 심대한 영향을 준 ‘언어적’ 그리고 ‘문화적인 전환’을 강조하는 매우 특수한 인식론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담론분석이 중시하는 담론의 물질성과 사건성 그리고 권력작용과의 결합은 전통적 의미의 사회분석과 문화비평의 방식을 급격하게 해체하는 기능을 수행했다. 이 테마논문의 목적은 미셀 푸코의 담론개념과 그의 작업을 선택적으로 계승하는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aurse Analilysis)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 현 단계 문화연구와 미디어연구 그리고 지식생산의 중요한 화두이자 주묘한 방법론으로 인지되는 담론분석을 체계적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있다. Discourse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in cultural criticism and cultural studies. And yet its multidimensional use in different disciplines and genres tend to create some interpretive problems and misunderstandings. This paper aims to present several informed interpretations of what discourse means and does. It will also explore multiple ways discourse and discourse analysis have been adopted and employed in cultural studies and media criticism by focusing and elaborating on Foucault's work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후보

        죽음담론 분석

        황지영(Ji-Young Hwang)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3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7 No.2

        인간만이 매장을 하고 인간만이 사후의 가능성을 인지해 왔다. 그리고 인간은 죽음을 창조해 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죽음담론을 이해하고 그러한 죽음담론들이 구성되고 유포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뉴스 미디어의 담론분석을 수행했다. 분석대상으로 디지털 조선일보를 선택했으며 2008년부터 2012년 4월 30일까지 죽음관련 기사 중 최요삼 사망, 김수환추기경 선종, 법정스님 입적을 포함한 251건의 최종 분석대상 기사를 수집했다. 푸코의 담론분석 개념을 차용해, 죽음담론을 구성하는 주요 주체, 중요한 죽음 담론의 대상, 새롭게 구성된 죽음 개념의 영역을 규명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죽음담론을 이끄는 주요 주체는 종교계, 기자, 일반인, 정치계, 의료계, 문화예술계 순으로 나타났다. 기사에서 다루어진 죽음에 대한 담론의 대상은 웰다잉담론. 뇌사.장기기증담론, 생애담론, 추모.영향력담론 이었다. 또한 의료 권력의 영역으로서 죽음과 도덕적 실천 영역으로서 죽음이 지배적 개념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우리 사회에서 죽음은 그 자체로 애도 받지 못하며 삶에 봉사할 때만이 애도되고 추모되는 것으로 의미화 되었다. 요컨대 죽음담론은 후기 자본주의 이데올로기, 즉 사자의 실천을 규정하는 장기기증을 포함하는 기부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있었다. Man alone actually buries his dead and man alone has conceived of the possibility of an after-life. And man has created death. This study conducted discourse analysis of news med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dominant discourses of death and the ways they are constructed and circulated in Korean society. Digital chosunilbo is selected and 251 articles from 2008 to April 30, 2012 that include ‘choi yo sam samang’, ‘bub jeong ib jeog’ and ‘kim su hoan seon jong’ are collected. The analysis focuses on identifying major agents of constructing discourses of death, important discoursive object and the newly constructed concept or knowledge.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agents who participate in the construction of discourse are those who works for religious circles, journalists, common people, political circles, medical circles and culture and artistic circles. The dominant discoursive object was ‘well-dying’, ‘brain death-organ donation’, ‘lifetime’ and ‘influence’. The realm of dominant concepts was composed of death as the realm of medical power and death as the realm of ethical practicality In our society death in itself isn’t mourned without serving life. In short, death discourse reflects post capitalism ideology, namely, donation ideology including organ donation that define dead’s practice.

      • KCI우수등재

        블로그(Blog)에 나타난 도시공원 미시담론 - 서울숲을 대상으로 -

        이제이,성종상,Lee, Jaei,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서울숲에 대한 일반인들의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인식 및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이용자의 실질적인 의견을 파악할 수 있는 블로그(blog)를 통해 서울숲을 둘러싸고 펼쳐지는 일반인의 미시담론을 분석하였다. 블로그를 매개로 한 일반인의 미시담론 형성 배경과 요인 등을 해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법을 선택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담론분석을 위주로 하여 블로그에 게시된 미시담론의 내용과 그 형성 배경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서울숲에 대한 일반인의 구체적인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숲이 조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초기에는 서울숲 조성과 관련된 주체나 결과물에 대한 평가를 하면서 설계가나 서울시 등을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사회적 담론이 형성되었다. 둘째, 형성기의 서울숲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서울숲을 비교적 관점에서 평가 및 서술하면서 긍정 및 부정적 장소감이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담론이 형성되었다. 셋째, 조성된 지 4~5년 후인 전개기에 게시된 블로그에서는 주로 공원의 시설 및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고 난 후의 이용적 담론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성숙기에 들어서는 이용자들이 그들만의 언어로 서울숲을 해석한 장소적 담론이 주가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반인의 미시담론들을 통해 실제 이용 주체가 각 시기별로 서울숲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었는지 그 담론적 구조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미시담론에는 공원을 이용하는 개별 주체들이 생산하는 상호작용, 경험, 이야기 등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들의 고찰을 통해 일반인 이용자가 장소를 어떻게 재현하고, 이해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발견하였다.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termine the micro-discourse from blogs as personal media that reflect citizens' actual opinions of the Seoul Forest without intervention of experts. Furthermor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iscourse analysis was selected to analyze the micro-discourse regarding the Seoul Forest in a time series. The extracted samples of blogs by year were intended to identify the comment section of the process of change and the discursive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Seoul Forest to the present, it is divided into four chronological periods along with individuals' micro-discourse with social changes. During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of the Seoul Forest, the social discourse was formed, and in the next period, the micro-discourse was developed with a more emotional and complex discourse. In the formative period, four or five years later, the discourse reflected the civic consciousness of development more than ever, showing the diversity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t the Seoul Forest. In the growth period, as the users' experiences had been accumulated, the users started writing about the role of the Seoul Forest in their own words. This can also be called place discourse. From the individuals' micro-discourse, this study shows the discourse structure of how individuals think about the Seoul Forest in each period. Unlike the experts, the micro-discourse contains specific daily interactions, experiences, and the stories of individuals who actually use the parks. It also shows how users reproduce and understand the space. In this respect, this is the most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has demonstrated that the emotional description of a place that actually functions as a discourse about city parks, and confirms that blogs could be used as a space to form discourse and as a research tool to read the trends. In accordance with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described not only the discourse of experts, but also how the discourse of individuals' comments can be an important part of the discourse of modern urban pa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