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음(觀音)의 자비와 심리치유적 요인 고찰 -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중심으로-

        김선화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20

        This study examines the compassion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its psychological healing factors, focusing on the Lotus Sutra 「The Chapter of the Universal Gate of Bodhisattva Avalokitesvara」(觀世音菩薩普門品). Avalokitesvara (Kwanseeum, 觀世音) means to contemplate the sound of the world, that is, the sound of sentient being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valokiteshvara Bodhisattva exists as a saviour who sees, hears, and takes care of the pain that sentient beings appeal to. This researcher understood the 'Seven disaster (七難)', which symbolizes various disasters of the sentient beings, as psychological suffering, not actual disaster. It was viewed that when sentient beings in such a psychological disaster situation recited, praised, and thought about the nam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valokiteshvara Bodhisattva responded to it with the bodhisattva's benevolent energy, and sentient beings gained psychological stability. Tientai Zhiyi understands '觀(guan: see)' of Avalokitesvara(觀世音) as the meaning of 'contemplation (觀照)', so that Avalokitesvara Bodhisattva does not simply listen to the voices of sentient beings and respond to the sounds, but the point was emphasized that 'I, as a subject, contemplate the object'. According to his interpretation, the researcher regard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as an ascetic himself who contemplates the inside, not an external transcendent. Finally, by applying the concept of mercy to psychological healing and examining the methods and effects of 'compassion meditation' used as a psychotherapy program, it was discussed that the mercy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can be used as a practical method for psychotherapy. 본 연구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중심으로 관세음보살의 자비심과 그 심리치유적 요인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관세음(觀世音)’은 세상의 소리, 곧 중생의 소리를 관(觀)한다는 의미로서 ‘관한다’는 것은 단지 보는 것이 아니라 ‘보살핌’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관세음보살은 중생이 호소하는 고통을 보고 듣고 보살피는 구원자로서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중생의 다양한 재난을 상징하는 ‘칠난(七難)’을 실제적인 재난이 아닌 심리적인 괴로움으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심리적인 재난 상황에 처한 중생들이 관세음보살을 칭념하고 의지하면 관세음보살과 감응하게 되고, 보살의 자비로운 원력의 작용으로 심리적인 안정을 얻게 된다고 보았다. 천태지의는 관세음의 관(觀)을 ‘관조(觀照)’의 의미로 이해하여, 관세음보살이 단순히 중생들의 소리를 듣고 그 소리에 따라 감응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인 내가, 대상인 무엇을 관조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천태지의의 해석에 따라 관세음보살은 외재적 초월자가 아니라 내면을 관조하는 수행자 자신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끝으로 자비의 개념을 심리치유에 적용하여 심리치료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자비명상’의 방법과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관세음보살의 자비가 심리치료에 실천적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야기하였다.

      • 『오대진언(五大眞言)』에 나타난 사십이수인(四十二手印)에 관한 연구

        강대현 ( Kang Dae-hyu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3 密敎學報 Vol.14 No.-

        5개의 큰 진언을 모아놓았다는 뜻의 ‘오대진언’은 조선조 성종 16년(成化 21, 乙巳, 1485 A.D.)에 仁粹大妃 韓氏가 일반 민중들의 진언 誦習을 위해 梵文의 한자 대역에 다시 正音字로 音譯을 붙여서『오대진언』으로 간행한다. 여기에는 가장 영험이 있다고 믿어졌던 다라니를 수록하고 있는데, 그것은 ①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得大悲心大陁羅, ②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神妙章句大陁羅尼, ③千手千眼觀自在菩薩根本陁羅尼, ④佛說一切如來普遍光明燄鬘淸淨熾盛思惟如意寳印心無能勝摠持大隨求大明王大陁羅尼, ⑤大佛頂陁羅尼, ⑥佛頂尊勝陁羅尼 등이다. 이 중에서 ①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導大悲心大陁羅에 觀世音菩薩四十二手眞言이 42가지의 手印圖와 진언이 각각의 수인의 영험·실담자 표기·한글음역·한자음역의 순으로 倂記되어 있다. 이러한 42수인의 底本으로는 셋 혹은 넷의 경전을 들 수 있다. 하나는 40수인과 그 명칭만 나타난 伽梵達摩의 『千手千眼觀世音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陀羅尼經』을 들 수 있는데, 40수인까지는 그 명칭과 순서 및 영험을 따르고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41수인의 명칭과 수인도를 나타내고 있는 불공 역의『千手千眼觀世音菩薩大悲心陀羅尼』에서도 명칭과 영험 등을 따르지만 수인의 순서와 수인도의 형상은 같지 않다. 그렇지만 불공의 맨 처음으로 나타난 수인인 ‘甘露手印’을『오대진언』에는 41번째의 手眞言으로 가져온 것이 특이하다. 그리고 마지막 42수인인 ‘觀世音菩薩摠攝千臂眞言’은 가범달마나 불공역에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결국 이 42번째의 수진언은 智通譯의『千眼千臂觀世音菩薩陀羅尼神呪經』또는 菩提流志譯의 『千手千眼觀世音菩薩姥陀羅尼身經』에서 그 명칭을 가져왔으며, 수인도는 이들 經句에서 설해진 것을 도상으로 具顯하여『오대진언』의 총 42수인을 완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re is a collection of five great mantra. It had been published the five great [『五大眞言』] at the Chosun Dynasty Seongjong 16(A.D.1485) by Insu-daebi Han family(仁粹大妃 韓氏)for learn to memorize the mantra for the general public. It was composed of Indian character[悉曇文字]·Hangeul[한글]·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 There had been believed that the miracle is to be recorded dharani. There are comprised of ①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得大悲心大陁羅, ②千手千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神妙章句大陁羅尼, ③千手千眼觀自在菩薩根本陁羅尼, ④佛說一切如來普遍光明燄鬘淸淨熾盛思惟如意寶印心無能勝摠持大隨求大明王大陁羅尼, ⑤大佛頂附羅尼, ⑥佛頂尊勝陁羅尼. There is note miracle of each mudra, Indian character·Hangeul[한글]·translated into Chinese character at the Avalokitesvara's pictures of 42mudras and mantra. This pictures are the basis of three or four sutras. One, it is the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mahakarunikacitta-dharani translated by Bhagavat-dharma(伽梵達摩). There are 42mudras and their names, 40mudras by its name and following the procedure and effectiveness. Another, it is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mahakarunikacitta-dharani translated by Amoghavajra(不空). There are 41mudras, their names and pictures of 41mudras and mantra. This pictures of the five great mantras follows 41mudras by its name and following the effectiveness but they are not equal the procedure and shape of mudras. Unusually, the 1st mudra ‘甘露手印’ at Amoghavajra’s sutra is the same as the 41st mudra at the five great mantras, and the last 42st mudra, that is ‘觀世音菩薩摠攝千臂眞言’, does not appear in two sutras translated by Bhagavat-dharma and Amoghavajra. Its name comes out of the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dharani mantra translated by 智通 or Sahasrabhuja-sahasranetra-Avalokitesvara-vrddhi dharani kaya translated by Bodhiruci(菩提流志), and said that as shown in the pictures of mudra in the two sutras. Finally, it seems to be complete 42mudras of the five great mantras that its name and miracle is basis on the four sutras.

      • KCI등재

        관세음보살 사상에 관한 연구

        한태식(보광)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7 No.-

        관세음보살사상은 대승불교의 本願思想이 중심이 되어 발전되었다. 중생구제의 큰 원력을 세우고 자비를 실천하기 위한 대자비심의 화현이 바로 관세음보살이다. 모든 중생의 어머니가 되고, 귀의처가 되어 사바세계의 현세적인 고통을 해결해 주는 대승보살 사상이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나 초기 대승불교의 흥기와 함께 기원전 1세기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명칭은 범어로 Avalokiteśvara이고 우리발음으로는 아바로키데-스바라 라고 할 수 있다. 한자로는 주로 구역에서는 觀世音菩薩이라고 하고, 신역에서는 觀自在菩薩이라고 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관세음보살이라고 할 경우는 구원적인 의미가 강조되고, 관자재보살이라고 할 경우는 지혜의 완성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된다. 관련 경전으로는 반야계통의 『般若心經』과 정토계의 『觀無量壽經』, 법화계의 『妙法蓮華經』, 화엄계의 60권본 『華嚴經』, 밀교계 등 다양하다. 법신보살로서의 관자재보살은 이미 성불한 여래의 경지로서 보아 관세음여래라고도 한다. 지혜을 완성했기 때문에 자유자재하다고 하여 觀自在라고 한다. 그리고 미래에 성불하면 正法明如來라고 하는 수기를 받았다고 한다. 법신보살사상은 극락정토의 아미타불의 협시불로서의 역할을 말한다. 주로 『觀無量壽經』을 중심으로 설해지면서 관불삼와 같이 관세음보살을 관하는 觀音觀을 중시하고 있으며, 그 공덕에 대해서도 설하고 있다. 그리고 관세음보살의 天冠에 있는 化佛이 아미타불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극락왕생자에게 내영의 보살로서의 역할과 인도자로서의 다양한 활동을 밝혔다. 화신보살로서 관세음보살의 상주처인 보타락가사상에 관해서 경전적으로 규명하였고, 『妙法蓮華經』 「普門品」을 중심으로 자비의 실천자로서 구원의 손길을 펴고 있다. 이 경전이 중심이 되어 관세음보살신앙이 널리 확산 되었으며, 현세 구원자로서 그 역할을 크게 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불교가 관세음보살의 대자대비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종교적인 역할과 사회적인 활동을 전개한다면, 참으로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라고 생각된다. Ideology of Avalokitesvara became the center of original ideology of Mahayana Buddhism and has been developed. Avalokitesvara is a chord of great mercy in order to establish great original power of saving mankind and practice mercy. She becomes mother of every mankind and returning point, which solves pain of this world in the world of suffering, an ideology of Mahayana Bodhisattva. There are various academic hypothesis about its origin but it is estimated that it is originated from BC 1st century together with the rise of early Mahayana Buddhism. Its title in Sanskrit is Avalokiteśvara and in Korean pronounce, it is called Avalokite-svara. In Chinese, it is called Gwanseumbosal(Avalokiteshvara) in the old translation, and Gwanjajaebosal in the new translation but it is subject to change. There are various related Buddhist scriptures such as 『Banyasimgyung』(The Heart Sutra, a shortened term of the Maha Prajna Paramita Heart Sutra) of Banya(Prajna) system, 『Gwanmuryangsugyung』(The Amitayurdhyana Sutra) of Jeongto(The Pure Land) system, 『Myobeokyeonhwagyeong』(The Saddharmapunddarka Sutra) of Beophwa system and 60 books of Hwaeomgyeong(Avatamsaka Sutra) in Hwaeum system. Gwanjajaebosal as Beopsinbosal is also called Gwanseumyeorae because of its stage of entering Buddha. Because it mastered wisdom, it is free so it is called Gwanmjajae. Also if it enters Buddha in the future, it is regarded that it received memoir called Jeongbeopmyeongyeorae. Beopsinbosal(Dharmakaya Bodhisattva) ideology refers to the role of Hyeopsibul(Attendent Buddha or Bodhisattvas on both sides of the main Buddha) of Amitabha in the Pure Land. As it is explained mainly of 『Gwanmuryangsugyeong』(The Sutra on Contemplation of Amitayus), it importantly regards Gwaneumgwan which is contemplation of Avalokitesvara as Gwanbulsamme(Gwanbulsammadhi) and it also explains about its practice of good deeds. Also it investigated that Hwabul(An incarnate, or metamorphosed Buddha) in Cheongwan of Avalokitesvara is Amitabha. Furthermore, it lighted up various activities such as a role of Bodhisattva and guide in the coming down of Amitabha to welcome the spirit of his believer to the people who comes to the Pure Land. As Hwasinbosal(Nirmanakaya Bodhisattva), it investigated about Botarakga ideology, Sangjucheo of Avalokitesvara while expanding its salvation hand as a practitioner of mercy with 「Bomunpum」 of 『Myobeopyeonhwagyeong』. This scripture became the center and Avalokitesvara Guan Yin belief was broadly expanded and plays its role as a savior of this world. Today's Korean Buddhism set ideology of great mercy of Avalokitesvara Guan Yun as its center and expands its religious role and social activities, it will be the most ideal feature.

      • KCI등재

        『묘법연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보살 사상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개성화 중심으로-

        김명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2 불교문예연구 Vol.- No.20

        This paper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idea of Bodhisattva and development. As revealed in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the Lotus Sutra, ' bears similarity to the individualized and the process that is part of The Self in Carl Jung's analytical psychology. Humans begin with the ego and journey to the Self. Characteristics of this Self-being who has achieved individuation, it can see that they align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of the Bodhisattva, which appears in Mahayana Buddhism. Avalokitesvara, which appears in 'Avalokitesvara Sutra,' is an external symbol of the "Self." The process of helping humans is compared from the viewpoint that it is similar to the individuation process of the ego. They understand that the feminine and masculine, anima and animus of the spiritual realm, are well differentiated and integrated and are open to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us, they understand human behavior well, feel compassion, and are unaffected by personality, attitude, and archetype. Often use persona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 Avlokitesvara of the 'Avalokitesvara Sutra' hears the voices of humans and helps them by manifesting there as wisdom but does not cling to it. Thus, the Avalokiteshvara practice shows profound similarities with the individuated humans in analytical psychology. Analytical psychologists sometimes see aspiration to awakening as the nature of Buddha, an outward manifestation of the Self, and a high level of anima. Through such a process, it would help to extend the concept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as a spiritual destination with psychological value. 본 논문은 『묘법연화경』의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드러난 보살 사상 및 그 전개가 칼 융의 분석 심리학에 나타난 ‘자기’(the Self) 의 부분이자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개성화를 이룬 인간 및 개성화의 과정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분석 심리학에서 인간은 자아에서 시작하여 자기로의 여정을 거치는데, 이 자기(Self) 및 개성화를 이룬 인간의 특성을 살펴보면 이 특성은 대승 불교 경전의 여러 곳에서 등장하는 보살의 특징 및 행법과 일맥상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는 그 중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관세음보살은 ‘자기(Self)’의 외현적 상징으로, 사바 세계를 노닐며 중생을 돕는 과정은 자아의 개성화 과정과 유사하다는 관점에서 둘을 비교 고찰하려 한다. 분석 심리학에서 개성화를 이룬 인물은 몇 가지 특징을 갖는데, 그림자를 이해하고, 정신적 영역의 여성성과 남성성인 아니마 아니무스가 잘 분화되어 통합을 이루고 있으며 집단 무의식에 열려있어 사람의 행동을 잘 이해하고 깊은 연민을 느끼며 성격의 어느 한 측면이나 태도, 원형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황에 따라 페르조나를 잘 사용하지만 이는 사회적 편의 때문이지 자신의 본성(Self)과 헷갈리지 않는다.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관음은 그 경전의 이름과 같이 모든 중생의 소리를 듣고(觀音) 지혜로서 그곳에 나투며 (普門) 그들을 도우나 도운 것에 집착하지 않는다. 근기 마다 그 근기에 맞게 나투지만 그것은 방편일 뿐 본성에는 물듦이 없다. 열반 해탈과 중생의 경계선에 있어 중생을 향하여 돌아보나 돌아가지는 않는다. 이렇듯 관세음보살의 행법은 분석심리학의 개성화된 인간이 가지는 특징과 깊은 유사성을 보이며, 분석 심리학자들은 관세음보살을 불성(佛聖)이라고 하는 ‘자기(Self)’ 의 외현 이며 높은 수준의 아니마로 바라보기도 한다. 더하여 본 논문은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나타난 개성화의 상징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보문품의 큰 흐름이 원형과 그림자의 만남, 페르조나의 상실, 아니마 아니무스의 만남, 페르조나의 사용 및 자기(Self)로의 회귀와 다르지 않다는 관점에서 둘을 비교하려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관세음보살을 신앙적 가치를 넘어선 심리학적 가치를 가진 정신적 도착지로서 그 개념을 확장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흥천사 사십이수(四十二手) 천수천안 관음보살상(千手千眼觀音菩薩像)의 도상특징과 편년연구

        문명대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7 강좌미술사 Vol.49 No.-

        The Heungcheonsa Avalokitesvara Statue is probably the most likely to have been built and enshrined in Heungcheonsa, one of Royal temples by a national master with the outstanding work of 1 myeon and 42 su of Sahasra bhuja-Sahasranetra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The iconographic feature of Heungcheonsa Sashipyisu Avalokitevara statues is Sahasra bhuja-Sahasranetra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with 1 myeon and 42 su, and this iconographic feature is judged as a statue derived from Jitongyeok Cheonancheonbi Avalokitesvara Dharani Shinju Sutra. This Cheonsu Avalokitesvara Statue is similar to the Cheonsu Avalokitesvara Statues belonging to the Tibet style around 1450, and thus represents the Bodhisattva statue of the tall figure system formed around 1450. Thus, it was found that the Bodhisattva statue is important as a representative of the tall figure leggy style. These 42 items of Sahasra bhuja-Sahasranetra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are one of the four existing Sahasra bhuja-Sahasranetra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Therefore, it is not only precious in its rarity, but we can also grasp some of the tendencies of early Joseon faith. Thus, it is true that these are valued as very valuable Sahasra bhuja-Sahasranetra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s. 흥천사 관음보살상은 1 면 42 수 천수천안관음보살상의 뛰어난 작품성으로 보아 국가장인이 조성하여 왕실사원인 흥천사에 봉안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된다. 흥천사 사십이수관음상의 도상특징은 1 면 42 수를 가진 천수천안관음보살상이며, 이 도상특징은 지통역 천안천비관세음보살다라니신주경에서 유래한 상으로 판단된다. 이 천수관음보살상은 1450 년 전후의 티벧계 명양식에 속하는 천수관음보살상 등과 가장 흡사하므로 1450 년 경에 조성된 장신 계통의 보살상 양식을 나타내고 있어서 장신의 늘씬한 양식을 대표하는 보살상으로 중시된다는 점을 밝히게 되었다. 이 42 수 천수천안보살상은 현존하는 4 점의 천수천안관음보살상 중 하나이므로 그 희귀성에서도 귀중할 뿐만 아니라 조선초기의 신앙 경향까지도 어느정도 파악할 수 있어 매우 귀중한 천수천안 관음보살상으로 평가된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당ㆍ송대 항주지역의 관음신앙

        김성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3 대순사상논총 Vol.46 No.-

        이 논문에서는 인도의 관음신앙이 중국불교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항주지역 불교계를 중심으로 관음보살과 관련된 교의와 실천을 구조화하고, 이를 수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했다. 항주지역은 운하를 활용한 상업과 해상무역으로 축적된 부로 인해 불교교단들도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송대에 이르러 선종교단이 왕성했다. 항주 천태교단의 지의(天台智顗)는 관음 관련 경전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청관음경소(請觀音經疏)』를 저술하고, 천태교학과 관음사상을 융합하여 ‘청관음참법(請觀音懺法)’을 체계화했다. 또한 자운준식(慈雲遵式)은 관음참법을 대중들의 수준에 맞게 일상의 의례로 재생산한 ‘청관음참(請觀音懺)’을 정비했다. 북송대 항주지역의 선종 교단인 법안종(法眼宗)의 영명연수(永明延壽)는 그의 저술 『지각선사자행록(智覺禪師自行錄)』을 통해 관음신앙을 ‘108事’라는 일상의 작은 수행 안에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중국불교에서는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승려를 보살의 화신으로 숭배하는 현상도 나타나는데, 십일면관음보살로 믿어졌던 남조 제량(濟涼)의 보지(寶誌)화상이 바로 그러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항주지역의 천태교단과 선종교단의 승려들은 이러한 신이승(神異僧)의 관음화현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대중들에게 인기 있는 관음신앙을 통해 신도들을 흡수하려 했던 송대 불교의 일면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Avalokitesvara faith of India was restructured into the doctrines and practices related to the Sinicized version of the deity as Guanyin (觀音) Bodhisattva. Particular focus will be given to the Hangzhou area of China, when the Guanyin faith was still in the process of gaining establishment in China. In the Hangzhou area, Buddhist Orders grew significantly due to the wealth accumulated from commerce using canals and maritime trade, and the Chan (禪 typically known as Zen in English) Orders were particularly active during the Song Dynasty. Zhiyi (智顗), a prominent master from the Tiantai Order (天台宗), based his activities out of Hangzhou. He composed the text known as the Commentary on the Guanyin Petitioning Sutra (Qingguanyinjing-shu 請觀音經疏) based on a reinterpretation of a scripture related to Guanyin, and he systematized the Guanyin Repentance Ritual (Guanyin-chanfa 觀音懺法) by combining the Doctrines of Tiantai with the Guanyin faith. In addition, Ciyin Zunshi (慈雲遵式) reformulated that Guanyin Repentance Ritual into the Guanyin Petitioning Repentance Ritual (qing-guanyin-chan 請觀音懺) to make it into a common ritual that was more accessible to everyday people. The book, Records Regarding the Personal Conduct of the Chan Master Zhijue (zhijue-chanshi-zixing-lu 智覺禪師自行錄), which is written by Yongming Yanshou (永明延壽), a figure from the Fayan Order (法眼宗), one of the Chan Buddhist orders in the Hangzhou area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reveals the acceptance of the Guanyin faith as a daily practice within the 108 daily rituals (108事). In Chinese Buddhism, there were historical examples of monks being worshipped as incarnations of Guanyin Bodhisattva. An example of this includes iconography depicting Baozhi (寶誌), a figure from Jiliang (濟涼) who liv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as Ekādaśamukha (十一面觀音, Eleven-faced Guanyin Bodhisattva) in keeping with the belief that he was an incarnation of that deity. Monks of the Tiantai and Chan orders operating in the Hangzhou area actively utilized the transmission of Buddhist tales about Guanyin Bodhisattva as related to monks that exhibited miraculous powers (神異僧). This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demonstrating how Song Buddhism tried to attract more believers through the popularity of the Guanyin Faith.

      • KCI등재

        불경번역과 문화요소의 현지화에 대한 연구- 북두칠성연명경 과 관세음보살보문품 비교

        이승재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22 통번역교육연구 Vol.20 No.4

        Localization is a kind of the dynamic equivalence in a broader sense of translation, and is essential in global marketing strategy. Translation, viewing from the linguistic relativism, is that two different worlds face each other. The comparis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to the Lotus Sutra’s Universal Gate Chapter on Avalokitesvara examined in this paper confirms localizati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to the Taoist context. The localizati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to the Big Dipper Sutra in China enabled both the ideological advancement of Taoism in the framework of Buddhism and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Buddhism in the target culture. The successful localization of the Buddhist Great Bear Sutra limited the high-level symbolism of the ‘7 stars’ to Taoism, but various relevant Buddhist paintings in Korea opened creative interpretations of ‘7 stars in Buddhism’ and are on the way of finding the true meaning of it, which confirms Humbolt’s sense of language and world. Thus, the translator’s active role in localization is required not only in microscopically replacing the language but also macroscopically connecting the world view of the original text to the target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태안 동문리 마애삼존불입상에 대하여

        성윤길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1 No.-

        The relief of standing Trikaya statue(Maaesamjonbul) in Taean Dongmun-ri, located on 817-2 Dongmun-ri, Taean-eup, Taean-gun in Chungcheongnam-do, belongs to the early Baekje style comparatively. This relief, carved on the large rock-wall, is looking toward the East near the top of Mt.Baekhwasan, The knees of Tathāgata were buried under the ground. However, repairing and maintaining the cracked rock-face in 1995, the lotus plinth of the relief completely exposed, and then, the relief became the National Treasure No.307(31, August, 2004). The Taean Buddha relief has been regarded as the either of important workpiece with the Seosan standing Trikaya statue amongst the Baekje Buddha. Nonetheless, compared with its importance, research results were short of gilt-bronze Buddha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seems that there were iconographic enigmas which cannot find such kind of examples in either China or Japan. Due to such iconography, it leads them into the originality of Baekje sculpture. Reviewing conventional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traced that the Taean Buddha relief was made in the late of the 6th century CE based on Bodhisattva Guanshiyin in the Lotus Sutra (beophwagyeong). Such consequence is merely reflecting the sum of former scholars survey results. Even though a variety of opinions were suggested, they were to compare with the trends of Baekje Buddhism at that time. As a result, the Taean Buddha relief was presumably construct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Lotus Sutra fashioned in the Baekje. Moreover, it should be understood on the extension of the Baekje Buddhism having the second prosperity those days. 태안마애삼존불입상은 충남 태안군 태안읍 동문리 817-2번지에 위치해 있는 백제 불상으로, 비교적 이른 시기의 마애불이다. 白華山 정상부근의 커다란 암벽에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 이 불상은 여래상 무릎 밑이 땅속에 묻혀 있었으나, 1995년 갈라진 암벽을 보수·정비하면서 연화대좌부분이 완전히 노출되었고, 그 후 국보 제307호(2004년 8월 31일)로 지정되었다. 태안마애불은 서산마애삼존불상과 함께 백제 불상으로서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어 왔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성과에 있어서는 삼국시대 금동불상에 못 미치는 것이었다. 거기에는 중앙 보살상과 좌·우 여래상이라는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도상상의 문제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위 두 마애불의 도상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것으로, 이 도상때문에 백제 조각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두 마애불이 평가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6~7세기 백제 불교계의 동향에 대한 검토를 시작으로 태안마애불에 대한 연구성과를 음미하면서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과 「견보탑품」을 근거로 6세기 말에 조성되었음을 추적해 보았다. 태안마애불의 조성은 제 2의 불교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었던 『법화경』의 성행이라는 백제 불교계 추이 속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六經合部」의 板本 硏究

        송일기,김유리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2 No.-

        Yukgyeonghapbu is a scripture collection which had been published by binding six important scriptures of Mahayana Buddhism. This study identified the publication history of Yukgyeonghapbu and analyzed them by classifying the participating persons recorded in each edition by their function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prefaces of various Yukgyeonghapbu editions and studied the purpose of editing/publishing of Yukgyeonghapbu. It was possible to find 49 different editions of Yukgyeonghapbu however, only 30 of them were studied. 19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changed in later period. It was possible to find the first publishing of Yukgyeonghapbu in the preface by Seong Dal-saeng in the first edition of Yukgyeonghapbu published by Ansim-sa Temple(安心寺) in the year 1424. There had been a Geumgang Scripture edition which had been previously transcribed by Choi Sa-rip; however, it was difficult to read because it had been too old and deteriorated. Accordingly, the ascetic Shin Hyeon asked Seong Dal-saeng to transcribe Geumgang Scripture again. Seong Dal-saeng agreed and he further included five more important scriptures, in addition to Geumgang Scripture. This became the first Yukgyeonghapbu. The result of analysis on 30 kinds of editions was that 28 out of 30 had been first published before the Imjin Waeran War (Japanese invasion to Joseon in 16th century). They had been mainly publish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ll editions used relatively simple style by using Sajoo(世祖) Danbyeon style (text in rectangular box made of single line, 四周單邊) and 8-row/17-character format. Ansim-sa Temple which first published Yukgyeonghapbu is located in Gosan, Cholla-do Province. Since then Chollado area produced the largest number of Yukgyeonghapbu editions continuously. 이 글은 대승경전의 주요경전으로 꼽히는 6종의 불경을 합부하여 편찬 간행한 「六經合部」를 대상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六經合部」의 간행현황을 파악하고, 판본에 기록된 참여자를 역할별로 나누어 분석했다. 또한 이 책이 처음으로 간행될 때 수록된 성달생의 발문을 분석하여 편찬 및 간행 동기를 고찰했다. 이 책은 전국적으로 49종의 판본을 발견했지만 후대에 변용이 일어난 19종의 판본을 제외한 30종의 판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이 책은 1424년 안심사에서 도인 신현이 성달생에게 금강경을 필서해 줄 것을 요청했는데, 이에 성달생은 금강경 이외에도 당시 수행인들이 존중했던 5종의 불교경전을 함께 필서하여 간행하였다. 연구대상본 30종의 판본을 분석한 결과, 이 중 28종이 임진왜란 이전에 개판되어 조선 초기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던 사실을 조사하였다. 모든 판본의 형태적 특징이 사주단변과 8행17자의 판식을 준용해서 비교적 단순한 판식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지역별 분석을 통해 전라도 지역에서 가장 많은 판본이 개판되었는데, 이는 전라도 안심사에서 처음으로 「六經合部」가 개판된 이래 이 지역을 중심으로 간행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