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효율적인 국어과 교재 구성 방안

        최영환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국어과 교육을 위한 교재에 관한 연구는 단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단원은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 과정으로 실제 학교교실에서 교수ㆍ학습을 진행하는 기초 단위이다. 교재의 단원 구성을 위해서는 목표, 내용, 언어 자료, 활동이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목표는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으로 단원 구성의 출발점이며 단원 전체를 이끄는 절대 기준이다. 내용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이다. 현재 국어과 교재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전략으로서의 내용 제공이 부실하다는 점이다.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재에는 전략이 거의 없으며, 중학교 교재의 경우 생활 국어에 전략의 단초가 보인다. 이 부분은 국어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 요소로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언어 자료는 다양한 자료가 포함되는데, 주로 학습을 위한 도구의 역할을 한다. 과거 국어과 교재에서 언어 자료를 지나치게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어서 내용중심 교과로 오해를 받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활동은 교수ㆍ학습에서 학습자가 실제로 수행하는 일이다. 지금까지 국어과 교재의 활동 대부분은 학습의 수단이 되는 글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중심이었다. 목표달성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나누어 교재를 구성하여야 한다. 교재를 구성할 때에는 목표의 유형에 따라 단원 구성의 틀이 달라져야 한다. 먼저 목표를 범주화하고, 각 목표 범주별로 교재 구성의 원형을 추출하여 교재 구성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교수ㆍ학습 모형과도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 o suggest the organization of mateir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have t o discuss the unit as a concept of material. The elements of the unit are goals, contents, subject matters, and activities. The goals are most important thing in construction of unit. The contents are strategies to solve the problem. We used to think that the contents are relation t o the subject matters. Bu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s are strategies to use language. The activities are divided into two parts; knowing what, doing how. And there are four activities in both of them. When we construct the unit, we need to select the activities prudently. There are strong connection between the units of material and teaching models. The arrange of unit elements is the sequence of teaching. We need t o categorize the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rame of the unit depends on the goal.

      • ADDIE 모형을 적용한 인구교육 교재개발 연구

        윤인경 ( Yoon In Kyung ),이수정 ( Lee Soo Jeong ) 인구교육센터 2010 인구교육 Vol.3 No.-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구 교육 교사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ADDIE 모형(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에 근거하여 개발함으로서 인구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내용을 체계화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구 교육 교재 개발 모형을 교재 분석, 교재 설계, 교재 개발, 교재 이용, 교재 평가 등 5 단계로 구안하였다 이 모형에 근거하여 기본 소양 2개 주제, 전공 영역의 15개 주제, 교재 영역의 3개 주제의 총 20개의 주제에 대한 인구 교육 교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교사를 대상2로 하는 인구 교육 연수 프로그램에서 개발한 인구 교육 교재를 이용한 후 그 타당성화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평가 결과와 전무가의 적절성 평가를 기초로 교재의 내용을 최종적으로 수정·보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 the Population Education Textbook Applied ADDIE Model.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 At first, the changing movement of population, ADDIE theory,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and the textbook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Secondly, based on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the Population Education Textbook Applied ADDIE Model was developed. At last, a panel of expert committee evaluated the textbook. Concenturat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training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or 9 days, from Aug. 13th to Aug. 22nd, 2008.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including likert scale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five sections: respect for humans, population, family, welfare,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development. Instructors were from supervisors of the Mnistry of Education, curriculum experts, subject experts, and persons from the M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so on.

      • KCI등재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및 모형 제시

        하채현(Ha, ChaeHyun) 국어문학회 2015 국어문학 Vol.58 No.-

        이 글은 실제 교재 개발 사례를 토대로 읽기 교재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한국어 읽기 교재 현황을 검토하여 읽기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런 다음, 기존 토픽 문항 분석을 통하여 주제에 따른 ‘텍스트 제대로 읽기’를 전략으로 활용하였다. 이는 학습자의 텍스트성을 살리는 읽기 전략이다. 또한 읽기 학습에서 어휘 능력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였다. 토픽의 지문들은 표준 모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래서 효과적인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은 학습자의 기본적인 읽기 능력을 신장하게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 교재를 구성하는 방법의 예시를 보여 주었다. 이로써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방향을 가늠하게 하고 교재 개발 구성을 위한 논점을 제공한 의의를 지닌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the actual teaching practice model based on example of a reading textbook development. The first, it emphasizes the need to read and review books into Korean reading materials development. And then, we set up as a reading strategy to read through the thematic to analysis with TOPIK item. "Text read properly" is the reading strategy of extending the text of the learner. In addition, we review the theory of vocabulary skills in learning to read. TOPIK of the text are analyzed based on the standard model. So the proposed model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o read. This model is to be stretching the basic reading of learners.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lowing a reading strategy, and showed an example of how to configure the book.

      • KCI등재

        대학 글쓰기의 교육 목표와 글쓰기 교재

        정희모(Chong Hee-mo) 한국리터러시학회 2010 리터러시 연구 Vol.- No.1

        이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재의 낙후성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때문에 기인한다고 보고 그 대안을 강구한다. 첫째, 대학 글쓰기 교재의 낙후성은 교재의 목표가 불분명한 데서 발생한다. 둘째, 대학 글쓰기 교재의 낙후성은 대학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두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고 대학 글쓰기 교재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우선 좋은 교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표가 뚜렷해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일반적인 목표로 ‘표현 능력의 신장’과 ‘사고력 신장’에 두고, 이에 대한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을 탐색했다. 여기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구체적인 목표로 ‘추상적인 생각에 대해 논쟁하고 평가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주요 담론에 대한 읽기 행위에 참여하고 이에 대한 반응의 글을 쓰는 것’으로 규정했다.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 교수·학습 활동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중심, 탐구 중심, 활동 중심, 실습 중심의 수업을 지향해야 한다. 강조할 것은 글쓰기 교재가 교수자 입장이 아니라 학습자 중심의 입장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을 반영한 교재로 한 학기 전체를 여러 개의 과제로 묶어 내는 연구 프로젝트(research project)식의 모형을 추천한다. 글쓰기 교재는 앞으로 어떤 형식이든지 변화가 불가피하다. 특히 디지털 환경이 교재 형식과 내용을 바꾸기를 요구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제작되는 글쓰기 교재들은 반드시 디지털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디지털과 상호소통이 되지 않는 글쓰기 교재는 자리를 잡기가 어렵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교수자가 학생을 변화시키겠다는 의지나 열정이다. 글쓰기 교재 역시 이런 진정성을 가지고 편찬하면 성공할 수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the low quality of college writing textbooks has two reasons. The first, this is the reason why is the goals of writing textbooks are not clear. The second reason is the lack of knowledge in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developing good teaching materials, it needs to have the concrete goals in relation to improve of the ability of expression and thinking skills. College writing education needs to form the concrete goals that are the ability to evaluate and to argue about the concreted thinking. Also it sets the specific goals that are to write articles on the reaction about social issues. To reinforce the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writing textbooks, the classes need to organize learner centered. inquiry based, activity centered and field centered. It is very important that writing textbooks have sites not teachers centered but learners centered. For instance there is a research project program that the class consists of several assignments through the one semester in a writing textbook. In particular we prefer this teaching method in class. Writing textbooks will be needed a change in the near future. Expecially in the digital environment it will affect the formats and contents. Therefore writing textbooks should be considered digital environment.

      • KCI등재

        기술 교과 교육에서 문제 중심 프로그램의 교재 내용과 체제의 내적 분석을 위한 모형 개발 및 타당화

        김동하,최유현 한국기술교육학회 2009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model for internal analysis for workbook of problem-based program and its system in technology education. Based upon relevant literature review, I came up with theoretical model for internal analysis for Workbook of problem-based program and internal analysis of system in technology education.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was validated by professionals’ decision. And using the analysis model to analyze workbooks of problem-based program in technology education and its system, I was able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o develop the model for internal analysis for workbook of problem-based program and its system in technology education, I categorized 63 sub items of the internal analysis model. I also divided the analysis items into 2 analysis categories. Based upon the study result, I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 ideas for follow-up studies. First, I developed analysis model focusing on internal analysis for workbook of problem-based program and its system in technology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analyzing a model for workbooks in technology education and external system of workbooks. Second, this study was focused on selection and categorization of analysis items rather than analysis methodology or system. Thus, there is limit for suggested analysis categories and items to become materialized instructions of methodology and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for methodological instructions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 교과 교육에서 문제 중심 프로그램의 교재 내용과 체제의 내적 분석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에 근거하여 기술 교과 교육에서 문제 중심 프로그램의 교재 내용과 체제의 내적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론적 모형은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의 전문적 판단에 근거하여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도출된 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기술 교과 교육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문제 중심 프로그램의 교재 내용과 체제를 분석해 봄으로써, 모형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기술 교과 교육에서 문제 중심 프로그램의 교재 내용과 체제의 내적 분석을 위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 모형의 하위 요소 63개가 추출하였고, 이를 성격에 따라 11개의 분석 항목으로 유목화 하였으며, 항목은 2개의 분석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기술 교과 교육에서 사용되어지는 교재, 교과서에 대한 외적 조직 체제를 분석하는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제시된 분석의 영역, 항목, 요소 들이 어떠한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해야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보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분석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론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연구가 앞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 사용의도에 대한 기술수용모형 분석

        류지헌,정효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 전자교재 개발을 위한 학습자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원격대학은 다양한 연령대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분석을 실시했다. 총 2,999명의 학습자가 설문에 참여했으며, 연령별로 20대=583명, 30대=863명, 40대=960명, 50대=593명으로 구성되었다. 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하기 위하여 매체에 대한 자아효능감, 주관적 규범, 매체유용성, 매체용이성, 태도로 구성된 기저모형을 구성했다. 기술 수용모형에 대한 모형적합도는 카이제곱, TLI, CFI, RMSEA 지수에 따라서 모형적합도를 평가했다. 세 가지 중요한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연령대에 따라 사용의도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앞으로 원격대학에서 전자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연령대의 특징과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전자교재를 적용 및 확대하기 위해서는 전자교재의 편리성과 유용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태도에 의해 사용의도가 결정되는 추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전자교재에 대한 개념이나 역할에 대한 충분한 공감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태도에 의해서만 사용의도가 결정되는 경향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것은 구체적인 사용경험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지만으로 사용의도를 결정하는 것이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남학생들은 비교적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사용의도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학생들은 사용의도에 대해서는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것은 매체사용 자체에 대한 인식이 남학생과 여학생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intentional use of e-book for distance learners with the various generations and gender. Five variables were applied to buil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99 college students of a distance univers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different age groups such as 20’s=583, 30’s=863, 40’s=960, and 50’s=593 as well as their genders. The goodness of model fit was evaluated with TLI, CFI, and RMSEA. The data analysis revealed that the overal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five variables was evaluated to reach the model-fit. The direct variables were the media usefulness, subjective norm, self-efficacy, and attitude. The media usefulness and subjective norm ha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intension of u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various distinctive patterns of TAM depending upon students’ age generations and genders. It was discovered that 30’s students showed strongest value of highest variable to buy.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nsion to use e-book.

      • KCI등재

        한국어 교재 대화 텍스트의 문화 항목 분석

        권성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3 한국언어문화학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통합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문화 교육 항목들이 국제통용한국어표준모형에서 제시한 등급별 문화 교육 항목들과 얼마나 상통하는지 분석함으로써, 표준모형의 문화 항목들이 의사소통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한 말하기 교육에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4개 대학기관에서 출판된 4종의 통합교재 중 1-4급 교재 16권(4종×4등급)에 포함된 523개 대화 텍스트이다. 조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표준모형에서 문화 교육의 항목을 추출한 방식대로 교재 대화 텍스트에서 문화 요소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항목들을Hammerly(1982)의 문화 범주 분류 기준에 따라 범주를 판단하고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말하기 영역에서 다루는 문화 항목은 표준모형에서 제시하는 등급별 문화 항목과 등급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준모형의 문화 영역의 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할 때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도구로 보지는 않는다고 하지만, 실제적으로 표준모형의 문화 영역의 난이도는 의사소통의 중추인 말하기 영역의 그것과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ungmi, Kwon. 2013. An Analysis of the Cultural Items in the Conversations in the KSL Textbook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ol. 10-1. 1-24.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analyze the hierarchy of the cultural items, based on the degree of the difficulty, presented in the conversation text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Gukjaehangugeopyojunmohyeong, the standardized international model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exts explored for the study are 523 conversations in the 16 textbooks(4 series×4 levels) published by the universities. The study first collects and categorizes the cultural items in the conversations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made by pyojunmohyeong, and it comparatively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m with those of the pyojunmohyeo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배도용 우리말학회 2013 우리말연구 Vol.32 No.-

        이 연구는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한국어 교육용 의성어·의태어의 어휘 목록과 교재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육 현황과 문제점 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어 의성어·의태어 교재 개발 방향을 제 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기초자료의 잦기를 활용하여 137개의 한국어 의성 어·의태어의 어휘 목록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재 모형도 제시하 였다. 특히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보조 또는 독학용 교재로 써의 개발을 염두에 두었다. 이런 학습 환경을 고려하여 올림말의 뜻풀 이, 연어 관계, 사용 맥락, 그리고 연습과 활용을 내용 구성에서 제시하였 고 이를 모형에 적용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교양 글쓰기 교재 분석 -보고서 쓰기를 중심으로-

        손다정,정다운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6 No.-

        이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교재를 분석해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보고서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보고서는 장르적 특징이 명확하여 교양 글쓰기 교재에서도 보고서라는 장르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보고서 쓰기 교육에 장르 중심 접근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고 장르 중심 쓰기 교수 모형을 확인한 결과 ‘장르 이해하기-협력적 쓰기-독립적 쓰기’ 단계로 교육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보고서 쓰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교재에서 구현되고 있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고서 쓰기 교육은 교재 내에서 그 교육 내용과 방법이 효과적으로 제시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먼저 ‘보고서’라는 장르의 사용 맥락과 텍스트의 특징을 학습자들에게 학습 활동 없이 학습 내용으로만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학습자가 직접 보고서 장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또한 교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재에서 ‘협력적 쓰기’를 활동으로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개별 활동 후 학습자 간 상호 피드백을 주고받게 하는 활동이 일부 있기는 하였지만 이것은 ‘협력적 쓰기’ 활동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다. 마지막 ‘독립적 쓰기’도 쓰기 절차별 안내에 따라 학습자가 자신이 쓰고 싶은 글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하는 과제가 교재에서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 강의에서 보고서 쓰기 교육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먼저 ‘장르 이해하기’ 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보고서 장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고 분석하고 교사가 설명하는 단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 ‘협력적 쓰기’ 단계에서는 교사, 동료, 교재와 협력하면서 장르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텍스트를 써 보게 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독립적 쓰기’ 단계에서는 글쓰기의 절차에 따라 자신의 보고서를 스스로 써 보게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보고서 쓰기 교육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identify the content included and method employed in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 a direction for effective Korean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A academic essay writing is characterized as a distinctive genre, and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textbooks provid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academic essay genre. Accordingly, a genre-based approach to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as applied in this study, and a genre-based writing pedagogical model was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stages: genre understanding,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and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analyzed how the content and methodology of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ere incorporated in textbooks.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some elements of content and methodology were not presented effectively in the textbooks. To begin with, the context of using the academic essay gen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xt were often presented to learners as learning content without corresponding learning activities. Hence, it was difficult for learners to experience and fully understand the academic essay genre.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textbooks revealed that most textbooks did not present cooperative writing as an activity. Although there were some activities instructing learners to interact with each other in providing and receiving feedback after completing individual activities, they were not considered cooperative writing activities. Finally, tasks for independent writing, in which learners were fully informed about each step and allowed to write freely, were not proper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First, in genre understanding, it is important to provide a step wherein learners ask questions and analyz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hen, the teacher should provide an explanation to enhance learners’ independent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essay genre. Next, in joint construction of the text, it is necessary to instruct learners to write the actual academic essay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genre through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colleagues, and the textbook. Finally, in independent construction of the text, learners need to write academic essays by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designated writing procedure. The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essay writing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more systematically through the aforementioned proces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재의 체제 모형 개발과 적용 방안

        방기혁 한국실과교육학회 200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2 No.3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aning, development process, development system of textbooks, to analyze the textbook structure of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in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present the application of specific unit o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 and contents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External structure of textbook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has been consisted of format, quality of paper, size of letter, chromaticity, has been changed 4×6 format, art paper(250g/㎡) UV coating, 4 colors from the 1st to the 7st national curriculum. Also, internal structure has been chang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item on each curriculum era. External structure of text was developed for general agricultural education was 4×6 format, art paper(main contents: higher quality of paper 75±3g/㎡, cover: art paper 250g/㎡ UV coating), 4 colors, 18 size of letter. Internal structyre consisted of subjects and items. Especially, sub-subject organized 'Search', 'Activity', 'Learning sheet', 'In life'.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준의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재(교과서)의 체제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서,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재(교과서)의 의미, 개발 과정, 그리고 개발 체제를 구체적으로 고찰하고, 초등학교 실과교육과정의 교양농업교육내용에 기초하여 개발된 교재(국정교과서)의 체제를 교육과정기별로 분석․종합하여, 실과교육과정의 교양농업교육을 위한 교재의 체제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교재의 체제를 가지고 특정 단원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과교육과정에 의한 교양농업교육 교재(교과서)의 외적 체제는 교육과정기별로 판형, 지질, 글자 크기, 색도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개정 교육과정에는 4×6배판, 아트지(250g/㎡) UV코팅, 4도를 사용하고 있으며, 내적 체제는 제7차 교육과정기부터 ‘중단원’ 구성이 없어지고, 대단원과 소단원체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실습’ 항목이 ‘해보기’ 항목으로 변화되었다. 또한, 심화학습의 ‘더 해보기’ 항목이 추가되고 소단원별 ‘평가’ 항목은 삭제되었다. 이를 토대로 개발한 모형에서 외적 체제는 개정 교육과정의 검정 기준에 따라 판형 4×6배판, 지질(본문: 고급 상질지 75±3g/㎡, 표지: 아트지 250g/㎡ UV코팅), 색도 4도, 글자 크기 18급으로 하였으며, 내적 체제는 주제 중심의 통합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주제를 ‘알아보기’, ‘활동하기’, ‘학습지’, ‘생활 속에서’로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