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주영 단편소설의 반(反)근대성 연구

        박수현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6 No.-

        The short stories of Kim Joo-young show oppositions to the modern reason. Kim Joo-young respects the traditional sense of fate'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sense of fate is irrationality. So the respect for the fate means the opposition to the modern reason. The traditional jobs conflict with the modern values and reveal the negativity of modernity. The writer reveals the anti-modernity beautifying the traditional jobs. The love for the past denies the progress. This is one way of opposition to the modernity. Kim Joo-young frequently uses the endings emphasizing the value of children and the love between married couples. These conflict with the modern values and expose the modern negativity. Those are imagined as an alternative utopia opposing to the negativity modernity, Nostalgia for the motherhood is especially important. The writer wants to find the anti-modernity in the pre-modern. 김주영 소설은 이성의 계측가능성을 부정하면서 근대적 이성에 반발한다. '출세를 꿈꾸는 촌놈들의 실패담'에서 '꾀'는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도구적 이성에 대한 제유로서 이성의 역능에 의한 미래의 지배에 대한 확신에 기반하는 바, 근대적 이성의 부정성을 드러낸다. 김주영 소설에 두드러지는 운명의식은 계측불가능성과 비합리성을 각인하면서 근대적 이성에 대한 반발을 함의한다. 김주영은 전통적 업에 고착하는 인물들을 미학화하면서 반근대성을 표출하고 현재의 난국을 해결할 단서를 저장한 곳으로서 과거를 소환한다. 이는 발전하는 현재와 미래를 외면함으로써 근대성의 본질인 진보적 시간관을 부정하는 것으로서, 근대성을 내파하는 한 방식이다. 김주영 소설에서 자식은 모든 갈등을 해결하는 위대한 숭고로 현현하며, 부부애는 최후의 구원처로 부상한다. 자식과 부부애는 근대적 부정성에 대항하는 대안적 이상향으로 상상된다. 특히 모성에 대한 향수는 전근대에서 근대성에 반대하는 거점을 찾으려는 의식을 내장한다.

      • KCI등재

        특집논문 : 근대 개념어(槪念語)의 출현과 의미 변화의 계보 -식민지 시기 "장편소설"의 경우-

        김영민 ( Young Min Kim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9

        본 연구의 출발점은 한국 근대문학사의 전개 과정에서 실제 장편소설 의 계보와 용어 사용의 계보 사이에 적지 않은 거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계몽기 이후 식민지 시기에 전개된 장편소설이라는 근대 개념어의 등장 과정과 사용의 계보를 근대 잡지와 근대 신문의 경우로 나누어 정리했다. 정리의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식민 지 시기에 발간된 잡지 가운데 서사문학 작품을 1편 이상 수록한 잡지 64 종과 식민지 시기의 대표적 일간 신문들인 『동아일보·조선일보』 ·『매일신보』 등이다. 연구와 정리의 방식은 64종의 잡지에 수록된 서사문 학 작품 모두를 직접 확인 점검하는 전수조사(全數調査)의 방식을 선택했 다. 1910년대 잡지 『신문계』를 통해 한국 근대문학사에 처음 등장한 ``장편 소설`` 은 명확한 의미를 지닌 개념어가 아니었다. 이 시기 ``장편``은 상대적 으로 길이가 긴 작품을 일컫는 일종의 수사(修辭)였다. 『신문계』가 사용 한 장편소설이라는 용어는 단편소설과 대응하는 용어도 아니었다. 한국 근대 잡지에서 장편소설이 특정한 의미를 지닌 개념어로 정착되는 것은 1920년대 후반 이후이다. 이 시기부터 1930년대 초에 걸쳐 그 사용이 점차 보편화된 장편소설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일정한 길이 이상의 작품을 지칭하는 것으로 변화한다. 1930년대 이후 한국 근대 잡지에서 장편소설 이라는 용어가 절대적 양식 용어로 점차 굳어져 갔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대 잡지에서는 장편소설이라는 용어가 중편 소설과 명확한 거리를 확보하지 못했다. 몇몇 작품들의 경우는 중편소설 을 표방하고 연재를 시작해 장편소설로 마무리되거나, 그 반대로 장편소 설을 표방하고 출발해 중편소설로 마무리되는 경우 또한 없지 않았다. 한국 근대 신문에서도 장편소설이라는 용어의 사용은 1920년대 말부 터 본격화되어 1930년대 초반에 완전하게 정착 된다. 이는 근대 잡지의 경우와 일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근대 신문에 사용된 장편소설이라는 용 어의 의미는, 잡지의 경우와는 달리 처음부터 비교적 명확했다. 근대 신문 의 경우는 거의 예외 없이 이 용어가 일정한 기준 이상의 길이를 가진 특 정한 문학 양식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그리고 『매일신보』를 대상으로 분석 정리해 보면, 한국 근대 신문의 경우 장편소설은 적어도 100회 이상 연재된 장형의 작품을 의미하는 용어였음 을 알 수 있다. 완결된 장편소설들만을 대상으로 동아일보·조선일보·매일신 보등세 신문에 연재된 작품들의 실제 평균치를 살펴보면 연재 횟수는 173회였고 원고의 분량은 2100매 정도였다. 이러한 평균치는 각 신문들 이 제시했던 최소치에 비하면 매우 높은 편이었다. 근대 신문의 장편소설 은 길이에서 중편소설과도 명확히 구별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 근대 문학사의 전개 과정에서 장편소설이라는 용어의 도입과 정착 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는가를 살필 수 있었다. The first chapter explores the birth and process of the change of a meaning of modern literary word ``jangpyonsoseol`` in modern literary magazines. The vocabulary ``jangpyonsoseol`` wa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on ``Sinmoongye`` in 1916 in modern Korean literary history. The ``jangpyon`` was a kind of rhetoric which means comparatively long works in 1910s.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was changed as a opposite concept of ``short story``in Korean literary magazines after 1920s. But, it was not easy to find difference between ``jangpyonsoseol`` and ``jungpyonsoseol`` in modern Korean literary magazines. The second chapter explores the birth and process of the change of a meaning of modern literary word ``jangpyonsoseol`` in modern newspapers. The vocabulary ``jangpyonsoseol`` was appeared again and again in newspapers after late 1920s.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in modern newspapers was comparatively clear than that of case of magazines.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was similar with western ``novel`` in newspapers in 1930s. It was a new notional word which means a literary work that was serialized at least over one hundred times in modern Korean newspapers. There was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e meaning of ``jangpyonsoseol`` and that of ``jungpyonsoseol`` in newspapers.

      • KCI등재후보

        한국여성의 자기서사(3):근대편

        최경희,박혜숙,박희병 한국여성문학학회 2003 여성문학연구 Vol.9 No.-

        Following the introduction via Japan of the Western genre of autobiography, Korean journals and magazines of the 1920s and 30s and women's journals in particular began to carry a considerable number of short self-writings by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a series of issues and questions about their formal and substantive characteristics and to historic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re and the gender of authorship. With a view to conducting a formally sensitive and contextually alert study of this genre, I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following seemingly disparate but often interconnected phenomena found in and around the conspicuous proliferation of women's short self-writings: the formal peculiarity of being usually only a few pages in length: the relative youth of the authors and the special emphasis in the writings given to portrayals of girlhood and the making of a professional life: and the high concentration of woman authors working in this genre. Overall, Korean women's self-writings during the colonial period served as an occasion for their authors, and as a resource for their readers through which to formulate a modern sense of identity as individuals and women and to address and deal with concrete life issues regarding female modernization, This paper works from the premise that the form and substance of this emerging modern genre were over-determined by political and material conditions of colonial modernity surrounding the venues of their publication, that is, journals and magazines. On the basis of the analytic overview of some key characteristics of the texts and their contexts, this paper argues that Korean women's self-writing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promoted by a magazine industry that recognized the growing number of modern female readers and their desire for female modernization, but were at the same time affected by the colonial constraints of magazine publication culture, in which female authors' self-narratives could find more openness toward publication due to the relative lack of radical elements that would invite the colonial censor's harsh orders when politically and intellectually more influential figures-usually male-often found themselves unable to narrate their life stories with freedom and in length. 자서전 이라는 서구의 장르와 개념이 식민지 조선에 들어와 유통되기 시작한 것은 1920년경이지만, 일제 강점기 내내 자신의 자서전을 신문에 연재하거나 단행본으로 출판한 사람은 거의없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단행본은 아닐지라도 단편 자기서사라 부를 수 있는 짧은 자전적 서사가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에 걸쳐 잡지 지면을 통해 속속 출판이 되었고, 특히 이 장르의생산과 토착화에 여성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생산된 근대 여성의 단편 자기서사들은 나름대로의 특성과 다양한 존재방식으로 일종의 독립적인 장르를 형성함으로써, 장르와 필자의 성별 정체성 사이에 특별한 친화력을 드러낸다. 이 논문은 근대 여성의 자기서사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 그와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역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일제 강점기에 잡지 지면에 출판된 여성들의 단편 자기서사의 역사와 특성, 문화적 의의를 분석한다. 잡지를 통한 출판이라는 근대적 생산조건과 피식민지경험이라는 정치적 문화적 특수성이 일제 강점기의 여성의 자기서사 장르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는데 중점을 두어,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른다. 첫째, 단편 여성 자기서사의 형식과 선택적 주제는 당시 증대되는 근대 여성독자군을 상대로 여성근대화의 요구에 부응한 잡지 출판계의 생존전략과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다. 둘째, 여성들이 필자로서 독자로서 이 단편 자기서사의 생산과 수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정에서, 이 장르는 근대적 여성성에 대한 대중교육과 사유촉진에 중요한 매개적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필자의 높은 장르 점유도는, 민족이나 계급문제를통한 체제비판적 담론이 검열제도에 의해 억압되고 남성의 자기서사 생산이 상대적으로 부진한상황에서 발생한 식민지적 특수상황의 산물이기도 하다.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근대와 전통의 양가성 -60년대에 발표된 중‧단편을 중심으로

        노희준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4

        이 논문은 이청준의 1960년대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전통과 근대성의 양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선 그의 체험세대 콤플렉스와 성적외상에서 어떻게 이념과 근대의 페티시즘에 대한 혐오가 발생했는가를 분석하고, 이러한 정신현상이 근대에 대한 비판을 드러내는 작품과 전통의 복원불가능성을 다루고 있는 작품군에 어떤 내용과 구조로 변주되고 있는지 해석하였다. 전자를 통해서는 작가가 근대에 저항하려고 하지만 그 과정에서 근대담론을 내면화하는 60년대 근대주체를 날카롭게 포착하고 있으나, 후자에서는 근대의 페티시즘으로부터 전통의 순수성을 보호하려는 노력이 오히려 전통을 오리엔탈리즘적인 시선으로 왜곡하는 결과를 낳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4.19세대가 가진 정치적 무의식의 한 면모로 파악하였다. This article aimed to verify the ambi-valence of 1960's modernity and tradition focused on Lee Chung-jun's contemporary short and medium-length stories. In first, analysing how compulsive disgusting about the fetishism of ideology and modernity is originated from his complex about War-experiencing generation and private event of sexual trauma, And second, intend to explain the variation of these psychicphenomenon in the works which criticize the modernization by military dictatorship and deal with impossibility or restoring tradition to its original state. The author is grasping sharply the aspect of character who wish to resist the modernity but, in this process, internalize the modern-discourse in the first type works, nevertheless the purity of tradition itself is distorted, on the contrary, by the effort to prevent the tradition from exclusive possession of modernity, because of his internalized orientalism. It is understanded as one feature of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4.19 generation.

      • KCI등재

        근대적 문학제도의 탄생과 근대문학 지형도의 변화 (1) -잡보(雜報) 및 소설(小說)란의 정착 과정-

        김영민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5 No.-

        문학 양식(樣式)은 그것을 담아내는 제도(制度)와 일정한 관계를 맺고 변화하며 발전한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 근대 신문 및 잡지의 문학 관계 지면 설치 과정을 살펴본 후 거기에 어떠한 글들이 발표되었는가를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이어서, 그러한 지면들이 근대문학 양식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고 매체의 성격에 따라 서사문학 전개의 방향이 어떻게 결정되었는가 하는 점을 고찰해 보았다. 이 연구가 지향하는 것은 실증을 통한 통시적 체계의 수립이다. 한국 근대 신문과 잡지의 잡보 및 소설란은 이미 존재하는 작품들을 수용·소개하기 위한 지면으로 출발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문학 작품은 거꾸로 그것을 수용하는 매체의 성격에 맞추어 변화한다. 매체에 어울리는 새로운 양식화 과정이 전개되는 것이다. 근대 초기 신문의 잡보 및 소설란, 그리고 잡지의 소설란에 실린 자료들은 단형성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신문 소설란의 작품들은 점차 길이가 길어지면서 그 성격도 대중성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1900년대 중반으로 가면 신문에 점차 장형 연재소설이 나타나고 이는 곧바로 정착된다. 1900년대 후반으로 가면 신문편집자들에게 작품의 길이에 대한 인식이 중요해지면서 단편소설, 소설, 신소설의 구분이 명확해진다. `단편소설`에 비해 길이가 긴 `소설`과 `신소설`은 점차 장형소설을 지칭하는 용어로 의미가 굳어지게 된다. 1900년대 중반을 넘기면서부터 나타나는 신문 소설의 장형화 및 대중화 현상은 문학 양식이 매체의 성격에 맞추어 변화하는 모습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잡지에 발표되는 소설들은 크게 길어지지도 않으며 또 대중화의 길을 가지도 않는다. 신문 소설과 달리 잡지 소설이 장형화·대중화되지 않았던 것은 잡지의 수명이 매우 짧았기 때문에 장형 소설을 기획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는 점 때문이다. 신문이 지식인에서 일반 대중에 이르기까지 남녀노소 모두를 독자로 상정하고 있었던 것에 반해, 잡지는 비교적 젊은 지식층들을 대상으로 삼고 있었다는 점도 그 원인이 될 수 있다. 1900년대 말 잡지에 발표되는 소설들은 점차 계몽성이 약화되면서 등장인물들의 개인적 고뇌를 드러내는 방향으로 변모한다. 특히 일본에서 발행되는 유학생잡지에 발표되는 작품들에서 이러한 모습이 두드러진다. 잡지에 발표되는 소설들은 매체의 성격에 맞추어 장편 소재를 단편화시키기도 한다. 잡지에 발표되는 소설들의 주제가 통속화되지 않았던 것은 잡지의 독자층이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1900년대 말에 오면 잡지의 소설은 작가의 문학관의 구현이라는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기 시작한다.

      • KCI등재

        송영의 근대단편소설 <아버지>를 통해 살펴본 활자본 소설의 향유 양상

        김성철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1 고전과 해석 Vol.10 No.-

        본고에서는 송영의 근대단편소설 <아버지>를 소개하면서, 주인공 서주사의 삶의 태도를 통해 드러나는 고소설과 신소설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활자본 소설의 연구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서주사와 같이 활자본 소설의 개작 및 재생산에 적극적으로 가담한 ‘저자’에 대한 언급은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아버지>에서는 활자본 소설들을 재창작하고 개작하여 생계를 이어가는 인물들을 ‘책점소설가’라고 지칭한다. 이들은 신소설을 개작하기도 하고, 당대에 여전히 두터운 독자층을 이끌고 있던 고소설을 개작하기도 하면서 생계를 이어간다. 활자본 소설들을 살펴보면 대다수의 작품들은 이러한 ‘책점소설가’에 의해 재창작되거나 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활자본 소설의 대중성 확장에 일조한 인물들은 바로 판권지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책점소설가’라고 할 수 있다. 활자본 소설들에 대한 소설사적 평가가 좋지 않은 이유는 활자본 소설들에 필연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상업적 측면이 부각되기 때문이다. 같은 유형의 소설들을 반복해서 재생산하는 행위는 활자본 고소설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러한 경향은 철저히 독자들의 성향에 맞춘 상업적 의식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반복적으로 재생산되는 유형의 활자본 고소설들의 특징을 분석한다면 활자본 소설들의 유형성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송영의 근대단편소설 <아버지>에서는 아버지와 아들이 향유하는 소설을 통해 삶의 방식을 드러낸다. 아버지는 고소설 향유 집단의 인식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으며, 아들은 신소설적인 삶의 태도를 보인다. 이 중, 문체적 차이가 <금낭이산>에서 드러나고 있기 때문에, <아버지>와 연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활자본 고소설의 재생산 집단의 유형을 살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신소설과 고소설의 관계에서 고소설의 위치에 대한 확인을 가늠하고 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 classic novel and a new style novel printed in early 20th through the attitude of Mr. Seo to his life meanwhile it introduced the short story <Father>. Looking at the research of the printed book of fiction, there was a writer was not clearly mentioned such as Mr. Seo who involved in rewriting and adapting. Those were just called ‘a bookshop writer’ in <Father>, who made their living by rewriting and adapting the printed fiction. They adapted the new style novels that began to emerge in Korean literary history and rewrote the classic novels that still had a huge reading public for their livelihood. In looking at the research of the printed fiction most works of the printed fiction were adapted and rewrote by ‘a bookshop writer’. Therefore people who contributed the extension of popularity were these writers, who could not revealed their name on colophon. The reason of the negative evaluation is that the commercial aspect was necessarily inherent and emerging the printed fiction. The printed classic novel had the characteristic having been reproduced repeatedly in similar type. It tends to reflect one of the commercial aspects getting adjusted toward the taste of readers. By analyzing it,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can be materialized The attitudes to life was revealed by the different enjoyment of the novel between father and son in the short story <Father> by Song Young. The father showed the way of thinking of the readers of a classic novel while the son followed the attitude to life of the new novel. Among them, <Keum rang yi sahn> will be analyzed relating <Father>, because it shows the differences of literary style. By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type of the group having reproduced the printed fiction can be examined and it canbe meaningful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classic novel in a relation between a new novel and a classic novel.

      • KCI등재

        특집 : 한국 근대소설사의 전개와 번역 -1920년대까지의 양상을 중심으로

        손성준 ( Sung Jun S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1920년대까지의 소설 번역의 추이를 통해 초기 근대소설사의 한국적맥락과 그것이 형성된 조건을 추출하고, 이분화 되어 있던 창작문학·번역문학 연구의 풍토를 재고해보고자 씌어졌다. 주로 1910년대에 일본 유학을 경험한 일군의 한국 지식인들은, 창작과 번역이라는 두 가지 채널을 통해 소설을 ‘순문예’의 영역 속에 안착시키려는 노력을 본격화하였다. 특히 그들은 질과 양의 측면에서 모두 수준 이하라고 인식한 조선문단의 발전을 앞당기기 위해 세계문학 번역의 필요성을 주창하고 직접 실천하였다. 이 같은 번역 실천은 1910년대를 중심으로 하는 번역소설의 1차 중흥기와 1920년대의 2차 중흥기를 형성하는 가시적 성과를 낳는다. 이 과정에서의 성격 변화는 순문예 소설 번역의 강세로 압축되는데, 그중 러시아 및 프랑스소설의 번역이 두드러졌다. 그러나 1920년대를 순문예 번역의 질적·양적 팽창으로 전대와 구획하는 종래의 이해 방식은 비판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우선, 번역량은 격증했으나 문예 지면의 확대 수준을 감안하면 이를 진정한 의미의 격증이라 보기는 힘들다. 게다가 그 양적 상승세 자체도 1920년대 중반부터는 둔화된다. 이는 번역량이 팽창일로에 있던 동시기 일본과 중국의 번역 상황과도 상반되는 독특한 현상이다. 또한 번역이 순문예물로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해지기는 했지만, 압도적이라 할 만큼의 비중은 아니었다. 오히려 필독서라 할 만한 정전(正典) 급의 장편소설의 번역도, 비교적 수월하게 결과물을 낼 수 있는 단편소설의 번역도 설 자리를 잃어갔다. 신문은 주로 통속적인 장편 연재소설을 역재(譯載)했고, 잡지의 소설 지면은 대부분 창작 단편의 공간으로 소진되었기 때문이다. 1920년대 번역문학의 내적 맥락 속에서 간취되는 순문예 번역의 저조는, 다음과 같은 한국근대소설사의 두 가지 한계와 인과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첫째는 순문예물 독자층의 저변확대에 실패한 것으로서, 이는 다시 작가의 경제적 상황 및 창작 여건의 불안정을 수반하는 악순환의 고리로 작용했다. 둘째는 끝내 식민지기의 문단이 ‘대장편’ 문예물의 창작과는 친화하지 못한 것으로서, 이는 결국 한국 근대소설사에서 고착화 된 장편= 통속/ 단편= 예술이라는 양식적 감각과 연동되어 있는 문제다. 순문예 번역의 저조와 그에 반비례하는 창작과잉의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식민지의 이중 언어 환경 및 출판시장의 문제뿐 아니라, 일본문단이라는 대타항을 끊임없이 의식하며 문학사의 시차(時差)를 조급히 상쇄하고 싶어 했던 식민지 문인들의 욕망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extract the Korean context and its forming conditions in the early history of modern Korean novels from transition in the translation of novels up to the1920s, and to reconsider the climate of research that has been dichotomized into creative literature and translation literature. A group of Korean intellectuals, who mostly shared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in the 1910s, tried in earnest to have the novel settled down in the domain of ‘pure literature’ through the two channel of creation andtranslation. Particularly, they advocated necessity for the translation of world literatureand practiced translation in person so as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iterary world, which was then subpar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ir practice of translation produced tangible results of forming the 1st period of prosperity in translated novels in the 1910s and the 2nd period of prosperity in the 1920s. Changes in the nature of the process may be condensed into the strengthening of the translation of pure literature novels, among which Russian and French novels were conspicuous and in terms of style. However, the existing way of understanding that distinguishes the 1920s from the previous periods in terms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pure literature translation requires critical review. First, although the amount of translations increased sharply,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a sharp increase in the true sense of the term, considering the level of increase in literary magazines. Further, the tendency of quantitative rise itself began to slow down from the middle of the 1920s. This is a unique phenomenon that contrasts with the situations of ever-increasing translations in Japan and China during the same period. In addition, there was a pronounced tendency towards a concentration of translation in works of pure literature, which, however, did not represent a overwhelming proportion in the overall literature. Rather, both the translation of canon-level novels, which deserve to be classified as must-reads, and that of short stories, production of which is relatively easy, were losing ground. Newspapers serialized translated popular novel, and the novel sections of magazines were mostly occupied by creative short stories. The sluggishness in the translation of pure literature perceived within the internal context of translation literature in the 1920s forms the causal relationship with two limitations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 The first is failure in the expansion of the reader base for pure literature, which acted as a link of a vicious circle that was accompanied by unstable economic circumstances and creation conditions for writers. The second is the failure of the literary world in the colonial period to be friendly with the creation of “long” literary works, which ultimately represents a problem linked to the stylish sense of ‘full-length = popular / short = artistic’ that became permanent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 To explain the background behind sluggishness in the translation of pure literature and excessive creation in inverse proportion to it, the desire of literary people in the colonial period who were continuously aware of the antithesis, i.e., the Japanese literary world and were impatient to overcome the time gap in literary history, as well as the problems of bilingual environment and the publishing market in the colonial period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황순원의 「곡예사」로 읽는 근대 성찰과 휴머니즘

        김원희 ( Kim Won-hee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9 No.-

        이 논문은 황순원 소설을 근대 성찰의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하여 황순원의 단편소설 「곡예사」에 집중하여 휴머니즘을 탐구하였다. 「곡예사」의 독창성을 니체의 ‘위버멘쉬’에 이르는 세 단계 정신으로 들여다보면, 현실 초극의 휴머니즘이 새롭게 도출된다. 현대소설에서 근대 성찰의 의미는 한국 사회가 당면한 이분법적 갈등과 인간성 상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다. 본 논문의 의의는 황순원의 「곡예사」에서 천착된 피난살이 몸의 사유를 ‘위버멘쉬’의 현실 초극 의지로 논구함으로써, 작가 황순원의 실제 역사적 경험이 문학성을 어떻게 성취하며 독자의 공감대를 확장하는가를 구명한 과정에 있다. 니체는 ‘위버멘쉬’의 정신으로 근대 철학의 혁신을 설파하였다면, 황순원은 「곡예사」의 독창성으로 한국 문학을 통한 근대 성찰의 창조성을 성취한 셈이다. 「곡예사」를 “‘위버멘쉬’에 이르는 정신의 세 단계변화”로 분석하면, ‘가족부대’에서 ‘곡예단’으로 천착된 ‘몸’의 사유는 ‘낙타’의 인고와 같은 타자의식의 수용을 거쳐, ‘사자’의 분노와 같은 자기부정의 현실 저항을 넘어, 마침내 ‘아이’의 순수한 유희와 같은 자유의지를 발현하는 ‘위버멘쉬’의 혁신적 휴머니즘을 보여준다. ‘위버멘쉬’의 현실 초극과 맞닿는 황순원의 실천적이며 창조적인 휴머니즘을 통해 한국 현대 소설이 직면한 근대 성찰의 답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론적 접근으로 「곡예사」를 논구한 논문은 없다. 본 논문의 학술적 가치가 기대되는 이유다. This paper explored humanism by concentrating on Hwang Sun-won's short story "The Acrobat" in order to take a fresh look at Hwang Sun-won's novel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reflection. If you look at the originality of "The Acrobat" in the three stages of Nietzsche's ‘Übermensch’ the meaning of the creative and practical humanism in the real world is analyzed. In modern Korean novels, the meaning of modern reflection is an important valu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dichotomous conflict and loss of humanity that our society fac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said to be an exploratory process to trace back how Hwang Soon-won's actual historical experience could expand the consensus with literary originality by analyzing the reason of his body based on Hwang Soon-won's "The Acrobat" in the spirit of ‘Übermensch’. While Nietzsche advocated the innovation of modern philosophy in the spirit of ‘Übermensch’, By analyzing the narrative of "The Acrobat" as a "three-step change of spirit" leading to ‘Übermensch’ Hwang Soon-won's practical and innovative humanism, which touches the creation of ‘Übermensch’ was able to find answers to modern reflections facing Korean modern novels. There are no academic papers that have studied "The Acrobat" such a methodological approach. This is why academic value of this paper is expected.

      • KCI등재

        논문 : 세계문학으로서의 조선근대문학 기획 -김동인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노태훈 ( Tae Hoon Roh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8 No.-

        김동인은 조선근대문학의 1세대 작가로서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문학 개념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했던 사람 중 하나였다. 그는 서구적 의미의 문학 개념이 곧 세계적 동시성을 담보할 수 있는 것으로 믿었으나, 식민지 조선의 현실 앞에서 보편성이라든가 관념성 등의 가치는 쉽게 획득되는 것이 아니었다. 김동인은 소설이 결국 ‘이야기’라는 원천을 공유하고 있으며 그것을 작가가 얼마나 잘 조직하고, 통제할 수 있느냐에 따라 소설의 예술적 가치가 결정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김동인의 인식은 그의 창작 행보에 잘 반영되어 있다. 특히 그가 당대의 형식적 보편성을 담보한다고 여겼던 단편소설은 그의 문학적 변모를 설명하기에가장 적합한 텍스트라 볼 수 있다. 본고는 김동인의 창작 활동을 세 단계로 분절하고, 이를‘공상’과 ‘재현’의 위상학적 관계로 바라보았다. 공상은 보편으로서의 문학, 작가가 구상하는이야기로서의 문학 등을 뜻하며 재현은 식민지 조선의 현실, 당대 사회의 문제들과 맞서려는노력 등을 의미한다. 김동인의 내면에서는 늘 이러한 인식들이 충돌하고 있었으며, 그것은그가 조선의 근대문학이 세계문학이어야만 한다는 기획 아래에서 출발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김동인은 끝내 세계문학으로서의 조선근대문학이 아니라 ‘조선적 문학’의 수준에서 적당히 타협하는 방식을 취했지만, 그가 고민했던 문제들은 여전히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is about Kim Dongin`s planni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im was a first generation author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he had considerd it in ‘what is literature’ enthusiastically. Kim thought that a concept of the West literature guarantee to make sure of literary universality. However, it wasn`t easy to get universality or idealit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im tried to find literary universality through source of story and he believed that achievement of author is depend on how controll character properly in the story, how degine the story skillfully. This is reflected in Kim`s literary walking. He insisted short story is contemporary main genre of world literature. So Kim`s short stroy is appropriate to seek his literary transformation. I categorize Kim`s literary evolvement by three phases through topology of imagination and representation. Imagination means literary universality and the story degined by author. Representation means a reality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struggle that situation in a literary way.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근대와 전통의 양가성 : 1960년대에 발표된 중 · 단편을 중심으로

        노희준(Rho Hee-jun) 韓國批評文學會 2009 批評文學 Vol.- No.34

        This article aimed to verify the ambi-valence of 1960's modernity and tradition focused on Lee Chung-jun's contemporary short and medium-length stories. In first, analysing how compulsive disgusting about the fetishism of ideology and modernity is originated from his complex about War-experiencing generation and private event of sexual trauma, And second, intend to explain the variation of these psychicphenomenon in the works which criticize the modernization by military dictatorship and deal with impossibility or restoring tradition to its original state. The author is grasping sharply the aspect of character who wish to resist the modernity but, in this process, internalize the modern-discourse in the first type works, nevertheless the purity of tradition itself is distorted, on the contrary, by the effort to prevent the tradition from exclusive possession of modernity, because of his internalized orientalism. It is understanded as one feature of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4 · 19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