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중심으로 -

        강순애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8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four aspects of the acquisition, construction and common use of modern and post-modern document DB in the NAK, NIKH, and AKS. First, The concept of Korean regional history includes provincial history, local history and regional history and as far as modern and post-modern history is concerned, the concept of regional history is on expansion. Seco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has been systematically collecting and manag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in compliance to Public Institutes Records Management Law, enacted in 1999 and currently is in charge of handling public records of 373 central government administration offices, 514 regional government offices, Office of Education, universities and of other public agenc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s working on a ten year project from 2004 to collect the scattered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to classify them regionally and thematicall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as been collect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and collection was initiated by Modern History Research. Those records that are collected from 1997 and 2005 are mainly from the liberation period. Third, characteristics of Central Archives Management System and Nara Records Portal System of NAK, Korean History Database System of NIKH and of The AKS’ Korean Provincial Culture Electronic Encyclopedia are elaborated. Fourth, establishing ‘Modern and Post-modern Regional History Records Council’ a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National Archives Management Committee is recommended, NAK leading the council and promoting further cooperation. In this section, an emphasis on allotted tasks of three institutes in order to achieve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gitalized resource sharing, to improve on contents and to promote public and international use is placed as well. 본 연구는 근․현대 지역사료 수집, DB 구축 및 공동 활용 방안의 네 가지 측면을 다루었다. 첫째, 한국 지역사의 개념은 향토사, 지방사, 지역사 등으로 쓰이는데 근․현대사와 관련해서는 지역사의 개념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둘째, 국가기록원은 1999년에 제정된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근․현대 지역사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대학, 기타 공공기관의 기록물을 관리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10개년 계획으로 각 지역에 산재해 있는 근․현대 지역사료를 시군별 자료수집과 더불어 주제별 자료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초기에는 현대사연구소를 중심으로 근․현대사 사료를 수집하였다. 1997년부터 2005년까지는 수집된 사료는 해방기를 전후한 자료들이다. 셋째, 국가기록원의 중앙기록관리시스템 및 나라기록포털시스템, 국사편찬위원회의 한국사데이터베이스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향토문화대전시스템의 특성이 기술되었다. 넷째, 세 기관 사이의 공동협의회의 구성은 국가기록물관리위원회 산하에 ‘근․현대 지역사료 협의회’를 두고, 국가기록원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각 기관과 연대해 나가며, 근․현대 사료의 디지털화된 자원의 공유를 위한 기술개발, 콘텐츠의 이용과 개선, 공공의 이용과 참여, 국제적인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려면 국가기록원, 국사편찬위원회, 한국학중앙연구원의 분담된 역할이 있어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020년 육군 6·25전쟁기록의 유형과 가치 -육군 6·25전쟁기록의 국가등록문화재 지정과 관련하여-

        변선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0

        Mark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is year(2020), the Army Archives Management Group designated the “The Korean War Records” as a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asset wit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verting the disclosure status to a public disclosure, and delivering 114 copies of the original digitized scanned files and electronic books to be used by anyon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registration of the “The Korean War Records” as a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asset is one of the first cases of design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records along with a letter from Dr. Seok-ju Na. As the primary source of historical data, it was not disclosed to the public as it was a secret record and special handling data before disclosure. It was used as historical research materials such as war history and military history only inside the military, and external researchers did not have easy access to the original text. So far, there have been numerous publications, research papers, war journals and oral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if works related to the history of war or military history published by the military itself, were written referring to existing erroneous materials or based on oral materials, we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about the distortion of memory. This is why the cross -research is required. For this cross-research, the primary historical record will be needed, where “The Korean War Records” can play such rol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Commemoration Committee, the majority of the people had a negative perception, and it wa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to raise awareness, and improve such views. “The Korean War Record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uch content and as a large volume of original documents it can be utilized in records exhibitions. It can also be used to excavate unknown soldiers and identify the geographical names and languages of the time. The Korean War record is a primary historical record produced by the Korean Army with a total of 15 types, 7,521 cases, and approximately 80,000 pages. It is a record of the documentary value of the death in battle and patriotism, and is expected to limitlessly expand its scope of use in the future. 육군의 ‘6·25전쟁기록’은 문화재청의 국가등록문화재 등재에 따라 목록과 원문이 모두 공개되고, 육군에서 제작한 114권의 e-book은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에 제공됨으로써 일반인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육군기록정보관리단>에서 보존하고 있던 6·25전쟁기록이 대국민 공개로 전환됨에 따라 당시 상황을 기록한 1차 사료인 “6·25전쟁기록”을 활용한 기록유형 분석과 이용 방법을 통해 전쟁 기록의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정립해 본다. 현재는 일부가 번역되어 보훈행사 및 유해발굴 등에 활용되고 있는데 앞으로는 그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이다.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사업과 관련하여 공개된 6·25 전쟁 기록물에 대하여 대국민 공개의 의의를 앎으로써 공개되지 못했던 기록들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생각해 본다. 그동안 전쟁 기록들은 비밀로 분류되어 전부 공개가 어려운 상황이었으나 이번 행사를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고 연구할 수 있는 1차 사료로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향후 후속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독립 운동 컬렉션 분류 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공훈전자사료관을 중심으로 -

        오정희,정연경 한국기록관리학회 2018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based on the collection of Gonghun Digital Archive based on sources, subjects, and media types. First,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source is organized by hierarchy, and the records classified by source are classified into the second category based on the related keyword. Then, the records are classified into 17 media types. Finally, it is described in the citation order of “source-subject-media type.” In addition, a meaningful collection using inductive methods based on the subject words is derived. Finally, Gonghun Digital Archive collections are categorized by media types, sources, and subjects so that users can easily find the rec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classification system to support records retrieval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and it will become a basis for expand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and the service of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독립 운동 컬렉션에 대한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출처별 분류 체계는 계층별로 구성하였으며 출처별로 분류된 기록물들은 관련 주제어에 따라 2차 분류한 후, 17가지 자료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출처-주제-자료유형’의 인용 순서로 기술하였다. 또한 주제어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컬렉션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이용자가 기록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립 운동 DB 자료의 기록물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체계로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오항녕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4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history, my colleagues and I have reformed our department in terms of curriculum and faculty members. This paper is a report of some of the conclusions that we have obtained from this procedure. Despite a long relationship, two disciplines do not seem to match or complement each other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We believe tha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has focused on “national history (NH).” By conferring a privilege on NH, persons, families, societies, regions, and others were removed from NH. To make matters worse, a biased view that history is just an interpretation has prevailed, and the empiricism of history was weakened, which brought about an indifference in keeping records and archives. In East Asia, “history” means both modern history and archives. The concern about the authenticity of records did not come from H. Jenkinson or L. Duranti, and not even from the electronic environment or the Public Records Act of 1998. Key concepts such as records, documents-archives, manuscripts, authenticity, compilation-appraisal, arrangement, and description are different from their signifiant but are same or similar to their signifié. In case of “provenance” and “original order,” they are used in education and practice in the traditional archives. History includes the recording, archiving, and the story or historiography of an event. In this context, the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should contain a more archives-oriented curriculum and select an archival-trained faculty. On the other hand, the department has accumulated long-term experience with appraisal and description of records; thus, archival science should absorb the criticism of the material. History will be shaken without the help of archives, while archives will lose their root without history. We are at the point in which we need to be reminded why we want to be a historian or an archivist, and for this, the more colleagues, the better. 필자는 동료 교수들과 함께 지난 10년 동안 역사학의 재정의(再定義)를 통해 재직하고 있는 역사학과의 개혁을 시도했다. 그 과정에서 역사-기록, 역사학-기록학, 역사학과-기록학과의 오랜 인연을 확인하였다. 동시에 현존 역사학이 기록학으로부터, 기록학이 역사학으로부터 서로 지원과 동력을 받지 못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1장에서는 두 학문이 멀어지게 된 이유 가운데 현존 (한)국사학계의 문제점을 먼저 다루었다. ‘국민국가사’ 중심의 역사학과 커리큘럼은 국민의 기억을 특권화함으로써, 개인, 가족, 사회, 단체, 시민, 지역으로서의 기억을 배제한다. 이는 다양한 역사 차원을 가진 인간의 현존재에 부응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역사학계에 팽배한 ‘역사는 해석’이라는 편견은 역사학을 사실이 아닌 관념적 구성물로 이해하게 함으로써, 경험주의로부터 역사학을 멀어지게 만들었다. 국민국가사 중심으로 연구될 경우 다양한 차원의 아카이브는 고려되지 않고, 해석을 강조하며 사실에서 멀어지는 한 기록은 부수적이 된다. 동아시아 역사학의 전통과 역사의 개념에서는 두 학문이 분리되어 있지 않았다. 사(史)는 역사와 기록, 둘 다 의미하였다. 진본에 대한 고민은 젠킨슨이나 듀란티에서 시작된 것도 아니고, 전자기록과 함께, 또는 2006년 공공기록법과 함께 시작된 개념은 더구나 아니다. 역사학과 기록학에서 사용하는 주요 개념, 즉 문서-기록-사료, 직서/곡필-진본성, 편찬-평가-감식, 편찬-정리, 해제-기술 등은 지역과 시대에 따라 기표(記表, signifiant)가 다르더라도 그 개념 및 의미 내용인 기의(記意, signifié)는 같았다. 출처주의와 원질서 존중의 원칙은, ‘provenance’, ‘original oder’라는 기표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전래의 기록관리 교육과 실무에서도 유지되었다. 3장에서는 현존하는 역사학과 기록학 사이의 학문적 전문성과 보편성의 방향을 모색하였는데, 역사학계의 측면에서는 기록의 생산-전달-활용을 다루는 학문으로서의 역사학과의 기록학과화(化)를, 기록학계의 측면에서는 전문성의 핵심인 평가와 기술 부문에서 기존 역사학의 성과를 충분히 수렴할 것을 제안하였다. 역사학은 탈-기록학을 반성하고 있는 듯하다. 다행이다. 반면 기록학은 탈-역사학을 시도하는 듯하다. 어리석다. 역사학이 기록학의 손을 놓으면 토대가 흔들리고, 기록학이 역사학의 손을 뿌리치면 뿌리를 잃는다. 더구나 동지는 많을수록 좋다. 우리 앞에는 불길한 조짐과 새로운 가능성, 둘 다 놓여있다.

      • KCI등재

        북한 『로동신문』에 보도된 고려시대 관련 기사의 현황과 주요 내용

        李美智(Lee, Mi ji)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70 No.-

        본고는 북한 대중의 고려시대사 인식을 확인해 보기 위해 『로동신문』에 보도된 고려시대 기사를 분석해 보았다. 60년대에 집중적으로 기사화된 고려시대 인물들은 외세의 침입에 맞서 나라를 구해 낸 구국 영웅형 인물이었다. 강감찬, 서희 등 10세기말 11세기초 거란과의 전쟁에서 활약한 인물들이 주로 부각되었다. 문인들에 대한 기사도 예상 보다는 많았으며, 고려 왕조에서 상위 지배계층에 해당하는 이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점도 흥미로웠다.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김숙흥의 모친, 열부 최씨 등이 기사로 다루어졌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유물·유적 관련 기사를 통해서는 개성시 인근에서 출토된 순화3년명 제사용 그릇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고려 초 태묘 운영의 실제를 짐작하게 하는 매우 뜻깊은 유물이라 생각된다. 개성 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려 성균관 건물의 활용과 관련된 김일성의 입장 변화도 엿볼 수 있었다. 『로동신문』은 고려의 문화적 발전상과 반침략투쟁에서의 승리, 그리고 통일왕조로서의 성격을 보여주는 기사를 주로 실었다. 문화적 우수성을 보여주는 기사에서는 외국인의 평가를 함께 제시하였는데, 중국 고중세 인물에서부터 현대의 실명이 확인되지 않는 외국인, 외국 학자들로의 변화는 북한의 대외교류가 확장되는 경향과 조응한다고 생각된다. 이는 최종적으로는 김일성의 교시로 대체되었다. 70년대 이후의 기사에서는 고려 왕조에 대해 통일국가로서의 의미를 가장 중점적으로 부여하고 있다. 이는 1973년 김일성의 연설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아 당국 차원의 사전 계획에 따른 것이라 생각되며, 그 시원은 해방 정국에서의 국호 논의와 연결 지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생각된다. 본고의 검토 결과는 기존 학계에서 정리한 북한 학계의 고려시대사 인식 경향과 비교할 때 크게 다르지는 않다. 다만 북한 당국의 요구에 따라 『로동신문』이라는 언론 매체에서도 고려시대사를 정책적으로 활용하였을 것이라는 막연한 단정을 실제 기사의 현황과 내용을 통해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How do the people living in the DPRK percept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This paper is the first step to inquire this question. Unlike the scholarly activities and achievements regarding the Goryeo period, the North Korean public perception on the Goryeo period and its history was quite beyond our range of access. Investigating the reports on the Goryeo of the Ro-dong Shinmun whic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been utilizing as a very effective tool of communication and propaganda would be the best option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the division of Korea. The historical figures, such as Gang Gamchan (姜邯贊) and Seo Hui (徐熙), were intensively introduced and publicized as the models of the national heros in the 1960s’ articles. They have been all very well known for the merits in the wars against the Khitan Liao in 10th ∼ 11th century. It i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deeds of the aristocrats or the high-rank officials from the ruling class were viewed with a rather positive attitude. Coverages on the desirable female characters, such as the mother of Kim Sukheung (金叔興) and the virtuous lady Choi (烈婦崔氏), were also found in the north Korean newspaper. Entering into the 1970s the Rodong Sinmun newspaper adjusted its approach to the Goryeo. The frequency of coverages on the individual figures and the antiquities had been dropped down almost near zero percent. Instead of highlighting the individual heroes, the newspaper focused on the Goryeo dynasty being the first unified nation of Korea. Propagating the national unification by the Goryeo was probably embarked and encourag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ince Kim Ilseong proposed ‘Goryeo’ as the new name for the federal system of Korea as in Koryo Confederal System in 1973.

      • KCI등재

        17, 8世紀 滿學 檔案關聯 文獻 검토

        조병학 한국몽골학회 2009 몽골학 Vol.0 No.27

        To understand 'unificative multiracial nation' theory, which is recently discussed in Chinese academic worl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nquiry from background about the foundation of Qing dynasty to historical materials of 17th and 18th century related to Manchuria and Mongolia. Add to it, to understand East Asia in 17th and 18th century fully, it is required to compare not only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of 17th and 18th century but also Manchurian and Mongolian historial documents of tha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literatures related to Manchu Archives(Manwen Isou-chi: 滿文檔案), which should be studied prior to the comparative study of Mancurian and Mongolian historial documents, and major research subject is 『The Compendium of Manchurian historical documents in 20th century』, which was mainly edited by SungNyeon Yeom(閻崇年).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ed to summarize 27 volumes related to Manchu Archives(Manwen Isou-chi: 滿文檔案) in early Qing Period(入關前), which were published since 1980.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research beginners of Manchu and Mongolia study. To understand 'unificative multiracial nation' theory, which is recently discussed in Chinese academic worl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nquiry from background about the foundation of Qing dynasty to historical materials of 17th and 18th century related to Manchuria and Mongolia. Add to it, to understand East Asia in 17th and 18th century fully, it is required to compare not only Chinese historical materials of 17th and 18th century but also Manchurian and Mongolian historial documents of that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literatures related to Manchu Archives(Manwen Isou-chi: 滿文檔案), which should be studied prior to the comparative study of Mancurian and Mongolian historial documents, and major research subject is 『The Compendium of Manchurian historical documents in 20th century』, which was mainly edited by SungNyeon Yeom(閻崇年).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ed to summarize 27 volumes related to Manchu Archives(Manwen Isou-chi: 滿文檔案) in early Qing Period(入關前), which were published since 1980.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research beginners of Manchu and Mongolia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