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상공인의 창업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신뢰성및 추천의도의 구조적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나상균(Sang Gyun, Na)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5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계획이 있는 소상공인에게 창업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신뢰성 및 추천의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창업교육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장기적인 창업교육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교육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신뢰성, 추천의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였다.[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 품질의 요소인 강사품질, 시설품질 및 교육품질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과 신뢰성과의 관계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인 강사품질과 교육품질은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시설품질은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육만족도와 신뢰성과의 관계에서는 창업자가 창업교육에 대해 만족을 하면, 창업자가 강의에 대해 신뢰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교육만족도와 추천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창업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신뢰성과 추천의도와의 관계에서는 신뢰성은 추천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연구의 시사점] 창업환경의 변화가 심할수록 창업교육에 필요한 교육과 시설에 대한 교육서비스 품질관리가 필요한 요소로 대두 되고 있다. 창업교육기관에서는 공급자 중심의 교육 서비스 제공에서 교육을 받는 창업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으로 교육환경이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창업교육의 다양성으로 인해 교육내용, 교육방법 뿐 아니라 교육시설, 강사자질, 교육기자재, 직원서비스 등에 관련한 교육서비스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the education which will be provided to small enterprises who plan to start up business in an effort to help them establish long-term educational strategies with improved quality.[Methodolog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in the present study as a means to examine the structural causality relationship among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education.[Findings] For this objective, a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is paper to determine the structural causality relationship among the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f such education, which resulted in the following outcomes:first, it was known from the analysis that the qualities of educational service including those of lecturers, facilities and education itself could influence the educational satisfaction;secon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quality and reliability, the quality of lecturers and education turned out to affect the reliability, while that of facilities didn’t;third, the analysis found tha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start-up enterprises might put reliability on lectures once they could be satisfied with start-up education;fourth,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trainees with start-up education would exercise impact up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fifth,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ability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it became evident from the analysis that reliability could have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Implica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presented. As the conditions for start-up enterprises change drastically, it appears essential to control the service quality and facilities for education of start-up enterprises. In this respec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tart-up enterprises should endeavor to change the educational paradigm from supplier-oriented service to start-up-oriented one. In view of diversified start-up education, it may also be necessary to control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cluding not only the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but also the educational facilities, qualities of lecturers, educational equipment as well as conduct of faculty members.

      • KCI등재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이 자아존중감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울산광역시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 참가자를 중심으로

        이희성(Hee-Sung,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고유 서비스품질 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품질요인들이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 참가자의 자아존중감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사회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중심의 궁극적 목적 달성정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이 참가자들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서비스품질 요인 중에 프로그램 품질과 정보안내가 자아존중감에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서비스품질 요인 중 프로그램 품질 요인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참가자들의 자아존중감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 자아존중감, 행동의도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품질 3개요인(프로그램 품질, 교육장소, 정보안내), 자아존중감, 행동의도 요인으로 개념화 하였으며,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을 바탕으로 통계적으로 참가자들의 느끼는 반응에 대한 부분을 수치로 제시하여 기존 연구와의 차별화를 가질 수 있었으며, 사회문화예술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객관화를 제시함으로써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unique service quality factors to evaluate the quality of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se quality factors on self-respect and behavior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participants. First, after verifying the impact of social,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participants self-respect, it was found that program quality and information guidance affect self-respect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Second, after verifying the impact of social, cultural,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behavior, it was confirmed that program quality factors among service quality factors affect behavior.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participants self-respect 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resp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 Through this study, based on prior research on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self-respect, information guidance, self-respect, and behavior factors, and based on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rvice quality factors, it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research.

      • KCI등재

        소상공인의 경영교육 서비스 품질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교육만족, 관계품질 및 재이용의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나상균,김태호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5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relationship quality, education satisfaction and intent for re-use of small enterprises.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outcomes:First,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quality, the former is found to have influence upon the latter, which means that the relationship q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performance of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it is revealed that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ffects education satisfaction. This signifies that lecturers are requested to make efforts and to take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their teaching service quality in an attempt to satisfy requirements for education.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and education satisfaction, the former turns out to exercise little impact upon the latter,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rust and commitment have nothing to do with relationship between lecturers and students. Fourth,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quality and intent for re-us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ormer exerts certain amount of influence upon the intent for re-use. This means that relationship quality can act to prevent current clients from leaving and to induce new clients. Fifth,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satisfaction and intent for re-use, it is learned that the former affects the latter, which means that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lectures are ready to attend the class again and to recommend them to other students.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경영교육서비스 품질, 관계품질, 교육만족도, 재이용 의도 간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교육서비스 품질과 관계품질과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경영교육서비스 품질은 관계품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성과 요인으로 관계품질이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둘째, 경영교육서비스 품질과 교육만족도와의 관계이다. 교육서비스 품질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강사들의 강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노력과 실천 방안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셋째, 관계품질과 교육만족도와 관계이다. 분석결과, 관계품질은 교육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어, 강사와 수강자의 관계에 있어 신뢰와 몰입은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관계품질과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이다. 분석결과, 관계품질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계품질이 현재의 고객이탈을 방지하여 주고, 새로운 고객을 유인하는 효과를 가져 온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교육만족도와 재이용의도와의 관계이다. 교육만족도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강의에 참여한 수강자들의 만족여부에 따라서 강의를 다시 듣고 싶은 의도와 타인에게 추천을 의미한다.

      • KCI등재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수요자의 만족과 행동의지에 미치는 영향

        최지은,강윤식,김문섭 한국산업경영학회 2018 경영연구 Vol.33 No.2

        This research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evaluation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tudent responses, such a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a specific behavior (i.e., willingness to donate, recommend to other people, etc.). Specifically, this research argued that the sub-dimension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ervice quality in general service contexts, and suggested specific sub-dimension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that are appropriate for Korea. This research adopted two outcome variable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a specific behavior), and suggested that a positive evaluation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improve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willingness to engage in a specific behavior sequentially.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the influenc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would be amplified by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In order to verify the suggested hypotheses, a survey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same university in Korea was conducted. Through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ub-dimensions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improve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ultimately have an impact on willingness to engage in a specific behavior. Also, the influence of a positive evaluation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was particularly pronounced for students with a high intrinsic academic motivation. Future research on education service quality should be expanded in terms of scope, in order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iversities which want to improve education service quality.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과 관련된 연구를 확장하여,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과 이러한 하위차원이 교육수요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의 특수한 서비스품질은 기존의 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과는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을 국내외 연구에 근거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교육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을 재검토하였다. 또한 서비스품질과 만족도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서비스품질이 만족도와 행동의지에 연이어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서비스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교육수요자의 학습동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일련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특정 대학의 동일한 단과대에 소속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품질의 하위차원 중 대다수가 만족도와 행동의지에 연이어 영향을 미쳤으며, 내재적 동기 수준이 높은 교육수요자의 경우에 서비스품질이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비스품질과 관련된 학문적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교육서비스품질을 향상시키려는 대학에게도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IT교육서비스품질 측정도구 개발과 평가

        노정숙,장형유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9 마케팅논집 Vol.27 No.2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IT교육서비스품질의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IT교 육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측정도구를 새롭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 뷰, FGI를 통해 ‘항목표본설정(generate sample of items)’ 방식으로 설문 항목을 도출한 후, IT교육서비 스품질 핵심요인 10가지와 이에 따른 측정문항 50개를 구체화하였다. 도출한 요인과 문항으로 IT교육 기관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해당 측정문항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그 유효성을 분 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T교육서비스품질의 핵심요인으로 유형성, 신뢰성, 확신성, 반응성, 우수한 교육전산망, 강사전문성, IT교육프로그램, IT습득적합시스템, 최신정보성이 확정되었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총36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측정도구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IT교육서비스 품질 맞춤형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교육 수요자들에 따른 맞춤형 교육방법과 품질관리를 차별적으로 실시한다면 보다 향상된 교육서비스 품질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요인과 측정도구를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해당 분야 교육의 내실을 기함과 동시에 IT교육서비 스기관들에게 적합한 프로모션 활용 및 방안들에 관한 실질적인 혜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to develop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metrics accordingl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new question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interview and FGI. Through these processes, 10 measurement items concerned with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were identified and 50 items related to them were specifi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IT education program to evaluate the statistical validity of the items introduc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subsequent analysis, the key factors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were consisted of typology, reliability, trustworthiness, certainty, responsiveness, superior education computer network, and lecturer specialty. It is expected that more differentiated and higher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can be achieved in case newly developed measurement scale would be well utilized, and related education is excellently conducte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create customized education method and quality management, if an IT provider makes good use of the scale in the field. In conclusion, this study evaluated the research trends of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and research methods through literature studies related to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IT education service quality. In addition, authors have accomplished the purpose of establishing research direction of IT education service scale development.

      • KCI등재

        대학교육기관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신뢰,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만수 ( Man Su Kang ),박상규 ( Sang Kyu Park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3 No.1

        21세기는 지식경제시대라고 한다. 따라서 국가경쟁력의 기초는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여 지식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고 배출하는 사립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을 분석하여, 교육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대학경영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강원지역 사립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서비스의 지각된 가치와 학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서비스품질, 지각된 서비스가치와 학생만족이 신뢰, 몰입 및 학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교육 기관에 대한 교육서비스품질도 일반기업의 서비스품질과 마찬가지로 직원품질, 교육품질, 시설품질, IT품질, 취업품질 등의 5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지각된 가치는 4가지 차원, 즉 운영가치, 감정가치, 가격가치, 사회가치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를 매개로 학생만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만족은 신뢰,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경영에서 교육서비스품질에만 초점을 맞추고, 학생이 인식하는 대학교육 기관의 지각된 서비스가치를 소홀히 할 경우 학생만족을 이끌어내지 못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대학들이 새로운 발전전략을 계획하고 그에 따른 시행착오를 줄이고 더 좋은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육서비스품질, 지각된 서비스가치, 학생만족, 신뢰, 몰입과 학생충성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고, 이러한 연구가 대학발전에 더욱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competition of higher education is more and more critical,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ervices is importantly considered. Despite the current situations, there are few studies addres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ervice quality and its outcom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erceived service value, trust, commitment, student satisfaction and student loyalty. In so doing, the current study establishes a theoretical model to test the proposed relationships.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five sub-dimension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uch as faculty quality, learning quality, facility quality, IT quality, and recruit quality. And four sub-dimensions of perceived service value such as performance value, emotion value, price value, and social valu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directly influences perceived service value but indirectly influences student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service value. Student 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s student loyalty but indirectly influences student loyalty through trust, commitment . The results further suggest that the indirect effect of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enhances its impact of student satisfaction. Finally, the authors draw conclus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교육품질과 학생만족 관계에 대한 직원서비스품질과 성별 차이의 조절적 조절효과 연구

        하홍열(Ha, Hong Youl),이제원(Lee, Je Wo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1

        교육현장에서의 교육품질과 참여자 간 만족도 연구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개별적인 하위차원에 대한 연구보다는 전반적인 품질차원 연구에 초점을 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 차원의 개별적인 요인으로 교육품질과 학생 만족 간의 영향력 관계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생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접적 영향력을 제공하는 직원서비스품질의 조절효과와 학생들의 성별 차이에 대한 조절적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각 요인들의 세부적 영향력 관계를 증명하고자 가설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기초적인 정보제공과 조절효과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여 향후 교육서비스품질의 향상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품질은 학생만족에 유의한 영향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품질과 학생만족 간의 관계에서는 서비스제공 주체인 직원서비스품질의 수준에 의해 만족도의 결과가 조절된다는 결과가 증명되었다. 특히 조절적 조절효과는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특별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직원의 서비스품질수준이 낮을 때, 교육품질과 학생만족의 관계는 성별차이에서 차별적 결과를 나타냈으며 여성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원서비스품질 수준이 높을 경우, 교육품질과 학생만족은 남성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성별차이는 직원서비스품질의 수준에 따라 조건적으로 나타나며, 조건에 따라 모든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도 아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품질-학생만족의 관계는 추가 투입되는 조절변수들에 대해 조건부함수로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on university service quality have mainly focused on overall service quality compared to individual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individual service quality has an effect on student satisfaction. In so doing, we test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between educational quality and student satisfaction using staff quality and gender difference. To examine the proposed research hypotheses, we collected a total of 507 usable data from two universities(e.g., metropolitan-based and local-based universities). The findings show that educational quality directly affects student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staff quality. In particular,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are quite interesting. First, when staff quality i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quality and student satisfaction is only significant in women. Second, when staff quality is high, the same relationship is only significant in men. That is, gender differences appear conditionally depending on the level of staff quality and their impacts vary. We conclude that the effect of individual quality on the proposed relationship is a function of the condition.

      • KCI등재후보

        Kano 모형과 IPA분석을 이용한 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실증분석

        정진경,김효진,유근환 경인행정학회 2015 한국정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Kano 모형을 이용하여 전문부사관을 양성하는 지방대학 부사관학과의 교육품질에 대한평가를 실시하여, 지속적 관리 및 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의 부사관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Kano 이론에 기반한 IPA 분석기법을 활용함으로서 중요도와 수준(만족)을 분석하고 지방대학의 부사관교육서비스 경험자들이 느끼는 서비스품질 속성들에 대해 어떠한 관리방향을 모색해야 하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과정품질을 구성하고 있는 4가지 품질속성은 당연시 요구되는 품질속성들로서 지속적 유지하거나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서 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나가야 하는 속성들로 나타났고, 환경품질을 구성하고 있는 품질속성은 부사관교육서비스 만족도 제고를 위해 당연시 요구되는 기본요소에 해당되지만, 중요도가높은 실행요소로 충족되면 부사관교육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우선적으로중점 개선해야 하는 품질 속성으로 확인되었다. 주목할 할만 것은 결과품질을 구성하고 있는 품질속성은 매력요소로서 충족되지 못하면 불만은 야기하지 않지만, 충족되었을시에는 부사관교육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에 크게 기여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과품질’은 대학부사관교육서비스 고객인 부사관들이 대학교육서비스로부터 실제로 받는 것 혹은 반대로 서비스 제공자인 대학에 의해 전달되는 핵심적인 서비스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곧 대학의 교육서비스의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될 수있으며 현재와 같이 대학의 진학대상자들이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의미 있게 검토해볼 사항이라고판단된다.

      • KCI등재

        실용무용전공학생들의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교육서비스 품질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옥,안민주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에서는 실용무용 지도자들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인 교육서비스, 행정서비스, 물리적 환 경, 발전가능성을 바탕으로 실용무용 전공학생들에게 교육을 실시한 후 수업에 대한 만족도의 변화와 실용무용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 제시 및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실용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 로 지도자 리더십 유형, 교육서비스 품질, 수업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지도자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과 수업만족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혁적 리더십 유형의 지도자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행정서비스, 교육서비스, 발전 가능성 요인, 수업만족도의 사회적, 교육적, 신체적, 심리적 요인에 긍정 적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거래적 리더십 유형의 지도자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교육서비스, 발전가능성요인, 수업만족도의 사회적, 신체적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실용무용 지도자들은 전공학생들의 수업요구 의견과 수업의 질적 차별성, 학습의욕과 교육적 목적을 이루기 위한 유·무형적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도자와 전공학생들, 행정직원 등 상호 유기적인 실용무용 수업을 전개하면 지도자와 학생 모두에 바람직한 수업이 전개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and improve class satisfaction in practical dance teachers. For the purpose, this study educated practical dance students based on education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leadership typ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and education service quality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administrative service, educational service,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and education service quality showe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ervice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and class satisfaction show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ducation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and class satisfaction showe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type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physical factors.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dance teachers should offer tangible and intangible education service that can reflect students’ comments about class and achieve the differentiation of class quality, learning motivation, and educational goals. Moreover, they should develop practical dance class through organic activities among teachers, students, and administrative staff for desirable class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 미용관련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인실(InSil Choi),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14 뷰티산업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이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교과만족과 진로만족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고자 미용관련학과 2년제 재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교과만족도와 진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 연구로 미용교육의 역사와 미용관련학 과의 교과목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고 미용관련학과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여 2년제 미용관련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하였다. 연구 목적은 첫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둘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진로선택 및 교과개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며, 셋째, 미용관련학과 학생들의 교육서비스 품질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를 검증하여 교육서비스 품질의 영향을 알아보고 넷째, 미용관련학과 교육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에 대하여 기술통계적 분석을 알아본다. 다섯째, 미용관련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가설을 검증하여 학생만족도와 진로, 교과만족을 알아보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관련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별 유형성, 확신성, 내용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고, 교과만족 향상을 위 해서는 미용관련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별 유형성, 반응성, 확신성, 내용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진로만족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관련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별 신뢰성, 확신성, 내용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미용관련학과의 교육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미용관련학과에서는 교육품질과 내용의 질을 높이는데 더욱 더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cosmetology educational service quality on the students curriculum and career satisfaction level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some students attending on the department of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in some 2-year colleges in order to identify that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 influence on the curriculum satisfa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Besides,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mpirical research together. For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nalyzed the cosmetology education s history and the status quo of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curriculum. And based on the results reviewing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curriculum, this study made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targeting some students attending on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in 2-year colleges. The fiv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ied to recogni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ttending on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Second,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students awareness on the career selection and curriculum improvements. Third,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attending students awareness o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urth, this study tried to conduct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Fifth, this study tried to recognize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their satisfaction on career and curriculum and eventually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s influence on the students career and curriculum satisfaction by verifying the hypotheses on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onclusionally, this study could know that the tangibility, the confidence and the contents were important by subfactor of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for improv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cosmetology education services, and the tangibility, the response, the confidence and the contents were important by subfactor of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s satisfaction on curriculum. And it could be known that for improving the subjects satisfaction on the career, the reliability, the confidence, and the contents were important by subfactor of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educational service quality. Through these results, the cosmetology-relevant departments should take more efforts in improving their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the contents quality in order to increase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contents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