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양국의 재난안전정보 다국어지원 현황 연구

        한아름,이충호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1 No.-

        본고에서는 국내 체류 외국인이 긴급하게 대응해야하는 재난 상황 속에서 보다 정확하게 ‘긴급재난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한일 양국의 다국어 긴급재난정보의 현황을 통해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경우 지금까지 정부 차원에서 수립하여 시행한 다국어 지원 대책을 토대로 다국어 지원 서비스의 범위와 정보전달 매체가 확대되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차원의 활동에 이르기까지 가시적인 성과가 있었다. 그러나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와 정도가 각 기관별・지자 체별로 상이하며 결혼이민자와 외국인근로자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어 유학생이나 외국국적 동포, 난민, 단기체류자인 계절노동자, 관광객 등은 여전히 재난발생 시 정보를 획득할 수 없어 사각지대에 대한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한편 일본의 경우 다국어지원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외국인 이주민과 노동자뿐만 아니라 유 학생 및 관광객을 포함한 모든 체류 외국인을 대상으로 재난안정정보를 적시에 제공하여 보호하 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재해 시 외국인지원 정보코디네이터’ 활용, 「재해다국어 지원센터」 설치하여 외국인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행할 수 있는 체제를 정비하고 있다. 향후 일본의 재난정보 제공 정책 등을 참고하여 정책 대상자의 범위를 확대하여 체류 목적이 나 기관을 불문하고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이라면 누구도 소외받지 않고 재난안전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보호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동안 대형 재난 발생 시마 다 대증적 접근으로 제각각 생산되어 분산되어 있는 다국어 재난안전 정보를 통합하고 체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국어 서비스 지원 전문기관의 설립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the current status of multilingual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n Korea and Japan is examined for ways that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can more accurately understand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in a situation of disaster that needs to be responded to urgently. In the case of Korea, the scope of multilingual support services and information delivery media has been expanded based on the multilingual support measure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t the Government level so far, and there have been tangible results ranging from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 activities. However, the type and degree of services provided differ by each institution and local government, and the focus was mainly on marriage immigrants and foreign workers. Therefore, international students, foreign nationals, refugees, seasonal workers who are short term residents, tourists, etc. still can’t get information in case of a disaster. So, the problem of blind spots needs to be solv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Japan, they are preparing a plan to provide th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in a timely manner to protect them, not only for foreign migrants and workers, but also for all foreign residents including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urists. For the purpose, a system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to foreigners is being established by utilizing “Foreigner support information coordinator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establishing a “Disaster Multilingual Support Center.” In the future, with reference to Japan's disaster information provision policy, etc., it seems tha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protect them by expanding the scope of policy targets, so that any foreigner residing in Korea,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their stay or institution, can obtain the disaster safety information without being alienated.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a multilingual service support institution should be promoted to integrate and systematize multilingual disaster safety information produced and distributed separately through a conservative approach in each case of a major disaster so far.

      • KCI등재

        다국적 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CDISC 표준의 확장

        염지현(Jihyeon Yeom),최인영(Inyoung Choi),김석일(Sukil Kim),김혁만(Hyeokma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8

        CDISC 컨소시엄에서는 임상시험에서의 비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플랫폼에 독립적인 임상시험 데이터 표준을 정의하였다. 그러나, CDISC 표준은 여러 나라의 여러 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다국가 임상시험에서 발생하는 임상시험 데이터를 다국어로 표현하는 방법에 많은 제약을 갖고 있다. 특히, CDISC가 제정한 표준 중 임상시험 데이터의 콘텐츠 및 포맷에 해당하는 SDTM(Study Data Tabulation Model)과 ODM(Operational Data Model)에서의 다국어 지원이 매우 미비하다. 본 논문은 CDISC의 SDTM과 ODM에서의 언어 설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SDTM과 ODM 표준의 확장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SDTM에서는 다국어 지원을 위한 새로운 도메인을 설계하였고, ODM에서는 ODM의 확장 스키마를 서브타이핑 방법으로 구현하였다. 확장 SDTM과 ODM을 기반으로 임상시험 데이터를 처리하면, 다국가 임상시험이 수행되는 경우 다국어로 표현된 임상시험 데이터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Clinical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 (CDISC) developed global and platformindependent data standards to improve ineffective processes of clinical trial studies. Regardless of its objective toward global cooperation, the current version of the CDISC standard cannot describe clinical trial data in various languages for multi-national investigators or reviewers. This problem applies not only to tabulated datasets in Study Data Tabulation Model (SDTM) but also to extensible markup language representation of the datasets in Operational Data Model (ODM) instances.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to extend the current version of SDTM and ODM to collect clinical data for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SDTM needs to have new special-purpose domain for multi-language representation purpose. Additionally, ODM is recommended to extend its XML schema using subtyping or type inheritance mechanism respectively. Our extension of SDTM and ODM enable to represent any granule of study data tabulation model or XML data entities to describe in efficient languages.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collect multi-language data easily for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 KCI등재후보

        국내 체류 외국인 유학생의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재난안전정보를 중심으로 -

        이이슬 ( Lee Yi Seul ),이충호 ( Lee Chung Ho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2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와 관련된 재난안전정보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재난안전정보의 작성방법과 제공방법에 대한 요구사항을 확인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조사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재난안전정보의 작성방법 개선과 제공방법의 다양성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재난 관련 정보 및 매뉴얼을 인터넷으로 얻고 있는 국내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학교 및 지자체 차원에서 재난 관련 매뉴얼을 제작·배포하고 관련 특강을 진행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와 동시에 ‘알기 쉬운 일본어(やさしい日本語)’ 버전의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더 다양한 다국어지원을 포함한 한국어 초급 수준의 외국인도 이해할 수 있는 ‘알기 쉬운 한국어’로의 정보 제공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현실을 반영하여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 ‘다문화가정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미분석기반 다국어 어휘대역어 서비스 개발 및 활용’ 연구팀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재난안전정보 제공 노력의 일환으로 긴급재난문자를 기반으로 전문용어와 어려운 한자어 등을 11개 국어로 제시한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대비 다국어 어휘카드를 제작·배포하였는데, 향후 국내 체류 외국인의 재난 피해 방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다국어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보완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겠다. This article identifies requisites needed when creating and distributing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on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that has been distributed in response to the novel COVID 19 virus. The investigation results confirm the necessity of enhancing the current methods to create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nd diversifying its distribution methods. As foreign students gain most of their information and manuals about a disaster from internet, efforts at the school and local government level, such a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saster manuals and opening of informative sessions, are needed, as was evident in Japan. The information also needs to be offered in a version written in easier-to-understand Korean, which a foreigner who speaks limited Korean can understand, as well as versions translated into multiple languages. This again, was proven in the case of Japan which provided versions of their disaster information in easier-to-understand Japanese. Reflecting on the above situation, the Research Team for the Development of Multilingual Word Translation Services based on Korean Semantics Analysis for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i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pport project, has produced and distributed multilingual word cards for COVID-19 prevention. After analyzing common Korean emergency disaster messages, the word cards offer relevant terminology and make complicated Chinese-character-based Korean words comprehensible in eleven different languages. To offer further disaster damage prevention to foreigner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expand policy support and relevant complementary measures for multilingual support.

      • KCI등재

        해외 대학의 비모어 화자 대학(원)생을 위한 언어 지원 사례 연구 -프랑스 파리 3대학, 7대학과 영국 서리 대학을 중심으로-

        윤희원,민병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국어교육연구 Vol.29 No.-

        This study examines language support programmes for non-native foreig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European universities like Paris 3, 7, and the University of Surrey. These universities are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which the ratio of foreign students is over 20%. Additionally, their language programmes for foreign students are quite effectiv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n the universities’ websites and in other related materials, the authors of this paper concluded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diverse specialized language teaching programmes and support programmes for foreign and exchange students. Therefore,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following should be implemented in Korean universities: (1) specialized Korean language support programmes for academic purposes, (2) associ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with general degree programmes, (3) an evaluation of the types of programmes taught in English, and (4) support for multi-lingual services and tandem programmes. 이 논문은 프랑스와 영국의 3개 대학을 중심으로 해외 대학의 자비모어 화자 대학(원)생을 위한 언어 지원 사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파리 3, 7대학과 서리 대학은 프랑스와 영국에서도 외국인을 위한 자국어 교육이 활성화되어 있고 유학생 비율도 20%가 높을 정도로 국제화된 대학들이다. 이들 대학은 유럽 연합의 언어 및 교육 정책에 따라 유학생 및 교환학생을 위한 다양한 자국어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제도를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학문 목적의 자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전공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개설되어 학습자들의 학위 과정을 지원하고 있고, 과정 이수에 따른 자국어 요구 수준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음도 확인하였다. 학사 지원을 위한 다국어 서비스 및 언어·문화 교환학습 지원도 대학별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필자들은 국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술 한국어 강좌의 전문화, 학위 과정과 연계한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운영, 학술 한국어 강좌 수강에 대한 학점 인정, 영어로 진행되는 강좌의 평가와 선별, 다국어 서비스 및 언어교환 프로그램의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 QRans Order : QR 코드를 이용한 다국어 간편 주문 시스템

        권찬미, 이동주, 엄성용 서울여자대학교 컴퓨터과학연구소 2017 정보기술논문지 Vol.15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order system for restaurant customers, which utilizes QR code and provides multilingual menu and currency conversion. The system consists of 2 main parts : application for customers, web and application for restaurant managers/owners. The main functions of the system are described with captured screens in this paper. Customers use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nd QR code tag attached each table to make orders. The multilingual menu and various currency feature help the foreign customers to make orders easily. The orders made by customers are automatically displayed in the smart phone or tablet installed in the cashier count and kitchen. The orders can be managed using web based system. 본 논문에서는 최근 빠르게 도입되는 무인 주문 서비스를 적용하여 다양한 식당과 국내외 소비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QR 코드를 이용한 <다국어 간편 주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개발된 시스템 ‘QRans Order’는 식당 고객용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식당 운영자용 관리자 웹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주요 기능을 화면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시스템 구현 결과, 식당 고객용 스마트폰 어플 리케이션은 테이블마다 마련된 QR 코드를 이용하기 때문에 직원을 부르지 않더라도 앉은 자리에서 간편하게 음식을 주문할 수 있다. 또한, 다국어 기능을 통해 외국인 고객들도 간편하게 메뉴를 보며 주문할 수 있으며 선택한 언어에 따라 환산된 가격 정보도 알 수 있다. 식당 운영자용 관리자 웹 및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주문이 들어올 때마다 즉각적으로 주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식당 정보 및 메뉴 관리, 매출 관리 등의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매체 탐색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이경락(Kyeong-Rak Lee),이상준(Sang-Joon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7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Previous research on university life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s in Korea, but Chinese students have a sense of belonging and university prejudice against Korean universities, so the objectivity of research is not clear.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of the Chinese people in China and conducted a media search for attracting foreign students. Not all foreign students are proficient in Korean language. Even students who have completed more than one year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or passed advanced level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have difficulties in everyday life and acquiring a degre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until foreign students who lack sufficient Korean language skills are able to adapt to culture and acquire information in Korea, it is desirable to prepare multilingual content services so that they can obtain academic information or daily information necessary for studying in their native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