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역기술장벽(TBT)으로서 미국의 표준화제도가 국제무역정책에 미치는 영향

        홍성규(Sung-Kyu Hong)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4

        본 논문에서는 무역기술장벽(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으로서 미국의 표준화정책에 관하여 정책적 관점에서 국제무역정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개발도상국들은 자국의 표준을 국제표준에 부합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미국 등 선진국들은 자국의 표준을 국제표준으로 설정함으로써 자국의 산업경쟁력을 강화시키고 동시에 세계무역질서를 선도해 나가고 있다. 미국은 새롭게 체결하는 FTA를 통하여 WTO TBT협정상의 권리와 의무를 기본으로 적용하면서 FTA상대국에 적용될 규범과 절차를 보다 구체화하고 명료화하여 실효성을 높이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미국이 FTA 등의 경제협정을 통하여 미국의 표준화전략을 확대적용해 나감으로써 산업계를 선도하고 국제적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TBT+전략은 결국 경제소국 및 개발도상국들에게는 미국의 표준화전략을 수용하면서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배가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표준화 제도의 종합적인 개혁을 추진할 때 미국의 표준화체계와 전략의 경험을 살려 최대한의 벤치마킹은 하되 단점은 피해야 한다. 또한 새로운 FTA나 Mega FTA를 체결할 때에는 처음부터 TBT제정에 참여하여야 하며, 표준화가 기업의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도구라는 인식을 갖고 표준화 개발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Purpose : In this paper, as a Technical Barriers to Trade(TBT),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US standardization policy a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US standardization policy on international trade policy from a policy perspectiv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on the historical impact of the US standardization system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rade policy. Results : The TBT+ strategy to lead the industry and gain an international advantage by expanding the U.S. standardization strategy through economic agreements such as FTAs doubles efforts to maximize its interests by accepting the U.S. standardization strategy for small and developing economies. Conclusions : When promoting comprehensive reform of the standardization system, Korea should benchmark as much as possible by utilizing the experience of the standardization system and strategy in the United States, but avoid disadvantages. In addition, when signing a new FTA or Mega FTA, you must participate in the enactment of TBT from the beginning, and strive to develop standardization with the perception that standardization is a tool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 KCI등재

        지속가능 성장 전략으로서의 국제표준화와 개도국의 과제:

        곽주영(Joo young Kwak)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UN지속가능 발전목표(SDG)중 경제성장․무역 (8)과 관련하여 개도국이 추진하는 자국 기술의 국제표준화가 지속가능한 성장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연구의 중요성: 선진국이 요구하는 국제표준은 개도국에게는 또 다른 무역장벽이 되는 현실에서 개도국은 대안적으로 자국 표준의 국제표준화를 고려할 수 있다. 본고는 표준과 개발을 통합하여 이러한 대안적 방안, 즉 개도국이 자국 표준을 국제표준으로 만드는 전략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는 데에 어떤 기회와 문제를 제기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론: 본고는 중국의 대표적 저소득 지역인 간쑤성의 쿠슈이 장미오일의 국제표준화를 현지 문헌 연구과 인터뷰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결과: 국제표준이 된 이후 쿠슈이 장미오일 산업은 가치사슬이 다각화되고 장미재배의 산지인 용덩현과 간쑤성 모두 일인당 소득이 증가하였다. 또 선도기업이 지정되어 이들을 위주로 2차 산업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국제표준화로 인하여 장미오일의 품질관리가 까다롭게 되고 고정투자에 대한 비용 지출이 늘어 장미오일의 수익성이 대폭 감소하였다. 장미오일과 달리 원재료인 쿠슈이 장미의 재배는 표준화가 되지 않아 장미오일 생산업체의 수익성이 줄면서 장미수요도 감소하였다. 재배 농가 역시 장미 재배를 증가해야할 동기가 줄어들었다. 결론 및 시사점: 이 사례는 자국 표준의 국제표준화는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선순환을 확립시키지 못하면 상당한 부작용을 낳음을 보여준다. 국제표준화의 결과로 소규모 영세농과 제조업체는 수익성의 저하를 감안한 계속적 참여 또는 퇴출 사이에서 점점 더 퇴출을 선택하고 있다. 개도국과 표준을 다룬 기존 연구는 대부분 개도국이 선진국 표준을 수용할 경우에 무역에 대한 영향이나 기술국가주의에 입각하여 자국표준이 국제표준이 될 경우 생겨날 이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개도국의 국제표준화는 기회와 위험이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성장 전략으로서 국제표준화는 현지 상황에 맞게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Objectives: Our research aims to further understand the role of indigenous technology-drive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n achieving sustainable growth, which falls on the eighth SDG manifested by the United Nation. Originality: This paper integrates the standard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research, and identifies the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the course of sustainable growth. Methods: We selected the standardization of Kushui rose oil in Gansu Province as a research setting. The primary research methodology is the case study constructed upon the local archives and the interviews. Results: The value chain has been diversified and the per capita income increased both in Yongdeng County and in Gansu Province. In addition, seven firms, designated as a regional champion, led to the increase of the secondary industry share in the regional industry. However, as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strictly enforces quality control, the fixed investment has increased to cope with new institutional environment, which sharply decreased profitability. Further, because production of the Kushui rose was not standardized, rose producer households lost motivations for quality improvement or for production increas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ur case illustrates tha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may produce adverse effects on the growth mechanism and the local households unless the virtuous cycle is not established over the entire value chain. While prior papers ten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liance with the existing standards on the national trade, or to analyze the techno-nationalistic advantages of promoting local standards into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levant literature by demonstrating tha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the local standard has trade-offs.

      • KCI등재

        국제한자특별전문위원회(IRG)의 코드 표준화 활동과 남북 전산 한자 통합의 전망과 대책

        이준석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0 No.-

        현재 국제적으로 전산 한자를 표준화하기 위해 한자 문화권의 여러 나라에서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위원회(ISO/IEC/JTCI/SC2/WG2/IRG)를 구성하여 활동하고 있다. 정부 기구와 비정부 기구가 포함된 이 위원회에서는 한자 문화권의 사용 한자 코드가 망라되어 통합 정리된 국제 표준 문자 코드(UCS: Universal Multiple-Octet Coded Character Set) ISO 10646-1을 완성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국제 표준 문자 코드 체계는 수년 안에 Super CJK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 위원회의 활동은 각국이 제출한 66,000 여자의 한자에서 27,500자의 한자들을 통합하거나 분리하여 코드를 부여하는 작업을 지난 수년간 진행하였으며, 현재는 이들을 포함하여 새로이 70,200자의 한자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국제적인 표준 코드를 제정하려는 움직임과 관련하여 북한은 국제 무대에서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최근에 전세계가 인터넷의 보급으로 모든 전산 분야의 국제 표준화가 급속하게 추진되는 상황이 벌어지자, 전산 한자의 국제 표준화를 위해 국제 무대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최근에 이루어지는 국제한자특별전문위원회의 활동과 북한이 이 위원회에 참석하여 한자의 국제 표준 코드를 제정하기 위해 보였던 주요한 움직임을 살펴보고 남북한 전산 한자 통합의 전망과 과제를 점검해 보았다. ISO(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and IEC(the International Electronical Commission)form the specialized system for worldwide standardization. National bodies in a cultural region of Chinese character that are members if ISO or IEC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through technical committees established by the respective organization to deal with particular fields of technical activity.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in liaison with ISO and IEC, also take part in the work.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SO and IEC have established a joint technical committee, ISO/IEC JTC1.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10646-1 was prepared by Joint Technical Committee ISO/IEC JTC1, Information technology, Subcommittee SC2, Working Group WG@, Ideographic Rapporteur Group IRG, Coded character Sets. They had tried to finish ISO/IEC 10646-1 which contains 27,500 Ideographs, and are derived from over 66,000 ideographs which are found in various different national and regional standards for code character stets. Now Super CJK has been proceeded, which is estimated 70,200 characters. In connection with coded character sets, DPRK(North Korea) didn’t have had nay activity in ISO. But Recently they made and appearance on SC@/WG2/IRG and submit their coded character sets to IRG. In this thesis their activities in IRG are looked into and the possibility of coordination on coded character sets between DPRK and ROK(South Korea) outlooked.

      • KCI등재

        5G 시대의 사실표준화기구와 TBT협정과의 관계 - 3GPP와 TBT협정 제2.4조 해석을 중심으로

        곽동철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19 국제경제법연구 Vol.17 No.1

        In the wake of the era of the 5th gener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s, it is standards and government’s relevant policies that make businesses most worrisome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sector. In the ICT sector, governments as well as firms are competing fiercely to occupy global standards. This competition has often brought about trade conflicts. In pursuant to the TBT Agreement, wher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exist or their completion is imminent, WTO Members shall use them as a basis for their technical regulations. However, the TBT Agreement does not stipulate either the defini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or international standard-setting organizations. In particular, more questionable become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de facto standard-setting organizations, as major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the ICT sector are mostly carried out by them. In light of this, this article analyze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a de facto standard-setting organization,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the ICT sector, by applying WTO jurisprud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TBT Agreement. The main focus is on 3GPP, a representative de facto standard-setting organization in the ICT sector. The analysis on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3GPP is of importance under the WTO regime, now that an international standard is valid only when it is approved by an international standard-setting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3GPP may fulfill all the requirements, including substantive as well as formality requirements, presented by WTO jurisprudence. Since 3GPP is likely to be deemed as 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in the ICT sector by the WTO Dispute Settlement Body, WTO Members should base their domestic regulations up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et up by 3GPP. Otherwise, they may run afoul of Article 2.4 of TBT Agreement. Korean firms and government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standardization process within 3GPP to lead 5G international standards. In so doing, Korea can avoid potential ICT-related trade conflicts in advance. 제5세대 이동통신(5G) 시대를 앞두고 있는 지금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 가장 우려되는 무역장벽은 표준과 관련된 각국의 정책이다. ICT 분야의 표준화를 둘러싼 경쟁은 기업 차원뿐만 아니라 정부정책 차원에서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때론 통상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WTO 회원국은 TBT협정에 따라 관련 국제표준이 이미 존재하거나 완성이 임박한 경우 이에 기초하여 기술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TBT협정에는 국제표준과 국제표준을 제정하는 국제표준화기구의 정의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ICT 분야의 핵심 표준화활동은 공식적인 표준화기구가 아닌 사실표준화기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어 이들의 법적 성격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BT협정 해석에 관한 WTO 분쟁해결기구의 법리를 적용하여 ICT 분야 표준화활동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사실표준화기구의 법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특히 5G 분야의 대표적인 사실표준화기구인 3GPP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3GPP의 법적 성격에 대한 분석은 WTO 체제 하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WTO 법리에 따르면 표준을 제정하는 실체의 성격에 의해 국제표준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3GPP는 WTO 법리가 요구하는 형식적 요건과 투명성, 개방성, 공정성 및 총의, 효율성 및 관련성, 일관성, 개발 차원 등의 실질적 요건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GPP는 WTO 분쟁해결기구에 의해 ICT 분야의 국제표준화기구로 인정받을 가능성이 크므로 WTO 회원국은 3GPP에서 승인한 표준에 기반하여 국내 이동통신산업을 규율하는 기술규정 등을 제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기술규정이나 표준화조치 등은 무역제한적인 조치로 인정되어 TBT협정 제2.4조 위반으로 판정받을 위험이 높다. 우리 기업과 정부는 3GPP의 표준제정과정에 적극 참여하여 5G 국제표준을 선도하는 한편 혹시 모를 ICT 분야의 통상분쟁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국가 재난관리체계와 표준화의 필요성

        류지협(Ji Hyeob Ryu),김우혁(Woo Hyeok Kim),황의진(Eui Jin Hwang) 한국방재안전학회 2008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state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and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trend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in advanced nations. ISO has developed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ISO/TC 223 Societal Security Technical Committee, and the advanced nations such as U.S.A., U.K. and Japan are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s to reflect their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Each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n Korea separately carries on th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ization and activities because national standards for the disaster management is not established yet.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efforts for disaster management system have to be executed in Korea to raise efficiency in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and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를 고찰하고 국제 재난관리표준화 동향, 선진국의 재난관리표준화 활동 및 국내 재난관리표준화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ISO/TC 223 Societal Security을 통하여 국제 재난관리규격을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영국 및 일본과 같은 선진국들은 자국의 재난관리표준을 국제 표준화 하기위해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국가 재난관리표준이 제정되지 않아 재난관리 책임 기관별로 별도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이에 따른 재난관리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재난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국제적인 재난관리표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도 국가재난관리표준의 제정과 재난관리시스템의 표준화가 구축되어야 한다.

      • KCI등재

        바이오의약품 산업에 필요한 세포주 국제표준화 전략 방안

        이선희(Sunhee Lee),한애란(Airan Hahn),정은일(Paul E. Jung),류기현(Ki Hyun Ryu) 표준인증안전학회 2017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7 No.1

        생물산업시장의 폭발적인 성장과 나고야 의정서 발효로 국제사회에서 생물산업분야 국제표준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있다. 국제표준화기구(ISO)를 중심으로 생물자원은행 운영관리과 생물소재 별 관리, 소재 분석방법 등 생물자원에 관한 국제표준이 제정 되고 있다. 의약품․의료기기 산업계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세포주 관련 표준을 전 세계시장이 주목하는 가운데 ISO/TC 276에서는 한국에서 제안한 ‘포유류 세포주를 위한 프로세스 요구사항’표준(안)을 한국, 미국, 독일, 영국 등의 전문가들이 주축이 되어 표준으로 제정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산업의 핵심소재를 관리하는 생물소재은행에 초점을 맞춰 ISO의 표준화 방향, 생물소재에 관한 주요 표준 선진국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한국이 표준을 주도하기 위한 생물소재별 관리운영 및 소재분석 방법 등 생물산업분야 국제표준화 전략모델을 제시하고 정부의 정책방향 방안을 마련하였다.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biotechnology industry and enactment of the Nagoya Protocol, the impetus for standardization in the field of biological industry is stronger than ever.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is at the center of these efforts for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SO/TC 276 Biotechnology has several on going projects on biobank management, handling bioresources, and related analysis methods. Especially, the standardization of industrially and clinically important resources, like cell lines,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s worldwide. Experts of ISO/TC 276/WG 2 are now developing a standard on the process and quality requirements for mammalian cell lines, a project proposed by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standardization trend in the biobanking field and the current status of standardization in biobanks at the national level. Based on these analyses, we propose a strategic model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biobanks and direction for governmental policies.

      • KCI등재

        ISO 26000 선정 과정의 의사소통적 타당성 분석: 국제 커뮤니케이션 관찰을 통하여

        이진랑 ( Jin Rang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0 No.2

        2010년 11월 1일 발효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새로운 표준, ISO 26000은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침(guideline)을 제시한다. 본 논문은 전통적인 ISO의 표준화 대상(사회적 책임) 및 방식(이해당사자주의)과 다른 ISO 26000이 어떻게 국제표준화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는지 2001-2005년 ISO를 둘러싼 국제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여 알아본다. 하버마스의 상호 이해에 기반을 둔 의사소통적 ``타당성``의 평가 기준(객관적 사실성, 규범적 정당성, 주관적 진실성)을 중심으로 그 선정 과정을 살펴 본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국제 표준화의 대상으로 선정된 것은 국제 무역의 수단으로서의 국제 표준화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타당성을 인정받을 수있으나, 그것이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으로 확대되고, 애초 경영시스템표준이었던것이 가이드라인으로 그 의제가 변경된 것은 타당성을 인정받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이것은 국제 무역이라는 경제적 합리성에 근거하고 있는 ISO의 국제 표준화의 대상이 정치 사회적 영역으로 확대되는 경우, 현 비정부국제기구(NGO)로서의 ISO의 정체성과 이해당사자의 대표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여야 하는 과제를 남긴다. ISO 26000, published on November first 2010, is a guideline standard on Social Responsibility, applicable for all types of organization at the voluntary level.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round 2001-2005 in ISO to understand how this new initiative, different from other traditional ISO`s standards, could be adopted as a target of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of Habermas, the concept of communicational ``validity`` gives the main evaluation criteria(objective factuality, normative legitimacy, subjective sincerity). With this methodological frame, we get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adoption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uld be valid because i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trade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the decision of its scope and type from CSR Management System Standard to SR Guideline is problematic in terms of the actual political status of ISO as an NGO and of the representativeness of stakeholders engaged.

      • KCI등재

        EU의 표준화 정책과 FTA에 대한 함의: 한-EU FTA와 한-미 FTA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엄도영(Doyoung Eom),김동휴(Dong-hyu Kim),이희진(Heejin Lee)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5 동서연구 Vol.27 No.3

        WTO에서는 TBT 협정을 근거로 회원국 간 불필요한 무역장벽을 만들지 않도록 규정 하고 있다. 상이한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가 국가 간 상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조치들을 국제 표준에 기초하여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FTA 협상 및 체결이 확대됨에 따라 FTA 조항으로 무역기술 장벽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FTA에 나타나는 합의 결과는 체결 당사국의 국내 정책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무역기술장벽과 관련해서는 기술규정, 표준 및 적합성평가절차를 모두 포함하는 표준화 정책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한국과의 교역량이 많은 EU의 표준화 정책은 한-EU FTA 발효의 맥락에서 중요하다. EU의 표준화 정책은 old approach부터 시작하여 new approach를 통한 역내 표준의 조화를 거쳐 global approach를 적용한 유럽 표준의 국제표준화를 추진 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국제 표준에 기초한 조화를 중시하는 EU의 전략은 한-EU FTA 조문을 통해서 드러났다. 주요 분야인 전자제품과 자동차 분야에서 한국이 국제 표준에 기초하여 표준을 조화시키도록 하였고 적합성평가절차와 관련해서도 국제 표준에 기초한 적합성평가절차의 결과를 한국이 수용하도록 했으며 궁극적으로 유럽의 수준에 근접한 SDoC를 도입하는 데에 합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EU와 FTA를 체결할 국가들은 EU의 표준화 정책에 대응하여 자국 또는 지역 표준의 국제표준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WTO stipulates in the TBT Agreement that countries shall not create unnecessary obstacles to trade. Since differences in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s well as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create possibilities of preventing the free movement of goods, members have agreed to use international standards as a basis for these measures. Conclusions of FTAs are increasing as a strategy to facilitate international trade. Accordingly, measures to alleviate technical barriers to trade by means of FTAs are being increasingly implemented. There is a necessity to evaluate standardization policies that include aspects of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considering that agreements finalized in the FTAs are based on the domestic policies of contracting parties. For instance, EU’s standardization policy is significant in regards to the effectuation of the Korea-EU FTA. The standardization policy of the EU evolved from the old approach through the new approach that harmonized standards within the region to the global approach that promotes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European standards. EU’s policy which concentrates on harmonization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following the global approach was reflected in the articles of Korea-EU FTA. In the area of electronics and motor vehicles, Korea was required to harmonize its standards to the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s and in regards to conformity assessment, it was ultimately agreed that Korea implement the EU-type SDoC. Implications for countries that are expected to finalize an FTA with the EU are center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national or regional standards to tackle EU standardization policy.

      • 태양광 발전기술의 표준화 동향 및 대응 방안

        윤재호(Yun, Jae-Ho),송진수(Song, Jin-Soo),윤경훈(Yoon, Kyung-Ho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06

        태양광발전기술의 국내 보급 및 세계 시장 진출에 있어서 표준화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국제 표준화에 대응하여 국제 표준화 동향을 국내에 신속히 적용하고 국내 기술을 국제 규격에 제안하는 것이 그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 표준화는 IEC TC 82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용어, 태양전지 모듈 시스템 주변기기 등 분야별로 WG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의 국제 표준화 대응은 미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2004년도부터 정부에서 태양광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3대 중점분야 국제 표준화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 추진하고 있다. 태양광 분야의 경우도 태양광 표준화 사업을 통해 태양광 표준화 전문가 회의를 구성하고 참가 전문가들이 IEC TC 82 총회 및 분야별 WG에 참석하고 있다 이후 계속적인 활동을 통해 국제표준화 동향을 국내 규격에 적응하고 규격 개정 작업에서부터 IEC TC 82 WG에서의 주도적인 활동이 전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동해표기의 국제법적 고찰 : UNCSGN과 IHO 결의를 중심으로

        박찬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연구 Vol.53 No.3

        지난 2012년 4월 모나코에서 개최된 국제수로기구(IHO) 총회에서는 동해표기 문제가 논의되었으나 한국과 일본간의 견해차이로 인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차후 총회에서 다시 논의하게 되었다. 동해의 표기와 관련하여 한국은 일본과 표기에 합의할 때까지 UNCSGN 결의 Ⅲ/20 및 IHO기술결의 A.4.2.6에 제시되어 있는 것처럼 동해(East Sea)와 일본해(Sea of Japan)를 병기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에 일본은 일본해가 국제적으로 확립된 명칭이기 때문에 일본해를 단독으로 표기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제3차 유엔지명표준화회의(UNCSGN)에서 채택된 결의 Ⅲ/20은 2개국 이상의 주권하에 있거나 2개국이상으로 분할되어 있는 지형의 국제적 표준화의 필요성을 고려하며, 다른 명칭으로 그러한 지형을 나누어 갖고 있는 국가들은 가능한 한 관련 지형에 대한 단일명칭을 정하는 합의에 도달하도록 노력할 것을 권고한다. 그리고 이들 국가들이 공통의 명칭 합의에 실패하면 각 국가들이 사용하고 있는 명칭이 수락되는 것이 국제지도 제작의 일반적인 규칙이 되어야 한다고 권고한다. 국제수로기구(IHO)의 기술결의 A4.2.6은 2개 이상의 국가들이 만, 해협, 수로 혹은 군도 등과 같은 지형을 상이한 명칭으로 공유하고 있는 경우에, 이들 국가들은 관련 지형에 단일 명칭에 합의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국가의 공식 언어가 다르고, 공통의 명칭 형식에 합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기술적인 이유로 소축척해도를 제외하고 해당 언어들의 각각의 명칭의 형식이 해도와 간행물을 위해 수락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한국은 UNCSGN 결의 및 IHO 결의를 바탕으로 동해를 "동해/일본해"로 표기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먼저 UNCSGN 결의 Ⅲ/20에 따르면, 동해는 한국(남북한), 일본, 러시아로 둘러싸여 있는 2개 국가이상으로 나누어지는 지형이다. 이러한 지형에 대해 한국은 동해로, 일본은 일본해로 부르고 있다. 이처럼 한국과 일본 양국은 동해에 대해 공통의 명칭을 사용하는데 합의를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경우 결의는 당사국들이 사용하는 명칭을 지도제작에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서, 국제사회는 결의에 따라 동해에 대해 "동해"와 "일본해"라는 명칭을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IHO 기술결의 A4.2.6에 따르더라도 동해에는 "동해"와 "일본해"가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기술결의는 만, 해협, 수로, 군도와 같은 지형을 나누어 가지고 있는 2개국 이상이 공통의 명칭에 합의하지 못하면 각각의 명칭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한편 오늘날 상당수의 국가들은 지도제작에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는 동해 명칭을 둘러싼 국제적인 변화를 반영하여 동해와 일본해를 병기하는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동해 명칭의 국제적인 변화는 지명표준화 논의에서도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한일 양국의 진정한 협력을 위해서는 먼저 동해 명칭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협력은 분쟁이 없음을 전제로 한다. 협력 대상 지역의 명칭에 대해 관계국들간에 이견이 있는 경우에는 진정한 협력은 불가능하다. 지명의 표준화를 다루는 국제결의에 따르거나, 혹은 국제협력의 필요성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따르더라도일본은 동해/일본해 병기를 주장하는 한국의 제안을 수락하는 것이 국제사회의 책임있는 규범국가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 하겠다. The dispute between Korea and Japan over the name of the sea between Korean Peninsular and Japan has not been settled. Korea suggests that the name East Sea be used together with Sea of Japan in accordance with resolutions issued by the United Nations and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IHO). On the other hand, Japan insists that the name Sea of Japan is the only internationally established name for the East Sea. UN Conference on the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Names (UNCSGN) recommends that "where countries sharing a given geographical features do not succeed in agreeing on a common name, it should be a general rule of international cartography that the name used by each of the countries concerned will be accepted".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also adopted the similar technical resolution with the resolution adopted by the UNCSGN. IHO recommends that "the name forms of each of the languages in question should be accepted for charts and publications if two or more countries that share a given geographical features (such as , for example, a bay, a strait, channel or archipelago) under different names have different official languages and cannot agree on a common name form". The East Sea is surrounded by Korea(South and North), Japan, and Russia and connected to the Pacific Ocean and the East China Sea through straits. Thus the East Sea is a geographical features shared by two or more countries and an enclosed or semi-enclosed sea under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Korea and Japan should endeavour to reach agreement on a single name for the East Sea under the UN and IHO resolutions. But they have not been able to agree on a common name. Accordingly the names used by Korea and Japan, namely "East Sea" and "Sea of Japan" are recommended to be accepted by international community for charts and pub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