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

        유경동(YOO Kyoung-Dong)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4

        일반적으로 현대 뇌과학의 기억 이론은 하나의 보편적 체계로서 기억체계가 아니라, 다양한 기억체계의 집합으로 본다. 역사적으로 기억을 다양한 기억체계로 분류한 최초의 시도는 어거스틴(Augustine)의 『고백록』에서 찾을 수 있다. 어거스틴의 기억 이론은 최근 신경과학의 자서전적인 삽화적 기억(episodic autobiographical memory)을 잘 보여주며, 이는 최근 기억에 관한 심리학적, 신경과학적, 인지과학적 연구에 이론적으로 상당히 근접해 있다고 평가된다. 한편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는 특별히 기억이론을 구성하지 않았지만 어거스틴의 기억에 관한 이해를 근거로 『신학대전』에서 기억을 감각적 기억(sensory memory, passions of the first sensitive)과 지적 기억(intellectual memory), 두 종류로 구분한다. 아퀴나스는 정신적 상(image)을 저장하는 것은 기억이 아니라, 심상(imagination)의 기능으로 설정했다.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학계 내에서 신학과 뇌과학의 학제 간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에서 양자 간 대화를 위한 예비연구로서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정리한다. 기억에 대한 전통적인 신학적 이해를 이해함으로써, 현대 뇌과학연구 및 이론과의 대화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세 가지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첫째, 뇌과학의 기억 이론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에 대한 예비 검토의 이론적 틀을 구성한다. 둘째,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통하여 뇌과학적 관점에서 기억의 구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살펴본다. 셋째,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비교 검토하고, 각 이론이 현대 뇌과학의 기억이론과 어떤 상관관계가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신학적 관점에서 뇌과학과 통섭의 가능성을 전개한다. 필자는 어거스틴과 아퀴나스의 기억이론을 통하여 기억의 영성적 본성에 대한 강조와, 범주화와 연결된 공동체성, 그리고 기억의 주체성을 강조한다. Memory is a faculty in the nervous system of the brain by which we remember the stored information and reconstruct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Modern neuroscience gives us an insight into how we can understand the biological function of cognition and perceptio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memory is also very important because it encompasses the implications of Christian faith and eternal life. Memory is not only a function of the brain, but also a spiritual substance that God use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ological view of memory and that of neuroscience, Augustine and Thomas Aquinas are invi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memory in the context of theology. Augustine explores the contents of memory and describes it as a repository store that allows us to recollect senses, language, desire, and eventually the truth of God. He concludes in his questions about memory that the faculty of memory is by nature not identified with God but is rather a vehicle leading us to understand eventually the meaning of time and eternity. Thomas Aquinas distinguishes between sensory memory and intellect memory. He emphasizes intellectual memory as the principle of human activities that enables us to understand human experience of memory as subject. After reviewing their examinations on memory, this paper concludes with the need for a deeper study in order to deal with such issues as the spiritual nature of memory, the normative categorization of memory, and the restoration of subjectivity based on memory.

      • KCI등재

        기억을 위한 아키비스트 - 기록과 기억의 이론적 고찰 -

        신동희,김유승 한국기록관리학회 2016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6 No.1

        In archival discourse, social memory has been discussed for some time. Despite this, however, theoretical studies have not been prolific at all in the Korean archival community. Many Western scholars have argued that archivists should consider memory rather than records for archival preservation because the inclusiveness of the former will fill the gaps in the latter. Social memory that is shared and transmitted across generations in society would include the stories of marginalized groups of people who are often neglected in official documents. Archivists can reconstruct the diverse narratives of a variety of social groups based on social memory, and this would be their social responsibility. In this sense, it is archivists who exercise power regarding how history will be written in the future because they determine what would be preserved in archives: mainstream culture with official records or a broader spectrum of diverse stories of people in society.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intends to understand how memory is discussed in archival discourse and to review how archives and history are associated with memory in theories and practices. 기록학에서 집단 기억, 사회적 기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 그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연구는 많지 않다. 기억이 가지는 포괄성이 기록이 가지는 제한된 역사기술을 보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구의 많은 학자들은 아키비스트가 문자화된 기록뿐만 아니라 도처에 만연해 있는 기억을 수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키비스트의 사회적 역할에는 공유되고 전승되는 기억을 통해 한 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재구성해야 함이 포함된다. 기억이 가지는 사회적 특성은 주류문화 위주 기록문화의 한계성에 도전하고, 비주류문화, 비기록문화의 역사를 포함하고 전승하도록 한다. 이러한 기억의 담론에서 아키비스트는 기록관에 수집하고 보존할 역사의 내용이 문자화된 지배집단의 기록에만 한정할지, 소외받고 배제되는 사회집단을 포함할 것인지 결정하는 역사의 중요한 권력자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역사와 기록이 기억의 담론에서 어떻게 인식되고 설명되는지 살펴본다. 결론에 갈음하여, 기억의 담론에서 기록관과 아키비스트의 역할을 논의한다.

      • KCI등재

        장률 감독 영화의 영화적 공간에 구성된 기억 재현과 문화적 기억

        강승묵(Kang, Seung-Moo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8 씨네포럼 Vol.0 No.30

        기억은 과거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역사처럼 과거와 현재의 관계에 따라 기억 거리가 기억된다는 것이 기억연구의 전제조건이다. 과거에 대한 기억은 현재의 사회문화적인 맥락에 따라 구성되고 또 재구성되기 때문이다. 영화는 기억의 실체를 영화적 공간을 통해 드러낸다. 영화적 공간이 영화(감독)의 정체성을 구체화해 그 공간과 관련된 다양한 기억을 상기시키는 기억의 터로 기능하는 셈이다. 본 연구는 기억, 영화적 공간, 기억 재현, 문화적 기억,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장률 감독의 영화 7편(<당시>, <망종>, <경계>, <중경>, <이리>, <두만강>, <경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해 그 영화들의 영화적 공간에 구성된 기억 재현 방식과 함의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분석대상 영화들은 실제 지명을 명시하거나(중경, 이리, 두만강, 경주) 상징적으로 은유해(당시, 망종, 경계) 국경과 같은 물리적 지역 경계를 기준으로 변방에 속하는 유폐된 공간들을 주로 기억해 재현한다. 이산의 기억으로 인해 정체성의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는 장률 감독 자신과 등장인물들은 이산의 기억이 체화된 공간에서 차별과 억압, 배제와 소외를 강요당한다. 특히 어디에도 정착하지 못하고 유랑해야만 하는 그들은 현실이면서 비현실인, 현실도 비현실도 아닌 헤테로토피아에서 마치 풍경화 속의 대상처럼 추상적으로 기억된다. 또한 북한(두만강)에서 중국(두만강과 북경 변방), 몽골(사막)로, 중국과 몽골에서 한국(이리, 경주)으로, 다시 중국(중경)으로 영화적 공간들을 이동시키면서 지역(공간)을 횡단하는 장률 감독의 영화들은 삶과 죽음, 고향과 타향, 만남과 이별, 정주와 이주, 현실과 비현실 같은 이항대립적인 구조로 회문의 헤테로토피아를 구성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장률 감독 영화들의 영화적 공간이 흩어짐의 공간이자 특정 국가나 지역의 이쪽(중심)도 저쪽(주변)도 아닌 동시에 이쪽과 저쪽 모두일 수 있으며, 또한 그 ‘틈’에 낀 사이-공간으로서의 헤테로토피아라는 점을 알 수 있게 한다. 장률 감독 영화들의 영화적 공간은 타자인 등장인물이 일상으로부터 일탈해 일시적으로 거주하는 수많은 주변‘들’의 틈 사이에서 기억되고 재현되면서 의미를 구성하는 것이다. Memory is not just the past. It is the precondition of memory studies that memory is remembered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lso, memory is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by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present. Films present the true nature of memory through the cinematic space. The cinematic space reifies director’s identity and functions as the sites of memor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way of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its connotation.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analyzes Zhang Lu’s seven films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 memory, representation, cinematic space, cultural memory, and heterotopia.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at films represent the confined space by real place name through the local border(chongqing, Iri, Dooman River, Gyeongju) and metaphorical space(Tang Shi, Grain in Ear, Desert Dream). Zhang Lu and characters in his films who have an identity crisis by the memory of diaspora are forced to endure the discrimination, suppression, exclusion, and alienation in the embodied diaspora memory. Especially, they are remembered and represented for the object of the landscape painting in real and unreal heterotopia. Besides, Zhang Lu’s films construct the palindrome heterotopia which are made up the binary-opposition structure. Finally, the research in this paper has come to an conclusion that the cinematic space of Zhang Lu’s films is the space of scatter and the between-space, heterotopia which is the borderline and on either side of nation and local area. The space is remembered and represented in the gaps of numerous surroundings that the characters called the other reside temporarily from daily life and constructs the meaning.

      • KCI등재

        역사, 기억과 망각의 투쟁

        육영수(YOOK, YoungSoo)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7

        이 글은 ‘기억과 망각’을 키워드 삼아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낡고 진부한 물음에 새로운 대답을 모색하는 것을 기본목표로 한다. 주지하듯이, 1980년대 이후 전개된 홀로코스트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과 군사(식민)독재정권의 희생자들에 대한 과거청산문제는 ‘기억’을 역사가의 핵심적인 화두로 부상시켰다. 또한 실증사학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도전은 ‘기억투쟁’과 ‘기억의 정치학’이라는 권력담론으로서의 역사서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자극했다. ‘불완전한 과거’라는 해석의 언덕에서 필자는 랑케, 마르크스, E. H. 카 등이 주창했던 고전적인 역사관과 다른 대안적인 세계관과 역사인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역사는 (새로) 만들어지는 기억과 강요되는 망각 사이의 투쟁”이라는 명제가 갖는 의미와 그 실천적 함의를 이해하기 위해 이 논문은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문의 전반부에서는 기억과 역사서술의 상관성과 기억의 주체(개인과 집단)와 매체(역사기념비와 물질문화) 등을 설명한다. 후반부에서는 프랑스혁명과 아이티혁명을 사례로 들면서 과거기억을 ‘이데올로기적으로 올바른’ 방식으로 창출·착취·망각·삭제하는 역사가들의 작업과정과 노하우를 분석하고 그 위험성을 비판한다. 필자는 오늘날 역사란 국가권력이 ‘위로부터로’ 만든 표준화된 공식기억과 민중의 ‘아래로부터의’ 저항과 ‘대항기억’이 상호 충돌하고 타협하면서 ‘물위에 다시 쓰는 기록’에 다름 아니라고 결론짓는다. 그러므로 역사가는 ‘기억의 민주화’와 공적·사적 기억의 계서적인 경계 허물기라는 또 다른 과제에 직면한다. The article aims to rethink and redefine the old and conventional question of “what is history?” by taking ‘memory and oblivion’ into scholarly consideration. Thanks to the recent controversy in holocaust studies and the effort to rehabilitate victims of atrocities committed by authoritarian governments, the so-called ‘memory studies’ emerged as new dominant interdisciplinary subject for historians. In step with this trendy interpretation the author, focusing on a comparative case of French Revolution vis-à-vis Haiti Revolution, explores how and to what extents a group/class/nation in power (re)fabricate, manipulate, exaggerate, and delete the past memory for the purpose of monopolizing ‘an ideologically correct’ historiography. The article concludes that history today is after all an endless antagonism and discontented negotiation between the standard edition of public memory accredited ‘from the above’ and the renewed edition of resistant anti-memory endorsed ‘from the below.’

      • KCI등재

        기억술을 활용한 교양 음악 수업 방안

        한송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본 연구는 기억술(mnemonics)을 활용한 교양 음악 수업 방안으로 현장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기억술 범주를 고찰하고 기억술 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음악 기초내용과 활용 가능한 기억술 방법을 연결하여 작곡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기억술을 활용한 작곡 활동은 악보 마련하기(악보 마련 순서 기억하기, 음자리표 그리기, 조표 그리기, 박자표 그리기)와 작곡기초 과정 기억하기(주요 3화음에 의한 작곡 기법 기억하기, 음표와 박자 기억하기, 음이름 기억하기, 속도 기호 기억하기, 반복 기호기억하기)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여덟 가지 기억술 방법(머리글자, 아크로틱스, 패그 워드 방법, 이야기 방법, 범주형 클러스터링, 라임, 제스처, 키워드 방법)이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기억술 방법이 동기 부여가 되어 음악 기초가 부족한 학습자의 음악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데 의미가 있다. 아울러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기억술 방법의 활용도를 높이면서 교양 음악 수업에서 음악의 기초를 쉽게 배울 기회 마련과 악보 읽기 능력을길러 작곡 활동이 연계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해방기 문학비평에 나타난 ‘기억’의 정치학 : 1945~1948년 〈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이양숙(Lee Yang-sook)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본 연구는 해방기 〈조선문학가동맹〉의 비평문을 대상으로 이들이 구축하려 했던 집단적 정체성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해방기 비평의 한 특징은 문학사적 안목이 전제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것은 그들이 ‘진보적’인 문학사의 자산을 현재적 의미로 환기하고 이를 통해 당대 요구되었던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려 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억압된 기억의 회복과 그 의미복원을 위해 활용되었던 ‘집단기억’의 개념을 통해 이와 같은 해방기 담론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억은 현재의 필요에 의해 과거가 재구성되는 정치적 과정이다. 해방직후 이들이 복원하려했던 전통은 철저하게 ‘현재의 필요성’에 의해 규정되었다. 그 근본 원인은 물론 첨예한 이념투쟁에 있었다. 이들은 과거 심한 이념적 탄압을 감수해야만 했다. 그러므로 해방직후 민족문화 건설을 위한 주도권 다툼에서 이들은 효과적인 이념적 근거를 마련해야 했고 그 근거는 바로 과거의 신문학, 혹은 인류의 진보적 문학의 자산이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억압적 규제에 대항하는 집단기억을 환기하고 대항기억으로서의 문학사를 창출하려 하였다. 해방 직후인 1945년 8월에서 인민항쟁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좌익과 우익이서로 이념적 주도권을 획득하기 위해 정치적 이해타산을 앞세웠다. 이에 따라 문인으로서 본질적으로 점검해야 할 ‘자기비판’의 문제조차 정치적인 관점으로 접근한다. 인민항쟁이 일어난 1947년 10월 이후 좌익에 대한 탄압이 극심해지자 이들은 일제에 대항했던 3.1운동의 의미를 민족적 저항의 상징이자 ‘신문화 운동’의 분수령이라 규정하고 1947년의 인민항쟁을 새로운 민족문학운동의 출발점으로 규정하였다. 이는 3.1운동의 환기를 통해 인민항쟁의 역사성을 부각시키는 기억투쟁으로 설명할 수 있다. 1948년 8월 남북한에 각각 단독정부가 수립되었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단절이자 이념적 단절이다. 이제 ‘민족’이라는 기표는 더 이상 저항의 기억과 해방의 기대기평을 보여줄 수 없는 무력한 것이 되었다. 이 시기 이들의 기억은 식민지 시기 계급문학의 담론인 ‘영웅’, ‘구국’, ‘아지프로’에 머물게 되는데 이는 정치적 무력감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의 담론은 이후 남과 북에서 각각 소수의 기억으로 치환되어 ‘역사’에서 소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llective identity which was attempted by the critics belonging to the 〈Chosun-Munhakga-Dongmaeng〉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One of characteristics in their critics was the concern about Korean literary history especially came from progressive cultural movement. This means that they tried to build new identity by the contemporary meaning of past Korean literary history. In this study 'the collective memory' which was practically used for the recover of suppressed memory played important role in analyzing their works. Memory is the political process in which the Past was reformed by the contemporary necessity.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description of the Past showed such a case. It was resulted from the strif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t bottom.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a matter of the primary concern was 'self-criticism'. But it was not throughly examined due to the strif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fter all they couldn't take a long hard look at their-self. During the period of people's resistance(1947.10) they paid attention to 1st on march in 1919 which positioned the origin of New Literature in Korea. It was the struggle for memory to bring into relief the meaning of people's resistance. In 1948 two administrations were composed in the South and in the North apart. It was a severance of space and a severance of new historical time especially a severance of ideology. Finally the South and the North became the enemy officially and their discourse about the new horizon of expectation was isolated from both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

        한국의 베트남 전쟁 공공기억과 민간기억의 담론 갈등: 집단기억의 등장 및 변화의 정치적 동인

        권예진,최은봉 한국세계지역학회 2023 世界地域硏究論叢 Vol.41 No.1

        전쟁과 관련된 공공기억과 민간기억은 왜 불일치할까? 본 연구는 한국군에 의한 베트남민간인 학살에 대한 문제가 1999년 국내 시민단체에 의해 제기되면서 베트남 전쟁을 둘러싼 기억의 균열이 발생하는 과정에 대하여 정치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국민을 결집시키기위해 선별된 기억을 각국의 역사에 위치시키는 과정 속에서 누락되거나 배제되었던 기억은 서서히 균열을 발생시켰다. 1990년대 전쟁기억의 균열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시민단체’라는 새로운 기억주창자(memory entrepreneur)의 등장에 주목한다. 본 연구는 기억의 구성 체계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기억과 민간기억 사이에서 발생하는 역학관계에 대하여 정치학적 시각을 제공한다.

      • KCI등재

        기억력 노화와 노인을 위한 기억 훈련 프로그램 개관

        고선규,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6 인지행동치료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 훈련 프로그램을 개관하고 우리나라 노인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억 훈련 프로그램은 기억력 노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개발한 것으로 크게 정보 처리적 관점과 맥락주의적 관점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보 처리적 관점은 기억력 노화를 비효율적 저장과 인출 문제, 특정 기억 유형에서의 결함으로 보며, 맥락주의적 관점에서는 노인의 기억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기억 신념과 같은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 기억 훈련 프로그램은 크게 기억법만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키는 전통적인 기억 훈련 프로그램과 기억법 훈련 요소에 노인의 기억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첨가하여 구성한 다요인 기억 훈련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두 관점에서 나온 기억력과 노화에 대한 연구 결과를 개관하고 두 종류의 기억 훈련 프로그램을 비교 한 후 국내 노인에게 적합한 기억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overview the memory training program and advise to develop the program which suits to the older adults. The memory trai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of memory aging. The study of memory aging is divided into two perspectives, information processing and integrative persp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s consider memory aging as inefficiency of memory stage and deficit of specific memory system. Within the integrative perspectives, memory belief is emphasized to explain older' adults memory performance. Traditional memory training programs are composed of only memory strategy training. Mutifactorial memory training program, based on preceding studies on memory aging in context, included factors which were known for influencing older adults's memory performance. The study gives some suggestions to develop the suitable program for the old in Korea after comparing and examine the results of memory aging study and the memory training program.

      • KCI등재

        다요인 기억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기억력과 메타기억,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유나,박지혁,박수현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1

        목적 : 주관적 기억장애가 있는 지역사회 노인에게 다요인 기억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기억력과 메타 기억,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 중 주관적 기억장애 를 호소하는 11명의 노인이었다. 다요인 기억 프로그램은 시각적 자료를 통한 교육과 집단 기억훈련 , 개별 기억훈련으로 구성되며 1회당 90분씩, 주 1회 실시하여 10주 동안 시행하였다. 한 집단의 사 전-사후 실험설계로 다요인 기억프로그램 전, 후의 기억력과 메타기억 그리고 우울 점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 지역사회 노인의 단어목록기억과 단어목록 회상 그리고 구성행동이 유의미하게 향 상되었고(p<.05) 메타기억에서의 기억책략 사용의 증가와(p<.01) 우울의 감소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주관적인 기억장애를 호소하는 노인에게 다요인 기억프로그램 이 기억력과 메타기억의 긍정적 변화와 우울 감소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ulti-strategic memory training onmemory, metamemory,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Methods : For eleven older adults with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SMCs), we executed multi-strategicmemory training for a 10 week period. This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once a week, with 90 minutes persessio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 examined the effects of this memory training on their memory,metamemory, and depression. Results : After the program,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Word List Memory, Word List Recall,Constructional Praxis, and Multifactorial Memory Questionnaire-Strategy (MMQ -S), Short form Geriatric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 (S-GDS-K) score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 multi-strategic memory training for older adults with subjectivememory complaints is a useful therapeutic approach.

      • KCI등재

        기억으로서의 영상매체와 기억산업의 문화콘텐츠

        김계환(Gye-Hwa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2

        문화콘텐츠가 문화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하면서, 콘텐츠와 이를 활용한 문화산업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 문화는 기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기억을 배제한 문화란 존재할 수 없다. 기억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집단적, 사회적 기억으로 작용한다. 또한 문화는 기억을 담지할 매체를 필연적으로 요구하는데, 최근의 영상텍스트는 새로운 기억매체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논문은 사회·문화적 기억으로서 ‘기억’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 중국 6세대 영화를 중심으로 사회·문화적 기억과 그것을 담지해내는 영상텍스트의 기억복원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대항기억’으로서 ‘개인기억’의 문화적 의의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기억산업과 콘텐츠의 접합 가능성을 찾아보는 시도를 모색했다. 6세대 영화를 주목한 이유는 중국 당국이 제시하는 ‘공식기억’에 대항하며 ‘지하’에서 만들어졌던 이들 영화가 국제적인 영화제에서 괄목한 만한 성과를 획득해 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As cultural contents are rising to the surface, the contents and interests regarding the industries that utilize the culture become higher than any other times. Culture is performed with memory, and the culture that excludes memory cannot exist. The memory exceeds a dimension of the individual and operates with an assembled and social memory. Furthermore the culture requires media to put memories inevitable. Therefore, recent image texts are coming to the attention as new storage media. So this essay analyzed the meaning of 'memory' as social-cultural memory by putting the sixth generation Chinese movies to the center and restoration of image text that puts memory in it. And also, I examined the cultural meanings of 'individual memories' as the 'counter memory' and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junction between memory industry and the contents. I focused on the sixth generation Chinese movies because these movies made remarkable progresses in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though they were made in 'underground' by objecting to 'official memory' proposed by the Chines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