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상황에서 기본적 심리욕구만족척도 개발과 자기결정이론의 모형 검증

        김덕진 ( Duk Jin Kim ),양명환 ( Myung Hwan Y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3편의 순차적 연구를 통해 대학교 체육수업과 생활체육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척도가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연구모형을 얼마나 잘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은 심리욕구만족 척도의 3요인 구조를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측정모형의 적합도와 타당화 검증단계로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1곳의 대학교에서 체육수업을 수강한 대학생이었다. 또한 시간에 따른 측정도구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검사-재검사 표본으로 4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의 외적변수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준거관련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또한 시간 차이에 따른 도구의 안정성도 확보하였다. 연구 2는 스포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34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개발된 심리욕구만족 척도가 다양한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이론적 가설들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인, 대인, 단체 운동유형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척도임을 입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자율성 지지와 동기간의 관계에서 심리욕구만족의 매개역할을 살펴본 결과 심리욕 구만족은 부모와 친구의 자율성 지지와 동기유형간에 적절히 매개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 3은 연구 1과 2의 대학생 표본과는 달리 생활체육에 참가하는 성인남녀 280명을 대상으로 자율성지지, 심리욕구만족, 동기 및 심리적 웰빙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욕구만족은 동기와 심리적 웰빙 구인에 정(+)의 직접영향뿐만 아니라 자율성 지지를 경유하여 동기와 심리적 웰빙에 의미 있는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1 were to develop and validate a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n Sport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s designed to assess the constructs of autonomy need, competence need, and relatedness need in various sports contexts including exercise. In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exploratory (n=194) and confirmatory (n=218) analyses supported a 15-item solution consisting of 3 factors. Overall, results show tha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is composed of three internally consistent factor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is also supported by correlations with other constructs as postulated by self-determination theory. Evidence for external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temporal stability and exercise style invariance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cale was found. Additionally, the study 2 examined the effects of autonomy support o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motivation, which was based on the framework of self-determination theory. In a sample of 347 participants (male: n=219, female: n=128) from recreational sport club in univers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zed model in that perceived autonomy support fosters more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ese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urn, enhanced more self-determined forms of behavioral regulations(intrinsic and identified motivation) and decreased more amotivation. The study 3 tested a model of the assumed sequenti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was based on the hypothesized model by Vallerand(1997). The hypothesized mediational roles of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were also studied. Consequently, basi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direct effect on self-determined motiv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exercise and sport contexts contributes to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기본심리욕구만족, 주도적 수업참여의 구조적 관계: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승수,이은주 한국교육심리학회 2022 敎育心理硏究 Vol.36 No.4

        This study ident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students’ agentic engagement. It also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tructur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o this end, the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was analyzed using data from 4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positively predicte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agentic engag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autonomy support on agentic engagement. Second, the interaction effect of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Regarding high autonomy support, the higher the structure, the higher was the positive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However, for low autonomy support, the higher the structure, the higher was the negative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structure in the effect of autonomy support on agentic engagemen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tructure, the higher the indirect effect of autonomy support on agentic engagement through the medi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lassroom structure should be framed based on teachers’ autonomy support. Additionally,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it verified that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are important antecedents to explain students’ agentic engagement.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 기본심리욕구만족, 주도적 수업참여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 효과가 기본심리욕구만족을 매개하여 주도적 수업참여에 이르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5, 6학년 42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조절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은 각각 독립적으로 기본심리욕구만족과 주도적 수업참여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자율성 지지가 주도적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리욕구만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만족에 대해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자율성 지지가 높은 경우 구조제공이 함께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만족에 대한 정적 효과가 더욱 강화되었지만, 자율성 지지가 낮은 경우 구조제공이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만족에 대한 부적 효과가 더욱 강화되었다. 셋째,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기본심리욕구만족, 주도적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만족의 매개효과가 구조제공에 따라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구조제공의 수준이 높을수록 기본심리욕구만족을 매개로 주도적 수업참여에 미치는 자율성 지지의 간접효과가 정적으로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구조제공이 학생의 주도적 수업참여 행동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선행요인이며, 주도적 수업참여를 증진하기 위해서 구조제공은 반드시 교사의 자율성 지지를 수반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의 예측효과와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의 차이

        한승수(Seungsoo Han),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구별되지만 동시에 공존하는 구인이라는 가정에 따라 중학생의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을 탐색하고,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부모,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의 예측효과와 잠재프로파일 별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중학생 435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좌절형’, ‘만족형’, ‘평균형’과 함께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이 모두 높은 ‘만족-좌절 복합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높고 심리적 통제가 낮을수록 ‘좌절형’보다 ‘만족형’의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특히 부모와 교사의 통제뿐만 아니라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높을수록 ‘만족-좌절 복합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좌절형’은 낮은 친사회적 행동과 높은 공격성을 나타낸 반면, ‘만족형’은 높은 친사회적 행동과 낮은 공격성을 나타냈다. 특히 ‘만족-좌절 복합형’은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는 ‘만족형’의 친사회적 행동, ‘좌절형’의 공격성과 비교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이 모두 높은 집단이 존재함을 밝혀냈으며, 이 집단의 복합적 적응 양상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기본심리욕구의 낮은 만족과 좌절은 구분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고 공격성을 낮추기 위해서 욕구만족의 증진뿐만 아니라 욕구좌절의 예방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re distinct but potentially co-occurring, this study explored the combined relations between them.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t combinations of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had different antecedents, including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and different outcome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Apply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a sample of 435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dentified 4 groups of students with distinc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profiles; ‘frustrated’, ‘satisfied’, ‘average’ and ‘satisfied-frustrated’ profiles. The higher the autonomy support and the lower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the higher is a student’s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atisfied’ rather than ‘frustrated’ profile. Particularly, not only the higher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but also the higher parents’ autonomy support predicted the high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atisfied-frustrated’ profile, which had both high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urther, the ‘frustrated’ and ‘satisfied’ profiles showed low prosocial behavior and high aggression, and high prosocial behavior and low aggression, respectively. More interestingly, the ‘satisfied-frustrated’ profile showed high levels of prosocial behavior besides high levels of aggression, which were as high as prosocial behavior of ‘satisfied’ and aggression of ‘frustrated’ profiles. The findings evidence that there are some students experience both the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highlighting tha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re distinct but co-occurring with specific antecedents and outcomes. To enhance prosocial behavior and to mitigate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recommended to make active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need satisfaction and prevention of need frustration of the adolescents.

      • KCI등재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과 상담성과에 대한 질적 연구

        한소영,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4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exploring and identifying how cli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counseling outcome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SDT). Authors investigated experiences relating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the counseling process from ten clients showing successful counseling outcome by employ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Results showed that clients experience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various ways, and counselors' needs support interventions suggested by SDT effectively influenced clients’ needs satisfaction. Clients reported that experiencing needs satisfaction led positive counseling outcome and was a positive counseling outcome per se. Theoret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바탕을 두고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상담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성공적 상담성과를 보인 10명의 내담자의 경험을 심층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내담자들은 상담과정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불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이론에서 제안하는 욕구 지지 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이 상호작용하며 욕구 만족 경험에 서로 영향 미치는 양상을 보였다. 내담자들은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경험이 상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았으며,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 특히 자율성과 유능감 만족 경험 자체가 상담성과라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임상적 의의를 비롯하여,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삶의 만족도 및 우울의 관계: 타전공과 비교하여

        김경미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based on the theory of self-determination affects a person’s psychological health and well-being. Recent researches claim that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vary according to culture. Based on this,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how colleg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 their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nd also how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major affect other majors compared to those of other undergraduate students. To this end, basic psychological need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CESD) were measured on 146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major and 187 other majo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tudy results showed that colleg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luence of autonomy between counseling and other major student o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relatednes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counseling major students differed from other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ways to increase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course of fostering counseling majo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scussed.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기본심리욕구는 개인의 심리적 건강과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영향이 문화에 따라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가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상담전공 학부생의 기본심리욕구가 타전공 학부생과 비교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전공 학부생 146명, 타전공 학부생 187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삶의 만족도, 우울을 측정하였으며.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영향을, 우울에는 부적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상담전공 학부생과 타전공 학부생간의 자율성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관계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담전공 학부생과 타전공 학부생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상담전공 학부생 양성과정에서 이들의 기본심리욕구를 높이는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중역할에 대한 회사의 지지, 남편의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30대 대졸 기혼 직장 여성을 중심으로

        김민선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le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company and husband supports among highly educated married working women in their 30s. First, the measurement model yielded evidence of good fit. In addition, analyses of the structural model supported the indirect pathway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Company and husband support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lso, husband support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Finally, company and husband support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hich in turn w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bout 57% of variance in life satisfaction was explained by evaluative company and husband support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의 하위 이론인 Ryan과 Deci(2002)의 기본 심리적 욕구 이론(Basic Needs Theory)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30대 대졸 기혼 직장 여성들이 지각한 다중역할에 대한 회사의 지지, 남편의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30대 대졸 기혼 직장 여성 172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모형의 적합도와 변인들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회사의 지지와 남편의 지지가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은 자료를 양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삶의 만족도 변량의 약 57%를 설명하였다. 구체적인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회사의 지지와 남편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여성들의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사의 지지와 남편의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회사의 지지가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와 남편의 지지가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척도(BPNSFS)의 타당화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4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척도(BPNSF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였다. 중·고등학생 9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판 BPNSFS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24문항 6요인 구조(자율성만족, 유능성만족, 관계성만족, 자율성좌절, 유능성좌절, 관계성좌절)가 지지되었으며, 양호한 수준의 내적합치도와 반분신뢰도,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중·고등학생 집단별, 성별, 내재동기의 수준별 차이 없이 측정동일성이 지지되었으며, 초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교차타당성도 확보되었다. 또한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긍정적 준거변인(동일시 조절, 내재적 조절, 수업참여)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 좌절은 부정적 준거변인(외적 조절, 내사 조절, 수업이탈)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기본심리욕구 만족은 욕구좌절을 통제한 후에도 동일시 조절 및 내재적 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기본심리욕구 좌절은 욕구만족을 통제한 후에도 외적 조절 및 내사 조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본 결과는 한국판 BPNSFS가 원척도와 유사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초등학생들에게도 활용될 수 있는 타당한 척도임을 의미한다. 한국판 BPNSFS의 활용을 통해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차별적 역할을 검증하는 연구가 활성화됨으로써 기본심리욕구 만족을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욕구좌절을 낮추기 위한 적극적 개입을 병행하려는 실천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cale for adolescents (BPNSFS-KA). Data of a 927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 seri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videnced that a six-factor structure specifying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each psychological need as distinguishable constructs fits the data better than models specifying them as part of a continuum. Furthermore, the BPNSFS-KA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split-half reliability, composit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e six-factor structure of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was found to be equivalent across gender, stu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cross validity confirmed that the six-factor structure was generalize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each of the three needs was foun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prediction of positive outcomes (autonomous motivation and class engagement), whereas frustration of the three need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negative outcomes (controlled motivation and class disengagement). Overall, the BPNSFS-KA proved to be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문은식(Ehun-shik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충남, 경기에 위치한 3개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여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LISREL 8.54를 이용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예측을 하고, 3개 예언변인들의 삶의 만족도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49%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기본심리욕구 → 삶의 만족도) 더 많은 예측을 하고, 기본심리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예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촉진시키는데 기본심리욕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부모의 자율성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life satisfaction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tests of autonomy support scale, social support scale,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administered 331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 universities in Kangwon province, Chungnam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LISREL 8.54.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earch model is appropriate in terms of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 based the valida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exogenous(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and one endogenous(basic psychological need)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via three pathways, and the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was approximately 49%. Also,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ve variables(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ir friends’ social support had more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did their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사들이 경험하는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에 대한 포괄적이고 심층적인 고찰을 토대로 교사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397명의 초・중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B-ESEM을 적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을 아우르는 일반적 욕구충족과 개별 욕구의 만족 및 좌절을 구분하였다. 그리고 기본심리욕구의 중심개념을 파악하고, 일반적 욕구충족과 개별 욕구의 만족 및 좌절과 심리적 소진, 직무열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이 경험하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은 욕구충족이 아니라 욕구미충족으로 수렴되었으며, 욕구미충족을 구성하는 중심 개념은 유능성의 만족과 좌절이었다. 기본심리욕구의 미충족은 심리적 소진과 직무열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욕구미충족이 통제된 후에도 자율성 좌절과 유능성 좌절이 심리적 소진을 예측하였으며, 자율성 좌절과 더불어 자율성 만족, 유능성 만족, 관계성 만족이 직무열의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교사들의 직무열의를 높이고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들의 유능성 욕구가 만족되어야 하며, 특히 유능성 욕구가 좌절되지 않는 것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of teachers. In that comprehensive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should be a primary step,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was applied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needs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B-ESEM represents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Using a sample of 397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B-ESEM showed that teachers’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converged to need unfulfillment rather than need fulfillment, and competence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as crucial for their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unfulfillment. The general factor of need un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engagement. Even after general need unfulfillment was taken into account, autonomy frustra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maintained unique effects of increasing psychological burnout. Satisfaction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s well as autonomy frustration had unique effects of increasing job engagement. This suggests the establish the conditions that can promote competence satisfaction and block competence frustration to reduce teachers’ burnout and to enhance their job engagement.

      • KCI우수등재

        기본심리 욕구충족 연속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의 다차원성 요인구조

        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이 각기 고유한 영역특수성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전반적 욕구충족으로 수렴되는 위계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욕구충족의 연속체를 구성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초등학생 427명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측정모형을 검증한 결과, CFA, ESEM, B-CFA 모형에 비해 B-ESEM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각각 일반요인으로 상정한 이중 일반요인 모형에 비해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을 포괄하는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단일 일반요인 모형이 자료에 더 부합하여 욕구만족과 좌절의 단일 연속체 가설을 지지하였다. 유능성만족과 유능성좌절이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중심개념을 구성하고 있는 반면, 자율성좌절은 가장 높은 영역특수성을 나타냈다. 욕구충족 일반요인은 본 연구에서 살펴본 모든 적응변인(수업참여, 친사회적 행동, 긍정정서, 내재동기와 동일시조절) 및 부적응변인(수업이탈, 공격성, 부정정서, 외적조절, 내사조절, 무동기)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또한 각 욕구별 영역특수요인은 욕구충족 일반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각기 다른 결과변인들과 여전히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각 욕구만족 및 욕구좌절의 고유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서로 독립적이고 구별되는 개념이지만 동시에 단일 연속체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본심리 욕구충족의 의미와 요인구조, 및 효과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dimensionality of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bifactor explor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ESEM) framework.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ere better represented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or as two distinct constructs. Using a sample of 42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upported the multidimensional B-ESEM representation including on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and six specific factors as the combination of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dicators of both competence satisfaction and competence frustration loaded strongly on the general factor, suggesting that competence was crucial for students’ global level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ulfillment. Most items dropped into meaningful specificity once the global factor was accounted for, while autonomy frustration showed the highest specificity. Furthermore, global need fulfillment significantly explained all 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engagement,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s,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ll maladaptive outcome variables (class disengagement, aggression, negative emotions, introjected regulation, external regulation, and amotivation). Specific factors explained the variance in certain outcome variables over and above the variance already explained by the global factor of need fulfillment,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accounting for specific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actors in addition to the global level of need fulfill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uld be as two opposite ends of the same continuum rather than as two distinct constr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