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디자인통계조사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연명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4

        Industrial Design Statistics Survey(IDSS) is comprehensive research on design industries and design activities. The survey is one of the design research of world-cla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iscover problems of whole process of the survey from planning to reporting, and to find the improvement direction. Research methods are as below. First, four national statistics, Service Industry Survey, Sports Industry Condition Survey, Content Industry Statistics, and Advertising Industry Stat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IDSS. Subsequently, two statistical quality diagnostic reports conducted in 2009 and 2014 for IDSS were review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problems on sampling design such as standard error and non-response are found. And, the survey sheet is too superabundant, because the sheet have wide range from industry condition grasp to design activities. In addition, insightful summary and analysis were insufficient in the report of the IDSS. The problems must be improved. Especially, survey items should be separated two parts, basic and supplementary parts, and ought to be reduced. When the survey items will be organized, we should take a balance with interest in design field and national economic viewpoint. Furthermore, sampling design should be improved, insightful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IDSS should be reflect in the report.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디자인산업과 디자인활동에 관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디자인 통계조사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유래없는 수준의 조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통계조사의 기획, 조사방법, 표본설계, 조사표작성, 조사 진행, 결과보고서의 작성과 공표, 자료의 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서비스업조사’, ‘스포츠산업실태조사’, ‘콘텐츠산업통계조사’, ’광고산업통계조사‘의 4가지 국가승인통계와 산업디자인통계조사를 비교하였다. 이어서, 2009년과 2014년 2차례에 걸쳐 진행된 산업디자인통계조사에 대한 통계품질진단 보고서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표본오차 관리, 무응답처리 등 표본설계상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조사표에는 매출이나 직원수와 같은 산업동향 파악용 문항 외에도 디자인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어, 분량이 과다하였다. 보고서에는 결과에 대한 해설이나 통찰을 담은 요약이 부족하였다. 산업디자인통계조사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표는 기본통계와 부속통계로 이원화하고, 문항을 정비하여 조사표를 축소하여야 하며, 이때 산업동향 파악이라는 국가경제 차원의 관심과 디자인 분야의 관심이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표본오차 관리 및 무응답처리 등을 개선해야 하며, 통계결과를 조망하고 해석한 내용이 보고서에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조사통계의 품질진단점검지표에 관한 연구

        손영태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1

        Statistics Korea checks the quality of national statistics approved by government to manage survey qua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re are five indicators on a check list of data collection steps such as determining survey guidelines and training enumerators, etc. However, some important indicators are not included on the present check list to measure and ensure survey quality. These indicators include the number of enumerators, quality of enumerators, number of field managers and number of visits required to complete a survey. These four new indicators were analyzed for suitability as useful indicators in this study by conducting t-test. The resul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quality check reports when the four indicators are utilized. The t-test for each new indicator are as follow: number of enumerators (t=-6.54, p=0.001), number of field managers (t=-5.21, p=0.001), quality of enumerators (t=-4.99, p=0.001), number of visit for completing a survey (t=-3.10, p=0.001) respectively. 통계청에서는 국가승인통계의 품질관리를 위해 통계작성기관들이 작성하여 공표한 통계에 대하여 품질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현행 조사통계의 세부 작성절차별 품질진단지표 중 자료수집절차의 품질진단지표에는 조사지침서 구비여부, 조사원 교육 등 5개의 지표를 사용하여 품질진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품질진단지표에는 조사통계의 정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조사원 수(조사원 1인당 1일 조사업무량), 조사원의 질적 수준, 적정 규모의 조사관리자 수 및 조사완료까지의 방문횟수는 품질진단지표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지표들을 새로운 지표로 추가하는 것이 평가지표로서 유용성이 있는지 검정해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이들 4종의 신규지표들과 같거나 유사한 내용을 품질진단시 점검한 품질진단결과보고서의 평가점수가 각 지표별로 조사원 수, 조사관리자 수, 조사원의 질적 수준, 방문횟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새로운 품질진단지표들이 조사통계의 품질진단지표로서 유용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준주택 현황과 통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양완진 ( Yang Wan-jin ),박과영 ( Park Gwa-young ),김동원 ( Kim Dong-wo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4 不動産學硏究 Vol.30 No.1

        2010년 10월 개정된 「주택법」에서 최초로 준주택 개념이 도입된 이래, 오피스텔을 비롯한 준주택은 청년과 서민 층을 대상으로 높은 정책적 효과와 빠른 공급속도를 보이며 국민 주거안정에 기여하고 있다. 「주택법」 제88조는 주택뿐만 아니라, 준주택도 주거정책 수립 및 시행을 위해 현황,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구축 · 관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준주택 관련 국가 승인통계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축물대장을 전처리하여 오피스텔 등 준주택 재고현황을 파악하고, 건축허가 및 착공통계를 시계열적으로 병합하여 준주택 건설실적통계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통계를 통해, 전국 · 수도권 소재 오피스텔의 주거용도 활용비율을 분석하고, 서울의 경우에는 구(區)별 분석도 진행하였다. 2015년과 비교하여 2020년 오피스텔의 주거용도 활용비율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오피스텔을 비롯한 준주택의 주거공간으로써의 기능이 확대되는 가운데, 체계적인 준주택 통계 기반이 마련된다면 주거 복지 및 안정 측면에서 더욱 심도있는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준주택 통계 활용방안뿐만 아니라, 체계적 구축 및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준주택 관련 통계를 국가 승인통계로 지정하고, 건축물관리대장의 기타용도코드를 준주택 유형과 대응하도록 개선하는 등의 행정, 시스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its amendment in October 2010, the 「Housing Act」 introduced the concept of quasi-residential housing,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national housing stability, especially for youth and low-income individuals, demonstrating rapid policy effects and swift supply, particularly in buildings like officetel(residential offices). Article 88 of the 「Housing Act」 mandates the systematic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including quasi-residential properties, for housing policy formulation and implementation. However, national approved statistics on quasi-residential properties are currently lacking. To address this, this study preprocesses the building registry to assess the inventory status of quasi-residential properties such as officetel and establishes statistical data on quasi-residential construction achievements by merging building permits and construction commencement statistics in a time-series format. Using the compiled statistics, this study analyzed the utilization ratio of residential purposes for officetel nationwide and in the metropolitan area, specifically Seoul. A comparison between 2015 and 2020 revealed an increase in the utilization ratio of residential purposes for officetel. With the expanding role of quasi-residential properties, including officetel, as residential spaces, it is anticipated that with a systematic foundation of quasi-residential statistics, a more in-depth analysis can be conducted, contributing to residential welfare and stability. This study not only explores the utilization of quasi-residential housing statistics but also provides suggestio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facilitate systematic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is study provides policy suggestions such as designating quasi-residential housing statistics as national approved statistics and aligning the miscellaneous usage codes in the building management register with quasi-residential property types.

      • KCI등재

        개념의 빈곤, 불충분한 측정 : 국내 이주민 차별경험 척도의 재검토

        손인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3 비판사회정책 Vol.- No.78

        이주민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한국사회에서 이주민 차별은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었다. 한국에서 시행된 이주민 대상 설문조사는 차별경험을 중요한 조사항목으로포함해왔다. 하지만, 국내 차별경험 척도가 차별경험을 적절하게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국가승인통계의 차별경험 척도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 이주민 차별개념 선행문헌과 척도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국가승인통계의 차별경험 척도는 빈약한 개념화와 불충분한 측정으로 특징지워진다. 척도는 중대경험을 배제하고 일상경험만 조사하고 있으며 차별유형을 측정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차별상황을 충분히 조사하고 있지 않으며 차별대처 유형은 저항에만 배타적인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같은 불충분한 측정은 부분적으로 국내 선행문헌의 빈약한 차별개념화에 기인한다. 연구는 국내 이주민 연구에서 차별 연구의 활성화와 차별경험 척도에 관한 개선을 촉구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건설경기동향조사의 통계품질진단과 이용자 만족도 분석

        성태영(Seong, Tae Young),유종훈(Yoo, Jong Hoon),이만형(Lee, Man Hyung) 한국부동산학회 2012 不動産學報 Vol.49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deals with Statistical Korea's survey data on the construction cycle trend, diagnosing their quality measurement indicators. In specific, it examines the satisfaction levels of professional users who refer the survey data on the construction cycle trend during their works. (2) RESEARCH METHOD First of all, concerned with the actual quotation condi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of professional users, it records 3.405 in a 5-point scale, implying the fact that professional us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esent service level of survey data on the construction cycle trends. In addition, in order to check the level and direction of relationship, this study carries out correlation analyses. Their values range between 0.244 and 0.567, indicating relatively higher close interrelationship. (3) RESEARCH FINDINGS The R2 value from the regression analyses is 0.533, a reliable figure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After a series of statistical tests for the 6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finds the fact that statistically meaningful coefficients includes timeliness/punctuality (p( 0.01), relationship (p( 0.001), and comparativeness (p( 0.05) . Judging from beta values which present the relative contribution level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highest category comes from relationship (0.386), followed by timeliness/punctuality (0.265) and comparativeness (0.193), respectively. 2. RESULTS This paper also checks the satisfaction level derived from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quotation conditions. Here, the quality change forms the only statistically meaningful category. Its beta value is 0.525, standing for the robus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y change and the satisfaction level.

      • KCI등재

        무용예술분야 관람현황 실태분석- 2020~2022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 중심으로 -

        하지원,차수정 한국무용예술학회 2024 무용예술학연구 Vol.94 No.1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changes in the public’s viewing conditions in the dance artsusing SPSS 23 for data analysis, including chi-square tests and ANOVA. The aim is to determine if there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variables over three years (2020, 2021, 2022). The findingssuggest the need to prioritize policies addressing viewing area and supplementation to enhancesatisfaction with viewing experiences in dance arts. Additionally, efforts should focus on overcomingobstacles for those who have not yet experienced dance arts, with the aim of fostering industrydevelopment and enhancing public enjoyment of dance arts in the future. In future analysis, it will benecessary to focus on expanding the subject of longitudinal research that analyzes changes in the degreeof influence between variables such as viewing status and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